KR20110042731A -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731A
KR20110042731A KR1020090099537A KR20090099537A KR20110042731A KR 20110042731 A KR20110042731 A KR 20110042731A KR 1020090099537 A KR1020090099537 A KR 1020090099537A KR 20090099537 A KR20090099537 A KR 20090099537A KR 20110042731 A KR20110042731 A KR 2011004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born
bath
infant
head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순자
Original Assignee
배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자 filed Critical 배순자
Priority to KR102009009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2731A/en
Publication of KR2011004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3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욕조에 보조 세척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신생아를 눕힌 자세로 목욕을 시킬 수 있고, 보조 세척대를 탈거한 상태에서는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에 대한 안전성이 담보되고, 물을 두려워하는 아이에 대해 유희성을 부여하며, 부 또는 모가 혼자서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일측에 헤드고정부(11)가 구비된 욕조(10); 상기 욕조(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욕조 내의 고정용 걸이구(21)가 형성된 보조세척대(20); 상기 헤드고정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되되, 변위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된 헤드받침구(30)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bathe the newborn in a lying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washing table is installed in the bathtub, in the state where the infant sitting in the state of removing the auxiliary washing table It is designed to allow bathing, to ensure the safety of slipping, to provide a playfulness to children who are afraid of water, and to make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for parents and mothers to bathe alone. A bathtub 10 provided with a government 11; An auxiliary washing stand 20 detachably provided in the bathtub 10 and having a fixing hook 21 formed in the bathtub; The detachable head is provided in the head fixing portion 11 to be able to support the head, it is disclosed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head support 30 to be able to change the displacement and angle.

Description

다기능의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MULTI-SKILL BATHTUB FOR NEW BORN INFANT AND CHILD}MULTI-SKILL BATHTUB FOR NEW BORN INFANT AND CHILD

본 발명은 갓 태어난 신생아로부터 걷거나 뛸 수 있는 어린아이까지 겸용으로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욕조에 보조세척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신생아를 눕힌 자세로 목욕을 시킬 수 있고, 보조 세척대를 탈거한 상태에서는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담보되면서도 유희성과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의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use of the bath can be combined to take a bath from a newborn newborn to a child who can walk or run, the bath can be bathed in a lying position in the newborn with the auxiliary wash in the bathtu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that allows the infant to take a bath while sitting in the state where the auxiliary washing table is removed, but prevents slipping to maximize safety and convenience while ensuring safety. .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하루에도 자주 배변을 보기 때문에 위생상 매일 목욕을 시켜야 하지만,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서 스스로 목을 가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목욕을 시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In general, newborns often have a bowel movement every day because of hygiene, but they cannot bathe themselves because they do not have muscles and cannot sit on their own.

이에 따라 신생아 혹은 걷기 전의 아기를 목욕시키기 위한 유아용 욕조가 다수 출원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173721호에는 '유아가 욕조 내부에 등을 편안히 기댄 상태에서 양팔이 자연스럽게 위치되도록 욕조(2)의 내부에 팔걸이부(4)를 계단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욕조(2)의 저면으로는 이동바 퀴(12)를, 욕조(2)의 일측 손잡이부(14)의 하측에는 욕실내에 설치된 욕조에 고정될 수 있는 걸이홈(6)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a number of infant bathtubs for bathing newborns or babies before walking have been applied. For example,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173721, 'the arms are naturally positioned while the infant rests comfortably on the back of the bathtub. The armrest part 4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athtub 2 in a staircase shape, and as for the bottom of the bathtub 2, the moving wheel 12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part 14 of the bathtub 2 in the lower part. Disclosed is a baby b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which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hook groove 6 that can be fixed to a bath installed in a bathroom.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순히 하나의 목욕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스로 앉을 수 있는 어린아이의 목욕에는 적합하지만 누운 자세로 씻겨야 하는 신생아를 목욕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결점이 있을 뿐 아니라, 욕조의 바닥은 비누 거품과 수막 현상에 의해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간혹 신생아 혹은 유아가 물속에 빠지게 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simply consists of a bath, it is suitable for bathing a child who can sit on his own, but bathing a newborn baby who is to be washed in a lying position is not only suitable, but the bottom of the bathtub is soap. Since it is easy to slide due to bubbles and meninges, there are sometimes safety problems such as a newborn or an infant falling into the water.

더욱이, 유아의 특성에 따라 목욕을 싫어하는 경우 욕조에 몸을 담그는 것은 물론 발을 담그는 것조차 두려워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아를 욕조에서 목욕을 시키는 것이 매우 힘이 들고, 부모가 한조가 되어 씻겨야 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f you don't like bathing because of your baby's characteristics, you're afraid to soak in the bathtub as well as soak your feet. There is a problem.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욕조에 보조 세척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신생아를 눕힌 자세로 목욕시킬 수 있고, 보조 세척대를 탈거한 상태에서는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athe the newborn baby in a lying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wash table is installed in the tub, In the removed state is to provide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that allows the infant to bathe while sitting.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신생아와 유아 겸용으로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되, 신생아에 대응하여 위치 변경 가능한 해드받침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원천 방지하여 안전성이 담보되고, 물을 두려워하는 아이에 대해 유희성을 부여하며, 부 또는 모가 혼자서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의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 for both newborns and infants, provided with a head support that can be changed i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ewbor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slipping to ensure safety, children afraid of water It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that gives a playfulness to, and allows the parents or mother to take a bath conveniently and simply by themselv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해결수단은, 일측에 헤드고정부(11)가 구비된 욕조(10)와, 상기 욕조(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욕조 내의 고정용 걸이구(21)가 형성된 보조세척대(20)와, 상기 헤드고정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되되, 변위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된 헤드받침구(30)의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A preferred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ub 10 is provided with a head fixing portion 11 on one side, and the removable hook 21 is provided in the tub 10 detachably and fixed in the tub 21 The auxiliary washing stand 20 is formed, and the head fixing portion 11 is detachably provided to be able to support the h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head support port 30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cement and angle. .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상기 헤드받침구(30)는, 경질의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31) 상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32)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3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고정부(11)에 고정되는 주름관(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drest port 30, the hard base 31, the silicon pad 32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1, one side is fixed to the base 31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rrugated pipe 33 fixed to the head fixing portion (11).

본 발명은 상기 욕조(10)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핸들(40)을 설치하여 아기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욕조(10)의 바닥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포스트고정부(13)를 상호 이격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고정부(13)의 어느 하나에 지지포스트(5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미끄러짐을 원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단에서 착탈 가능한 모빌 형태의 유희구(60)를 더 설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baby by installing a handle 40 transverse to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tub 10, a plurality of post fixing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tub (10) (1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upport post 50 is detachably installed on any one of the post fixing portion 13 to prevent the source of slip, removable mobile from the top of the support post (50) The play ball 60 of a form can be further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신생아를 위한 보조세척대를 제공함과 동시에 보조세척대 상부에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받침구를 구비함으로써 신생아를 눕힌 자세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헤드받침구의 위치나 각도 변경이 가능하므로 신생아를 옆으로 눕힌 자세로 씻길 수 있어 편리성이 극대화되며, 헤드받침구 및 보조세척대를 탈거하는 경우 앉을 수 있는 유아 역시 편안한 자세로 목욕이 가능하므로 아이가 성장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ead washbasin to support the head at the same time while providing a secondary washing for the newborn, the head restraint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bathed in the lying position, the headres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phere can be changed, so the newborn baby can be washed in a lying position, maximizing convenience, and the infant can sit in the comfortable position when taking off the headrest and the auxiliary wash basin, so that the child grows. It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it is economical.

또한, 욕조 상부에 유아가 잡을 수 있는 핸들이 설치되고, 욕조 바닥에 기둥 형태의 지지포스트가 다리 사이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포스트를 아이의 신체 크기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목욕을 하는 아이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미끄러지더라도 물 속으로 빠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the infant on the upper part of the bathtub is installed, and a support post in the form of a column is installed between the legs at the bottom of the bathtub, and the post can be installed at a suitable 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ild's bod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nxiety of the, even if it slips in the water to prevent the source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mproved safety.

게다가 지지포스트 상에 모빌과 같은 유희구를 설치 가능하므로 신생아에게는 볼거리를 제공할 뿐 아니라 유아에게는 놀거리를 제공하게 되어 물을 싫어하는 아이까지 즐겁고 편리하게 목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ay ball such as a mobile on the support post not only provide a sight for newborns, but also provide fun for infa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enjoy fun and convenient bathing even children who do not like wa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예시된 도면의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인 일 실시 형태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showing a preferr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tub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는, 욕조(10)의 일측에 헤드고정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욕조(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욕조 내의 고정용 걸이구(21)가 형성된 보조세척대(20)와, 상기 헤드고정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되되, 변위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된 헤드받침구(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fixing portion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b 10, detachable in the tub (10) Auxiliary washing stand 20 is provided and the fixing hook 21 is formed in the tub, and the head fixing portion 11 is detachably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but the displacement and the angle can be changed. The head support port 30 is made of a combination.

상기 욕조(10)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 목욕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고, 상기 보조세척대(20)는 신생아 등 체격이 작은 아기를 눕힐 수 있도록 경사지고 가장자리 주변에는 고리 형태의 걸이구(21)가 관통하는 걸이구멍(16)이 형성된다.The tub 10 has an open top shape to accommodate bath water, and the auxiliary washing stand 20 is inclined to lay down a small baby, such as a newborn baby, and has a hook-shaped hook around the edge. A hook hole 16 through which 21 passes is formed.

상기 보조세척대(20)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21)는 상기 걸이구멍(16)에 각각 관통시켜서 걸이구(21)를 상기 욕조(10)의 가장자리 상단에 걸어서 보조세척대(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세척대(20)에는 하방으로 홈이 패인 형태의 착석부(22)를 형성하여 아기의 엉덩이 부분을 받치도록 하면 아기가 보조세척대(20)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면에 배수용 구멍(17)을 설치하는 경우 목욕물이 보조세척대(20) 하부로 배수될 수 있다.The hook hole 21 detachably formed in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passes through the hook hole 16 so that the hook hole 21 can be hung on the upper edge of the tub 10 so that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can be removed. Can be fixed. At this time, by forming the seating portion 22 of the groove recessed downward in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to support the hip part of the baby can prevent the baby from sliding down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drainage hole 17 on the inner surface, the bath water may be drained to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물론, 상기 보조세척대(20)는 망사 형태로 제조하여 배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보조세척대(20) 상에 수건 등의 타올을 깔고 아기를 눕힌 후 목욕을 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wash 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sh to further improve the arrangement, and the user may lay a bath, such as a towel on the auxiliary wash 20 to lay the baby after bathing. .

상기 헤드받침구(30)는 목을 가눌 수 없는 아기의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된 것으로, 중앙에 홈 혹은 구멍이 형성된 통상의 아기 베개 형태이고, 아기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받침구(30)를 옆으로 틀어서 각도를 변경시키거나 혹은 아기의 체격에 맞출 수 있도록 그 위치 변경(변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The headrest 30 is able to support the head of the baby can not hold the neck, in the form of a normal baby pillow formed with a groove or a hole in the center, so that the baby can be bathed while lying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ngle by twisting the headrest port 30 to the side or to change the position (displacement) to fit the baby's physique.

헤드받침구(30)의 변위 및 각도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받침구(30)는 자바라 형태로 되어 신축 및 방향 변경이 가능한 주름관(33)에 의해 지지되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displacement and angle change of the headrest 30, the headrest 30 may be shaped like a bellows so as to be supported by a corrugated pipe 33 that can be stretched and changed in direction.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받침구(30)는, 경질의 베이스(31)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31) 상면에는 고무, 실리콘 또는 발포 스티로폼 등의 쿠션패드(32)가 부착되며, 상기 주름관(33)은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3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 가 상기 헤드고정부(11)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head restraint 30 includes a hard base 31, and a cushion pad 32 such as rubber, silicone or foamed styrofoam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31, and the corrugated pipe ( 33) one end is fixed to the base 3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head fixing portion (11).

여기서 상기 주름관(33)은 소위 코브라 수도꼭지와 같이 꺽임 방향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 금속 소재의 주름관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헤드받침구(30)를 아기의 체격에 적합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 옆으로 기울일 수 있게 되어 아기의 머리 뒷부분을 받친 상태 그대로 아기를 옆으로 눕혀서 목욕시킬 수 있게 된다.Here, the corrugated pipe 33 may be a corrugated pipe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arbitrarily changing the bending direction, such as a so-called cobra faucet, and accordingly, the head restraint 30 may be changed to a position suitable for a baby's physique. Of course, it can be tilted to the side, allowing the baby to lie on the side as it supports the back of the baby's head.

만약 헤드받침구(30)가 필요없을 정도로 아이가 성장한 경우, 상기 주름관(33)을 욕조(10)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헤드고정부(11)를 구멍 형태로 하여 주름관(33)의 단부를 헤드고정부(11)에 관통시킨 후, 욕조(10)의 저면으로 돌출된 주름관(33)에 너트와 같은 고정구(34)를 체결하면 주름관(33)이 욕조(10)에 고정된다.If the child grows to the extent that the headrest 30 is not 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corrugated pipe 33 to be separated from the tub 10. For this purpose, the head fixing part 11 is opened as shown in FIG. After passing through the end of the corrugated pipe 33 to the head fixing portion 11 in the form, and fastening the fastener 34 such as a nut to the corrugated pipe 33 protruding to the bottom of the tub 10, the corrugated pipe 33 is It is fixed to the bath (1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욕조(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핸들(4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들(40)은 아기가 욕조(10) 내에 있을 경우 스스로 핸들(40)을 잡고 지탱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 기구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40 that cros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1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handle 40 itself is when the baby is in the bathtub (10) It is an auxiliary mechanism for holding and holding the handle 40.

물론 어느 정도 성장한 아기는 핸들(40)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40)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부(41)를 마련하고, 욕조(10)의 양측 내벽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핸들고정부(12)를 설치하여, 상기 각 슬라이드부(41)가 핸들고정부(12)에 슬라이드 삽입되게 하는 형태로 핸들(40)을 설치할 수 있고,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40)을 들어올려서 핸들고정부(12)에 결합된 슬라이드부(41)을 분리함으로 써 핸들(40)을 욕조(10)에서 떼낼 수 있다.Of course, the baby grows to some exten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handle 40, as an embodiment for detachable, as shown in the slide portion 41 on each side of the handle 40, respectively, and the bathtub ( 10,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are provided with a handle fixing part 12 of the groove shape formed vertically, the handle 40 can be installed in a form such that each slide 41 slides into the handle fixing part 12. And, if you want to remove the handle 40 by lifting the handle 40 to remove the slide portion 41 coupled to the handle fixing portion 12 can be removed from the tub (1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핸들(40)에는 모빌 혹은 음악과 같은 소리가 발생하는 장치 등의 유희구를 설치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유희구는 제3실시예를 통해 더 구체화될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handle 40 may be provided with a play ball such as a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 such as a mobile or music, and the play ball will be further embodied through the third embodiment.

한편, 상기 욕조(10)의 저면에는 받침돌기(14)를 설치하여 욕조(10)가 욕실 등의 바닥에 놓일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받침돌기(14)에는 고무발(15)을 설치하여 욕조(10)가 욕실 바닥 등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support protrusion 14 on the bottom of the tub 10 so as not to shake when the bath 10 is placed on the floor of the bathroom, etc. At this time, by installing a rubber foot 15 to the support protrusion 14 The bathtub 1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bathroom floor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보조세척대(20)를 욕조(10) 내에 설치하는 걸이구(21) 구조만 상이하고,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to 6,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hanger 21 for installing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in the bathtub 10, and the like. Since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의 경우 걸이구(21)기 보조세척대(20)에 형성된 걸이구멍(16)에 관통하는 형태로 하여 걸이구(21)를 분리 가능하게 한 반면에, 제2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걸이구(21)가 보조세척대(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보조세척대(20)가 욕조(10) 내에 설치되게 하는 것이면,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ook tool 21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hook hole 16 formed in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whereas the hook tool 21 is detachable. It is shown that the hook 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and if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is installed in the bathtub 10, the shap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You have to understand.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 른 욕조의 단면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tub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bathtu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of.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실시예와 달리 보조받침대(20)는 착석부(22)가 형성되지 않은 짧은 형태일 수 있고, 욕조(10)의 바닥에는 아기의 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아기가 보조세척대(20)의 아래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포스트(50)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부에 모빌과 같은 유희구(60)가 설치된다. 여기서 헤드받침구(30)의 변위 혹은 각도 변경 구조와, 핸들(40) 및 그 설치 구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한 일부의 도면 부호 및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auxiliary support 20 may be a short form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22 is not formed, and the bottom of the bathtub 10 is located between the legs of the baby. The support post 5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baby from sliding downward of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and a play ball 60 such as a mobil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ost 50. Here, since the displacement or angle change structure of the head restraint 30, the handle 40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50)는 상기 욕조(10)의 바닥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 설치된 포스트고정부(13)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이는 아기의 체격에 맞추어 지지포스트(50)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함이다. 즉, 성장하지 않은 아이의 경우, 지지포스트(50)를 헤드 부분에 가까운 포스트고정부(13)에 설치하고, 성장한 아이는 다리에 근접한 포스트고정부(13)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지지포스트(50)가 아기의 다리 사이에서 상반신을 지지하기 때문에 아기가 보조세척대(20)의 아래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7 to 9, the support post 50 is sel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t-fixed parts 13 are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ub 10, which is the baby's physique In order to install the support post 50 in an appropriate position. That is, in the case of an ungrown child, the support post 50 is installed in the post fixation unit 13 close to the head portion, and the grown child is installed in the post fixation unit 13 near the leg. By doing so, the support post 50 supports the upper body between the legs of the baby so that the baby does not slide downward of the auxiliary washing table 20.

상기 지지포스트(50)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포스트고정부(13)를 수직한 홀 형태로 하고, 상기 지지포스트(50)의 하부는 상기 포스트고정부(13)에 끼움 결합되도록 봉 형태의 고정봉(5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포스트(50) 외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혹은 발포 스티로폼과 같이 탄성을 가진 쿠 션패드(52)를 설치하여 지지포스트(50)로 인해 아기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be detachable to the support post 50, the post fixing portion 13 in the form of a vertical hole,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st 50 is a rod shape to be fitted to the post fixing portion (13) The fixing rod 51 can be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cushion pad 52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rubber or foamed styrofoa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50 to prevent the baby from being injured by the support post 50.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단에는 착탈 가능한 유희구(60)가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희구(60)는 모빌(62) 형태이거나 혹은 아기의 연령에 맞추어 적절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장난감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upport post 50 may be provided with a removable play ball 60 on the top, and as shown, the play ball 60 may be in the form of a mobile 62 or appropriately bound to a baby's age. It can be a toy.

상기 유희구(60)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예컨대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단에 수직한 홀 형태의 끼움공(53)을 형성하고, 유희구(60) 하단에는 상기 끼움공(53)에 끼움 결합되는 봉 형태의 고정봉(61)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play ball 60 to be detachable forms, for example, a fitting hole 53 in the form of a hole perpendicular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50, and fits into the fitting hole 53 at a lower end of the play ball 60. It may be to form a rod-like fixing rod 61 is coupled.

유희구(60)가 설치된 경우, 아기가 좋아하는 모빌(62) 혹은 장남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목욕시 아기의 관심을 유희구(60)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물을 무서워하는 아기라도 안정된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lay ball 60 is installed, the baby's favorite mobile 62 or toy is installed so that the baby's attention can be induced to the play ball 60 when bathing, so even a baby afraid of water can bathe in a stable state. Will be.

한편,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욕조(10)의 저면에는 고무발(15)이 설치된 받침돌기(14)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받침돌기(14)의 높이는 상기 포스트고정부(13)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이 형성하여 포스트고정부(13)의 저면이 받침돌기(14)와 동시에 바닥에 닿게 하거나 공중에 떠 있도록 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4, the rubber foot 15 is installed, wherein the height of the support protrusions 14 is the post fixing portion ( It should be formed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13) so that the bottom of the post fixing part 13 can reach the floor or float in the air at the same time as the support protrusion 1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의 구조로 설명된 것이나, 본 발명은 예시된 구조에 한하지 않고, 당업자는 상기 설명된 내용을 참조하여 그것과 동일 내지 균등한 수단으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 내지 치환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지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the structure of the drawings show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tructur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hange to the same or equivalent mean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and scope of rights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tub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다.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t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tub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다.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a bat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htub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조립 사시도이다.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of a ba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욕조 11... 헤드고정부10 ... Bath 11 ... Head

12... 핸들고정부 13... 포스트고정부12 ... steering wheel fixed 13 ... post fixed

14... 받침돌기 15... 고무발14 ... support protrusion 15 ... rubber feet

16... 걸이구멍 17... 배수구멍16 ... hook hole 17 ... drain hole

20... 보조세척대 21... 걸이구20 ... assistant wash 21 ... hanger

22... 착석부22 ... sitting part

30... 헤드받침구 31... 베이스30 ... headrest 31 ... base

32... 쿠션패드 33... 주름관32 ... cushion pad 33 ... corrugated pipe

34... 고정구34 ... Fixture

40... 핸들 41... 슬라이드부40 ... handle 41 ... slide section

50... 지지포스트 51... 고정봉50 ... Support Post 51 ... Fixed Rod

52... 쿠션패드 53... 끼움공52 ... cushion pad 53 ... fitting hole

60... 유희구 61... 고정봉60 ...

Claims (10)

일측에 헤드고정부(11)가 구비된 욕조(10);Bath tub 10 is provided with a head fixing portion 11 on one side; 상기 욕조(10) 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걸이구(21)로 욕조 내에 설치되는 보조세척대(20);An auxiliary washing stand 20 detachably provided in the tub 10 and installed in the tub as a hook 21; 상기 헤드고정부(11)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머리를 받칠 수 있게 되되, 변위 및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된 헤드받침구(30)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The head fixing unit 11 is detachably provided to be able to support the head, the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head support port 30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cement and ang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헤드받침구(30)는, 경질의 베이스(31)와,The head restraint 30, the hard base 31, 상기 베이스(31) 상면에 부착된 실리콘패드(32)와,A silicon pad 32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31; 일측이 상기 베이스(3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고정부(11)에 고정되는 주름관(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One side is fixed to the base 31, the other side is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rrugated pipe (33) fixed to the head fixing portion (11).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세척대(20)에 하방으로 홈이 패인 형태의 착석부(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22 is formed in the groove recessed downward in the auxiliary washing (2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욕조(10)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핸들(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urther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tub (10) (40).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핸들(40)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각 슬라이드부(41)는 욕조(10) 내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핸들고정부(12)에 착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Slide portions 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40, and each slide portion 41 is detachable to the handle fixing portion 12 of the groove shap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0.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욕조(10)의 바닥 중앙에서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포스트고정부(13)가 상호 이격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고정부(13)의 어느 하나에 지지포스트(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The plurality of post fixing parts 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bath 10, and a support post 50 is detachably installed at any one of the post fixing parts 13. Newborn and infant combined use bath.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포스트고정부(13)는 수직 홀 형태이고, 상기 지지포스트(50)의 하부에 상기 포스트고정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봉(51)이 구비되며, 지지포스트(50) 외면에 쿠션패드(5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The post fixing portion 13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hole, and a fixing rod 51 is fitted to the post fixing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st 50, and a cushion pad 52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50. ) Is a 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단에서 착탈 가능한 유희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Newborn and infant combined bat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ayable ball 60 removable from the top of the support post (50).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포스트(50) 상단에 수직 홀 형태의 끼움공(53)이 형성되고, 유희구(60) 하단에 상기 끼움공(53)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봉(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Newborn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hole 50 is formed in the vertical hole-shaped fitting hole 53, the fixed rod 61 is fitted to the fitting hole 53 at the bottom of the play ball (60) Infant bath.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상기 욕조(10)의 저면에 고무발(15)이 설치된 받침돌기(14)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Combination newborn and infant bat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4, the rubber foot 15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ub (10).
KR1020090099537A 2009-10-20 2009-10-20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Ceased KR201100427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37A KR20110042731A (en) 2009-10-20 2009-10-20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37A KR20110042731A (en) 2009-10-20 2009-10-20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31A true KR20110042731A (en) 2011-04-27

Family

ID=4404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37A Ceased KR20110042731A (en) 2009-10-20 2009-10-20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273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9541A1 (en) * 2013-03-14 2014-10-02 Mattel, Inc. Tub assembly
CN110477785A (en) * 2019-08-14 2019-11-22 宜兴市人民医院 Neonatal bath bracket and neonatal bath are lain on the back device
CN114680691A (en) * 2020-12-28 2022-07-01 美的集团电子商务有限公司 Toilet lid and toil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9541A1 (en) * 2013-03-14 2014-10-02 Mattel, Inc. Tub assembly
CN110477785A (en) * 2019-08-14 2019-11-22 宜兴市人民医院 Neonatal bath bracket and neonatal bath are lain on the back device
CN114680691A (en) * 2020-12-28 2022-07-01 美的集团电子商务有限公司 Toilet lid and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en) The bidet for baby
US7926135B1 (en) Baby bath support pillow
US9049968B2 (en) Pen for washing small children
US20110107511A1 (en) Standing baby shower seat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JP2010516324A (en) Infant toilet trainer
US20080127408A1 (en) Bathing aid for infants
KR20110042731A (en)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KR101584860B1 (en) Bathtub for infant
KR20090051835A (en) Baby Bathtub
KR200441036Y1 (en) Infant Bath Aids
US9655477B1 (en) Bather for infants and toddlers
KR100988174B1 (en) Bath aids for bathroom
JP6268340B1 (en) Bathtub wheelchair
US11849891B2 (en) Infant bathing apparatus
JP3210873U (en) Bathing aids
KR102539703B1 (en) Multifunctional Baby Bath Chair
KR200347210Y1 (en) A chair for bath of baby
KR20180124255A (en) Shampoo chair for bath
KR200441061Y1 (en) Easy to wash baby bathtub
US11547247B2 (en) Device for bathing older babies allowing the freedom of appropriate movements
GB2386321A (en) A height-adjustable infant bathing aid for use with an adult bath or shower
KR102162692B1 (en) Potable assistance device for baby washing
KR200173721Y1 (en) A tub for baby
KR20120000955U (en) A bathtub for baby with various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