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36Y1 - Infant Bath Aids - Google Patents
Infant Bath Ai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1036Y1 KR200441036Y1 KR2020070003332U KR20070003332U KR200441036Y1 KR 200441036 Y1 KR200441036 Y1 KR 200441036Y1 KR 2020070003332 U KR2020070003332 U KR 2020070003332U KR 20070003332 U KR20070003332 U KR 20070003332U KR 200441036 Y1 KR200441036 Y1 KR 2004410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infant
- support body
- protruding
- ba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47K3/002—Non-slip mats for bath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신규 구조의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목욕 보조 기구는 전체적으로 영아의 신체 굴곡에 맞게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영아의 머리와 등을 밀착하여 유지하는 상체 지지 본체와;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 지지 본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영아의 엉덩이와 다리를 안착시켜 유지하는 하체 지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체 지지 본체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유선형으로 돌출하는 돌출 측벽이 구비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 사이에는 영아의 양팔이 안착하는 곡선 형태의 팔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체 지지 본체의 하부 양쪽에는 영아의 두 다리를 벌려 지지하기 위한 개방된 다리 지지 공간이 형성되고 이 지지 공간 사이에 돌출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 및 돌출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 측벽 및 돌출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h aid for the novel structure. The bath aids are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to fit the body curvature of the infant as a whole, extending upwardly inclined to maintain the head and the back of the infant in close contact; The lower body support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support body in a gentle curved shape,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body, and holds the hips and legs of the infant. Protruding sidewalls protruding in a streamline upward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 body. Between the upper support body and the lower support body is formed a curved arm support portion for both arms of the infant seated. An open leg support space is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body support body to support two legs of the infant, and a protruding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paces. A friction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support body and the lower body support body. The upper body support body, the lower body support body and the protrusion support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sidewall and the protruding support.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fant bath ai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목욕 보조 기구를 욕실 바닥면에 고정하여 사용할 때의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aspect when using the bath aid fixed to the bathroom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목욕 보조 기구를 대형 욕조에 고정하여 사용할 때의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when using the bath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to a large bathtu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상체 지지 본체100: upper body support body
120, 240: 마찰 부재120, 240: friction member
200: 하체 지지 본체200: lower body support body
222: 팔걸이부222: armrests
300: 돌출 지지부300: protruding support
400: 미끄럼 방지 부재400: non-slip member
본 고안은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리를 바로 세울 수 없는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의 목욕시 영아의 머리 및 팔다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 aid for infants, more specifically, to maintain the infant's head and limbs in the bath of infants less than six months of age can not stand up head, it is possible to bath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An infant bath aid.
익히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유아,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는 머리를 스스로 가누지 못한다. 따라서, 영아를 목욕시킬 때에는 어른(부모)이 영아의 머리를 한 손으로 받친 채 다른 한 손으로 영아를 목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영아 목욕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 영아의 머리를 받친 채 목욕시키는 것은 위험하기도 하다. 따라서, 경험이 많지 않은 신생 부부의 경우, 부모가 함께 영아를 목욕시키는 일이 빈번하다.As is well known, infants, especially infants under six months, cannot cover their heads themselves. Therefore, when bathing the infant, the adult (parent) bathes the infant with the other hand while supporting the infant's head with one hand. However, this type of infant bath is not only a cumbersome task, but it is also dangerous to bathe the infant's head with one hand. Thus, in inexperienced newborn couples, parents often bathe their infants together.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영아 목욕을 위한 소형의 욕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욕조는 단순히 대형 욕조의 크기만을 줄인 것으로서, 머리를 스스로 세우지 못하고 또 목욕시 몸부림을 치는 영아용으로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욕조에서 영아의 머리 등을 지지할 수 없고, 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영아가 욕조에서 미끄러지는 일도 발생한다.In view of such a situation, a small bathtub for infant bath has been developed and used. However, such a bathtub simply reduces the size of a large bathtub, and is not suitable for infants who can't stand their heads and struggle in the bath. In addition, the infant's head cannot be supported in the bathtub, and the infant slides out of the bathtub without careful attention.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한 가지 목적은 영아의 목욕시 사람이 영아의 머리 등을 지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영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 aid for infants that can stably bathe infants without supporting the head of infants. To prov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영아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영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bath aid that can safely bathe an infant without slipp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욕실의 미끄러운 바닥 또는 대형 욕조 내에 설치하여도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영아를 안전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h aid for infants that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slipping even when installed in a slippery floor or a large bathtub in a bathroom, so that infants can be bathed safe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영아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영아가 머리 및 팔다리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영아에게 안락함을 부여할 수 있는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ant bath aid that is designed to be ergonomically suited to the infant as a whole, the infant is stable to rest the head and limbs, to give comfort to the infa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신규 구조의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목욕 보조 기구는 전체적으로 영아의 신체 굴곡에 맞게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영아의 머리와 등을 밀착하여 유지하는 상체 지지 본체와;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 지지 본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영아의 엉덩이와 다리를 안착시켜 유지하는 하체 지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하체 지지 본체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유선형으로 돌출하는 돌출 측벽이 구비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 사이에는 영아의 양팔이 안착하는 곡선 형태의 팔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체 지지 본체의 하부 양쪽에는 영아의 두 다리를 벌려 지지하기 위한 개방된 다리 지지 공간이 형성되고 이 지지 공간 사이에 돌출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 및 돌출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측벽 및 돌출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ant bath aid of the novel structur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h aids are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to fit the body curvature of the infant as a whole, extending upwardly inclined to maintain the head and the back of the infant in close contact; The lower body support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support body in a gentle curved shape,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body, and holds the hips and legs of the infant. Protruding sidewalls protruding in a streamline upward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upport body. Between the upper support body and the lower support body is formed a curved arm support portion for both arms of the infant seated. An open leg support space is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lower body support body to support two legs of the infant, and a protruding support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paces. A friction member for preventing slippage is attached to the upper body support body and the lower body support body. The upper body support body, the lower body support body and the protrusion support are integrally formed. At least one of the protruding side wall and the protruding support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 hol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부재의 표면에는 미세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n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iction member.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체 지지 본체의 하면 및 상기 돌출 지지부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support.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figuration,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A)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fant bath aid (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욕 보조 기구(A)는 전체적으로 영아의 신체 굴곡에 맞게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목욕 보조 기구(A)는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으 며,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새로운 심미감도 부여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ath aid (A) is made in a streamline to suit the curvature of the infant as a whole. That is, the bath aid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rgonomically designed so that infants under 6 months of age can sit comfortably, and are designed to give a new aesthetic by being integrally formed in a streamline as a whole.
목욕 보조 기구(A)는 크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영아의 머리와 등을 밀착시켜 유지하는 상체 지지 본체(100)와, 상기 상체 지지 본체와 완만한 곡선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체 지지 본체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영아의 엉덩이와 다리를 안착시켜 유지하는 하체 지지 본체(200)를 포함한다.The bath aid (A) is largely extended upwardly inclined upward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support
하체 지지 본체(200)에는 양측면이 유선형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 측벽(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 영아를 안전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Th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지지 본체와 하체 지지 본체 사이에는 유선형의 팔지지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목욕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영아를 목욕시킬 때, 영아의 양팔을 상기 팔지지부에 안착시킬 수가 있어, 영아를 편안한 상태에서 목욕시킬 수가 있다(도 2 및 도 3 참조).In addition, as illustrated, a streamlined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지지 본체(200)의 하부는 그 일부가 개방되어, 다리 지지 공간(260)을 형성한다. 따라서, 영아를 본 고안의 목욕 보조 기구에 앉힐 때 영아의 양다리를 상기 지지 공간(260)에 위치시킬 수가 있어, 영아를 편안하고도 안전하게 목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다리 지지 공간 사이에는 돌출 지지부(3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 지지부는 영아의 사타구니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즉, 영아를 목욕 보조 기구(A)에 앉힐 때 양다리가 상기 다리 지지 공간(260)에 놓이게 되는데, 영아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영아의 사타구니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돌출 지지부(300)를 하체 지지 본체와 일체로 형성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figure,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목욕 보조 기구(A)를 이용하여 영아를 목욕시키면, 머리를 스스로 가누지 못하는 영아의 머리와 등을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상부 지지 본체(120)에 안락하게 밀착시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영아의 엉덩이를 하부 지지 본체(200)에 앉힌 채 양다리를 다리 지지 공간(260)에 놓을 수가 있으며, 영아의 양팔은 팔지지부(222)에 얹어놓을 수가 있어, 영아가 안전하게 목욕 보조 기구에 앉을 수가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영아를 목욕시키는 어른은 영아의 머리를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혼자서도 안전하게 영아를 목욕시킬 수가 있다.When bathing the infant using the bath aid (A)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d and back of the infant who can not cover the head itself can be comfortably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욕 보조 기구(A)에는 마찰 부재(120, 240)가 각각 상체 지지 본체(100)와 하체 지지 본체(200)에 부착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목욕 보조 기구는 그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합성 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합성 수지로 된 목욕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영아를 목욕시킬 때 물로 인하여 영아가 미끄러질 수가 있다. 물론, 돌출 지지부(300)에 의해 영아가 목욕 보조 기구 밖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영아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목욕 보조 기구(A)에 앉아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찰 부재(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고무로 제조된다)(120, 240)를 각각 상체 지지 본체(100)와 하체 지지 본체(200)에 부착한다. 상기 마찰 부재는 그 자체로 상당한 미끄럼 저항성이 있어서, 물과 접촉하여도 영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부재의 표면에 복수 개의 미세 돌기를 형성하여 영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bath assistance mechanism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 지지 본체(100)의 하면 및 돌출 지지부(300)의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400)를 장착하기 위한 보조 장착부(140, 3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조 장착부(140, 340)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400)의 돌출부(420)가 끼워지는 구멍(142, 3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부재(400)를 구멍(142, 342)을 통해 보조 장착부(140, 340)에 끼운 후, 미끄럼 방지 부재를 욕실의 타일(도 2 참조) 바닥면이나 큰 욕조의 바닥면(도 3 참조)에 밀착시켜 고정하면, 목욕 보조 기구(A)를 상기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목욕 보조 기구(A)가 흔들리거나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발적으 로 목욕 보조 기구(A)가 넘어지는 등의 불상사를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support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20) 및 돌출 지지부(300)에는 복수 개의 구멍(220a, 30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는 밑면에서 보았을 때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이다. 따라서, 이 보조 기구를 미끄럼 방지 부재(400)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하지 않은 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욕조에서 사용하는 경우 보조 기구가 물에 둥둥 뜰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벽 및 돌출 지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220a, 300a)을 형성함으로써, 보조 기구가 수중에서 하측으로 힘을 받으면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상기한 구성의 목욕 보조 기구(A)를 이용하여 영아를 목욕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실의 타일 바닥면에 목욕 보조 기구를 고정시킨 채 영아를 안착시켜 샤워기 등을 이용하여 목욕을 시킬 수가 있고,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다란 욕조에 목욕 보조 기구(A)를 고정한 채 영아를 목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어느 방법에 따라 영아를 목욕시키더라도, 영아는 목욕 보조 기구(A)에 안전하게 앉아 있기 때문에, 영아를 손을 이용하여 받치는 등의 수고를 덜 수가 있다.When the infant is bathed using the bath aid (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the infant is seated while the bath aid is fixed to the tile floor of the bathroom and bathed using a shower or the lik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n infant may be bathed while the bath aid A is fixed to a large bathtub. Therefore, even if the infant is bathed by any method, the infant sits safely in the bath aid A, so that the labor such as supporting the infant by hand can be saved.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러 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which are all included in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영아의 목욕시 사람이 영아의 머리 등을 지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영아를 목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이용하면, 영아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영아를 목욕시킬 수 있고, 욕실의 미끄러운 바닥 또는 대형 욕조 내에서 사용하더라도 목욕 보조 기구가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영아를 안전하게 목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bathe an infant without a human being supporting the head of the infant during bathing of the infant. In addition,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can be bathed safely without slipping the infant, and even when used in the slippery floor of the bathroom or in a large tub, bath aids do not slip, so that the infant can be bathed safel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3332U KR200441036Y1 (en) | 2007-02-27 | 2007-02-27 | Infant Bath Ai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3332U KR200441036Y1 (en) | 2007-02-27 | 2007-02-27 | Infant Bath Ai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1036Y1 true KR200441036Y1 (en) | 2008-07-17 |
Family
ID=4164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33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1036Y1 (en) | 2007-02-27 | 2007-02-27 | Infant Bath Ai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1036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283B1 (en) * | 2013-05-30 | 2014-10-31 | 김주진 | The bidet for baby |
WO2019124579A1 (en) * | 2017-12-19 | 2019-06-27 | 주식회사 엘드 | Infant bidet seat |
KR20230019699A (en) * | 2021-08-02 | 2023-02-09 | 이승재 |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
-
2007
- 2007-02-27 KR KR2020070003332U patent/KR20044103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283B1 (en) * | 2013-05-30 | 2014-10-31 | 김주진 | The bidet for baby |
WO2014193108A1 (en) * | 2013-05-30 | 2014-12-04 | Kim Ju Jin | Bidet for infants and children |
CN105473042A (en) * | 2013-05-30 | 2016-04-06 | 金周眞 | Bidet for infants and children |
JP2016524502A (en) * | 2013-05-30 | 2016-08-18 | ジン キム、チュ | Infant bidet |
US9585525B2 (en) | 2013-05-30 | 2017-03-07 | Ju Jin Kim | Bidet for infants and children |
WO2019124579A1 (en) * | 2017-12-19 | 2019-06-27 | 주식회사 엘드 | Infant bidet seat |
KR20230019699A (en) * | 2021-08-02 | 2023-02-09 | 이승재 |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
KR102633373B1 (en) * | 2021-08-02 | 2024-02-02 | 이승재 |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07511A1 (en) | Standing baby shower seat | |
US7926135B1 (en) | Baby bath support pillow | |
KR101456283B1 (en) | The bidet for baby | |
US9049968B2 (en) | Pen for washing small children | |
JP2008523928A6 (en) | Toilet training and toilet equipment | |
JP2008523928A (en) |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 equipment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 |
US6804842B1 (en) | Waterproof portable bathing chair | |
KR200441036Y1 (en) | Infant Bath Aids | |
JP2010516324A (en) | Infant toilet trainer | |
KR200178060Y1 (en) | A chair for bathing of an infant | |
US9655477B1 (en) | Bather for infants and toddlers | |
KR20110042731A (en) | Multifunctional newborn and infant bath | |
US11633068B2 (en) | Infant bathing apparatus | |
KR102539703B1 (en) | Multifunctional Baby Bath Chair | |
JP2013070910A (en) | Bathtub chair for little child | |
KR200347210Y1 (en) | A chair for bath of baby | |
JP6268340B1 (en) | Bathtub wheelchair | |
JP5600223B1 (en) | Nursery equipment for indoor use, for holding a baby, feeding, and bathing | |
KR102526285B1 (en) | Baby bath aids | |
JP6675669B1 (en) | Baby chair for bathing | |
US20150101118A1 (en) | Combination infant bathtub and seat | |
WO2006128226A1 (en) | A support device | |
KR200441061Y1 (en) | Easy to wash baby bathtub | |
KR20120000955U (en) | A bathtub for baby with various function | |
JP3052851U (en) | Bathtub for inf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2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120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07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7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