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2202A -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202A
KR20110042202A KR1020117004606A KR20117004606A KR20110042202A KR 20110042202 A KR20110042202 A KR 20110042202A KR 1020117004606 A KR1020117004606 A KR 1020117004606A KR 20117004606 A KR20117004606 A KR 20117004606A KR 20110042202 A KR20110042202 A KR 20110042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radio base
signal
u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토 모리모토
모토히로 탄노
요시히사 기시야마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4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기지국 및 무선기지국에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된 리모트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유저장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과,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유저장치 및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과,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리포트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한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 { USER DEVICE,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에어리어는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셀이라 불린다)으로 구성된다. 셀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로 분류된다. 전형적으로는 매크로 셀의 영역은 넓고(커버리지는 넓고), 기지국의 송신전력도 크다. 한편, 마이크로 셀의 영역은 좁고(커버리지는 좁고), 기지국의 송신전력도 작다. 또한, 마이크로 셀 중에서, 더 커버리지가 좁은 것을 피코 셀(pico cell)이라 부른다. 일 예로서, 피코 셀은, 트래픽이 집중하기 쉬운 장소에 배치되며, 매크로 셀 또는 마이크로 셀을 보완한다.
도 1은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이 근접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매크로 셀의 기지국은 BS1이라 언급되고, 피코 셀의 기지국은 BS2라 언급된다. BS1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DL)의 신호는, 거리와 함께 감쇠하나, 강한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멀리까지 이른다. 도면 중, BS1로부터 나와 있는 실선은, DL 신호의 수신전력(유저장치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전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피코 셀의 기지국 BS2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DL)의 신호도, 거리와 함께 감쇠하나, 이 경우는 약한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이까지밖에 이르지 않는다. 도면 중, BS2로부터 나와 있는 실선은, DL 신호의 수신전력(유저장치에서 수신되었을 때의 전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만약에, BS1 및 BS2의 송신전력이 같았을 경우, 기지국 BS1로부터의 DL 수신신호 전력과 기지국 BS2로부터의 DL 수신신호 전력은, 이론상, 중간지점 B에서 동일해진다. 그러나 현재의 예에서는, 각 기지국의 송신전력은 다르기 때문에, 도시의 지점 A(중간지점 B보다도 BS2에 가까운 지점)에서 양자의 DL 수신신호 전력이 동일해진다. 이는, 기지국 BS1로부터 지점 A까지는 기지국 BS1로부터의 DL 수신신호 품질이 양호하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1이 하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지점 A로부터 기지국 BS2까지는, 기지국 BS2로부터의 DL 수신신호 품질이 양호해지며,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2가 하향링크 통신에 적합한 기지국이 된다. 전형적으로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 BS1의 송신전력은 피코 셀의 기지국 BS2의 송신전력보다 크기 때문에, 기지국 BS1로부터 지점 A까지의 거리는, 기지국 BS2로부터 지점 A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한편, 패스로스 또는 전파손실은, 송신전력과 수신전력의 차분(差分)에 관련하기 때문에, 송신시점의 전력이 아니라, 오히려 기지국 및 유저장치간의 거리에 의존한다. 그 거리가 크면 패스로스도 커진다. 바꿔 말하면, 패스로스의 역수 (패스로스)-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작아진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BS1에 관한 패스로스의 역수과 기지국 BS2에 관한 패스로스의 역수는, 중간지점 B에서 동일해진다.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신호품질의 좋고 나쁨은 패스로스(또는 그 역수)의 대소에 관련한다. 따라서, 기지국 BS1로부터 지점 B까지는, 기지국 BS1로의 상향링크 신호품질이 양호해지고,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1이 상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 또, 기지국 BS2로부터 지점 B까지는 기지국 BS2로의 상향링크 신호품질이 양호해지고, 그 구간에서는 기지국 BS2가 상향링크 통신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다른 경우, 하향링크 통신과 상향링크 통신에서 최적의 기지국이 다른 구간(도 1의 사선부)이 생긴다. 유저가 사선부의 구간 내에 있는 경우, 이하의 3개의 접속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1) 상하링크 모두 BS1에 접속한다.
도 2a는, 상하링크 모두 BS1에 접속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하향링크 통신은 양호하게 수행될지도 모른다. 한편, 상향링크 통신에 관해, 비교적 긴 거리를 거쳐 신호가 기지국 BS1에 닿도록 하려면, 유저장치는 강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거리적으로 가까운 기지국 BS2에 큰 간섭전력이 이르는 것이 우려된다.
(2) 상하링크 모두 BS2에 접속한다.
도 2b는, 도 2a의 경우와는 반대로, 상하링크 모두 BS2에 접속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향링크 통신은 양호하게 수행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하향링크 통신에 관해, BS1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전력은, BS2로부터의 것보다 크기 때문에, 유저장치는 BS1로부터 비교적 큰 간섭을 받는 것이 우려된다.
이와 같이, 하향링크 통신 및 상향링크 통신의 쌍방에 같은 기지국이 선택되면, 하향링크 신호품질 또는 상향링크 통신품질 중 어느 것이 열화되어 버린다. 또, 기지국 혹은 유저장치가 받는 간섭이 커지고, 시스템 용량의 열화나 무선리소스의 낭비가 우려된다.
(3) 상하링크 따로따로 접속한다.
도 3은, 유저장치(UE)가 도 1의 사선부의 구간에 있는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송신과 상향링크 데이터송신에서 다른 기지국이 선택된 모습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UE)는, 매크로 셀의 기지국 BS1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피코 셀의 기지국 BS2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의 우려에는 대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하향링크의 데이터전송에 대해, 어느 정보가 상향링크에서 피드백될 필요가 있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전송에 대해서도, 어느 정보가 하향링크에서 피드백될 필요가 있다. 상향링크에서도 하향링크에서도, 피드백을 요하는 정보의 대표 예는 송달확인정보이며, 이는,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긍정응답(ACK) 또는 부정응답(NACK)을 나타낸다. 또, 하향링크의 채널상태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채널품질 인디케이터(CQI(Channel Quality Indicator))는, 상향링크에서 전송된다. 본 방법의 경우,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유저장치(UE)로부터 매크로 셀의 기지국 BS1에 대해 송신된다. 상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피코 셀의 기지국 BS2로부터 유저장치(UE)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에 관해, (1)이나(2)에서 설명된 문제점이 또다시 우려된다. 즉, 상향링크에서 수행되는 피드백에 기인하여, 피코 셀의 기지국 BS2는 큰 간섭을 받는다. 또, 하향링크에서 수행되는 피드백은, 매크로 셀로부터 큰 간섭을 받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유저장치, 무선기지국과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리모트 무선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받는 간섭 또는 리모트 무선기지국이 받는 간섭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장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기지국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된 리모트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해당 유저장치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신레벨 측정부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패스로스 측정부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리포트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유저장치, 무선기지국과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리모트 무선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받는 간섭 또는 리모트 무선기지국이 받는 간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송신전력이 다른 기지국이 인접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유저장치가 매크로 셀에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b는 유저장치가 피코 셀에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유저장치가 상하링크 따로따로 접속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하향 데이터신호에 관한 신호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b는 상향 데이터신호에 관한 신호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핸드오버의 필요여부를 정할 때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부하분산을 고려하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리모트 무선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저장치, 무선기지국과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에 신호를 중계하는 리모트 무선장치(RRE:Remote Radio Equipment)를 갖는다.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는 무선기지국 또는 리모트 무선장치이다. 리모트 무선기지국(RRE)은, 무선기지국(BS) 및 유저장치(UE)간에 신호를 중계하나, 무선기지국(BS)과 같은 다양한 판단처리(핸드오버 제어, 스케줄링 등)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장치(UE)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는, 무선기지국(BS)에서 결정된다. 접속처의 결정은, 유저장치로부터의 메저먼트 리포트(MR)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메저먼트 리포트는, 상향링크용 및 하향링크용 각각 따로따로 처리된다.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의 대소비교 결과에 따라, 하향링크용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가 유저장치에서 마련되고, 무선기지국에 통지된다.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유저장치 및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와의 대소비교 결과에 따라, 상향링크용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가 유저장치에서 마련되고, 무선기지국에 통지된다. 메저먼트 리포트신호는, 유저장치로부터 무선기지국으로 직접적으로 보고되어도 좋으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으로 보고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 무선기지국 및 리모트 무선장치가 기존의 기지국간 인터페이스(X2)로 접속되어 있다고 하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의 전송지연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무선기지국 및 리모트 무선장치는, 광 파이버와 같은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전송지연을 거의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컸을 경우, 하향링크의 신호는,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어도 좋다. 이는, 하향링크의 접속처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유저장치 및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컸을 경우, 상향링크의 신호는,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어도 좋다. 이는, 상향링크의 접속처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컸을 경우로,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컸을 경우,
하향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상향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어도 좋다. 이는, 상하링크의 접속처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하향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상하링크의 데이터신호는,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송수신될뿐 아니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무선링크에서도 송수신되어도 좋다.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는 경로 및 경유하지 않는 경로 쌍방에서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사이트 다이버시티(site diversity) 또는 선택 다이버시티(selective diversity)에 의한 신호품질 개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제1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제2 수신레벨과의 대소비교시, 상기 제1 및 제2 수신레벨의 쌍방 또는 일방에 소정의 오프셋이 더해져도 좋다. 오프셋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핸드오버 이벤트의 발생지점을 의도적으로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하링크의 접속처를 전환하는 지시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또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되어도 좋다. 이는, 리모트 무선장치(RRE)의 기능을 중계기능으로 특화하고, 간이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향링크의 제어신호는, 하향링크의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하향 데이터신호에 대한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무선기지국장치가 사용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고, 고속 전송 매체로 리모트 무선장치에 접속된다. 무선기지국은,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리포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갖는다.
상기 리포트신호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a)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및/또는 (b)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된 리모트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해당 방법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유저장치에서 각각 측정하는 단계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리포트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리포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또는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접속처를 전환하는 지시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는 단계를 가진다.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하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A. 시스템
B. 동작 예
B1. 동작 예(그 1)
B2. 동작 예(그 2)
B3. 동작 예(그 3)
C. 변형 예
D. 유저장치
E. 기지국장치
실시 예 1
〈A. 시스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저장치(UE)와, 무선기지국(BS)과,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포함한다.
유저장치(UE)는,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와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유저장치(UE)는, 전형적으로는 휴대단말과 같은 이동국이지만, 적절한 어떠한 통신단말이어도 좋다.
무선기지국(BS)은, 매크로 셀의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BS)은, L1/L2 레이어에 있어서의 처리, 핸드오버 제어, 스케줄링, 적응변조 및 부호화 처리(AMC), 재송제어(HARQ) 등의 다양한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드오버 제어에는, 매크로 셀간의 핸드오버 제어뿐 아니라, 매크로 셀 및 피코 셀간의 핸드오버 제어나, 피코 셀간의 핸드오버 제어가 포함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BS)은, 상위노드 및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나, 도시의 간명화를 위해, 그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리모트 무선장치(RRE)는, 광 파이버와 같은 고속 전송 매체로 무선기지국(BS)에 접속된다. 리모트 무선장치(RRE)는, 핸드오버 제어나 재송제어 등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기지국(BS) 및 유저장치(UE)간의 신호를 주로 중계한다.
도시의 편의상, 유저장치(UE),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는 하나씩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당연히 그들은 복수 존재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하나의 무선기지국에 복수의 리모트 무선장치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B. 동작 예〉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설명한다.
〈B1. 동작 예(그 1)〉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피코 셀에 접속하고 있는 유저장치(UE)가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매크로 셀에 접속되는 경우의 동작이 설명된다.
단계 S1은, 유저장치(UE)가, 리모트 무선장치(RRE)와 통신하고 있는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유저장치(UE)는 리모트 무선장치(RRE)와 상향 및 하향의 통신이 확립하고 있다. 또한, 유저장치(UE)는 리모트 무선장치(RRE)와 지점A(도 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장치(UE)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의 수신레벨과,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송신된 하향 신호의 수신레벨을 각각 측정하고, 대소관계를 판정한다. 또, 유저장치(UE)는, 해당 유저장치 및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해당 유저장치 및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각각 측정하고, 대소관계도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에 상향링크를 접속한 쪽이, 유저장치(UE)는 이득이 있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로부터의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이 일정한 경우는,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에 접속한 쪽이, 기지국에서의 수신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수신품질이 좋다. 또, 예를 들면 유저장치(UE)가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패스로스에 따라 가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패스로스가 작은 기지국(또는, 리모트 무선장치)에 접속한 쪽이, 유저장치가 송신하는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유저장치의 소비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신레벨 및 패스로스는 주기적으로 측정되어도 좋으며, 비주기적으로 측정되어도 좋다. 또한, 유저장치가 AB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하향링크의 수신전력의 대소관계는 도 1에 도시하는 대로, 무선기지국(BS)의 하향링크의 수신전력이 커진다. 또한, 수신전력의 대소비교가 수행될 때, 비교되는 수신레벨의 쌍방 또는 일방에 어떠한 오프셋이 가미되어도 좋다. 또, 패스로스의 대소비교가 수행될 때, 비교되는 패스로스의 쌍방 또는 일방에 어떠한 오프셋이 가미되어도 좋다.
단계 S3에서는, 하향링크의 수신전력(무선기지국(BS)에 관한 수신전력 및 리소스 무선장치(RRE) 수신전력)의 대소관계가 변화하고, 그 변화한 취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Measurement Report Signal)가 유저장치(UE)에서 생성된다. 유저장치(UE)는 상향링크에서 상기 MR을 기지국(BS)으로 송신한다. 상기 MR은 상향링크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로를 거쳐 기지국(BS)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는, 무선기지국(BS)으로 직접적으로 송신되어도 좋으며(단계 S4), 혹은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BS)으로 통신되어도 좋다(단계 S6). 단계 S4 및 S6의 쌍방이 수행되어도 좋으나, 일방만이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6을 더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드오버의 필요여부를 무선기지국(BS)은 판정할 수 있으나 리모트 무선장치(RRE)는 판정할 수 없기 때문에, 리모트 무선장치(RRE)에 MR이 송신된 경우는, RRE로부터 BS에 상기 MR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 경우, MR 신호는 RRE를 거쳐 BS로 전송되기 때문에, 그것이 BS로 직접 전송되는 경우에 비해 전송지연이 우려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단계 S6의 경우, MR 신호는, 광 파이버 등 고속 전송선을 통해 RRE 및 BS간을 전파하기 때문에, 그 전송지연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
단계 S7에서는. 무선기지국(BS)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하고, 유저장치(UE)의 하향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변경할지 여부(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구간에 있어서의 최적의 접속처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다르다. 핸드오버할지 여부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했는지 여부로 판정되어도 좋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판단기준이 부가적으로 사용되어도 좋다(도 7 참조).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전력이,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전력보다 큰 것을,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가 나타내는 경우, 하향링크의 신호는,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지 않고 유저장치(UE)에 직접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계 S7에서는, 유저장치(UE)의 하향링크의 접속처가,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무선기지국(BS)으로 변경된다. 이 변경의 지시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유저장치(UE)로 직접적으로 이루어져도 좋으며(단계 S8), 혹은 광 파이버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여 유저장치(UE)로 통지되어도 좋다(단계 S10). 단계 S8 및 S10은, 쌍방 모두 수행되어도 좋으나, 일방만이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11에서는, 유저장치(UE)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하향링크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이후, 상향링크의 신호는 종전대로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BS)으로 전송되나(단계 S13), 하향링크의 신호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된다(단계 S14). 이 경우에 있어서의 하향링크의 신호는, 제어신호뿐 아니라 데이터신호도 포함한다. 또, 상향링크의 신호는, 제어신호뿐 아니라 데이터신호도 포함한다. 도시의 편의상, 단계 S13 후에 단계 S14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본 발명에 필수가 아니다.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서는, 순서가 역전할지도 모르며, 동시에 이루어질지도 모른다.
도 6a는 하향 데이터신호에 관한 신호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a는, 유저장치(UE)가 도 1의 지점 A 및 B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신호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유저장치(UE)로 직접적으로 전송된다. 이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ACK/NACK)나, 하향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정보(CQI) 등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는,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통해 무선기지국(BS)으로 전송된다.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무선기지국(BS) 사이는, 광 파이버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신호를 무선기지국(BS)에 고속으로 통지할 수 있다. 유저장치(UE)로부터 송신되고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BS)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는, 무선기지국(BS)에서 복조 및 복호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BS)은, 수신한 CQI에 기초하여, 적응변조 및 채널 부호화 처리(AMC)나, 무선리소스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무선기지국(BS)은, 수신한 ACK/NACK에 기초하여 재송제어를 수행하고, 송신완료의 신호를 필요에 따라 재송한다.
도 6b는 상향 데이터신호에 관한 신호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a와 마찬가지로, 도 6b도 유저장치가 도 1의 지점 A 및 B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상향링크의 신호(데이터신호 및 파일럿채널 등)는, 유저장치(UE)로부터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거쳐 무선기지국(BS)으로 전송된다. 데이터신호와 함께 전송된 파일럿채널을 수신함으로써, 무선기지국(BS)은, 상향링크의 채널상태를 평가하고, 상향링크에 관한 AMC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상향링크의 데이터신호에 대한 송달확인정보 ACK/NACK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유저장치(UE)로,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통하지 않고 전송된다.
또한,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정보 등을 포함하는 하향 제어신호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유저장치(UE)로 직접적으로 전송된다.
도 5의 단계 S23은, 무선기지국(BS) 및 유저장치(UE)간의 패스로스와 유저장치(UE)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간의 패스로스와의 대소관계가 역전하고, 그 취지를 나타내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유저장치(UE)가 생성 및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유저장치(UE)는, 지점 B(도 1) 및 무선기지국(BS)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수신전력에 관한 대소관계는 바뀌지 않으나, 패스로스에 관한 대소관계가 역전한다. 대소관계가 역전한 것을 나타내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도, 매크로 셀의 무선기지국(BS)에 통지되어야 한다. 단계 S3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는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경로를 거쳐 기지국(BS)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는, 무선기지국(BS)으로 직접적으로 송신되어도 좋으며(단계 S24), 혹은 리모트 무선장치(RRE) 및 광 파이버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BS)으로 통지되어도 좋다(단계 S26), 단계 S24 및 S26의 쌍방이 수행되어도 좋으나, 일방만이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27에서는, 무선기지국(BS)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하고, 유저장치(UE)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변경할지 여부(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할지 여부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했는지 여부로 판정되어도 좋으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판단기준이 부가적으로 사용되어도 좋다(도 7 참조).
유저장치(UE) 및 무선기지국(BS)간의 패스로스가, 유저장치(UE)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간의 패스로스보다 작았을 경우, 상향링크의 신호는,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BS)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계 S27의 경우, 유저장치(UE)의 상향링크의 접속처가,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무선기지국(BS)으로 변경된다. 이 변경의 지시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유저장치(UE)로 직접적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단계 S28), 혹은 광 파이버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여 유저장치(UE)로 통지되어도 좋다(단계 S30). 단계 S28 및 S30은, 쌍방 모두 수행되어도 좋으나, 일방만이 수행되어도 좋다.
단계 S31에서는, 유저장치(UE)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향링크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이후, 상향링크의 신호도 하향링크의 신호도,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BS)과 직접적으로 송수신된다(단계 S33).
〈B2. 동작 예(그 2)〉
도 7은, 무선기지국(BS)이 핸드오버의 필요여부를 정할 때,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한 것에 더해, 다른 판단기준을 부가적으로 이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단계 S1에서는 무선기지국(BS)이 유저장치(UE)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통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수신한다.
단계 S2에서는, 수신전력 또는 패스로스에 관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한다. 대소비교시, 비교되는 양의 쌍방 또는 일방에 어떠한 오프셋이 더해져도 좋다.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지 않았을 경우, 흐름은 단계 S3으로 진행되고, 핸드오버의 필요여부를 정하는 흐름은 종료한다.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었을 경우, 흐름은 단계 S4로 진행된다. 단계 S4에서는, 현재의 셀을 전환한 경우, 전환 후의 셀에 충분한 통신용량이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단계 S7의 경우, 하향링크의 접속처가,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무선기지국(BS)으로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무선기지국(BS)의 통신용량에 충분한 여유가 없었을 경우, 접속처의 변경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 경우, 흐름은 단계 S3으로 진행되고, 종료한다. 무선기지국(BS)의 통신용량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 흐름은 단계 S5로 진행되고, 하향링크의 접속처가 전환된다. 통신용량이나 트래픽량을 가미하는 것은,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무선기지국(BS)으로의 전환뿐 아니라,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리모트 무선장치(RRE)로의 전환시에 고려되어도 좋다.
도 8은, 매크로 셀 및 피코 셀과의 사이에서 트래픽량을 고려하면서 핸드오버의 필요여부를 정하는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 중,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유저장치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송신하고 있으며, 이들의 유저장치는 매크로 셀에서의 트래픽량이 많은 것에 기인하여, 피코 셀에 접속된다.
〈B3. 동작 예(그 3)〉
도 9는, 도 5와 동일한 동작 예를 나타내나,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서가 다르다. 즉, 도 9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유저장치(UE)는, 매크로 셀의 무선기지국(BS)과 초기에는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후 피코 셀 방면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피코 셀의 리모트 무선장치(RRE)와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계 S1은, 도 5의 경우와는 다르게, 유저장치(UE)가 무선기지국(BS)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유저장치(UE)가 리모트 무선장치(RRE) 쪽으로 이동하고, 도 1의 지점 BA 사이에 들어가면, 패스로스에 관한 대소관계가 역전함에 따라, 유저장치(UE)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작성 및 송신한다(단계 S3, S4, S6). 그리고, 핸드오버의 필요여부가 무선기지국(BS)에서 확인 및 지시된다(단계 S7, S8, S10). 단계 S11에서는, 상향링크의 접속처가,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리모트 무선장치(RRE)로 변경된다. 유저장치(UE)가 리모트 무선장치(RRE)에 더 가까워지면, 수신전력에 관한 대소관계가 역전함에 따라, 유저장치(UE)는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생성 및 송신한다(단계 S23, S24, S26). 그리고, 핸드오버의 필요여부가 무선기지국(BS)에서 확인 및 지시된다(단계 S27, S28, S30). 단계 S31에서는, 하향링크의 접속처가,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리모트 무선장치(RRE)로 변경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장치(UE)는 상하링크 모두 리모트 무선장치(RRE)에 접속된다(단계 S33).
〈C. 변형 예〉
상기 실시 예에서는, 유저장치가 도 1의 지점 A 및 B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유저장치(UE)의 접속처가 변경된다. 이 경우, 하향링크의 신호 전부가,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또, 상향링크의 신호의 전부가,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여 무선기지국(BS)으로 전송되는 것도 필수가 아니다. 단, 접속처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는, 모든 신호에 대해 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향 제어신호 및 상향 제어신호에 대해서는, 그와 같이 접속처는 전환되나, 데이터신호는,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 쌍방과 송수신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어신호도 데이터신호도,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 쌍방과 송수신되도록 해도 좋다.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 쌍방과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은, 사이트 다이버시티 또는 선택 다이버시티에 의한 신호개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매크로 셀 및 피코 셀간의 핸드오버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송신전력이 다른 피코 셀간의 핸드오버에 적용되어도 좋다.
〈D. 유저장치〉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에는, 수신전력 측정부(101), 비교부(102),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 생성부(103), 패스로스 측정부(105), 비교부(106),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 생성부(107)가 도시되어 있다. 유저장치에는 미도시의 많은 기능요소가 존재하며, 도시의 요소는 실시 예에 특히 중요한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유의를 요한다.
수신전력 측정부(101)는, 베이스밴드 수신신호로부터 파일럿신호를 취출하여, 파일럿신호의 수신레벨을 측정한다. 수신레벨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기지의 적절한 어떠한 양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수신레벨은, 수신전력(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SIR, SINR, Ec/No 등으로 표현되어도 좋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신레벨은 수신전력으로 표현된다. 파일럿채널은 레퍼런스신호라고도 언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전력 측정부(101)는, 무선기지국(BS)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리모트 무선장치(RRE)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을 각각 측정한다.
비교부(102)는, 수신레벨과 비교하여, 대소관계가 역전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소비교시, 비교되는 수신레벨의 쌍방 또는 일방에 오프셋이 고려되어도 좋다.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 생성부(103)는, 대소비교 결과에 기초하여(예를 들면, 대소관계가 역전함에 따라),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작성한다. 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는 후에 송신부(미도시)로 전송되고,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여 또는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BS)으로 통지된다.
패스로스 측정부(105)는, 유저장치(UE) 및 무선기지국(BS)간의 패스로스와, 유저장치(UE)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간의 패스로스를 각각 측정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듯이, 패스로스는, 송신전력 및 수신전력의 차분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패스로스는 장(長)주기적인 평균적인 양을 나타낸다.
비교부(106)는, 패스로스를 비교하여, 대소관계가 역전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소비교시, 비교되는 패스로스의 쌍방 또는 일방에 오프셋이 고려되어도 좋다.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 생성부(107)는, 대소비교 결과에 기초하여(예를 들면, 대소관계가 역전함에 따라),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를 작성한다. 이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는 후에 송신부(미도시)로 전송되고,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경유하여 또는 경유하지 않고 무선기지국(BS)으로 통지된다.
종래와는 다르게, 수신레벨에 관한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와, 패스로스에 관한 메저먼트 리포트신호(MR)가 따로따로 처리된다. 이로 인해,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에 대한 유저장치(UE)의 위치관계를, 무선기지국(BS)은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
〈E. 기지국장치〉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는, 무선 인터페이스(RF-IF)(111, 117), 베이스밴드 처리부(112), 광 인터페이스(광 IF)(113, 115), 타노드 인터페이스(타노드 IF)(114), 중계 처리부(116)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RF-IF)(111, 117)는, 유저장치(UE)와 무선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RF-IF)에서는, 신호증폭, 대역제한, 주파수변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핸드오버 처리, 무선리소스의 스케줄링, 적응변조 및 채널 부호화 처리, 재송제어 처리 등을 수행한다.
광 인터페이스(광 IF)(113, 115)는, 무선기지국(BS) 및 리모트 무선장치(RRE)간에 광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변환을 수행한다.
타노드 인터페이스(타노드 IF)(114)는, 다른 무선기지국, 상위노드(예를 들며, 이동관리장치, 코어 네트워크 내의 통신노드 등)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중계 처리부(116)는, 리모트 무선장치(RRE)에서 수신한 신호를 유저장치(UE)로 또는 무선기지국(BS)으로 중계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기지국(BS)의 베이스밴드 처리부(112)와는 다르게, 리모트 무선장치(RRE)에서, 핸드오버 처리나 재송제어 처리를 독립하여 수행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본 발명은, 스케줄링에 의해 무선리소스가 유저간에 공유되는 적절한 어떠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HSDPA/HSUPA 방식의 W-CDMA 시스템, LTE 방식의 시스템, IMT-Advanced 시스템, WiMAX, Wi-Fi 방식의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으나, 이들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실시 예 또는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으며, 2 이상의 실시 예 또는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 수정 예, 대체 예, 치환 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8월 1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20748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국 특허출원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1 수신전력 측정부
102 비교부
103 메저먼트 리포트신호 생성부
105 패스로스 측정부
106 비교부
107 메저먼트 리포트신호 생성부
111, 117 무선 인터페이스(RF-IF)
112 베이스밴드 처리부
113, 115 광 인터페이스(광 IF)
114 타노드 인터페이스(타노드 IF)
116 중계 처리부

Claims (21)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기지국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된 리모트 무선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유저장치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신레벨 측정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대소관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패스로스 측정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리포트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레벨에 관한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하향 무선링크의 접속처가, 상기 무선기지국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유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컸을 경우, 하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유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패스로스에 관한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의 접속처가, 상기 무선기지국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유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컸을 경우,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유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컸을 경우로,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해당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컸을 경우,
    하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유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하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상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전송되고,
    상하링크의 데이터신호는,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송수신될뿐 아니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무선링크에서도 송수신되는 유저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제1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제2 수신레벨과의 대소비교시, 상기 제1 및 제2 수신레벨의 쌍방 또는 일방에 소정의 오프셋이 더해지는 유저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하링크의 접속처를 전환하는 지시신호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되는 유저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하향 무선링크의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하향 데이터신호에 대한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유저장치.
  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고, 고속 전송 매체로 리모트 무선장치에 접속된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한 리포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가지며,
    상기 리포트신호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a)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 및/또는 (b)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와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수신레벨에 관한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유저장치의 하향 무선링크의 접속처가, 해당 무선기지국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무선기지국.
  13. 제 12항에 있어서,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큰 것을 상기 리포트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하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유저장치로 직접적으로 송신되는 무선기지국.
  14. 제 11항에 있어서,
    패스로스에 관한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의 접속처가, 상기 무선기지국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기지국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 및 해당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큰 것을 상기 리포트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무선기지국.
  16. 제 11항에 있어서,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이,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보다 큰 것, 및 상기 유저장치 및 해당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가,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보다 큰 것을, 상기 리포트신호가 나타내는 경우,
    하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유저장치로 직접적으로 송신되고,
    상향 무선링크의 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무선기지국.
  17. 제 16항에 있어서,
    하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유저장치로 직접적으로 송신되고,
    상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수신되고,
    상하링크의 데이터신호는, 상기 유저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송수신될뿐 아니라,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지 않는 무선링크에서도 송수신되는 무선기지국.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무선기지국의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가,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기지국.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의 상하링크의 접속처를 전환하는 지시신호는,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또는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송신되는 무선기지국.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향 무선링크의 제어신호는, 하향 무선링크의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하향 데이터신호에 대한 긍정응답 또는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정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무선기지국.
  2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고속 전송 매체로 접속된 리모트 무선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방법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레벨,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무선기지국간의 패스로스, 상기 유저장치 및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간의 패스로스를 유저장치에서 각각 측정하는 단계;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리포트신호를,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송신하는 단계;
    상기 리포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의 무선링크의 접속처를 상기 무선기지국에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무선장치를 경유하여 또는 해당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접속처를 전환하는 지시신호가, 상기 유저장치로 통지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이벤트는, 수신레벨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 및/또는 패스로스의 대소관계가 역전한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04606A 2008-08-11 2009-07-27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 KR20110042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486A JP5173667B2 (ja) 2008-08-11 2008-08-11 ユーザ装置、無線基地局及び方法
JPJP-P-2008-207486 2008-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202A true KR20110042202A (ko) 2011-04-25

Family

ID=4166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06A KR20110042202A (ko) 2008-08-11 2009-07-27 유저장치, 무선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0025B2 (ko)
EP (1) EP2315477A4 (ko)
JP (1) JP5173667B2 (ko)
KR (1) KR20110042202A (ko)
CN (1) CN102172077B (ko)
WO (1) WO2010018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6272A4 (en) * 2009-07-17 2017-06-28 Fujitsu Limited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506036B2 (ja) 2010-03-02 2014-05-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トランジスタ
US8204507B2 (en) 2010-03-12 2012-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upplemental node transmission ass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5269831B2 (ja) * 2010-04-30 2013-08-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1259043A (ja) 2010-06-04 2011-12-2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移動制御方法
WO2012029143A1 (ja) * 2010-09-01 2012-03-08 富士通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US9426703B2 (en) * 2011-02-11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on and operation of macro node and remote radio head deployme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JP5922101B2 (ja) 2011-04-01 201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WO2012136269A1 (en) * 2011-04-08 2012-10-11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control signalling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CN102522611B (zh) * 2011-11-15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滤波装置、基站系统及频率通道的切换方法
JP5421397B2 (ja) * 2012-01-18 2014-02-19 京セラ株式会社 中継局、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357412B2 (en) * 2012-03-22 2016-05-31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WO2014026356A1 (zh) * 2012-08-16 2014-02-20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网络建立连接的方法和设备
JP6023530B2 (ja) * 2012-09-25 2016-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
JP6231286B2 (ja) * 2013-02-26 2017-11-15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CN104244353A (zh) * 2013-06-06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无线网络控制器和用户设备
WO2020241253A1 (ja) * 2019-05-27 2020-12-0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805B2 (ja) * 2001-06-07 2005-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機
US6904029B2 (en) * 2003-01-23 2005-06-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ource-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6954643B2 (en) 2003-06-25 2005-10-11 Arraycomm Llc Criteria for base station selection, includ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80804B (zh) * 2005-04-20 2011-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质量判断方法、移动台、基站以及通信系统
EP1873925B1 (en) * 2005-04-20 2014-06-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quality judgement method,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4410158B2 (ja) * 2005-06-24 2010-02-03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親機中継装置
JP2008098847A (ja) * 2006-10-10 2008-04-2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JP2008207486A (ja) 2007-02-27 2008-09-11 Brother Ind Ltd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8515425B2 (en) * 2007-12-19 2013-08-20 Alcatel Lucent Uplink carrier handoff and method for path loss based triggering of uplink carrier hand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5477A1 (en) 2011-04-27
WO2010018746A1 (ja) 2010-02-18
US20110189988A1 (en) 2011-08-04
US8700025B2 (en) 2014-04-15
EP2315477A4 (en) 2016-06-29
JP2010045547A (ja) 2010-02-25
CN102172077A (zh) 2011-08-31
JP5173667B2 (ja) 2013-04-03
CN102172077B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3667B2 (ja) ユーザ装置、無線基地局及び方法
US979483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low-power base station, high-power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2157808B1 (en) Adaptive management method for wireless transfer network containing base station and wireless relay stations
EP24322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equipment selecting a home node
US9357398B2 (en)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11149081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1099919A1 (en) Optimized handover configuration
JPWO2004112419A1 (ja) 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WO2011068237A1 (en)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008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de word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CN103518412A (zh) 用于选择下行链路模式的方法、无线电网络控制器、无线电基站和用户设备
EP258218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radio terminal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7848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영역 간 핸드오버 방법
JP5928687B2 (ja) 無線パラメータ制御システム、無線パラメータ制御装置、無線基地局、無線パラメー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10635B2 (en) Radio base station and handover control method
WO2013190818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および装置、サーバ並びに基地局
JP2015073298A (ja) 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