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246A -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246A
KR20110041246A KR1020090098331A KR20090098331A KR20110041246A KR 20110041246 A KR20110041246 A KR 20110041246A KR 1020090098331 A KR1020090098331 A KR 1020090098331A KR 20090098331 A KR20090098331 A KR 20090098331A KR 20110041246 A KR20110041246 A KR 2011004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lectromagnetic force
vibrator
generating unit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8682B1 (en
Inventor
사재천
정문채
정수환
최인호
박홍수
황효균
추인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82B1/en
Publication of KR2011004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DC energisation superimposed on AC energi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with the same are provided to supply various feelings of vibrations. CONSTITUTION: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1) comprises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11), a vibrator(12), a transfer member(13), and a spring(14).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The vibrator vibrates in a fixed direction by receiv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vibrates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 transfer member transfers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o the outside. Th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transfer member and includes at least two bending parts.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진동자로 다수의 서로 다른 진동 효과를 제공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different vibration effects with one vibrator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진동 발생 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어, 이동 단말기의 착신을 알리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게임기에도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게임 효과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그 사용이 늘고 있다.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notifying the incom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recently, it is also installed in the game machine is increasing its use as a means for delivering the game effect to the user.

최근 출시되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Recently released mobile terminals have a function of providing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the user by outputting voice or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input.

특히, 햅틱(haptic) 기술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의 여러 가지 입력에 반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종래와는 다른 독특한 느낌의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연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to which haptic technology is applied, research on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s of a unique feeling unlike the conventional one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types of tactile feedback in response to various inputs of a user is in full swing. It is becoming.

본 발명은 하나의 진동자를 구비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ving one vibrator for providing two or more different vibrations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의 진동자로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를 가지는 다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vibrations having different vibration frequencies with one vibrator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의 진동자로 진동 방향이 서로 다른 다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vibrations having different vibration directions with one vibrator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진동자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the drive power; A vibrator vibr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vibr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to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elastic body,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vibra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having at least two bent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진동을 발생시키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 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일단이 상기 진동자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A user input unit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At least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generating vibration and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A vibrator vibr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vibrating in a differ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to the outside; And at least one elastic body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vibrator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and having at least two bent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진동자를 구비하지 않고 오직 하나의 진동자만을 구비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진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wo or more different vibration effects by providing only one vibrator without providing a plurality of vibrators.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자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하므로 보다 가볍고 컴팩트하면서 다양한 느낌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different vibrations are generated using one vibrator, a vibration device that is lighter, more compact, and provides vibrations of various feelings can be provid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의 정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Figure 4 i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of Front view.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11),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12),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13), 및 일단이 상기 진동자(12)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에 부 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and receiv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A vibrator 12 vibr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vibrates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 transmission member 13 for transmitting vibrations to the outside, and one end is attached to the vibrator 12, and the other end of the vibrator 12. It is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and comprises at least one elastic body 14 having two or more bent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한다.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receives the driving power to generate the electromagnetic for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자속을 생성하는 코일(111) 및 상기 자속과 상호작용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생성하는 자성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include a coil 111 for generating magnetic flux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and a magnetic body 112 for generating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by interacting with the magnetic flux.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코일(111)의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는 코어(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further include a core 113 for increas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coil 111.

이 경우, 상기 코일(111)은 소정 굵기의 도선이 상기 코어(113)의 주변으로 다수 번 감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113)는 상기 코일(111)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재질은 상기 코일(11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 경우 탈자가 잘되는 재질로 구성되며, 이는 규소강, 페라이트 코어 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il 111 has a shape in which a conductive wi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wound around the core 113 a plurality of times. The core 113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il 111, the material is made of a good degassing material when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coil 111 is cut off, which is silicon steel, ferrite core, etc.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111)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11)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속이 생성된다. 상기 자속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을 따른다. 이와 같이 생성된 자속은 자성체(112)와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생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111, magnetic flux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111.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follows the right hand rule. The magnetic flux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magnetic body 11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의 전자기력 생성부(11)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의 전자기력 생성부(11)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자속을 생성하는 코일(111) 및 상기 자속과 상호작용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생성하는 자성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acts with the coil 111 and the magnetic flux to generate magnetic flux by receiving driving power. It may include a magnetic body 112 for generating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상기 코일(111)은 내부에 코어(113)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자속의 자속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il 111 may increase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including the core 113 therein.

이와 같이, 상기 코일(111) 및 코어(113)가 생성한 자속은 상기 코일(111)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코일(111)의 주변에 위치한 자성체(112)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력 또는 척력의 전자기력을 생성한다. As such,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coil 111 and the core 113 procee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il 111 and interacts with the magnetic body 112 positioned around the coil 111. It generates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성체(112)는 상기 코일(111)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agnetic body 112 may be disposed on a central axis of the coil 111.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두 개의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성체(112)들은 상기 코일(111)의 양 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include two magnetic bodies, in which case the magnetic bodies 112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oil 111. Can be arranged.

또한, 상기 자성체(112)가 두 개인 경우, 상기 자성체(112)들은 동일한 극이 상기 코일(11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1)의 상측에 배치된 자성체의 N극이 상기 코일(111)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코일(111)의 하측에 배치된 자성체도 역시 N극이 상기 코일(11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body 112 is two, the magnetic body 112 is disposed so that the same pole toward the coil 1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N pole of the magnetic body disposed above the coil 111 faces the coil 111, the magnetic body disposed below the coil 111 is also illustrated. The N pole is also disposed to face the coil 111.

그 결과, 상기 코일(111)에 소정 방향의 전류가 흘러 상기 코일(111)의 상측이 N극이 되고 하측이 S극이 되면, 상기 코일(111)의 상측은 척력의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상기 코일(111)의 하측은 인력의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작용 방향이 아래 방향인 전자기력이 생성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a curr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lows to the coil 111 and the upper side of the coil 111 becomes the N pole and the lower side becomes the S pole,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il 111. The lower side of the coil 111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attraction force can be generated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action direction is downward.

마찬가지로, 상측 자성체의 S극이 상기 코일(111)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하측 자성체 역시 S극이 상기 코일(111)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그 결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 방향의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Similarly, when the S pole of the upper magnetic body is disposed to face the coil 111, the lower magnetic body is also disposed so that the S pole faces the coil 111, and as a result,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has an electromagnetic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Can be generated.

상기 자성체(112)는 영구 자석이거나, 전원 인가에 의해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일 수 있다. The magnetic body 112 may be a permanent magnet or an electromagnet having magnetic properties by applying power.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자성체(112)의 자속 경로를 설정해주는 요크(yoke)(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further include a yoke 115 for setting a magnetic flux path of the magnetic body 112.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15)는 상기 자성체(112)가 상기 코일(111)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상기 요크(115)는 상측 자성체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하측 자성체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요크(115)와 상기 코일(111) 사이에 상기 자성체(112)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s illustrated in FIG. 5, the yoke 115 may be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112 facing the coil 111. That is, in FIG. 5, the yoke 115 is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an upper magnetic body, and is provided on a lower side of a lower magnetic body so that the magnetic body 112 is positioned between the yoke 115 and the coil 111. Can be.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의 전달부재(13)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생성한 자속은 자성체(112), 코일(111), 전달부재(13) 및 요크(115)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member 13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body, in this case,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s a magnetic body ( 112, the coil 111, the transfer member 13, and the yoke 115 may be advanced.

예를 들어, 도 5의 측면도(우측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의 자속(32)은 자성체(112)에서 코일(111)로 진행하고, 상기 전달부재(13)로 진행하여 전달부재(13)를 따라 상기 요크(115)로 진행하고, 상기 요크(115)에서 상기 자성체(112)로 진행하여 일련의 폐곡선을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the side view (right figure) of FIG. 5, the magnetic flux 32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proceeds from the magnetic body 112 to the coil 111,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3. Proceeds to the yoke 115 along the transfer member 13, and proceeds from the yoke 115 to the magnetic body 112 to form a series of closed curv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코일(111)의 중심축,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111) 및 상기 자성체(112)를 연결하는 자속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자기력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기력은 후술하는 진동자(12)에 작용하여 진동을 유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along a central axis of the coil 111, more specifically,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connecting the coil 111 and the magnetic body 112. The electromagnetic force acts on the vibrator 12 to be described later to cause vibration.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한다. 즉,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생성한 전자기력을 외력으로 하여 공진하며, 소정 방향으로 진동한다. The vibrator 12 is vib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That is, the vibrator 12 resonates u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as an external force and vibr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한다. In addition, the vibrator 12 vibrates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자(12)는 내부에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or 12 may have a hole therein,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le.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12)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홀 내부에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의 코일(111)이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4, the vibrator 12 includes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and the coil 111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 11 may be located inside the hole. Can b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홀은 상기 진동자(1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ibrator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ccentrically form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 경우,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코일(111)의 크기에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진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hol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ibration amplitude of the vibrator 12 to the size of the coil 111.

즉, 상기 홀은 상기 코일(111)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시 상기 진동자(12)와 상기 코일(111)이 충돌하지 않도록 진동 진폭과 동일하거나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hol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il 111 and may be formed with a siz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ibration amplitude so that the vibrator 12 does not collide with the coil 111 when the vibrator 12 vibrates.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111) 또는 상기 자성체(11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진동자(12)와 결합되어 전자기력을 상기 진동자(12)에 전달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y one of the coil 111 or the magnetic body 112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s coupled to the vibrator 12 to transmit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vibrator 12.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코일(111)이 상기 진동자(12)의 내부에 형성된 홀에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112)가 상기 진동자(12)와 결합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코일(111)이 상기 진동자(12)와 결합되고 상기 자성체(112)가 상기 진동자(12)의 내부에 형성된 홀에 구비될 수도 있다. 1 to 4, the coil 111 is provided in a hole formed in the vibrator 12, and the magnetic body 112 is coupled to the vibrator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ay be coupled to the vibrator 12 and the magnetic body 112 may be provided in a hole formed in the vibrator 12.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상기 자성체(112)는 상기 진동자(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1)의 사이즈를 최소화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자성체(112)는 상기 진동자(12)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FIGS. 1 to 4, the magnetic body 112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12 to minimize the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gnetic body 112 may be the vibrator. I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1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성체(112) 외에 상기 요크(115) 역시 상기 진동자(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1)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magnetic body 112, the yoke 115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vibrator 12 to minimize the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상기 진동자(12)는 후술할 탄성체(14)의 단부에 부착되어 진동 운동을 한다. 즉,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탄성체(14)를 이용한 진동 운동에서 매스(mass) 역할을 하며, 상기 진동자(12)의 질량, 형상 등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량, 진동 주파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vibrator 12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elastic body 14 to be described later to vibrate. That is, the vibrator 12 may act as a mass in the vibrating motion using the elastic body 14, and may adjust the vibration amount, vibration frequency, etc. of vib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ss, shape, etc. of the vibrator 12. hav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전달부재(13) 내에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차지하는 공간 외의 나머지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진동자(12)와 상기 전달부재(13) 사이 그리고 상기 진동자(12)와 상기 전 자기력 생성부(11) 사이에는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운동을 위해 필요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or 12 may be configured to occupy the remaining space other than the space occupi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n the transmission member 13. However, a free space necessary for the vibrating movement of the vibrator 12 should be secured between the vibrator 12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3 and between the vibrator 12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상기 전달부재(13)는 상기 진동자(12)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13)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 상기 진동자(12) 및 상기 탄성체(14)를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mber 13 transmits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or 12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ssion member 1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se includ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e vibrator 12 and the elastic body 14 therei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1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자속의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part or all of the transmission member 13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determine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상기 탄성체(14)는 일단이 상기 진동자(12)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13)에 부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한다. One end of the elastic body 14 is attached to the vibrator 12,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3, and has two or more bent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즉, 상기 탄성체(14)는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고 상기 진동자(12)와 상기 전달부재(13)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That is, the elastic body 14 may be a leaf spring connecting the vibrator 12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3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이 경우, 상기 탄성체(14)의 일단(141)은 상기 진동자(12)와 연결되고, 타단(142)은 상기 전달부재(13)와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12)의 진동을 상기 전달부재(13)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14)는 상기 전달부재(13)에 의해 지지되어 탄성 운동을 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end 141 of the elastic body 14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12, the other end 142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3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12 to the transmission member 13. The elastic body 14 may be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member 13 to perform elastic movement.

상기 탄성체(14)는 상기 일단(141)과 상기 타단(142)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한다. The elastic body 14 includes two or more curved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141 and the other end 142.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4)는 상기 일단(141)과 상기 타단(142)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143,144)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lastic body 14 may include two or more bends 143 and 144 between the one end 141 and the other end 142.

실시예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143,144)는 90°의 각을 이루며 완만하게 절곡될 수 있으나, 상기 굴곡부(143,144)의 절곡된 각은 90°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3 and 4, the bent portions 143 and 144 may be gently bent at an angle of 90 °, but the bent angles of the bent portions 143 and 144 may be less than 90 °. It may be larg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4)가 다수의 굴곡부(143,144)를 구비한 결과, 상기 진동자(12)는 다수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탄성체(14) 및 진동자(12)의 결합에서는 상기 진동자(12)가 x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고, 또한 y축 방향으로도 진동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e elastic body 14 having a plurality of bends 143 and 144, the vibrator 12 may vibrat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14 as shown in FIG. 4 and In the coupling of the vibrator 12, the vibrator 12 may vibrate in the x-axis direction and may also vibrate in the y-axis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다수의 진동 모드, 예컨대 x축 방향으로의 진동 모드 및 y축 방향으로의 진동 모드를 구비하며, 각각의 진동 모드는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를 가진다. As such,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vibration modes, for example, a vibration mod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vibration mode in the y-axis direction, each vibration mode being different from each other. Has a vibration frequency.

예를 들어, 상기 진동자(12)가 x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모드에서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주파수가 f1이라면, y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모드에서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주파수는 f2로 두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or 12 is f1 in the vibration mode in which the vibrator 12 vibrates in the x-axis direction,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or 12 in the vibration mode vibrates in the y-axis direction is f2. As a result, the vibration frequencies in the two vibration modes may be different.

상기 진동 주파수는 상기 탄성체(14)의 탄성 계수, 강성도(stiffness), 진동자(12)의 질량, 형상, 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vibration frequenc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astic modulus, the stiffness of the elastic body 14, the mass, the shape of the vibrator 12, and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hole.

즉,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1)를 구성하는 진동자(12) 및 탄성체(14)의 질량, 형상, 사이즈 등에 의해 x축으로의 진동에 대한 고유 진동수 및 y축으로의 진동에 대한 고유 진동수가 결정된다. That i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ion in the x-axis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ion in the y-axis due to the mass, shape, and size of the vibrator 12 and the elastic body 14 constituting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따라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1이라 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생성하는 전자기력의 진동 주파수는 f1일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진동자(12)는 x축 방향으로 공진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가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는 f1이 된다. Therefore,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s f1,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will be f1, as a result, the vibrator 12 is x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by resonat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f1.

마찬가지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2라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생성하는 전자기력의 진동 주파수는 f2일 것이며, 그 결과, 상기 진동자(12)는 y축 방향으로 공진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가 발생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는 f2가 된다. Similarly,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s f2,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will be f2, as a result, the vibrator 12 is the y-axis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by resonating in the direction becomes f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1)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다수의 진동 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 및 진동 방향을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bration modes having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and different vibration frequencies and vibration direction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t can generate a vibration ha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이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be provided such that an a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12.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 즉 상기 코일(111)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은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방향, 즉 x 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at is,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il 111 is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12,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전자기력 생성부(11)가 하나이므로 오직 한 방향으로만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 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31)을 상기 다수의 진동 모드에 의한 진동 방향과 어긋나도록 배치하면, 상기 전자기력은 상기 다수의 진동 모드의 진동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전자기력의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고유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 모드로 진동할 수 있다.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1 to 4 may generate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only one direction because there is only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erefore, when the direction of action 31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arranged to be out of the vibration direction by the plurality of vibration modes,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divided in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modes, and as a result, the vib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It can vibrate in a vibration mode having a natural frequency equal to the frequency.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 즉 상기 코일(111)의 중심축(31)과 평행한 방향은 x축과 y축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that is,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31 of the coil 111 is between the x-axis and the y-ax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located.

상기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31)이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방향, 즉 x축 및 y축과 일치하지 않고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전자기력 F는 Fx 및 Fy로 분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자기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 둘 모두로 작용할 수 있다. When the direction of action 31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does not coincide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12, that is, the x-axis and the y-axis, the electromagnetic force F may be decomposed into Fx and Fy.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act in both the x- and y-axis directions.

그 결과,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1)는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11)를 이용하여 다수의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어 둘 이상의 진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forc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using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can implement two or more vibration modes.

또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둘 이상의 진동 모드 중 하나의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vibration in one of the two or more vibration mode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f1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자기력 F는 Fx 및 Fy로 각각 x축 및 y축 방향으로 분해되지만,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 f1과 일치하는 진동 모드로 진동하여 최종적으로 x축 방향으로 f1의 진동 주파수를 가지고 진동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driving power having a frequency of f1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e electromagnetic force F is decomposed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by Fx and Fy, respectively. The vibrator 12 vibrates in a vib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f1 of the driving power source, and finally vibrates with a vibration frequency of f1 in the x-axis direction.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f2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자기력 F는 Fx 및 Fy로 분해되어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작용되지만, 상기 진동자(12)는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인 f2와 일치하는 진동 모드인 y축 진동 모드로 진동하여 최종적으로 y축 방향으로 f2의 진동 주파수를 가지고 진동한다.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7, when a driving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of f 2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e electromagnetic force F is decomposed into Fx and Fy and act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but the vibrator ( 12) vibrates in the y-axis vibration mode, which is a vib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f2 of the driving power source, and finally vibrates with a vibration frequency of f2 in the y-axis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둘 이상의 진동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이 상기 둘 이상의 진동 모드의 진동 방향과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진동 모드로 진동할 수 있다. As such,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vibration modes having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operates is two or more. When configured to deviate from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ion mode, it may vibrate in two or more different vibration mod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자(12) 및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11)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발생 장치(1)의 구성 부품 수를 줄이고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느낌의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one vibrator 12 and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the vibration effect of various feelings can be generated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reducing weight and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 f1, f2를 가지는 두 개의 진동 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f1 또는 f2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을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하여 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wo vibration modes having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f1 and f2, and the frequency of any one of f1 or f2. By applying a driv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generate vibration in any one of the two vibration modes.

즉,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1이면, 상기 진동자(12)는 x 방향으로 진동하며,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2이면, 상기 진동자(12)는 y 방향으로 진동할 것이다. That is,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s f1, the vibrator 12 vibrates in the x direction, and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s f2, the vibrator 12 will vibrate in the y direc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은 f1과 f2의 주파수가 합성된 파형으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에 인가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as a waveform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frequencies of f1 and f2.

이 경우, 상기 진동자(12)는 x 방향 및 y 방향의 둘 모두의 방향으로 진동하여 단일 방향의 진동과는 다른 느낌의 진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brator 12 may vibrate in both the x and y directions to provide a vibration effect with a different feeling than the vibration in a single direction.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탄성체(14)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두 개의 굴곡부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탄성체(14)는 셋 또는 그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1 to 4, the elastic body 14 may include two bent portions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astic body 14 may include three or more bent portions.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4)는 두 개의 굴곡부(143,144) 외에 다른 굴곡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elastic body 14 may further include other bent parts 145 in addition to the two bent parts 143 and 144.

상기 추가된 다른 굴곡부(145)는 상기 탄성체(14)의 양단부 중 전달부재(13)에 부착된 단부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된 다른 굴곡부(145)는 90°로 절곡된 다른 굴곡부(143,144)와 달리 180°에 가까운 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The added other bent portion 145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end attached to the transfer member 13 of the both ends of the elastic body (14). In addition, the added other bent portion 145 may be bent at an angle close to 180 ° unlike other bent portions 143 and 144 bent at 9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위와 같이 단부에 인접하게 추가적인 굴곡부(145)를 구비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응력의 집중을 탄성체(14)의 다른 부분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tributed to the oth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4 by providing an additional bent portion 145 adjacent to the end as described above.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탄성체(14)는 세 개의 굴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astic body 14 may have three bent portions.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4)는 일단과 타단 사이 에 세 개의 굴곡부(143,144,145)를 구비하여 'ㅁ'자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elastic body 14 may have three bent portions 143, 144, and 145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shape close to the letter.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가 두 개의 자성체(112)를 구비하는 경우, 각각의 자성체(112)에 대응하여 두 개의 요크(115)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하나의 요크(115)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4 and FIG. 5,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includes two magnetic bodies 112, two yokes 115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bodies 112. 11 and 12, only one yoke 115 may be provided.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요크(115)가 상기 자성체(112)의 일면에 각각 부착되는 대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요크(115)를 연결하여 하나의 요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instead of the two yokes 115 being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11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two yokes 115 are shown. You can also connect) into a single yoke.

실시예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13)는 소정 크기의 홀(133)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자(12)의 진동 시 상기 전달부재(13)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2, the transmission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hole 133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air in the transmission member 13 when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12 is leaked to the outside Or can be introduced into it.

그 결과, 상기 진동자(12)가 진동하는 경우, 전달부재(13) 내의 공기로 인한 진동 감쇄를 줄일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vibrator 12 vibrates, vibration attenuation due to air in the transmission member 13 may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는 하나의 진동자(12)와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11)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진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plurality of different vibration modes by using one vibrator 12 and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이하, 첨부한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하나의 진동자와 다수의 전자기력 생성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one vibrator and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2.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13 to 15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둘 이상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22),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23), 및 일단이 상기 진동자(22)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23)에 부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둘 이상의 탄성체(241,24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3 to 15,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wo or mor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and apply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Receives and vibr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vibrator 22 which vibrates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the transmission member 23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to the outside, and one end is attached to the vibrator 22 and the other end is It is attached to the transfer member 23, and includes two or more elastic bodies (241, 242) having two or more bend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11)는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가 흐르는 코일(201,211) 및 상기 자속과 상호작용하여 로렌츠의 힘을 생성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체(202,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11 may include coils 201 and 211 through which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and magnetic bodies 202 and 212 forming magnetic fields to interact with the magnetic flux to generate the Lorentz force.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로렌츠의 힘을 이용하여 진동자(22)를 진동시킬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ibrate the vibrator 22 using the force of Lorentz. .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는 진동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전자기력으로 코일과 자성체 간의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코일과 자성체 간의 로렌츠 힘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attractive force or repulsive force between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as the electromagnetic force for vibrating the vibrator, and may also use the Lorentz force between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는 자성체에 대한 코일의 배치 또는 자성체의 착자 방향을 변경하여 다양 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i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coil relative to the magnetic body or the magnetization direction of the magnetic body.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코일(201,211) 및 자성체(202,212)의 배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16 and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coils 201 and 211 and the magnetic bodies 202 and 212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전자기력 생성부(20)는 코일(201)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지면으로 들어가거나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고, 자성체(202)가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y축 방향과 평행하도록 코일(201) 및 자성체(202)를 배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2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rection in which a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201 enters or exits the ground. The coil 201 and the magnetic body 202 can be arranged so that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body 202 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이 경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상기 코일(201)에 작용하는 로렌츠의 힘은 우측 방향, 즉 x축 방향이 되고, 상기 코일(201)이 상기 전달부재(2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상기 자성체(202)에 좌측 방향으로 로렌츠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orce of Lorentz acting on the coil 201 by the Fleming's left hand law becomes the right direction, that i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coil 201 is fix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23, thus acting-reacting. By the law of the Lorentz force is applied to the magnetic body 202 in the left direction.

그 결과, 상기 코일(201)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진동자(22)는 x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201, the vibrator 22 may vibrate in the x-axis direc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성체(202)가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코일(201) 및 상기 자성체(202)에 요크(115)를 더 부착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yoke 115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coil 201 and the magnetic body 202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body 202.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는 상기 자성체(202)에서 상기 코일(201)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요크(203)를 구비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20 may include a yoke 203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202 facing the coil 201.

또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는 상기 코일(201)에서 상기 자성체(202)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요크(204)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20 may include a yoke 204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coil 201 facing the magnetic body 202.

그 결과, 상기 자성체(202)가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N극에서 출발하여 코일(201)로 진행하고, 코일(201)의 일면에 구비된 요크(204)를 통해 진행하고, 다시 자성체(202)의 S극으로 진행하여 자성체(202)의 일면에 구비된 요크(203)를 통해 다시 자성체(202)의 N극으로 진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body 202 starts from the N pole and proceeds to the coil 201, through the yoke 20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il 201, and again the magnetic body 202. In order to proceed to the S pole of the magnetic pole 202 through the yoke 203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202 may proceed to the N pole of the magnetic body 202 again.

이와 같이, 도 16에 도시된 코일(201) 및 자성체(202)의 배치를 통해 상기 진동자(22)는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As such, the vibrator 22 may vib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in the x-axis direc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coil 201 and the magnetic body 202 illustrated in FIG. 16.

실시예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212)는 코일(211)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y축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착자되어 z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7, the magnetic body 212 may be magnetized so that the magnetic field passing through the coil 211 travels in the y-axis direction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acting in the z-axis direction.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상기 자성체(212)의 N극, S극의 부착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코일(211)을 지나는 자기장의 방향이 y축 방향이 되는 경우,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상기 코일(211)에 작용하는 로렌츠의 힘은 z축 방향에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211)이 상기 전달부재(23)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로렌츠의 힘은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상기 자성체(212)에 작용할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passing through the coil 211 is in the y-axis direction by changing the attachment direction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of the magnetic body 212 as shown in FIG. The Lorentz force acting on the coil 211 may be parallel to the z-axis direction, and when the coil 211 is fixed to the transfer member 23, the Lorentz force is acted upon by the law of reaction-action. Will act on magnetic material 212.

이와 같이, 도 17에 도시된 코일(211) 및 자성체(212)의 배치를 통해 상기 진동자(22)는 전후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As such, the vibrator 22 may vibrat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coil 211 and the magnetic body 212 illustrated in FIG. 17.

하지만, 도 16 및 도 17은 코일 및 자성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코일 및 자성체는 진동자(22)의 진동 방향에 따라 다르게 배치되어 전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However, FIGS. 16 and 17 are merely examples for d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il and a magnetic body, and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may be differently dispos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22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를 구성하는 코일 또는 자성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진동자(22)와 결합되어 상기 생성된 전자기력을 진동자(22)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y one of the coils or magnetic bodies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may be combined with the vibrator 22 to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vibrator 22.

도 13 내지 도 15에서 상기 진동자(22)는 상기 자성체(212)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을 작용받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자(22)는 상기 코일(211)과 결합되고 상기 자성체(212)는 상기 전달부재(23)에 고정되어 전자기력을 전달할 수 있다. 13 to 15, the vibrator 22 is coupled to the magnetic body 212 to apply an electromagnetic force,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or 22 is coupled to the coil 211 and the magnetic body 212 is It is fix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23 can transmit an electromagnetic force.

상기 진동자(22)는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가 생성한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자(22)의 진동 방향은 코일 및 자성체의 배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vibrator 22 is vib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and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2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have.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와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 역시 내부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내부에 전자기력 생성부(20,21)가 구비될 수 있다.Similar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lso has a groove formed therein, and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are provided inside the groove.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발생 장치(2)의 내부에 소정 크기의 홈이 구비되며, 홈의 내부에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 중 코일(201,211)이 구비되고 자성체(202,212)는 상기 진동자(22)에 장착되어 전자기력을 진동자(22)에 전달할 수 있다. In detail,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i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nd coils 201 and 211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are provided in the groove, and the magnetic bodies 202 and 212 are the vibrators ( 22 to transmit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the vibrator (22).

상기 전달부재(23)는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며, 이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의 전달부재(13)와 유사하다. The transmission member 23 transmits vibration to the outside, which is similar to the transmission member 13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탄성체(241,242)는 일단이 상기 진동자(22)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23)에 부착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 둘 이상의 굴곡부를 구비한 다. The elastic bodies 241 and 242 have one end attached to the vibrator 22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transfer member 23, and have two or more bent portions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발생 장치(2)는 둘 이상의 탄성체(241,242)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may include two or more elastic bodies 241 and 242.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241,242)는 일단(2411)이 상기 진동자(22)의 일면에 부착되고 타단(2412)이 상기 전달부재(23)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 1 탄성체(241) 및 일단(2421)이 상기 진동자(22)의 타면에 부착되고 타단(2422)이 상기 전달부재(23)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 2 탄성체(24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5, the elastic bodies 241 and 242 have a first end 2411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vibrator 22 and the other end 2412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23. The elastic body 241 and one end 2421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body 242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vibrator 22 and the other end 2422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23.

즉, 상기 전달부재(23) 상에서 상기 제 1 탄성체(241) 및 제 2 탄성체(242)가 부착되는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자(22) 상에서 상기 제 1 탄성체(241) 및 제 2 탄성체(242)가 부착되는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surfaces on which the first elastic body 24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2 are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23 may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elastic body 241 and the vibrator 22 may face each other. Surfaces to which the second elastic body 242 is attached may b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1 탄성체(241)는 일단(2411)과 타단(2412) 사이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굴곡부(2413,24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체(242) 역시 일단(2421)과 타단(2422) 사이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굴곡부(2423,24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body 241 includes two or more bends 2413 and 2414 between one end 2411 and the other end 241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242 also has one end 2421 and the other end 2422. It may include two or more bends 2423 and 2424 in betw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전술한 진동 발생 장치(1)와 달리 두 개의 탄성체(241,242)를 구비함으로써 x축 및 y축 방향의 진동 외에 z축 방향의 진동 모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elastic bodies 241 and 242 unlike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described above. It may further provide a vibration mode.

즉, 전술한 진동 발생 장치(1)는 하나의 탄성체(14)를 구비하여 x축 및 y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모드만을 구비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 치(2)는 다수의 탄성체(241,242)를 구비하여 z축 방향으로의 진동 모드를 더 제공한다. That is,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 described above has only one vibration mode having one elastic body 14 and vibrating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but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es. The elastic bodies 241 and 242 ar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a vibration mode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발생 장치(2)는 다수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를 포함하며, 각각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는 생성되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21, each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21 are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force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to be different.

예를 들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2)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 중 하나가 도 16과 같은 코일 및 자성체의 배치를 가지고, 나머지 하나가 도 17과 같은 코일 및 자성체의 배치를 가지도록 배치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진동을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on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shown in FIGS. 13 to 15 has the arrangement of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as shown in FIG. 16, and the other is the coil as shown in FIG. 17. And by arranging to have the arrangement of the magnetic bod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number of different vibrations.

예를 들어, 도 16의 전자기력 생성부(20)가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진동자(22)에 작용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22)는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 20 of FIG. 16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and acts on the vibrator 22, as shown in FIG. 18, the vibrator 22 may vibr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an x-axis direction. Can be.

마찬가지로, 도 17의 전자기력 생성부(21)가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진동자(22)에 작용하는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22)는 전후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Likewise,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 21 of FIG. 17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orce to act on the vibrator 22, as shown in FIG. 19, the vibrator 22 may vibr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z-axis direction.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 발생 장치(2)는 다수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자기력 생성부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진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As such,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and implements a plurality of different vibration modes by varying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each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Can be.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가 모두 z축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작용하지만 두 전자기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즉,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20)는 z축의 양의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다른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21)는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22)는 x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two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s 20 and 21 act on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but the two electromagnetic forces act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at is,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 20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the z-axis.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and the other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 21 generates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as shown in FIG. 20, the vibrator 22 has the x axis as the central axis. You can do rotational movements.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자(22)와 두 개의 전자기력 생성부(20,21)를 이용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진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different vibration mode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vibrator 22 and two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ors 20 and 21.

상기 다수의 진동 모드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가지며,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자(22)는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ibration modes have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and the vibrator 22 may vibrate at different vibration frequencies according to frequencies of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은 x축 방향의 진동 모드의 고유 진동수가 f1이고, 도 19와 같은 z축 방향의 진동 모드의 고유 진동수가 f2이고, 도 20과 같은 x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의 고유 진동수가 f3인 경우,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 모드가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ion mode in the x-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is f1,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ion mode in the z-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is f2, and the rotational motion about the x-axis as shown in FIG. When the natural frequency is f3, one or more vibration modes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즉,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f1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동자(22)는 x축 방향으로 공진하여 첫 번째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f2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동자(22)는 z축 방향으로 공진하여 두 번째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f3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동자(22)는 x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공진하여 세 번째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한다. That is, when driving power having a frequency of f1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the vibrator 22 resonates in the x-axis direction to generate vibration in a first vibration mode,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 When a driving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of f 2 is applied to 20 and 21, the vibrator 22 resonates in the z-axis direction to generate vibration in a second vibration mode, and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20 and 21 generates When a driving power source having a frequency is applied, the vibrator 22 resonates to perform a rotational motion about the x-axis to generate vibration in a third vibration mode.

이와 같이,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진동 주파수를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다수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As such, by controlling the frequencies of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a plurality of vibrations having different vibration frequencies and vibr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may be generated.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대한 진동 발생 장치(2)의 진동량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21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 f1, f2 및 f3를 가지는 세 개의 진동 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f1 내지 f3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구동 전원을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인가하여 세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진동 모드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1,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ree vibration modes having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f1, f2, and f3, and any one of f1 to f3. The driving power having a frequency of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to generate vibration in any one of three modes.

즉,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1이면, 상기 진동자(22)는 x 방향으로 진동하며,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2이면, 상기 진동자(22)는 z 방향으로 진동할 것이며, 구동 전원의 주파수가 f3이면, 상기 진동자(22)는 x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하도록 진동할 것이다. That is,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is f1, the vibrator 22 vibrates in the x direction, and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is f2, the vibrator 22 will vibrate in the z direction, and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is f3 The vibrator 22 will vibrate to make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x axis.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 전원은 f1 내지 f3의 주파수가 합성된 파형으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20,21)에 인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in a waveform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frequencies of f1 to f3.

이 경우, 상기 진동자(12)는 x 방향, z 방향 및 x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을 합성한 방향으로 진동하여 단일 방향의 진동과는 다른 느낌의 진동 효과를 제 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brator 12 may vibrate in a synthesized direction by combining rotational motions based on the x direction, the z direction, and the x axis, thereby providing a vibration effect having a feel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single direction vibra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2)의 사시도이다.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2)는 도 13 내지 도 15의 진동 발생 장치(2)와 달리 전자기력 생성부(20,21) 중 자성체(202)가 진동자(22) 내의 홀에 배치되어 전달부재(23)에 고정되고, 코일(201,211)이 진동자(22)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을 전달하는 구조이다. Unlike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of FIGS. 13 to 15,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illustrated in FIG. 22 has a magnetic body 202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disposed and transmitted to a hole in the vibrator 22. It is fixed to the member 23, the coil (201, 211) is coupled to the vibrator 22 is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즉, 도 13 내지 도 15의 진동 발생 장치(2)는 코일(211)이 홀에 배치되어 전달부재(23)에 고정되고 자성체(202,212)가 진동자(22)와 결합되지만, 도 22의 진동 발생 장치는 코일과 자성체의 위치가 서로 바뀐 실시예이다. That is, in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2 of FIGS. 13 to 15, the coil 211 is disposed in the hole and is fix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23, and the magnetic bodies 202 and 212 are coupled to the vibrator 22. The device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coil and the magnetic body are interchanged.

실시예에 따라, 도 22와 같이 자성체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기력 생성부(20,21)의 수만큼 구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2, the magnetic body may be configured as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s 20 and 21.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자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진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진동 발생 장치의 무게 및 크기가 줄어들어 경량 및 컴팩트한 진동 소자로 다양한 진동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different vibration mode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vibrator. As a result, the weight and siz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an be reduced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vibration feelings with a lightweight and compact vibration element.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or the like. have.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진동 발생부(1)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ontroller 180, a vibration generator 1, and a power supply 190. 23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components.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illustrated components, or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 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associ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 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heck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ne example is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represen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measure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triangulat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not only the location of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ut also accurate time together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atellit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 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terminal.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nd a 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voice output module 152.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 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진동 발생부(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콜의 수신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generator 1 generates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input or the reception of a call to provide tactile feedback to the user.

상기 진동 발생부(1)의 구조 및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 발생부(1)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1 ar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vibration generator (1).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진동 발생부(1)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4,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one vibration generator 1 to generate vibration.

실시예에 다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다수의 진동 발생부(1)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25,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ing units 1 to generate vibration.

도 25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하,좌,우에 각각 진동 발생부(1)를 장착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부들(1)은 이동 단말기(100)의 코너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장착 개수 및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FIG. 25, the mobile terminal 100 mounts the vibration generators 1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ors 1 are mounted on the corner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also possible, but the number and location of mounting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진동 발생부(1)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4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다. 4 is a front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생성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6 and 7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vibration gene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구동 전원 주파수에 대한 진동량의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of the amount of vibra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 power frequency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스프링 형상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9 and 10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the spring shap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13 to 15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전자기력 생성부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16 and 17 are front an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 발생을 설명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18 to 20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vibration gene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구동 전원 주파수에 대한 진동량의 그래프이다. 21 is a graph of the amount of vibra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 power frequency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2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부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24 and 25 are front views of a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vibrat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At least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A vibrator vibr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vibr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o the outside; And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둘 이상의 굴곡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At least one spring mounted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and having two or more bends; 을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자속을 생성하는 코일; 및A coil generating the magnetic flux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And 상기 자속과 상호작용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생성하는 자성체;A magnetic material that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lux to generate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가 흐르는 코일; 및A coil through which current is supplied by the driving power; And 상기 전류와 상호작용하여 로렌츠의 힘을 생성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체;A magnetic body that forms a magnetic field to interact with the current to generate a Lorentz force; 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동자는 중심부에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가 배치될 홀이 형성되는 진동 발생 장치.The vibrator i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 which a hole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cent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코일 또는 상기 자성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진동자와 결합되는 진동 발생 장치.Any one of the coil or the magne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vibrator genera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기력 생성부는 상기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이 상기 진동자의 진동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vibra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진동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굴곡부에 의해 구부러지는 진동 발생 장치.And the spring is bent by the bend to surround the vibra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일단이 상기 진동자의 일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 1 스프링; 및A first spring having one en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vibrator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And 일단이 상기 진동자의 타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전달부재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 2 탄성체;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vibrator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기력 발생부가 둘 이상인 경우, 각각의 전자기력 발생부가 생성하는 전자기력의 작용 방향은 서로 다른 진동 발생 장치.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two or mor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each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is different vibration generating device.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A user input unit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력 생성부;At least on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receiving driving power; 상기 전자기력을 작용받아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며, 상기 구동 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자;A vibrator vibrat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vibrating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진동자의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to the outside; And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둘 이상의 굴곡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At least one spring mounted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and having two or more bends; 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패턴을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vibration having a specific patter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자기력 발생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controlling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user input;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90098331A 2009-10-15 2009-10-15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738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31A KR101738682B1 (en) 2009-10-15 2009-10-15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31A KR101738682B1 (en) 2009-10-15 2009-10-15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46A true KR20110041246A (en) 2011-04-21
KR101738682B1 KR101738682B1 (en) 2017-05-22

Family

ID=440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331A KR101738682B1 (en) 2009-10-15 2009-10-15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8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49B1 (en) * 2011-08-18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Linear vibration motor
CN108258875A (en) * 2018-03-02 2018-07-06 金龙机电股份有限公司 Moving-coil type linear vibration electric motor
CN109530195A (en) * 2018-12-19 2019-03-2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A kind of duplex composite elastic sheet mini vibrator
KR20220015006A (en) * 2020-07-30 2022-02-08 (주)라이빅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114585956A (en) * 2019-10-15 2022-06-03 Lg伊诺特有限公司 Prism dri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424A (en) * 2002-12-26 2004-07-2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Vibrato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the vibrator
KR200403543Y1 (en) * 2005-09-27 2005-12-09 강윤규 A vibrator
JP2007130582A (en) * 2005-11-10 2007-05-31 Alps Electric Co Ltd Vibration generator and input-output device using 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649B1 (en) * 2011-08-18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Linear vibration motor
CN108258875A (en) * 2018-03-02 2018-07-06 金龙机电股份有限公司 Moving-coil type linear vibration electric motor
CN109530195A (en) * 2018-12-19 2019-03-2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A kind of duplex composite elastic sheet mini vibrator
CN114585956A (en) * 2019-10-15 2022-06-03 Lg伊诺特有限公司 Prism driving device
CN114585956B (en) * 2019-10-15 2024-03-01 Lg伊诺特有限公司 Prism driving device
KR20220015006A (en) * 2020-07-30 2022-02-08 (주)라이빅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682B1 (en)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0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thereof
KR201100191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bration pattern
US7050600B2 (en) Speaker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P2338219B1 (en) Vibration motor
EP2626990B1 (en) Vibration motor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16114384A1 (en) Vibrating actuator
KR10173868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6303858A (en) A kind of speaker and terminal unit
CN108153419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KR20100002069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employing the same
WO2019098249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EP4024897A1 (en) Mobile terminal
US10993032B2 (en) Bending actuators and panel audio loudspeakers including the same
KR10164465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00028234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KR20100031297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in and portab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US11876425B2 (en) Vibrator support structure,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device
KR101905896B1 (en) An appratus for generating multi-mode vibrations
JP2016131915A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10029437A (en) Vibrator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721872B1 (en) Vibrator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6333194B2 (en) Vibration actuator
US972473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vibration portions
CN104951067A (en) A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electronic device
KR100660972B1 (en)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