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972B1 -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0972B1 KR100660972B1 KR1020050087251A KR20050087251A KR100660972B1 KR 100660972 B1 KR100660972 B1 KR 100660972B1 KR 1020050087251 A KR1020050087251 A KR 1020050087251A KR 20050087251 A KR20050087251 A KR 20050087251A KR 100660972 B1 KR100660972 B1 KR 100660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magnet
- yoke
- suspension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31/00—Details of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covered by H04R31/00,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4R2231/003—Manufacturing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diaphragms or of their connecting aspects to said 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진동음향 발생장치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bration sound generat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ib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음향진동판 30 : 진동부 20: acoustic vibration plate 30: vibration unit
31 : 진동 마그네트 33 : 상부요크 31: vibration magnet 33: upper yoke
35 : 하부요크 40: 고정 마그네트35: lower yoke 40: fixed magnet
50 : 서스펜션 71 : 지지부 50: suspension 71: support
73 : 상부커버 75 : 하부커버 73: upper cover 75: lower cover
91 : 보이스코일 93: 진동코일91: voice coil 93: vibration coil
본 발명은 진동음향 발생장치 및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최근 휴대 전화기, PDA 등에 카메라 기능 및 스피커기능 등이 부가된 휴대용 단말기의 출시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설계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진동모터, 리시버 및 스피커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피가 작고 부품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release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camera functions and speaker functions, such as cellular phones and PDAs. Therefore, due to the constraints of the design space of the terminal, the use of vibration and sound generators that can reduce the unit cost and volume by increasing the integ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the receiver and the speaker is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진동음향 발생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ibration sound generato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음향 발생장치는 케이스(13), 상기 케이스(1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하는 상부 커버(8) 및 하부 커버(7), 상기 케이스(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서스펜션(5), 상기 서스펜션(5)에 의해 진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부요크(4), 하부요크(2) 및 마그네트(3), 하부 커버(7)에 고정되어 전기장을 생성하는 코일(11), 상기 서스펜션(5)의 상부에 위치하여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진동판(9) 및 음향코일(1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vibrat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그리고 종래의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는 상부요크(4), 하부요크(2) 및 마그네트(3)로 이루어지는 진동부가 진동할 경우, 상기 하부요크(2)와 상기 하부커버(7)의 충돌을 완화하고 소음을 줄이기 위한 댐핑제로서의 자성유체(magnetic fluid, 1)를 구비한다. In the conventional vibration and sound generating apparatus, when the vibration part including the
상기 코일(11)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코일(11)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과 상기 마그네트(3)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전자기력은 상기 상부요크(4), 하부요크(2) 및 마그네트(4)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11)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신호가 바뀔 때마다 상기 전자기력이 180°만큼 바뀌게 되어 상기 서스펜션(5)에 붙어 있는 진동부가 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5)의 공진 주파수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부의 변위가 커져서 상기 하부요크(2)와 상기 하부커버(7)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When an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이러한 상기 하부요크(2)와 상기 하부커버(7)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을 완화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요크(2)의 일면에는 댐핑제인 자성유체(1)가 주입된다. 상기 자성유체(1)는 상기 상부커버(8) 및 하부커버(7)의 조립 후 상기 하부커버(7)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에어 서스펜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요크(2)에 주입되며, 상기 마그네트(3)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하부요크(2)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In order to alleviate the collision between the
따라서 자성유체(1)가 일단 주입되면, 상기 자성유체(1)가 적당량으로 주입되었는지 또는 적절한 위치에 주입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그리고 상기 자성유체(1)는 에어 서스펜서로 주입되는데, 이러한 에어 서스펜서의 분사 노즐이 막히거나 이물질이 개재되면 상기 자성유체(1)의 주입량이 일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자성유체(1)가 적당량 주입되지 못하거나 적절한 위치에 주입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하부요크(2)와 상기 하부커버(7)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여 진동량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Therefore, once the magnetic fluid (1) is injected, there is no way to check whether the magnetic fluid (1) has been injected in the appropriate amount or in the proper position. In addition, the magnetic fluid 1 is injected into the air suspension, and if the injection nozzle of the air suspension is clogged or foreign matter is interposed, the amount of injection of the magnetic fluid 1 may not be constant. As such, when the magnetic fluid 1 is not injected in an appropriate amount or cannot be inject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a collision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자성유체(1)는 상기 에어 서스펜서를 통한 주입 시, 상기 코 일(11)과 상기 하부요크(2) 사이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상기 진동부의 진동량 감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외부에 상기 마그네트(3)보다 더욱 큰 자기력을 가진 외부 마그네트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성유체(1)는 외부 마그네트의 인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When the magnetic fluid 1 is injected through the air suspens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gnetic fluid 1 flows between the
본 발명은 진동부와 케이스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음향 발생장치 및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vibration unit and the case and the noise caused by this.
또한, 본 발명은 불량율을 줄이고 진동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진동음향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failure rate and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는 음향진동판과, 상기 음향진동판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진동 마그네트와 요크로 이루어진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음향진동판과 상기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음향진동판을 전자기적으로 구동하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전자기적으로 구동하는 진동코일과,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 대향하며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 반대 방향으로 착자된 고정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Vibration and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oustic vibration plate, a vibra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acoustic vibration plate and a vibration magnet and a yoke, a suspens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on portion, the acoustic vibration plate and the A support coil for supporting a suspension, a voice coil for electromagnetically driving the acoustic vibration plate by interaction with the vibration magnet, and a vibration coil for electromagnetically driving the vibration unit by interaction with the vibration magnet; And a fixed magnet fixed to the support to face the vibration magnet and magnetiz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vibration magnet.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 마그네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요크 및 하부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yoke may include an upper yoke and a lower yoke respectively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ibrating magnet.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요크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하부요크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코일은 상기 요크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suspens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af springs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yoke. And the suspension may be made of a leaf spring connecting the lower yoke and the support. The vibration coi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yoke and the vibration magne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진동 마그네트와 요크로 이루어진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전자기적으로 구동하는 진동코일과,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 대향하며 상기 진동 마그네트와 반대 방향으로 착자된 고정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vibrating the vibration portion consisting of a vibration magnet and yoke, a suspension for supporting the vibration portion elastically,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spensio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vibration magnet A vibration coil for electromagnetically driving the vibration unit, and a fixed magnet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to face the vibration magnet and magnetiz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vibration magnet.
상기 요크는 상기 진동 마그네트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요크 및 하부요크를 포함한다.The yoke includes an upper yoke and a lower yoke respectively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vibrating magnet.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요크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하부요크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코일은 상기 요크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The suspens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af springs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yoke. And the suspension may be made of a leaf spring connecting the lower yoke and the support. In addition, the vibration coi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yoke and the vibration magne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 및 진동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음향 발생장치는 외체를 형성하는 지지부(71), 상부커버(73) 및 하부커버(75), 상기 지지부(71)에 결합되는 서스펜션(50), 상기 서스펜션(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진동 마그네트(31),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로 이루어지는 진동부(30), 상기 진동부(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음향진동판(20) 및 보이스코일(91)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75)에 부착되는 진동코일(93) 및 고정 마그네트(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vibration 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상기 음향진동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71)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음향진동판(20)은 티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두께 10㎛ ~ 50㎛ 정도의 박막이다. 상기 음향진동판(20)은 상기 보이스코일(91)과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코일(91)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적인 힘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음을 발생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서스펜션(50)은 상기 진동부(30)를 상기 지지부(71)에 고정하며, 상기 진동부(30)의 진동을 상기 지지부(7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스펜션(50)은 상기 진동부(30)와 상기 지지부(71)를 연결하며 다수의 암으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으로서, 상기 진동부(30)를 상기 지지부(71)에 대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서스펜션(50)은 상기 진동부(30)와 상기 지지부(71)를 연결하여 상기 진동부 (3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지지부(71)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스펜션(50)을 진동부(30)와 상기 지지부(71)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지지부(71)는 짧은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음향진동판(20)과 상기 진동부(3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7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상부커버(73) 및 하부커버(75)가 각각 결합한다. 상기 지지부(71)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71)는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수화부에 위치한다.The
상기 상부커버(73)는 상기 지지부(7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73)와 상기 지지부(71) 사이에는 상기 음향진동판(20)이 개재된다. 상기 하부커버(75)는 상기 지지부(71)의 하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하부커버(75)의 일면에는 상기 진동코일(93) 및 고정마그네트(40)가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보이스코일(Voice Coil, 91)은 구리ㅇ알루미늄 등의 도체에 절연층과 접착층을 입힌 코일을 감아서 만든다. 상기 보이스코일(91)은 진동 마그네트(31)와 하부요크(3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보이스코일(91)은 전류가 흘러서 만들어진 전기장과 진동 마그네트(31)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 진동을 상기 음향진동판(10)에 전달함으로써 소리가 나도록 한다. 상기 보이스코일(91)에 흘려보낸 전류에 의해 상기 음향진동판(10)이 움직이는 현상은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발생한다. The
상기 진동코일(93)은 상기 하부커버(75)의 일면에 위치하며, 일 단부가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와 상기 상부요크(3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진동코일(93)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면 전기장이 생성되고, 이와 같은 전기장과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상기 진동부(30)에 전달되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The
상기 진동부(30)는 진동 마그네트(31),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30)는 상기 서스펜션(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코일(93) 및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적인 힘에 의해 진동한다. The
상기 진동 마그네트(31)는 페라이트와 네오디늄(neodymium) 등의 영구자석으로서, 도넛 형상을 가진다. 상기 진동 마그네트(31)는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와 사출물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진동 마그네트(31)는 상기 진동부(30)의 진동시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데, 이때 상기 진동 마그네트(31)는 상기 고정 마그네트(40)와 반대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마그네트(31) 및 상기 고정 마그네트(40) 사이에는 척력(repulsive force)이 작용하여 상기 진동부(30)와 상기 하부커버(75)의 충돌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The vibrating
상기 상부요크(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상면에 결합하고 일부는 상기 진동 코일(93)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요크(35)는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하면 및 상부요크(33)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요크(35)의 상면에는 상기 서스펜션(50)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가 상기 지지부(71)에 대해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는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에 의해 생성된 자기력선이 상기 보이스코일(91) 또는 상기 진동코일(93)로 집중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는 상기 마그네트(31)를 지지하고 상기 진동부(30)의 진동을 더욱 크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는 비중(specific gravity) 및 자기 투과율(magnetic permeability)가 큰 재질, 예를 들면 텅스텐 및 니켈의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고정 마그네트(40)는 도넛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커버(75)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마그네트(40)의 중앙에는 상기 진동코일(93)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마그네트(40)는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와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마그네트(40)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31)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위쪽을 N극, 아래쪽을 S극으로 착자하고, 상기 고정 마그네트(40)는 위쪽을 S극, 아래쪽을 N극으로 착자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The fixed
따라서 상기 진동부(30)가 수직으로 진동하여 상기 하부커버(75) 방향으로 접근할 때,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와 상기 고정 마그네트(40)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상기 진동부(30)와 상기 하부커버(75) 간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마그네트(40)는 종래의 자성유체와 같이 에어 서스펜서로 주입할 필요가 없이 상기 하부커버(75)의 일면에 부착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마그네트(40)는 상기 하부커 버(75)의 일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자기력이 작용하여도 원래의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아서 일정한 진동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and sound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N극으로부터 나온 자기력선은 상기 상부요크(33) 및 하부요크(35)를 통과하여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의 S극으로 향하는 자계(화살표 표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이스코일(91)에 고주파의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에서 형성된 자기장과 상기 보이스코일(91) 주변에서 생성된 전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이스코일(91)이 상하로 진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음향진동판(20)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게 된다.Magnetic force lines from the N pole of the vibrating
상기 진동코일(93)에 저주파의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에서 형성된 자기장과 상기 보이스코일(91) 주변에서 생성된 전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30)가 상하로 진동한다. 이때 상기 진동코일(93)에 입력되는 전류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부(30)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경우 상기 진동부(30)가 최대로 진동하면서 상기 하부커버(75)에 접근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 마그네트(40)와 상기 진동 마그네트(31) 사이의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부(30)는 진동이 최대가 되더라도 상기 하부커버(75)와 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When a low frequency current is applied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진동 발생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음향 발생장치에서 음향을 생성하는 상기 음향진동판(20) 및 보이스코일(9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포함 한다. 도 4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착신 수단으로 사용되어 진동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vibration generator shown in FIG. 4 includes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또한, 상기 진동 발생장치의 하부커버(75)에 부착된 고정 마그네트(40)는 진동부(30)의 진동 마그네트(31)와 대향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마그네트(31)와 상기 고정 마그네트(4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진동부(30)와 하부커버(75)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진동부와 케이스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음향 발생장치 및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vibration unit and the case and the noise caused by this.
본 발명은 불량율을 줄이고 진동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진동음향 발생장치 및 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ibratio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defective rate and increase the amount of vibra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251A KR100660972B1 (en) | 2005-09-20 | 2005-09-20 |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7251A KR100660972B1 (en) | 2005-09-20 | 2005-09-20 |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0972B1 true KR100660972B1 (en) | 2006-12-26 |
Family
ID=3781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7251A KR100660972B1 (en) | 2005-09-20 | 2005-09-20 |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097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239B1 (en) | 2010-07-28 | 2012-04-26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 function speaker having the structure preventing deformation |
KR20160131872A (en) * | 2015-05-08 | 2016-11-16 | 주식회사 예일전자 | Vibration output device coupled to wearable device |
-
2005
- 2005-09-20 KR KR1020050087251A patent/KR1006609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0239B1 (en) | 2010-07-28 | 2012-04-26 | 주식회사 비에스이 | Multi function speaker having the structure preventing deformation |
KR20160131872A (en) * | 2015-05-08 | 2016-11-16 | 주식회사 예일전자 | Vibration output device coupled to wearable device |
KR101939755B1 (en) * | 2015-05-08 | 2019-01-17 | 주식회사 예일전자 | Vibration output device coupled to wear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50825B2 (en) |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10610893B2 (en) |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 |
KR101250288B1 (en) | Haptic actuator | |
KR100661921B1 (en) | Vibration-Sound Generating Device and Yoke thereof | |
TW550873B (en) | Electrodynamic type of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EP2268060B1 (en) | Multifunctional speaker | |
KR101055508B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101339606B1 (en) | Linear vibrator | |
US10610892B2 (en) |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 |
CN111082630B (en) | Vibration device | |
EP2432251A1 (en) |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 |
US20130033126A1 (en) | Linear vibration device | |
JP2016073941A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20120121284A (en) | Vertical vibration type rectangular linear motor | |
KR100660972B1 (en) | Vibration-sound an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KR100877519B1 (en) | A sensing signal output apparatus | |
KR101198077B1 (en) | Linear vibration actuator | |
KR101266793B1 (en) | Haptic actuator | |
JP2016131915A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WO2008004729A1 (en) | Vibrator | |
KR100773984B1 (en) | Multi-Function Actuator Module | |
KR100320245B1 (en) |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20121285A (en) | Vertical vibration type rectangular linear motor | |
KR101014190B1 (en) | Speaker and vibrator | |
KR20080034365A (en) | The moving magnet type micro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