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132A -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 Google Patents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132A
KR20110041132A KR1020090098176A KR20090098176A KR20110041132A KR 20110041132 A KR20110041132 A KR 20110041132A KR 1020090098176 A KR1020090098176 A KR 1020090098176A KR 20090098176 A KR20090098176 A KR 20090098176A KR 20110041132 A KR20110041132 A KR 2011004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alignment reference
reference plane
sourc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3819B1 (ko
Inventor
이철영
하석호
전국진
김현문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2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6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ffraction, refraction or reflection, e.g. monochrom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363Use of fiducial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61B2560/0247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for compensation or correction of the measured physiological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량계(radiation dosimeter)를 교정하기 위해 방사선을 방사선량계에 조사시키는 방사선 조사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상기 방사선 조사기와 이동형 교정대가 안착되는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기의 전면에 정렬 기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기준면과 방사선원이 위치하는 선원 중심축이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를 정렬 작업의 파타미터로 활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방사선, 조사, 레일시스템, 정렬, 정렬 기준면, 선원 중심축

Description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Radiation irradiator with the alignment reference plane}
본 발명은 방사선량계(radiation dosimeter)를 교정하기 위해 방사선을 방사선량계에 조사시키는 방사선 조사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상기 방사선 조사기와 이동형 교정대가 안착되는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의 선량률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선량계는 성능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교정(calibration)하며, 상기 방사선량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방사선을 방사선량계에 조사하여 주는 방사선 조사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방사선 조사기는 내부에 설치된 방사선원의 기준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기준점 조절장치의 상단에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상기 방사선 조사기의 전방 바닥면에는 레일시스템이 설치되며, 이 레일시스템의 상부에는 교정 대상물인 방사선량계가 설치되는 이동형 교정대가 안착됨으로써 상기 방사선 조사기는 방사선량계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사선 조사기 및 레일시스템은 각각 개별 제작된 후 현장시공을 통해 하나의 교정 시스템으로 구축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방사선 조사기에 설치된 방사선원과 레일시스템은 상호 정확한 평행을 이루도록 필수적으로 정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방사선 조사기 및 레일시스템 간의 정확한 정렬이 선결되어야만 레일시스템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형 교정대에 설치되는 방사선량계에 정확한 방사선의 조사가 가능함으로써 방사선 조사기 및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종래에는 상기 방사선 조사기 및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며, 다만 이를 일부나마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이동형 교정대에 감광필름을 설치하고, 이 감광필름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이를 현상함으로써 비로소 방사선의 조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름작업은 방사선이 감광필름의 정중앙에 조사될 까지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면서 수회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반복적인 필름의 세팅, 현상 및 방사선의 조사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상승이 발생하며, 무엇보다도 감광필름에 조사된 방사선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렬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렬 작업으로부터 개선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작업을 생략한 채 방사선 조사기의 전면에 구비된 정렬 기준면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기 및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을 더욱 정밀하면서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사선 조사기의 전면에 정렬 기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기준면과 방사선원이 위치하는 선원 중심축이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하여 이를 정렬 작업의 파타미터로 사용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원 중심축 선상에 정렬 기준면을 관통하는 방사선 진행경로 및 동심축을 이루는 선원로더 장착홈을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원 중심축 선상에 정렬 기준면을 관통하는 방사선 진행경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동식 방사선원이 동심축을 이루도록 위치시키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행경로의 전방에 콜리메이터 장착홈을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기의 전면에 설치된 정렬 기준면이 레일시스템과 틀어진 정도(기울기)를 오토콜리메이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면서 방사선 조사기와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을 1차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렬 기준면과 선원 중심축이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를 2차 보정함으로써 방사선원과 레일시스템의 정렬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매우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원이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제1 실시예의 방사선 조사기(10)를 비롯하여 도 6 내지 8과 같이 방사선원이 이동식으로 설치되는 제2 실시예의 방사선 조사기(10a)에 모두 적용가능함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오토콜리메이터 등을 이용한 광학적 방법이나 또는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방사선 조사기(10)(10a)가 레일시스템으로부터 틀어진 정도(기울기)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조사기본체(11)의 전면에 편평한 정렬 기준면(12)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오토콜리메이터를 이동형 교정대에 설치한 후 빔을 정렬 기준면(12)에 조사하면 상기 정렬 기준면(12)에서 반사되어 나온 빔은 레일시스템과 평 행을 이루도록 일치하지 않는 경우 틀어진 정도(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울기를 감안하여 방사선 조사기(10)(10a)의 위치를 조절하면 1차적으로 방사선 조사기(10)(10a) 및 레일시스템 간의 정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정렬 기준면(12)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선원이 위치하는 선원 중심축(15)을 설정하되 상기 정렬 기준면(12)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를 미리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 측정된 데이터를 정렬 작업을 위한 파라미터로 활용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조사기본체(1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정밀도가 뛰어나더라도 상기 정렬 기준면(12)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는 설계사항과 다른 오차가 발생함에 따라 미리 상기 기울기를 파악한 후 이를 파라미터로 적용하여 방사선 조사기(10)(10a)의 위치를 보정하면 더욱 정밀하고 완벽한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실시예의 방사선 조사기(10)에 적용된 선원 중심축(15)의 축선상에는 정렬 기준면(12)을 관통하여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방사선 진행경로(16)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선 진행경로(16)의 후방에는 방사선원이 장전된 별도의 선원로더를 고정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선원로더 장착홈(17)이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방사선원의 중심축은 항상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원로더 장착홈(17)의 전방에는 방사선 진행경로(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폐셔터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이동로(18)가 추가로 형성 된다.
상기 정렬 작업시 파라미터로 활용하기 위한 기울기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기준면(12)의 X축 방향 수평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의 수치와, 상기 정렬 기준면(12)의 Y축 방향 수직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의 수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렬 기준면(12)의 X축 방향 수평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 및 Y축 방향 수직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는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무방하나 이 수치가 직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정렬 기준면(12)과 레일시스템 간의 1차적인 정렬 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선원 중심축(15)은 레일시스템과 평행을 이루도록 정확하게 자동으로 정렬 됨으로써 더욱 간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방사선 조사기(10a)에 적용된 선원 중심축(15)의 축선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기준면(12)을 관통하여 방사선 진행경로(16)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선 진행경로(16)의 후방에는 선원로더 이동로(19)가 형성되며, 상기 선원로더 이동로(19)를 따라 이동하는 방사선원은 선택적으로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위치됨으로써 제2 실시예의 방사선 조사기(10a)에 적용되는 방사선원의 중심축은 항상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사선 조사기(10)(10a)는 공통으로 방사선 진행경로(16)의 전 방에 콜리메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콜리메이터 장착홈(13)이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루도록 추가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정렬 작업시 광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오토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렬 기준면(12)에 빔을 조사하면 정렬 기준면(12)으로부터 반사되는 빔을 통해 정렬 기준면(12)이 레일시스템과 틀어진 정도(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기울기 만큼 방사선 조사기(10)(10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1차적으로 정렬 기준면(12)과 레일시스템은 정확한 정렬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렬 기준면(12)과 방사선원이 위치하는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한 파라미터만큼 방사선 조사기(10)(10a)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정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제 1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정렬 기준면의 Y축 방향 수직면과 선원 중심축이 이루는 기울기를 나타낸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정렬 기준면의 X축 방향 수평면과 선원 중심축이 이루는 기울기를 나타낸 일부절결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 방사선 조사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방사선 조사기 12: 정렬 기준면
13: 콜리메이터 장착홈 15: 선원 중심축
16: 방사선 진행경로 17: 선원로더 장착홈

Claims (7)

  1. 조사기본체(11)의 전면에 편평한 정렬 기준면(12)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기준면(12)과 방사선원이 위치하는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를 측정한 데이터를 정렬 작업용 파라미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선원 중심축(15)의 축선상에 정렬 기준면(12)을 관통하는 방사선 진행경로(16) 및 선원로더 장착홈(17)이 동심축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선원로더 장착홈(17)의 전방에는 차폐셔터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이동로(18)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선원 중심축(15)의 축선상에 정렬 기준면(12)을 관통하는 방사선 진행경로(16)가 설치되고, 상기 방사선 진행경로(16)의 후방에 형성된 선원로더 이동로(19)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 방사선원은 선원 중심축(15)의 축선상에 동심축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5. 제 1항에 있어서,
    기울기는 정렬 기준면(12)의 X축 방향 수평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와, 상기 정렬 기준면(12)의 Y축 방향 수직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정렬 기준면(12)의 X축 방향 수평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 및 Y축 방향 수직면과 선원 중심축(15)이 이루는 기울기는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방사선 진행경로(16)의 전방에는 선원 중심축(15)과 동심축을 이루는 콜리메이터 장착홈(13)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KR1020090098176A 2009-10-15 2009-10-15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KR101073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176A KR101073819B1 (ko) 2009-10-15 2009-10-15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176A KR101073819B1 (ko) 2009-10-15 2009-10-15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132A true KR20110041132A (ko) 2011-04-21
KR101073819B1 KR101073819B1 (ko) 2011-10-17

Family

ID=4404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176A KR101073819B1 (ko) 2009-10-15 2009-10-15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14B1 (ko) * 2013-01-31 2014-11-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1130B2 (ja) * 2005-08-16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8173182A (ja) 2007-01-16 2008-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線照射方法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
KR100897051B1 (ko) 2007-08-14 2009-05-14 도이체스 크렙스포르슝스첸트룸 방사선 조사 장치 및 시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14B1 (ko) * 2013-01-31 2014-11-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19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252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ation beam asymmetry measurements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CN105288870A (zh) 一种多叶准直器的校准方法
TWI626674B (zh) Ion beam measuring device, ion implantation device and ion beam measuring method
US9910184B2 (en)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 or vehicle inspection system
KR101470522B1 (ko) 방사선 치료용 레이저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US10001366B2 (en) Coating thickness inspection method and coating thickness inspection device
CN107530039B (zh) 用于粒子治疗设备的质量保证的模体和方法
US20150292878A1 (en) Method and measuring system to determine the alignment of a first pulley of a belt drive in relation to a second pulley of the belt drive
CN109374659A (zh) 一种短波长x射线衍射测试样品的定位方法
JP2013501360A5 (ko)
KR20090076060A (ko) X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15520362A (ja) ハドロンビーム検証用の装置及び方法
KR101073819B1 (ko) 정렬 기준면이 구비된 방사선 조사기
US2023008723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nd controlling collimator leaves
KR102022255B1 (ko) 다목적 방사선 표준 조사 시스템
CN103645494A (zh) 测量加速器射线束的能量的方法
JP5710332B2 (ja) 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アライメント測定方法およびアライメント用治具
KR101585085B1 (ko) 산란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사선량률 교정실용 산란선 차폐패널
CN109974977B (zh) 物镜畸变检测方法及装置
KR20110019011A (ko) 로봇 tcp와 lvs 사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캘리브레이션 지그
KR102657067B1 (ko) 하전 입자 빔 노광 방법 및 보정 방법
CN212932973U (zh) 一种质子绝对能谱测量装置
US11035805B2 (en) X-ray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JP2905448B2 (ja) X線分析における試料台の位置設定方法および装置
KR102010068B1 (ko) 에지부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