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609A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609A
KR20110040609A KR1020090098501A KR20090098501A KR20110040609A KR 20110040609 A KR20110040609 A KR 20110040609A KR 1020090098501 A KR1020090098501 A KR 1020090098501A KR 20090098501 A KR20090098501 A KR 20090098501A KR 20110040609 A KR20110040609 A KR 2011004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ing
grinder
primary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현 유
Original Assignee
광 현 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현 유 filed Critical 광 현 유
Priority to KR102009009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0609A/ko
Publication of KR2011004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자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서로 회전속도 비가 다른 한 쌍의 칼날이 서로 교차하여 1차 분쇄하며, 그 다음 공정의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균일하며 미세한 입자로 2차 분쇄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사출실로 보내어지고 사출실에서는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가두어 2차 분쇄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사출실로 보내어지는 음식물쓰레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폭과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교반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인 Sheet형상으로 이송벨트 위에 공급하며 이송벨트 위에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는 전자파가 차폐된 건조실로 이동하여 물의 진동수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의 공명현상을 열원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며, 이때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기화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는 흡입브로아를 통하여 강제순환되어 탈취 탑으로 보내어지고, 액상탈취제 욕조에서 1차 탈취되고 액상탈취제 상부에 숯과 활성탄으로 구성된 2차 탈취장치에 의하여 정화처리하여 악취가 없도록 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과 기름기의 처리에 곤란함이 있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간편하게 분쇄 및 건조하며 연속적인 처리과정으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므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 점이 있고 대기로 배출되는 공기도 여러 단계의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배출되므로 악취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소규모 음식점이나 학교 및 공공기관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90098501
마이크로웨이브,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 정화수단, 균일분사장치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THE MICROWAVE USED DRYING EQUIPMENT FOR FOODS WASTES}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것으로 입자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서로 회전속도 비가 다른 한 쌍의 칼날이 서로 교차하여 1차 분쇄하며, 그 다음 공정의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균일하며 미세한 입자로 2차 분쇄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사출실로 보내어지고 사출실에서는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가두어 2차 분쇄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사출실로 보내어지는 음식물쓰레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폭과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교반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인 Sheet형상으로 이송벨트 위에 공급하며 이송벨트 위에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는 전자파가 차폐된 건조실로 이동하여 물의 진동수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의 공명현상을 열원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며, 이때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기화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는 흡입브로아를 통하여 강제순환되어 탈취 탑으로 보내어지고, 액상탈취제 욕조에서 1차 탈취되고 액상탈취제 상부에 숯과 활성탄으로 구성된 2차 탈취장치에 의하여 정화처리하여 악취가 없도록 하여 대기로 방출하는 마 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소각할 경우 대기오염이 되고 매립할 경우 부패하면서 가스와 인체에 해로운 환경호르몬이 생기고, 그것이 땅속으로 들어가면 지하수까기 오염시켜 수질오염까지 일으킵니다.
현재 전국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에 대하여 말하자면 퇴비화나 사료화시설로 운영되고는 있으나, 음식물엔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수분 또한 80% 정도 포함되고 있어 이를 처리시 퇴비나 사료로 가공시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 톱밥이나 옥수숫대, 볏 집 등과 같은 첨가물과 같이 가공하는 경우 퇴비로 만들 수 있으나, 여기도 염분이 함유되어 있어 현재 농가에서는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퇴비는 사용을 기피한다.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여야 하며 이를 목적으로 개발된 다수의 종래기술들이 있다.
이하 대표적인 종래기술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제 10-1997-0013624호의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며, 분쇄실과 주입호퍼가 분리되어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며, 건조시 발생 된 수증기를 그대로 대기로 배출되도록 하여 악취를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첨부된 도 2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제 10-2005-0100834호의 종래기술은 여러 개의 회전 칼날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구조에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이나, 분쇄시 옥수수 수염과 같은 섬유질이 많은 음식물쓰레기 는 회전 칼날의 축에 엉기어 토출되지 아니하고 분쇄모터에 불필요한 과부를 제공하며, 또한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분쇄 칼날에 잘 분쇄되지 않으며 정량펌퍼로 바로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호퍼 내부 벽면에 달라붙은 음식물찌꺼기의 부패와 이에 따른 악취 등 호퍼 내부의 청결상태에 따른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율적인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가 호퍼에 투입되어 분쇄되는 과정에서 호퍼의 내벽을 음식물쓰레기의 잔존물을 없애기 위하여 슬립성이 높은 테프론 소재를 코팅하여 음식물찌꺼기가 호퍼에 잔류하여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발생과 호퍼 내부의 청결상태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호퍼에 공급되어 분쇄되는 과정에서 분쇄 날의 회전속도와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더 이상 분쇄 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속도 비가 다른 한 쌍의 분쇄 날을 이용하여 원활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분쇄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입자를 좀 더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쇄하기 위하여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를 이용하여 2차 분쇄공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사출실로 보내어 지게 되고, 이때 사출실에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 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한 두께와 폭을 유지토록 하는 교반장치를 통과하여 무한궤도를 가진 이송벨트 위에 공급하여 건조실로 이송되고 건조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건조효율을 좀 더 향상시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건조과정에서,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는 종단부에 설치된 저속 건조물 분쇄기를 이용하여 일정크기의 입자를 가지도록 분쇄함으로써 건조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함유한 수분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며 발생하는 수증기는 강제 흡입 브로아를 통하여 별도 제작된 탈취 탑으로 강제 이송되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악취발생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착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한 호퍼와, 상기의 호퍼로 유입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의 1차 분쇄를 위한 스크루형 1차 분쇄기와, 상기의 1차 분쇄기의 원활한 분쇄를 위하여, 입자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는 분쇄물 가이드를 형성한 분쇄실과, 상기의 1차 분쇄기와 맞물려 회전하는 2차 분쇄기와, 상기의 2차 분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저장과 일정압력을 유지를 위한 사출실과, 상기의 사출실에 형성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를 골고루 산란시키는 도파관과, 상기의 도파관 에 의하여 1차 산란하여진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쓰레기 전체면적에 고르게 가열하는 건조실과, 상기의 건조실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강제 순환시켜 1차 액상탈취제를 통하여 정화하고 숯과 활성탄으로 2차 정화하는 기능을 갖춘 탈취 탑과, 상기의 탈취 탑의 정화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이슬 맺힘 현상으로 건조실 내부벽면을 흘러내리는 수분을 배출하고,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기름기를 정화시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과 기름기의 처리에 곤란함이 있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간편하게 분쇄 및 건조하며 연속적인 처리과정으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므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대기로 배출되는 공기도 여러 단계의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배출되므로 악취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소규모 음식점이나 학교 및 공공기관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착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플론 코팅층을 형성한 호퍼(100)와, 상기의 호퍼(100)로 유입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의 1차 분쇄를 위한 스크루형 1차 분쇄기(140)와, 상기의 1차 분쇄기(140)의 원활한 분쇄를 위하여, 입자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는 분쇄물 가이드(110) 를 형성한 분쇄실(180)과, 상기의 1차 분쇄기(140)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 1차 분쇄기(140)에 의한 분쇄한 음식물쓰레기를 더욱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로 만드는 2차 분쇄기(150)와, 상기의 2차 분쇄기(150)에 의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며, 일정압력을 유지토록 교반기(160)를 형성한 사출실(170)과, 상기의 사출실(170)에 형성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를 골고루 산란시키는 전자파 산란봉(320)을 가진 도파관(310)과, 상기의 도파관(310)에 의하여 1차 산란하여진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쓰레기 전체면적에 고르게 가열토록 설계된 균일한 요철형상을 가진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321)를 갖춘 건조실(300)과, 상기의 건조실(300)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브로아(230)를 통하여 강제 순환시켜 1차 액상탈취제를 통하여 정화하고 숯(420)과 활성탄(430)으로 2차 정화하는 기능을 갖춘 탈취 탑(400)과, 상기의 탈취 탑(400)의 정화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이슬 맺힘 현상으로 건조실 내부벽면을 흘러내리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160)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기름기를 정화시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가능토록 하는 유수분리기(440)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병의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7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1차 분쇄기(140)와 2차 분쇄기(150)를 통하여, 1차, 2차의 분쇄과정을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사출실(170)로 보내어지고, 사출실(170) 종단부에 설치된 교반기(160)는 벨트이송 축(500))과 연결되어 이송벨트(520)의 이송속도와 비례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송벨트(520)에 일정한 두께와 일정 양을 공급하게 되고, 이송벨트(520)에 의하여 건조실(300)을 거쳐 이송벨트(520)의 종단부에 설치된 건조물 분쇄기(510)에 의하여 다시 분쇄되어 수거되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에서 건조실(300)은 도파관(310)의 마그네트론에 의하여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321)를 반사수단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전체적으로 골로루 가열토록 하였으며, 이때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어 수증기화 되고, 일부는 흡입 브로아(230)에 의하여 탈취 탑(400)으로 강제 배출되어 정화과정을 거처 대기로 배출되고, 일부는 건조실(300) 내부에 부착되어 이슬 맺힘 현상을 일으키며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를 전자파 균일 분사 장치 브라켓(380) 좌우에 부착된 경사면을 가진 유수로(390)를 통하여 유수분리기(440)로 보내 지게 되고, 유수분리기(440) 내부에서 물과 기름이 분리되며, 숯(420)과 활성탄(430)에 의하여 정화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 도면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사양에 해당된다.
도 3, 4, 5, 6, 7은 본 발병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700)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호퍼(100)는 내부에 음식물쓰레기 부착 등에 따른 오염은 막기 위하여 테프론코팅을 하여 슬립성을 개선하였으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모터(200)와 연결되어 서로 회전비가 다른 한 쌍의 격자형 1차 분쇄기(140)를 이용하 여 딱딱하고 입자가 굵은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쉬운 구조로 하였으며, 그 아래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로 구성된 2차 분쇄기(150)를 이용하여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쇄하여 지속적으로 사출실(170)로 보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분쇄기(140)의 회전비를 각기 달리함으로써 다량의 음식물쓰레기가 호퍼(100)에 투입되어 1차 분쇄기(140) 쪽으로 하중을 작용하고 1차 분쇄기(140)가 고속 회전을 하게 되면, 1차 분쇄기(140)와 음식물쓰레기 사이에 진공층이 생겨 음식물쓰레기는 아래 방향의 2차 분쇄기(150) 쪽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1차 분쇄기(140)의 회전속도 비를 각기 달리함으로써 분쇄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통감자나 양파와 같은 아주 큰 입자의 음식물쓰레기는 분쇄시 1차 분쇄기(140)의 회전력에 의하여 튀어올라 잘 분쇄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1차 분쇄기(140)의 분쇄물 가이드(100)에 따라 점차 분쇄실(18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분쇄실(180)의 경사진 홈에 고정되어 원활한 분쇄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1차, 2차 분쇄기(140)(150)에 의하여 분쇄된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들은, 사출실(170)에서 2차 분쇄기(150)로부터 걸쭉한 죽 상태의 분쇄 물들을 공급받으며, 이때 발생하는 압력과 교반기(160)를 통하여 정하여진 폭과 두께로 연속적(Sheet 형상)으로 무한궤도를 가진 이송용 벨트(520)에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송용 벨트(520)는 양단이 고정되어 한 쪽에 벨트이송 모터(220)와 연결된 벨트이송 축(500)에 의하여 무한궤도를 가지며 벨트이송 모터(220)가 조립된 선단부 벨트이송 축(500)에는 교반기(160) 축과 기어로 연결시켜 교반기(160) 의 회전비와 이송벨트(520)의 회전비를 같이 하여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종단부 한쪽 축에는 건조된 Sheet 형상의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건조물고정가이드(530)로 건조물을 고정하며 분쇄할 수 있는 건조물 분쇄기(510)를 부착하였다.
본 발명의 건조실(300)은 상부에 다수의 마그네트론(360)과 도파관(310)을 부착하였으며, 도파관(310) 내부에는 전자레인지의 스터러와 유사한 기능을 갖춘 전자파 산란봉(320)을 설치하여 마이크로웨이브의 산란을 도왔으며, 건조실(300) 내부의 상면과 이송용 벨트(520) 사이에는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321)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시 건조실(300) 내부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마이크로웨이브를 균일하게 분산 시키도록 하여 급속하고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300) 상부에 건조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강제 순환시킬 수 있게 흡입브로아(230)가 연결되어 수증기 및 악취를 정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탈취탑(400)을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탈취 탑(400)은 음식물쓰레기가 함유한 수분이 건조시 수증기화되어 건조실 내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제 흡입브로아(230)을 이용하여 탈취 탑(400)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때 탈취 탑(400) 내부의 액상탈취제(410)를 통하여 1차 탈취되고 상단부의 숯(420)과 활성탄(430)에 의하여 2차 정화되어 대기중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그러나 건조실(300) 내부의 모든 수증기를 회수할 수 없으므로 건조실(300) 내부의 벽면이나, 구조물에 의하여 미처 강제순환되지 못한 수증기들은 이슬 맺힘 현상으로 벽면을 타고 흐르게 되는데 이를 정화하는 수단으로 유수분리기(440)를 설치하였다.
상기의 유수분리기(440)는 건조실(300) 내부의 강제 순환되지 못한 수증기들이 이슬 맺힘 현상으로 내부의 벽면을 타고 흐르게 되는데 이를 이송벨트(520) 사이의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 브라켓(380) 좌우 측에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유수로(390)을 따라 흐르게 되고 종끝 부분의 유수관(391)을 통하여 유수분리기(440)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의 여러 관로를 통하며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물과 기름이 분리되어 물은 활성탄(430)에 의하여 정화된 상태로 수분배출구(460)를 통하여 배출되고 기름은 기름배출관(470)을 통하여 별도의 수거통으로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건조물 분쇄기(510)는 무한궤도를 가진 벨트이송 축(500)의 종단에 부착되었으며, 선단부의 축과 연결된 벨트이송 모터(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다수의 기어배열에 의하여 건조물 분쇄기(510)는 이송벨트(520)의 이송속도보다 저속으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게 되고, 이때 공급되는 건조물이 1, 2차 분쇄기(140)(150) 날의 충격에 의하여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물 고정가이드(530)를 두어 분쇄를 원활하게 하였고, 이때 분쇄된 분쇄 물들은 분쇄물가이드(560)를 통하여 수거함으로 모이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20은 분쇄기 위치보정판, 130은 분쇄날 가이드, 200은 분쇄기 모터, 210은 감속기, 240은 흡입관 엘보, 250은 흡입관, 330은 냉각팬 브라켓, 340 은 냉각팬, 350은 고압트랜스포머, 370은 케파시티, 600은 음식물 건조물을 표시함.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처리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처리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1, 2차 분쇄기의 구조와 사출실 및 교반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a는 구성을 표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b는 구성을 표시한 절취 종단면도
c는 구성을 표시한 일부 절취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건조장치의 조립도 및 탈취 탑의 구조를 보여주는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유수분리기와 건조물 분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의 단면 및 유수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간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간략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호퍼 110. 분쇄물가이드
120. 분쇄기 위치보정판 130. 분쇄날가이드
140. 1차 분쇄기 150. 2차 분쇄기
160. 교반기 170. 사출실
180. 분쇄실
200. 분쇄기 모터 210. 감속기
220. 벨트이송 모터 230. 흡입 브로아
240. 흡입관 엘보 250. 흡입관
300. 건조실 310. 도파관
320. 전자파 산란봉 321.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
330. 냉각팬 브라켓 340. 냉각팬
350. 고압트랜스포머 360. 마그네트론
370. 케파시티 380.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 브라켓
390. 유수로 391. 유수관
400. 탈취탑 410. 액상탈취제
420. 숯 430. 활성탄
440. 유수분리기 450. 유수분리관
460. 수분배출구 470. 기름배출관
500. 벨트이송 축 510. 건조물 분쇄기
520. 이송벨트 530. 건조물 고정가이드
540. 벨트이송 축 커플링 550. 수거함
560. 분쇄물 가이드 570. 지지대
580. 설치판
600. 음식물쓰레기 건조물
700. 건조장치

Claims (1)

  1.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착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플론코팅층을 형성한 호퍼(100)와,
    상기의 호퍼(100)로 유입된 다량의 음식물쓰레기의 1차 분쇄를 위한 스크루형 1차 분쇄기(140);
    상기의 1차 분쇄기(140)의 원활한 분쇄를 위하여, 입자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이동시키는 분쇄물 가이드(110)를 형성한 분쇄실(180);
    상기의 1차 분쇄기(140)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 1차 분쇄기(140)에 의한 분쇄한 음식물쓰레기를 더욱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로 만드는 2차 분쇄기(150);
    상기의 2차 분쇄기(150)에 의하여 걸쭉한 죽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며, 일정압력을 유지토록 교반기(160)를 형성한 사출실(170);
    상기의 사출실(170)에 형성되어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를 골고루 산란시키는 전자파 산란봉(320)을 가진 도파관(310)과, 상기의 도파관(310)에 의하여 1차 산란하여진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쓰레기 전체면적에 고르게 가열토록 설계된 균일한 요철형상을 가진 전자파 균일분사 장치(321)를 갖춘 건조실(300);
    상기의 건조실(300)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흡입브로아(230)를 통하여 강제 순환시켜 1차 액상탈취제를 통하여 정화하고 숯(420)과 활성탄(430)으로 2차 정화하는 기능을 갖춘 탈취 탑(400);
    상기의 탈취 탑(400)의 정화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이슬 맺힘 현상으로 건조실 내부벽면을 흘러내리는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 배출구(160)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기름기를 정화시켜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가능토록 하는 유수분리기(440)를 형성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20090098501A 2009-10-14 2009-10-14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20110040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01A KR20110040609A (ko) 2009-10-14 2009-10-14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501A KR20110040609A (ko) 2009-10-14 2009-10-14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609A true KR20110040609A (ko) 2011-04-20

Family

ID=4404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501A KR20110040609A (ko) 2009-10-14 2009-10-14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060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3B1 (ko) * 2011-07-25 2012-03-28 (주)엠디아이 슬러지 양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478901B1 (ko) * 2013-04-05 2015-01-06 최상보 슬러지 건조장치
KR20150096284A (ko) 2014-02-14 2015-08-24 나정웅 순환궤도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및 열풍의 복합 열원을 이용한 쾌속 건조 장치
KR20150096285A (ko) 2014-02-14 2015-08-24 나정웅 3차원 교반 장치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및 열풍의 복합 열원을 이용한 쾌속 건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73B1 (ko) * 2011-07-25 2012-03-28 (주)엠디아이 슬러지 양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478901B1 (ko) * 2013-04-05 2015-01-06 최상보 슬러지 건조장치
KR20150096284A (ko) 2014-02-14 2015-08-24 나정웅 순환궤도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및 열풍의 복합 열원을 이용한 쾌속 건조 장치
KR20150096285A (ko) 2014-02-14 2015-08-24 나정웅 3차원 교반 장치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및 열풍의 복합 열원을 이용한 쾌속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84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20110076013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96353B1 (ko) 저온열풍과 음압고풍속을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증발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110040609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KR2006003118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0719839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스크루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407828B1 (ko) 적외선과 고주파를 이용한 수분건조방법
KR20060056295A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20242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97170B1 (ko) 차량이동식 음식물 쓰레기 연료화 장치
KR100418691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작방법
KR102316113B1 (ko) 차량형 이동식 슬러지 처리시스템
KR1007138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의 처리장치
KR1007612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의 처리장치
KR100827625B1 (ko) 폐수 처리용 전처리 장치
KR20010096730A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1561A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050055666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디스크타입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563690B1 (ko)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84611B1 (ko) 슬러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