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0186A -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0186A
KR20110040186A KR1020090097359A KR20090097359A KR20110040186A KR 20110040186 A KR20110040186 A KR 20110040186A KR 1020090097359 A KR1020090097359 A KR 1020090097359A KR 20090097359 A KR20090097359 A KR 20090097359A KR 20110040186 A KR20110040186 A KR 20110040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insecticidal
insecticidal composition
albizia julibris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103B1 (ko
Inventor
이지영
한영희
소호섭
김진철
최경자
최용호
장경수
Original Assignee
경기도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09009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가 재배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응애, 멸구, 진딧물 등의 해충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높은 효율로 방제할 수 있는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산야에 널리 분포하는 자귀나무로부터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살충활성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합성농약에 의한 농업환경의 오염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고부가가치의 웰빙 곡식, 채소 및 과수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자귀나무, 왕자귀나무, 살충활성 조성물, 목화진딧물, 살충제

Description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INSEC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LBIZIA JULIBRISSIN}
본 발명은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가 재배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응애, 멸구, 진딧물 등의 해충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높은 효율로 방제할 수 있는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으로 건강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높아질수록 채소와 과일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이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화학 비료와 농약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화학비료와 농약의 과다사용은 재배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에서 재배환경을 오염시켜 생산자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되었으며, 생산된 농산물에는 농약이 잔류하여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와 토양환경의 보존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업에 관한 관심으로 유기농업이 우리 농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확산되 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화학성분의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는 사람이나 가축, 어패류 등에 무해하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우려성이 없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의 사용은, 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여 토양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장기적인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농작물에 대한 잔류농약의 위험성을 제거해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일이나 채소 등을 재배하는 농가들 사이에서는 화학 농약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유기농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유기농법으로 많이 연구되는 진딧물과 관련한 농자재로는 주로 마늘이나 파, 고추, 나팔꽃 및 허브 추출물이 있으나 이런 방법들은 농업인 개개인의 경험에 의해 쌓여진 식물의 개개 특성을 이용한 방충, 살충 등의 방법이라서 각 식물 및 진딧물 간의 체계적인 연구로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친환경적인 유기농법을 기초로 하여 식물로부터 응애, 멸구 또는 나방의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살충활성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손쉽게 재료를 입수할 수 있는 식물에 연구를 집중한 결과, 우리나라의 산야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인 자귀나무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살충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곡물, 채소, 과수 또는 화훼를 재배하는 농가의 골칫거리인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살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물들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자귀나무의 추출물이 두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및 벼멸구에 살충 효과를 발휘하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나 가축, 어패류 등에 무해하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우려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살충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귀나무 추출물, 왕자귀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귀나무와 메탄올을 1 : 10 내지 1 : 40의 중량비율로 혼합 및 추출하여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 추출물, 왕자귀나무(Albizia coreana NAKA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는 다른 이름으로 계수나무, 야합수, 합장수, 합환목으로도 불린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줄기가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나무 높이는 3 내지 5 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고, 잎은 어긋나며 2회 깃꼴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낫같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 잎의 길이는 6 내지 15 mm, 나비는 2.5 내지 4.0 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월에서 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 내지 20개씩 우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돌고,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 cm 내외로서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또한, 중부와 남부의 해발 500 내지 700 m 되는 산과 들에서 자라며 각지에서 공원이나 집 주변에 심는다. 저녁이 되면 잎들이 마주 붙기 때문에 야합, 합혼이라 한다.
자귀나무는 그 껍질에 알칼로이드, 탄닌질, 사포닌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쿠에르시트린, 어린잎에 비타민 C와, 씨에 알칼로이드, 배당체 알비로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진정약, 오줌내기약, 아픔멎이약, 벌레떼기약으로 명치끝이 아프고 잠을 이루지 못할 때, 골절, 종창 등에 쓰인다(원색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1999년).
본 발명에 있어서, '자귀나무'는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 또 는 왕자귀나무(Albizia coreana NAKAI)를 모두 포함하며, 식물추출물을 얻기 위하여는 자귀나무의 잎 및/또는 껍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한 자귀나무의 잎 또는 껍질을 분쇄한 건시료와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1 : 10 내지 1 : 4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48시간 이상 상온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진공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농축하고 동결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조추출물(crude extract)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 자귀나무의 조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자귀나무를 상기한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각각의 유기용매 추출물에 대하여 살충활성을 조사한 결과 헥산 추출물의 활성이 좀 더 우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귀나무 조추출액은 액상 자체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감압농축하여 건조 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시 목적하는 바에 따라 희석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오이의 본엽에 접종된 목화진딧물이 정착되어 있는 엽 절편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어진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의 목화진딧물에 대한 오이하우스 검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의 살충활성 조성물로 처리된 오이하우스의 살포 7일 후의 목화진딧물 살충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자귀나무 추출물은 목화진딧물뿐만 아니라 목화진딧물과 동일한 약제 반응을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cicae)과 콩진딧물(Macrosiphum pisi)을 포함한 진딧물류와, 두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를 포함한 다양한 응애류(Tetranycidae), 그리고 벼멸구(Nilaparvata lugens)를 포함한 멸구류에도 특이적인 살충활성이 있으며, 이들은 천적, 꿀벌, 인축에 대한 무독성으로 환경보전 및 정화작용이 있는 다기능적 환경친화형 농약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가능한 식물성 오일로는 콩기름, 해바라기씨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이 있으며 살충활성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70중량 %까지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활성 조성물은 농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물질 또는 희석제와 혼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임의의 추가 성분으로서 비료성분 또는 계면활성제 또는 공지의 식물병 방제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희석제"란 자귀나무 추출물에 첨가하여 사용의 편의를 위하거나 목적하는 활성 농도로 자귀나무 추출물을 희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농업적으로 허용되는 액체 또는 고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활석, 카올린, 제올라이트, 크실렌, 규조토, 물, 식물유 등이 있다.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과 같이 분무형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형은, 습윤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희석 제, 계면활성제 이외에도, 추가로 안정화제, 불활성화제, 점착력 개선제, 착색제, 침투제, 소포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카올린, 규조토 등과 함께 제조된 습윤성 분말을 분무액으로 사용하기 전에 물로 희석하여 잎에 분무 적용시키거나, 뿌리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유화제 등과 혼합하여 농축물을 얻고 이를 식물에 적용하기 전에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결건조, 분무건조 또는 회전건조 등의 분말제 또는 과립제로 제조하여 포장, 운반하고, 최종 사용자에 의해 재현탁하여 식물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적용방식은 잎 및/또는 줄기 및/또는 뿌리에 분무하거나 토양에 뿌릴 수도 있고 과립 또는 캡슐화하여 토양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산야에 널리 분포하는 자귀나무로부터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살충활성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합성농약에 의한 농업환경의 오염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고부가가치의 웰빙 곡식, 채소 및 과수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농가 소득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자귀나무 조추출물의 제조
자귀나무 껍질을 한약재상에서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여 건조하였다.
분말 건시료 100 g을 메탄올 1 L에 담그어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진공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농축하고 동결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수율은 건시료를 일정량 취해 추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조추출물 조제에 사용된 건조물의 총량에 대한 백분율로 구하였다.
추출수율은 9.7%였다.
실시예 2 살포액 조제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자귀나무 추출물을 하기한 방법으로 각각의 농도별로 조제하였다.
① 3,000 mg/L 조제방법(100 ㎖ 조제)
조추출물 0.3 g을 메탄올 5 ㎖에 녹인 후 Triton X-100 25 ㎕를 넣고 물로 전체 100 ㎖를 맞춘다.
② 3,000 mg/L + 오일 0.5%(100 ㎖ 조제)
조추출물 0.3 g을 메탄올 5 ㎖에 녹인 후 Triton X-100 25 ㎕를 넣고 오일 0.5 ㎖를 넣고 물로 전체 100 ㎖를 맞춘다.
③ 5,000 mg/L 조제방법(100 ㎖ 조제)
조추출물 0.5 g을 메탄올 5 ㎖에 녹인 후 Triton X-100 25 ㎕를 넣고 물로 전체 100 ㎖를 맞춘다.
④ 5,000 mg/L + 오일 0.5%(100 ㎖ 조제)
조추출물 0.5 g을 메탄올 5 ㎖에 녹인 후 Triton X-100 25 ㎕를 넣고 오일 0.5 ㎖를 넣고 물로 전체 100 ㎖를 맞춘다.
실시예 3 살충활성 검정
1) 실험해충
목화진딧물(Aphid gossypii)은 오이를 파종하고 본엽이 3 내지 4매일 때 진딧물을 접종하여 하우스에서 증식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유묘검정법으로 하였으며 본엽이 4 내지 6매 된 오이나 고추 포트에 진딧물을 접종하여 정착된 진딧물을 사전조사한 후 추출물을 살포하고 3일과 7일 후에 생충율을 조사하였다.
방제가 (%)= [(무처리구 생충율-처리구 생충율)/무처리구 생충율] x 100
실시예 4 자귀나무 추출물의 농도별 및 오일혼용에 따른 목화진딧물 방제효과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하기한 표 1에 기재된 농도의 자귀나무 추출물 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각의 농도로 제조된 자귀나무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살충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자귀나무 추출물 농도별 및 오일혼용에 따른 목화진딧물 방제효과 (오이 폿트)

처 리 내 용 사전밀도
(마리)
방제가 (%)
3일차 7일차
자귀나무 추출물


3,000 mg/L
3,000 mg/L + 오일*1 0.5%
205.0
231.7
67.5
91.8
56.1
87.4
5,000 mg/L
5,000 mg/L + 오일*2 0.5%
196.7
114.0
54.5
94.5
65.5
89.3
오 일*3 0.5 % 85.7 11.0 25.9
*1,2,3: 콩기름
실시예 5 추출용매별 자귀나무 조추출물의 목화진딧물 방제효과 시험
한약재상에서 구입한 자귀나무 껍질을 잘게 분쇄하여 건조시켰다. 자귀나무 건시료 100 g을 하기한 각각의 용매 1 L에 담그어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진공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완전농축하고 동결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용매별 조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진딧물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자귀나무 추출물의 추출용매별 목화진딧물 방제효과
추 출 용 매 추 출 수 율 (%) 방제가 (%)
3일후 7일후
메탄올 9.73 71.6 73.5
에탄올 7.50 66.8 66.4
디클로로메탄 3.94 68.9 70.3
아세톤 4.53 57.9 60.9
에틸아세테이트 3.64 69.0 76.5
헥 산 1.55 77.2 85.2
♩ 처리농도 : 3,000 mg/L
♪ 시험작목 : 오이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살충효율을 높이기 위한 최적추출용매를 선발하기 위해 용매별로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살충효과를 조사한 결과, 자귀나무의 헥산 조추출물 활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자귀나무 추출물의 추가 살충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헥산 분획층을 3,000 mg/L의 농도 로 자귀나무 추출액을 제조하여 두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벼멸구(Nilaparvata lugens)에 대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두점박이응애에 대한 생물검정은 직경 5.5 cm의 페트리디쉬 내에 직경 2.5 cm로 자른 강낭콩잎 절편을 물을 충분히 적신 탈지면 위에 올려놓고 미세한 붓으로 두점박이응애 암컷 성충 30마리를 접종한 후, 준비된 자귀나무 추출액을 소형 스프레이로 엽면이 충분히 젖을 정도로 살포한 후 건조시켰다.
처리 후 25 ℃, 60 % 상대습도 조건 하에 보관하면서 살포한 지 24, 48시간 후의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살충율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벼멸구에 대한 실험은 파종 후 7 내지 8일된 동진벼 유묘 5본의 뿌리 부분을 탈지면으로 감아 직경 3 cm x 길이 15 cm의 유리 시험관의 바닥 부분에 삽입하여 넣었다. 흡충기가 장착된 diaphragm pump를 이용하여 벼멸구 3령 약충 20마리를 사육상자로부터 채집하여 벼 유묘가 삽입되어 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준비된 자귀나무 추출액을 미세 살포기로 시험관의 입구 쪽에서 벼 유묘에 부착하고 있는 벼멸구를 향하여 직접 살포하였다. 처리 후 시험관의 입구는 나일론 망사로 덮어 벼멸구의 탈출을 방지하였다.
접종 후 25℃, 60%의 상대습도 조건 하에 보관하면서 약액 처리 후 24, 48시간째에 비정상적인 발육 및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살충율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의 스펙트럼 살충율(%)
처 리 농 도
두점박이응애 벼멸구
24시간 48시간 24시간 48시간
자귀나무 헥산추출물 3,000 mg/L 47 % 63 % 50 % 60 %
실시예 7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제제의 제조예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헥산추출물 10 g을 이소파라핀 오일(isoparaffin oil) 28 g으로 용해한 다음 메틸 올리에이트(Methyl oleate) 50 g과 DBC(Dodecylbenzenesulfonate calcium salt) 4 g, 트윈 81(Tween 81,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4 g 및 CO25(Polyoxyethoxylated castor oil) 4 g을 넣은 다음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자귀나무 추출물 제제에 물을 첨가하여 각각 200 배와 400 배로 현탁한 다음 진딧물에 대하여 포트 및 온실에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표 4]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이용한 살충활성 제제의 처방
구 성 성 분 중량(g)
자귀나무 헥산추출물(건조) 10.0
MO(methyl oleate) 50.0
DBC(Dodecylbenzenesulfonate calcium salt) 4.0
트윈 81(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4.0
CO25(Polyoxyethoxylated castor oil) 4.0
이소파라핀 오일 28.0
[표 5]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제제의 폿트에 심겨진 오이에서의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활성
희석배수 사전밀도 방제가 (%)
3일차 7일차
400 배 60.3 78.2 75.0
200 배 44.0 96.1 94.1
무처리 93.7 - -
상기 표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제제는 200배와 400배에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7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표 6]
자귀나무 헥산추출물 제제의 오이 하우스에서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활성
처리내용 희석배수
사전밀도
방제가 (%)
3일차 7일차
자귀나무
추출물제제
400 배 191.0 70.7 75.8
200 배 222.0 82.0 85.9
대조약제
(칼립소)
2000 배 245.7 99.9 100
무처리 - 187.3 - -
상기 표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제제는 약제 처리 7일 후에 관찰하였을 때 200배와 400배에서 오이 하우스에서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7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표 7]
자귀나무 헥산추출물 제제의 고추 하우스에서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활성
처리내용 희석배수
사전밀도
방제가 (%)
3일차 7일차
자귀나무
추출물제제
400 배 119.7 82.5 83.7
200 배 254.7 84.2 84.5
대조약제
(칼립소)
2000 배 289.7 99.8 100
무처리 - 242.7
상기 표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제제는 200배와 400배에서 고추 하우스에서도 목화진딧물에 대하여 82.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상술한 실시예, 시험예 및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함께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오이의 본엽에 접종된 목화진딧물이 정착되어 있는 엽 절편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어진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의 목화진딧물에 대한 오이하우스 검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자귀나무 헥산추출물의 살충활성 조성물로 처리된 오이하우스의 살포 7일 후의 목화진딧물 살충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5)

  1.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 추출물, 왕자귀나무(Albizia coreana NAKAI)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대상 해충이 응애류, 진딧물류 및 멸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여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이 콩기름, 해바라기씨유,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오일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KR1020090097359A 2009-10-13 2009-10-13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KR101225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59A KR101225103B1 (ko) 2009-10-13 2009-10-13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359A KR101225103B1 (ko) 2009-10-13 2009-10-13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186A true KR20110040186A (ko) 2011-04-20
KR101225103B1 KR101225103B1 (ko) 2013-01-22

Family

ID=4404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359A KR101225103B1 (ko) 2009-10-13 2009-10-13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8590A (zh) * 2011-06-15 2012-01-18 中国计量学院 一种诱集缨小蜂寄生假眼小绿叶蝉的方法
ES2393355A1 (es) * 2011-06-08 2012-12-20 Mafa Productos, S.A. Formulado a base de aceite de orujo de la oliva crudo o refinado, procedimiento de obtención y uso como pesticida.
KR101388636B1 (ko) * 2012-03-28 2014-04-2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자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라이족토니아 시리얼리스 또는 라이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한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 방법
CN104839192A (zh) * 2015-04-11 2015-08-19 中国计量学院 一种叶蝉三棒缨小蜂引诱剂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09B1 (ko) 2020-04-20 2022-11-29 대한민국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02A (en) 1979-06-27 1981-01-20 Yoshio Katsuta Base for mosquito-repellent incense
KR100733764B1 (ko) * 2006-04-20 2007-07-02 주식회사 베터앤베터 합환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쿠라리디놀을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3355A1 (es) * 2011-06-08 2012-12-20 Mafa Productos, S.A. Formulado a base de aceite de orujo de la oliva crudo o refinado, procedimiento de obtención y uso como pesticida.
CN102318590A (zh) * 2011-06-15 2012-01-18 中国计量学院 一种诱集缨小蜂寄生假眼小绿叶蝉的方法
KR101388636B1 (ko) * 2012-03-28 2014-04-2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자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라이족토니아 시리얼리스 또는 라이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한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 방법
CN104839192A (zh) * 2015-04-11 2015-08-19 中国计量学院 一种叶蝉三棒缨小蜂引诱剂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103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gi et al. Ecology and use of Lantana camara in India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102095537B1 (ko) 살균, 살충 및 식물 영양 성능을 보유한 친환경 작물 재배용 비료 조성물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CN103891495A (zh) 一种多元空间生态蓝莓种植模式
KR101371175B1 (ko) 개똥쑥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똥쑥 차의 제조방법
KR20110006400A (ko) 족도리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Vijayan et al. Cultivation of mulberry: an important genetic and economic source
KR101158364B1 (ko) 죽자초에서 분리한 해충살충조성물, 상기 해충살충조성물을 함유한 해충 방제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Thomas Agronomic practices for aromatic & medicinal plants
KR20070115155A (ko) 홍경천 재배방법
CN107567967A (zh) 一种羌活的培育方法
CN109497066B (zh) 植物体内输导的昆虫拒食剂15β-hydroxyklaineanone及应用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KR20220086721A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KR101537758B1 (ko) 초오, 고련피 및 소리쟁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20048671A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CN109662103A (zh) 一种防治果树轮纹病的复方生物农药制剂
Verma et al. Burans (Rhododendron arboreum Smith)
KR102120130B1 (ko) 머귀나무 및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비제
Patil Documentation of ITK practices and formulations used in organic farming as IPM in Nashik district of Maharashtra
KR102540101B1 (ko)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Bridgemohan Production and partitioning of dry matter in leren [Calathea allouia (Aubl.) Lind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