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849A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849A
KR20110039849A KR1020090096876A KR20090096876A KR20110039849A KR 20110039849 A KR20110039849 A KR 20110039849A KR 1020090096876 A KR1020090096876 A KR 1020090096876A KR 20090096876 A KR20090096876 A KR 20090096876A KR 20110039849 A KR20110039849 A KR 2011003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ouch
touch screen
coordinate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630B1 (ko
Inventor
남승현
Original Assignee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반도체(주) filed Critical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to KR1020090096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6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는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수직 교차되는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해당 스트립라인의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검출부 및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검출부에서 측정한 기준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의도되지 않은 좌표 이동 값을 측정하여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좌표 보정부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팜 터치, 펜 터치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Digital Apparatus for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mpensating its distorted coordinate Therefore}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및 이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같은 휴대용 소형 단말기 등의 디지털 기기는 그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만으로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터치 스크린이 도입되었다.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는 디지털 기기는 모니터로서의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에서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디지털 기기에 구비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 표면에 손이나 펜이 접촉되면, 이를 인지하여 접촉점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을 처리한다.
종래의 터치 스크린은 단일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에만 이를 인지하여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는 디지털 기기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둘 이상의 접촉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인지할 수 있는 멀티터치 스크린이 개발되었다.
멀티터치 스크린은 예를 들어,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구분된 상부기판, 상부기판의 스트립라인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구분된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성 도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저항막 방식에 의해 접촉 지점의 좌표를 계산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터치 스크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트립라인을 포함하는 상부기판(10)의 상단 전극(12)에는 수직 터치 감지부(220)가 접속되고, 복수의 스트립라인을 포함하는 하부기판(20)의 좌단 전극(22)에는 수평 터치 감지부(210)가 접속된다.
수평 터치 감지부(210)는 각각의 좌단 전극(22)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 스트립라인 터치 감지부(212)를 포함하고, 수직 터치 감지부(220)는 각각의 상단 전극(12)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직 스트립라인 터치 감지부(222)를 포함한다.
한편, 상부기판(10)의 하단 전극(14)에는 수직 좌표 연산부(240)가 접속되고, 하부기판(20)의 우단 전극(24)에는 수평 좌표 연산부(230)가 접속된다.
스크린에 접촉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일 예로서 상단 전극(12)을 접지단자(VSS)에 접속하고, 좌단 전극(22)을 풀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접지 상태의 상부기판(10)과 풀업 상태의 하부기판(20)이 접촉되어, 하부기판(20)의 전위가 접지 상태 즉, 논리적 로우(low) 상태로 변화된다. 이러한 물리적 변화에 의한 전기적 변화 상태 변화는 수평 터치 감지부(210)에서 감지되고, 전기적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수평 좌표 연산부(230) 및 수직 좌표 연산부(240)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진 접촉점을 검출한다.
아울러, 상부기판(10) 및 하부기판(20)이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복수의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에도 각 스트립라인별 접점 저항 측정에 의해 복수의 접촉점을 각각 개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단일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의 좌표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그리드 셀에 터치가 감지되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고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해당 스트립라인이 식별된다. 터치 지점(P(x,y))의 x축 좌표를 추출하기 위해, 터치가 감지된 수평 스트립라인(20A)의 전극(22A, 24A) 중 어느 하나에 기준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은 접지 단자(VSS)에 접속한다. 아울러, 터치가 감지된 수직 스트립라인(10A)의 전극(12A, 14A) 중 어느 하나는 플로팅(floating) 상태로 만들고 나머지 전극에는 저항 추출 회로를 연결한다. 저항 추출 회로에서는 제 3 저항(R3)과 제 4 저항(R4)의 전압 비율에 의해 x축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y축 좌표를 추출하기 위해 터치가 감지된 수직 스트립라인(10A)의 전극(12A, 14A) 중 어느 하나에 기준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은 접지한다. 아울러, 터치가 감지된 수평 스트립라인(20A)의 전극(22A, 24A) 중 어느 하나는 플로팅 상태로 만들고 나머지 전극에 저항 추출 회로를 접속한다. 저항 추출 회로에서는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의 전압 비율, 또는 시간 지연의 비율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y축 좌표를 검출하게 된다.
복수의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에도,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 접촉점의 2차원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경우, 분리된 스트립라인에 의한 검출 방식에 의해 복수의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에도 각 접촉점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멀티터치 스크린 상에 의도된 터치와 의도되지 않은 터치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타이저 작업을 위해 멀티터치 스크린 상에 손을 올려 놓고 터치펜으로 작업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손에 의한 터치(이하, 팜(palm) 터치)가 입력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펜 터치 및 팜 터치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펜 터치(P(x,y))와 함께 팜 터치(A)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펜 터치(P(x,y))가 발생한 수평 및 수직 스트립라인은 팜 터치(A)가 발생한 수평 및 수직 스트립라인과 독립적이다. 즉, 팜 터치(A)가 발생한 수평 및 수직 스트립라인의 저항 변화는 펜 터치(P(x,y))가 발생한 수평 및 수직 스트립라인의 저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4는 펜 터치 및 팜 터치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3과 비교하면, 펜 터치(P(x,y))가 발생한 부분의 수평 스트립라인(X)은 팜 터치(A)가 발생한 부분 스트립라인과 독립적이나, 펜 터치(P(x,y))가 발생한 부분의 수직 스트립 라인(Y)은 팜 터치(A)가 발생한 부분의 스트립라인과 중첩된다.
이 경우, 팜 터치(A)에 의해 병렬 기생 저항이 발생하고, 이러한 기생 저항 성분에 의해 실제 펜 터치(P(x,y))의 좌표 연산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 비해 코일이나 전용 펜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는 반면, 입력 도구가 펜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팜 터치 등 의도되지 않은 입력 신호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더욱이, 최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전자 책, 전자 노트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책에 밑줄을 긋거나 필기를 하는 경우, 팜 터치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팜 터치에 의해 스트립라인의 저항이 변하게 되면, 펜 터치 좌표를 정확히 연산할 수 없고, 사용자가 의도한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펜 터치와 함께 의도되지 않은 입력 신호가 인가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좌표를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및 이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터치 발생시 사용자가 의도한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및 이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는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수직 교차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해당 스트립라인의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검출부; 및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기준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좌표 보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트립라인에 접속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와 접속되는 좌표 보정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에서의 좌표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좌표 보정부가 상기 스트립라인의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좌표 보정부가 상기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인터럽트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인터럽트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펜 터치와 함께 팜 터치가 발생하여 펜 터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팜 터치에 의한 기생 성분을 바탕으로 펜 터치의 좌표를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에서의 입력 신호에 대한 감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한 작업을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120)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로서, 터치 스크린(120)은 예를 들어 멀티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터치 감지부(130) 및 좌표 연산부(140)에서 검출된다.
터치 스크린(12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트립라인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터치 감지부(130) 및 좌표 연산부(140)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접촉이 발생한 스트립라인을 식별하고, 접촉점에 대한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터치 스크린(120)의 구성과 좌표 검출 방식은 일 예일 뿐이며, 다중 접촉점 검출기능이 있는 모든 가능한 멀티터치 스크린 및 좌표 검출 방식을 도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기기(100)는 검출부(150) 및 좌표 보정부(160)를 포함한다. 검출부(150)는 터치 스크린(120)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해당 스트립라인을 접지단자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한편, 좌표 보정부(160)는 터치 스크린(120)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 검출부(160)로부터 기준노드의 전압을 입력받고, 기 설정되어 있는 기준노드의 전압(기준전압)과 터치 발생시 추출한 기준노드의 전압(인터럽트 전압)을 비교함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의도되지 않은 터치가 발생한 경우, 이에 따라 변화된 저항값을 기초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검출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출부(150)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트립라인과 접지 단자(VSS) 간에 접속되는 제 1 스위치(SW1), 스트립라인과 기준저항(Rref) 간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치(SW2), 기준저항(Rref)에 인가되는 전압 즉, 기준 노드(K)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부(150)는 수평 스트립라인 및 수직 스트립라인에 각각 접속되거나, 또는 수평 스트립라인과 수직 스트립라인이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0)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해당 접촉점의 좌표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제 1 스위치(SW1)를 온(on) 상태로 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오프(off)한다. 즉, 접촉점의 좌표 연산시에는 해당 스트립라인의 일 전극을 접지단자로 연결하고 타 전극에 특정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 구배 방식에 의해 접촉점의 좌표를 계산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20)에 의도되지 않은 접촉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 1 스위치(SW1)를 오프(off)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on)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노드(K)에 인가되는 전압과 터치가 발생한 경우 기준노드(K)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좌표 보정부의 구성도이다.
좌표 보정부(160)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준전압 판단 모듈(162), 인터럽트 전압 판단 모듈(164), 비교 모듈(166) 및 보정 모듈(168)을 포함한다.
기준전압 판단 모듈(162)은 터치 스크린에 어떠한 접촉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도 6에 도시한 제 1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기준노드(K)의 전압(Vr)을 측정한다. 한편, 인터럽트 전압 판단 모듈(164)은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도 6에 도시한 제 1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측정한 기준 노드(K)의 전압(Vr')을 측정한다.
비교 모듈(166)은 기준전압(Vr)과 인터럽트 전압(Vr')의 차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ΔV)보다 큰지 확인하여, 문턱값보다 큰 경우 의도되지 않은 터치에 의해 의도된 터치가 영향을 받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펜 터치가 발생한 수평 또는 수직 스트립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팜 터치가 발생한 수평 또는 수직 스트립라인이 중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정 모듈(168)은 좌표 연산부에서 계산한 실제 좌표에 대하여, 의도되지 않은 터치에 의해 발생된 기생성분에 의한 전압값을 기초로 하여 좌표를 보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좌표 보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표 보정부(160)의 기준전압 판단 모듈(162)은 먼저,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검출부(150)의 제 1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기준노드(K)에 인가되는 전압(Vr)을 측정한다(S10).
그리고, 터치가 발생한 경우, 좌표 보정부(160)의 인터럽트 전압 판단 모듈(164)은 검출부(150)의 제 1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기준노드(K)에 인가되는 전압(Vr')을 측정한다(S20).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펜 터치(P(x,y))와 팜 터치(A)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펜 터치(P(x,y))가 발생한 부분의 수평 스트립라인(X)은 팜 터치(A)가 발생한 부분 스트립라인과 독립적이나, 펜 터치(P(x,y))가 발생한 부분의 수직 스트립 라인(Y)은 팜 터치(A)가 발생한 부분의 스트립라인과 중첩된다.
이 경우, 팜 터치(A)에 의해 병렬 기생 저항이 발생하고, 이러한 기생 저항 성분에 의해 실제 펜 터치(P(x,y))의 좌표 연산시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펜 터치(P(x,y))와 팜 터치(A)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 검출부(150)의 제 1 스위치(SW1)를 오프하고, 제 2 스위치(SW2)를 온 상태로 하여, 기준노드(K)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좌표 보정부(160)의 비교 모듈(166)은 어떠한 접촉도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준노드(K)의 전압, 즉 기준전압(Vr)과, 터치가 발생한 경우 기준노드(K)의 전압, 즉 인터럽트 전압(Vr')의 차이(Vr-Vr')를 기 설정된 문턱값(ΔV)과 비교한다(S30).
단계 S30의 비교 결과, 기준전압(Vr)과 인터럽트 전압(Vr')의 차이가 문턱값(ΔV)보다 큰 경우, 비교 모듈(166)은 펜 터치(P(x,y))의 좌표 산출에 영향을 주는 팜 터치(A)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 1 스위치(SW1)를 온 상태로 하여 산출한 펜 터치(P(x,y))의 Y축 좌표(Vy')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좌표 보정부(160)의 보정 모듈(168)은 인터럽트 전압(Vr')에 대한 기준전압(Vr)의 비율에 따라 Y축 좌표(Vy')를 보정하여, 보정된 Y축 좌표(Vy)를 산출한다(S40). 즉, 인터럽트 전압(Vr')에 대한 기준전압(Vr)의 비율을 r이라 할 때, 보정된 Y축 좌표(Vy)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Vy = (1-r) + rVy'
한편, 단계 S30의 판단 결과, 펜 터치(P(x,y))의 좌표 산출에 영향을 주는 팜 터치(A)가 존재하지 않거나, 펜 터치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좌표 연산부에서 직접 좌표를 연산한다(S50).
이상의 설명에서는 Y축 방향으로 팜 터치가 존재하여 펜 터치의 좌표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X축 방향으로 발생한 팜 터치에 의해 펜 터치의 X축 좌표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기준노드의 전압을 측정하고 좌표를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발생하는 복수의 접촉점을 인식할 수 있는 멀티터치 스크린으로 발전하였다.
이 경우 의도되지 않은 터치에 의해 의도된 터치의 좌표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팜 터치와 같은 의도되지 않은 터치가 펜 터치와 같은 의도된 터치의 좌표 연산에 영향을 주는 경우, 기 생 성분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의도된 터치의 좌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작업을 오동작 없이 수행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터치 스크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단일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의 좌표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펜 터치 및 팜 터치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펜 터치 및 팜 터치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검출부의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좌표 보정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좌표 보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디지털 기기 110 : 제어부
120 : 터치 스크린 130 : 터치 감지부
140 : 좌표 연산부 150 : 검출부
160 : 좌표 보정부

Claims (11)

  1. 복수의 스트립라인으로 수직 교차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해당 스트립라인의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검출부; 및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기준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좌표 보정부;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접촉점의 좌표 연산을 위해 해당 스트립라인을 접지단자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스트립라인과 접지 단자 간에 접속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스트립라인과 기준저항 간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보정부는,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한 기준노드의 전압을 비교하여, 의도되지 않은 접촉점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의도되지 않은 접촉점에 의해 상기 기준노드의 전압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여 변화된 경우 상기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스트립라인과 기준저항 간에 접속되는 스위치 및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 보정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측정하는 기준전압 판단 모듈;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인터럽트 전압 판단 모듈;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인터럽트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의도되지 않은 접촉점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비교 모듈의 판단 결과 상기 의도되지 않은 접촉점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보정 모듈;
    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전압에 대한 상기 기준전압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
  7.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트립라인에 접속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와 접속되는 좌표 보정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에서의 좌표 보정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좌표 보정부가 상기 스트립라인의 기 설정된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좌표 보정부가 상기 기준노드에 인가되는 인터럽트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인터럽트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트립라인과 기준저항 간에 접속되는 스위치 및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압 및 인터럽트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여 상기 기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과 상기 인터럽트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전압과 인터럽트 전압의 차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전압과 인터럽트 전압의 차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터럽트 전압에 대한 상기 기준전압의 비율에 기초하여 좌표를 보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과 인터럽트 전압의 차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의도된 접촉점의 좌표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를 위한 좌표 보정 방법.
KR1020090096876A 2009-10-12 2009-10-1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KR10111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76A KR101112630B1 (ko) 2009-10-12 2009-10-1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76A KR101112630B1 (ko) 2009-10-12 2009-10-1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49A true KR20110039849A (ko) 2011-04-20
KR101112630B1 KR101112630B1 (ko) 2012-02-15

Family

ID=4404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76A KR101112630B1 (ko) 2009-10-12 2009-10-12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6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374A (ko) * 2012-12-28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좌표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CN110058734A (zh) * 2019-03-25 2019-07-26 深圳市德名利电子有限公司 基于类聚算法的触摸屏干扰处理方法、触摸屏及电子设备
CN117369669A (zh) * 2023-12-08 2024-01-09 深圳市华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编程触摸式能源开关面板的处理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2653B (zh) * 2018-04-26 2020-10-30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触碰定位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780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판넬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374A (ko) * 2012-12-28 2014-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좌표 산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CN110058734A (zh) * 2019-03-25 2019-07-26 深圳市德名利电子有限公司 基于类聚算法的触摸屏干扰处理方法、触摸屏及电子设备
CN110058734B (zh) * 2019-03-25 2022-03-22 深圳市德明利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类聚算法的触摸屏干扰处理方法、触摸屏及电子设备
CN117369669A (zh) * 2023-12-08 2024-01-09 深圳市华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编程触摸式能源开关面板的处理方法及系统
CN117369669B (zh) * 2023-12-08 2024-03-08 深圳市华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编程触摸式能源开关面板的处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630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3842B2 (en) Touch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stance between touch input points on touch panel
US9557849B2 (en) Touch panel and input recognition device using the touch panel
US83550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ordinates of simultaneous touches on a touch sensor pad
KR100921813B1 (ko) 터치 패널 장치 및 이의 접촉위치 검출방법
US8963859B2 (en) Edge grip detection method of a touch panel and a device using the same
US8159473B2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 point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10078400B2 (en) Touch sensor panel and method correcting palm input
US8487906B2 (en) Method for detecting a touched position on a touch device
US20110310064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20110199105A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ensor
JP2009048233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8319748B2 (en) Touch panel and output method therefor
US8624865B2 (en) Device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ouch point on a touch panel and a method thereof
KR20130136378A (ko) 기생 정전용량을 조정하는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30063370A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of a touch panel
US8390596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touch panel
KR2012007602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112630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지털 기기와, 이를 위한 터치 좌표 보정 방법
US96127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TWI389023B (zh) 電阻式觸控面板及其接觸點偵測方法
US10990236B2 (en) Methods for two-touch detection with resistive touch sensor and related apparatuses and systems
US20160188104A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US9235310B2 (en) Apparatus to detect dual gesture on a resistive screen
JP2994155B2 (ja) 抵抗膜方式タブレット
KR20120029210A (ko)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데이터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