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480A -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480A
KR20110038480A KR1020090095787A KR20090095787A KR20110038480A KR 20110038480 A KR20110038480 A KR 20110038480A KR 1020090095787 A KR1020090095787 A KR 1020090095787A KR 20090095787 A KR20090095787 A KR 20090095787A KR 20110038480 A KR20110038480 A KR 20110038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anion
cation
air
cluster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홍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Priority to KR102009009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480A/ko
Publication of KR2011003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 송풍기, 에어필터 및 송풍기와 에어필터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발생구동회로에 의해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클러스터, 음이온, 양이온, 이온발생기, 방전전극

Description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Ion generating drive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hereby}
본 발명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외부온도에 관계없이 실내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나 히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실내의 공조를 위한 에어컨디셔너(이항, "에어컨"이라 함)는 차량의 구동원인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며 차내를 냉방상태로 공기 조화시키는 쿨링유닛과 엔진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자동차 실내를 난방상태로 공기 조화시키는 히터유닛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냉·난방용 공기를 필터링하여 차실로 유입되게 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에어필터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은 에어필터를 교환 하기 전까지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곰팡이의 발생 등에 의하여 악취가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에어컨의 동작시 증발기 코어에서 발생되는 습기로 인하여 증발기 코어의 표면에는 곰팡이나 세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성분이 실내로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이러한 악취 및 오염물질로 인한 공기의 오염에 의하여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불쾌감 및 각종 질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이온발생장치가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을,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양이온으로서의 H+(H2O)m과 음이온으로서의 O2-(H2O)n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 공기의 질 개선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과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들 이온을 공기 중으로 송출하면 이들 이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공기를 부유 세균이 없는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개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과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이 살 균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전극에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가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전리되어 양이온으로는 수소 이온 수화물 H+(H2O)m이 생성되고, 음이온으로는 산소 이온 수화물 O2-(H2O)n이 생성되어 음이온과 양이온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활성종인 수산기(OH)나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여 세균의 세포에서 수소 원자를 빼내 살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학반응은 산화 반응으로써 수산기(OH)에는 살균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의 근원이 되는 여러 가지 분자를 산화하여 무취화 하는 작용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이온발생장치는 공기 중의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나 공기조화기 등에 적용되어 가정은 물론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에는 클러스터(10∼150nm) 이온을 발생시켜 에어컨디셔너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공기 중으로 송출되는 이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을 통해 공기 중의 냄새입자를 분해시거나 공기 중의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온발생장치는 구성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 위치가 에어의 흐름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이 동일하더라도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량에는 차이가 있게 된다. 특히, 양이온의 발생량이 음이온의 발생량에 대하여 많게 되면 상당량의 양이온이 공기조화기의 증발기나 에어필터를 살균 처리한 후에도 소멸되지 않고, 차량의 실내까지 유입된다는 단점이 있어 차량의 실내 환경이 유해하게 조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온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양이온은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처리하는 데에는 매우 효과적이나 인체의 체질을 산성화시키고 자율신경계의 이상을 유발하여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등 인체에 유해하다고 보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은 다량의 양이온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어 인체에 유해한 환경을 조성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인체와는 무관한 환경에서 다량의 양이온을 통해 세균과 곰파이를 살균 처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차량이나 가정용 공기청정기에서의 다량의 소멸하지 않고 유입되는 경우는 인체에 유해한 환경이 조성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양이온에 대한 인체의 노출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냄새입자나 곰팡이 및 세균의 살균을 통한 공기의 정화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존(O3)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방전전극 및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이온발생구동회로가 구 비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전방측에 동일 직선상 또는 일정각도의 범위로 설치되는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과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동일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 및 송풍기와 에어필터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발생구동회로에 의해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전방측에 동일 직선상 또는 일정각도의 범위로 설치되는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과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동일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냄새입자나 곰팡이 및 세균의 살균을 통한 공기의 정화를 극대화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존(O3)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원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과 음이온으로서 O2-(H2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양이온으로서의 H+(H2O)m과 음이온으로서 O2-(H2O)n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 공기의 질 개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양이온으로서 H+(H2O)m(m은 임의의 자연수)과 음이온으로서 O2-(HO)n(n은 임의의 자연수)을 발생키는 동시에 이들 이온을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이들 이온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활성종으로서의 과산화수소(H2O2) 또는 OH기(radical)에 의한 산화반응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공기를 부유 세균이 없는 건강에 이로운 것으로 개량할 수가 있다.
한편, 음이온과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이 살균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유전체를 교류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물 분자가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전리되어 양이온으로서는 수소 이온 수화물 H+(H2O)m 이 생성되고, 음이온으로서는 산소 이온 수화물 O2-(H2O)n이 생성된다. 이때, m과 n은 모두 임의의 자연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과 양이온이 공기 중의 부유 세균의 표면에 부착되면 활성종인 수산기(OH)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하여 세균의 세포에서 수소 원자를 빼내서 살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화학 반응은 산화 반응으로써 수산기(OH)에는 살균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포함되는 냄새의 근원이 되는 여러 가지 분자를 산화하여 무취화 하는 작용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이 온발생구동회로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에 대한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를 통해 시험한 제 1 시험 예를 보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서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한 양이온 방전전극의 설치를 통해 시험한 제 2 시험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전방측에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흐름과 동일방향의 일직선상 전방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각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한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 예는 도 3 에서와 같이 후방에 설치된 양이온 방전전극(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전방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설치하되 시험 Alt #3과 같이 공기의 흐름과 동일방향인 일직선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시험 Alt #1과 Alt #2과 같 이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이 전방에 설치되어지되 일정각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한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설치 예는 도 4 에서와 같이 후방에 설치된 음이온 방전전극(100a)으로부터 일정거리 전방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설치하되 시험 Alt #3과 같이 공기의 흐름과 동일방향인 일직선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시험 Alt #1과 Alt #2과 같이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전방에 설치되어지되 일정각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3 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음이온 방전전극(100a)이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비해 전방측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온발생구동회로(200)의 출력전압 인가에 의한 고전압의 펄스 방사시 음이온의 발생량이 양이온의 발생량에 비해 그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즉, 공기 중에 음이온의 분포가 양이온의 분포에 비헤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도 3 에서와 같이 음이온 방전전극(100a)이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비해 전방측에 설치되어 음이온의 발생량이 양이온의 방생량에 비해 그 발생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인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나 가정용 공기청정기 등에 적용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수 있다.
반면, 도 4 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비해 전방측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온발생구동회로(200)의 출력전압 인가에 의한 고전압의 펄스 방사시 양이온의 발생량이 음이온 의 발생량에 비해 그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즉, 공기 중에 양이온의 분포가 음이온의 분포에 비헤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도 4 에서와 같이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비해 전방측에 설치되어 양이온의 발생량이 음이온의 방생량에 비해 그 발생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양이온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가 있기 때문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비해 전방측에 설치된 구조의 이온발생장치는 인체와 직접적으로 무관한 장치 등에 적용함이 보다 양호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 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과 양이온 방전전극(100) 사이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된다. 물론,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전방측에 일정각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과 양이온 방전전극(100) 사이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전방측에 일정각도로 설치되는 경우 그 각도는 1∼75°범위의 각도로 설치되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은 동일 개수의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하나 설치되면 음이온 방전전극(100a) 역시 동일하게 하나를 설치하되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형상이 브러쉬, 판형핀 및 원통형핀 중 어느 하나이면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형상 역시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는 앞서 기술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2),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12)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4), 송풍기(1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16) 및 송풍기(14)와 에어필터(16)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발생구동회로(200)에 의해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에서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 관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서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 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에서도 마찬가지로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전방측에 동일 직선상 또는 일정각도의 범위로 설치되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과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된다.
또한,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개수 역시 동일 개수의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양이온 방전전극(100)이 하나 설치되면 음이온 방전전극(100a) 역시 동일하게 하나를 설치하되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형상이 브러쉬, 판형핀 및 원통형핀 중 어느 하나이면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형상 역시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것을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나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출력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이온발생구동회로(200)를 살펴보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차량용 직류전원, 예를 들어 DC 12V 라인을 타고 유입되는 외부 노이즈나 장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나 서지(Surge)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필터부(210),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입력 직류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파워 제어부(220), 직류전류가 코일에 유기되어 트랜지스터를 반복적으로 온/오프 구동하여 교류전원 생성용 발진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진부(230), 발진부(230)에서 생성된 발진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생성된 교류전원을 승압 트랜스포머(도시하지 않음)에서 정해진 권선비로 승압시키는 승압부(240), 트랜스포머를 통해 1차 승압된 전압을 이온 방전전극(100, 110a)을 구동하기에 충분한 크기, 예를 들어 3.5㎸로 배압하는 배압부(250), 전원단자의 극성이 반대로 연결되었을 때 회로의 회로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역전압 방지부(270), 입력측에서 정격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그 출력을 항상 일정하기 유지시키는 자동전압 보정부(280), 외부 회로에서 이상 현상 발생시 파워 제어부(22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이를 통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피드백 제어부(260) 및 전원 차단시 잔류 전류를 소모시켜 잔류 전류가 인체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류전류 소모부(290)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온발생구동회로(200)의 구성에서 필터부(210)는 예를 들어, 직류전원 입력용 커넥터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배리스터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리스터는 전원선을 타고 유입되는 정전기나 서지(surge)를 차단하여 후단의 회로소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역전압 방지부(270)는 이러한 배리스터에 병렬연결, 즉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순방향으로 접속되는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자칫 직류전원 입력용 커넥터에 전극(100, 100a)을 반대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후단의 회로소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파워 제어부(220)는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종속 접속된 2개의 트랜지스터 예를 들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PNP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NPN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파워 제어부(220)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는 (+)단자에 연결되고, 그 베이스 단자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되며, 그 콜렉터 단자는 후술하는 승압부의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연결된다. 이때,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는 접지되며, 그 베이스 단자는 후술하는 피드백 제어부(260)의 OP 앰프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승압부(240)는 승압 트랜스포머 및 이러한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그 콜렉터 단자가 연결되고, 그 에미터 단자는 전류제한 저항을 개재한 채로 접지되어 교류전원을 생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교류생성용 트랜지스터에서 생성된 교류전원이 승압 트랜스포머의 권선비에 따라 승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발진부(230)는 콘덴서 및 코일의 LC 병렬공진에 의해 발진하여 교류생성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주기적인 발진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교류생성용 트랜지스터가 주기적으로 온 및 오프되어 교류전원이 생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피드백 제어부(260)는 비교기로 동작하는 OP 앰프, 분압 저항, 출력 안정화용 제너 다이오드와 콘덴서, 스피드업 콘덴서 및 전류제한 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피드백 제어부(26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OP 앰프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전류제한 저항을 개재하여 분압 저항의 접속점에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자는 승압부(240)의 1차측 전원단에 연결되며, 그 출력단자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는데,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위해 그 출력단자에는 제너 다이오드와 콘덴서가 연결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압부(240)의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소정의 기준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OP 앰프의 출력단자가 고전위가 되어 NPN 형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결과적으로 PNP형 트랜지스터도 턴온되어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입력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만 기준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OP 앰프의 출력단자가 저전위가 되어 NPN형 트랜 지스터를 턴오프시키고, 이에 따라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입력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온발생회로의 동작이 정지된다.
다음으로, 자동전압 보정부(280)는 저항, 제너 다이오드 및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너 다이오드의 정전압 유지 기능에 의해 높은 입력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교류생성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항상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게 되어 교류생성용 트랜지스터의 출력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배압부(250)는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배압회로로 구성되어 승압부(240)의 승압 트랜스포머에 의해 승압된 교류전원을 이온방전전극(100, 100a)을 구동하기에 적당한 크기, 예를 들어 3.5㎸ 만큼 배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잔류전류 소모부(290)는 최종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으로 구현되어 전원차단시 잔류전류를 소모시켜 잔류전류가 인체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시키게 되면, 12V의 차량용 직류전원이 본 발명의 이온발생구동회로(200)에 공급되게 되고, 승압부(240)의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OP 앰프의 출력단에서 고전위가 출력되어 NPN형 트랜지스터 및 PNP형 트랜지스터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류가 발진부(230)의 코일에 유기된 후 콘덴서와의 LC 병렬공진에 의해 발진을 일으킴으로써 승압부(240)의 교류생성용 트랜 지스터가 주기적으로 온 및 오프를 반복하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교류전원이 승압 트랜스포머에 공급되어 적절하게 승압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렇게 승압된 교류전원이 배압부(250)에 의해 적절하게 배압되어 이온방전전극(100, 100a)을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승압부(240)의 승압 트랜스포머의 1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이상 상태에서는 OP 앰프의 출력단에서 저전위가 출력되어 NPN형 트랜지스터 및 PNP형 트랜지스터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발진부(230) 및 승압부(240)에는 직류전원이 공급되지 않아서 이온발생구동회로의 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시험 예 1]
시험 예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구성하는 송풍기(14)와 에어필터(16)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하여 전방측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설치하였다. 이때,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한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 예에서 Alt #1과 Alt #2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각각 45°와 15°의 각도로 설치하고, Alt #3의 경우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공기의 흐름과 동일방향인 일직선상에 설치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량을 살펴보았다. 이때, 시험 조건으로 맑은 날씨에 실내온도 27℃, 실내습도 38% 및 항온 항습기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통해 비오는 날씨의 26℃, 실내습도 38% 및 항온 항습기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2와 같은 결과와 맑은 날씨의 실내온도 29℃, 실내습도 34% 및 항온 항습기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 예 2]
시험 예 2 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구성하는 송풍기(14)와 에어필터(16)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전방측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설치하였다. 이때,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한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설치 예에서 Alt #1과 Alt #2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각각 45°와 15°의 각도로 설치하고, Alt #3의 경우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공기의 흐름과 동일방향인 일직선상에 설치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통해 발생되는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량을 살펴보았다. 이때, 시험 조건으로 맑은 날씨에 실내온도 27℃, 실내습도 38% 및 항온 항습기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10)를 통해 비오는 날씨의 26℃, 실내습도 38% 및 항온 항습기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2와 같은 결과와 맑은 날씨의 실내온도 29℃, 실내습도 34% 및 항온 항습기를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 분
Alt #1 Alt #2 Alt #3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시험1
1회 39,783 26,190 13,593
(66)
41,246 20,253 20,993
(49)
40,846 21,106 19,740
(52)
2회 36,050 19,146 16,904
(53)
38,646 20,550 18,096
(53)
43,806 21,673 22,133
(49)
3회 35,846 20,414 15,432
(57)
38,730 17,516 21,214
(45)
44,410 20,890 23,520
(47)
평균 37,226 21,917 15,310
(59)
39,541 19,440 20,101
(49)
43,021 21,223 21,798
(49)



시험2
1회 33,890 42,063 -8,173
(124)
30,810 47,116 -16,306
(153)
32,656 48,230 -15,574
(148)
2회 32,880 44,103 -11,223
(134)
28,163 47,196 -19,033
(168)
29,346 48,130 -18,784
(164)
3회 30,796 34,980 -4,184
(114)
23,833 37,873 -14,040
(159)
28,896 40,533 -11,637
(140)
평균 32,522 40,382 -7,860
(124)
27,602 44,062 -16,460
(160)
30,299 45,631 -15,332
(151)

구 분
Alt #1 Alt #2 Alt #3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시험1
1회 24,583 13,943 10,640
(57)
28,866 10,863 18,003
(38)
29,094 11,020 18,074
(38)
2회 23,983 9,710 14,273
(40)
27,646 9,146 18,500
(33)
28,320 10,030 18,290
(35)
3회 25,683 9,563 16,120
(37)
23,693 8,886 14,807
(38)
31,066 9,896 21,170
(32)
평균 24,750 11,072 13,678
(45)
26,735 9,632 17,103
(36)
29,493 10,315 19,178
(35)



시험2
1회 29,196 27,043 2,153
(93)
26,220 23,130 3,090
(88)
27,293 29,096 -1,803
(107)
2회 24,936 27,226 -2,290
(109)
26,216 24,293 1,923
(93)
25,826 30,263 -4,437
(117)
3회 24,837 24,587 250
(99)
24,583 25,123 -540
(102)
28,407 30,437 -2,030
(107)
평균 26,323 26,285 38
(100)
25,673 24,182 1,491
(94)
27,175 29,932 -2,757
(110)

구 분
Alt #1 Alt #2 Alt #3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음이온
(N/CC)
양이온
(N/CC)
음-양
(비율%)



시험1
1회 36,160 17,776 18,384
(49)
36,056 12,920 23,136
(36)
44,146 15,566 28,580
(35)
2회 34,700 14,800 19,900
(43)
37,400 15,813 21,587
(42)
39,330 14,180 25,150
(36)
3회 34,775 14,186 20,589
(41)
35,013 15,726 19,287
(45)
38,946 14,530 24,416
(37)
평균 35,212 15,587 19,624
(44)
36,156 14,820 21,337
(41)
40,807 14,759 26,049
(36)



시험2
1회 24,786 28,276 -3,490
(114)
25,113 31,686 -6,573
(126)
29,410 34,360 -4,950
(117)
2회 30,706 30,696 10
(100)
29,816 33,310 -3,494
(112)
26,756 32,283 -5,527
(121)
3회 27,416 30,066 -2,650
(110)
27,976 31,726 -3,750
(113)
28,200 33,863 -5,663
(120)
평균 27,636 29,679 -2,043
(107)
27,635 32,241 -4,606
(117)
28,122 33,502 -5,380
(119)
전술한 바와 같은 표 1, 표 2 및 표 3 에서와 같이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전방측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설치하는 경우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전방측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음이온의 발생량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전방측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일직선상에 설치하는 경우가 일정각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음이온의 발생비도가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전방측에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설치하는 경우 양이온 방전전극(100)의 전방측에 음이온 방전전극(100a)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양이온의 발생량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양이온 방전전극(100)과 음이온 방전전극(100a)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양이온 방전전극(100)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100a)에 대하여 음이온 방전전극(100a)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100)을 전후로 설치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이온발생구동회로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서 양이온 방전전극에 대한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를 통해 시험한 제 1 시험 예를 보인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서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한 양이온 방전전극의 설치를 통해 시험한 제 2 시험 예를 보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12. 하우징
14. 송풍기 16. 에어필터
100. 양이온 방전전극 100a. 음이온 방전전극
200. 이온발생구동회로

Claims (10)

  1.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방전전극 및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이온발생구동회로가 구비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전방측에 동일 직선상 또는 일정각도의 범위로 설치되는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과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동일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6.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 및 상기 송풍기와 에어필터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이온발생구동회로에 의해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고전압의 펄스를 공기 중에 방사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이 구비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의 설치시 그 설치 위치를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을 일정거리 전방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발생빈도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은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인 일직선상으로부터 1∼75°범위의 전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 또는 음이온 방전전극에 대하여 전방측에 동일 직선상 또는 일정각도의 범위로 설치되는 상기 음이온 방전전극 또는 양이온 방전전극과의 거리는 5∼100mm 범위의 거리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방전전극과 음이온 방전전극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동일 개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0090095787A 2009-10-08 2009-10-08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10038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87A KR20110038480A (ko) 2009-10-08 2009-10-08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787A KR20110038480A (ko) 2009-10-08 2009-10-08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480A true KR20110038480A (ko) 2011-04-14

Family

ID=4404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787A KR20110038480A (ko) 2009-10-08 2009-10-08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4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54A1 (ko) * 2011-06-08 2013-03-28 (주)성창에어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WO2016200162A1 (ko) * 2015-06-09 2016-12-15 탁승호 냉방장치의 결로부위에 결로된 물을 전기분해 한 수소로 결로부위 곰팡이를 살균하는 냉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54A1 (ko) * 2011-06-08 2013-03-28 (주)성창에어텍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WO2016200162A1 (ko) * 2015-06-09 2016-12-15 탁승호 냉방장치의 결로부위에 결로된 물을 전기분해 한 수소로 결로부위 곰팡이를 살균하는 냉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1335B2 (en) Sterilizing method, sterilizing apparatus, and ai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2084027B1 (en) Ioniz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ing the same
WO2014041737A1 (ja) 空気清浄機
KR100606721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장치
KR102385525B1 (ko) 철도 차량용 객실 공기 살균 시스템
KR20120036214A (ko) 공기제균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방법
KR100745396B1 (ko) 차량용 클러스터 이온발생 구동장치
KR20110038480A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00129355A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01102B1 (ko)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6465B1 (ko) 직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077084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클러스터 이온발생장치
KR101297138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100968065B1 (ko) 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한 급기장치
KR101688627B1 (ko) 살균 장치
RU18321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CN2937895Y (zh) 空气净化空调
CN219947844U (zh) 一种车载空调滤芯用杀菌消毒装置
EP2036580B1 (en) Sterilizing apparatus
CN217636072U (zh) 一种可视化新型水离子发生器装置
CN218096450U (zh) 除菌净化装置和家用电器
CN2756231Y (zh) 自动空气消毒机
KR102385526B1 (ko) 철도 차량의 객실 공기 살균용 장치 클러스터
CN215002095U (zh) 一种空气净化消毒器
CN216244763U (zh) 一种壁挂式等离子体空气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