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365A -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 Google Patents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365A
KR20110038365A KR1020090095625A KR20090095625A KR20110038365A KR 20110038365 A KR20110038365 A KR 20110038365A KR 1020090095625 A KR1020090095625 A KR 1020090095625A KR 20090095625 A KR20090095625 A KR 20090095625A KR 20110038365 A KR20110038365 A KR 2011003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
extension
brake
carry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1873B1 (en
Inventor
이권희
유수필
양설민
김규남
장재오
김봉주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873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load carrier and a multi shock absorber for the same are provided to absorb impacts more effectively by selectively operating one or both of two springs. CONSTITUTION: A load carrier comprises a main body(150), a multi shock absorber(140), and wheels(160). The main body comprises a loading unit(151) in which objects are placed and a main frame(170) which supports the loading unit. The multi shock absorber is connected to a lower frame(172) and comprises first and second members that are mutually slide-coupled to implement double elastic support. The wheels are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multi shock absorber.

Description

하중물 운반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다중 완충장치{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for use

본 발명은 하중물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상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다중 완충장치와 제동장치가 구비된 하중물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carr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ad carrying device having multiple shock absorbers and a braking device for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일반적으로, 하중물 운반장치의 하나인 유모차는 어린이를 태우고 이동할 수 있는 운반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유모차는 놀이터, 차도, 인도, 골목 등 어느 곳에서나 어른들에 의해 밀거나 끌며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aby carriage, which is one of load carrying devices, refers to a vehicle that can carry and move a child. Such strollers are used by adults to push or pull in any place, such as a playground, driveway, sidewalk, alley.

도 1은 종래의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모차(10)는 지지프레임(20), 좌석(30), 손잡이(40), 앞바퀴(50), 뒷바퀴(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손잡이(40)와 결합되면서 상기 유모차의 이동을 위해 가압되는 힘을 지탱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연결되고 좌석(30)을 받쳐주며 유모차의 형태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유모차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앞바퀴(50)와 뒷바퀴(60)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baby carriage 10 is composed of a support frame 20, the seat 30, the handle 40, the front wheel 50, the rear wheel 60. And, the support frame 10 is coupled to the handle 40, the upper frame for supporting the force pressed for the movement of the stroller,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supports the seat 30 to form the shape of the stroller The lower frame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the main frame and supports the front wheel 50 and the rear wheel 60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baby carriage.

더욱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좌석(30)은 좌부와 등받이부를 갖춘 의자형이고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 범위 내에서 좌석이 베드 모양으로 변경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탑승 어린이의 안전을 더해주기 위한 팔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at 30 supported by the main frame is a chair type having a seat and a backrest, and the seat 30 is installed to be able to chan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n this way, the seat can be changed into a bed shape within the inclination angle range of the backrest part by enabl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part to be changed. In addition,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n armrest for adding a safety of the child riding.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어린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손잡이(40)에는 고무재질이나 스폰지성 재질의 보조재를 씌워 손의 편안함을 더해준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o a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child, the handle 40 is added to the rubber material or sponge-like auxiliary material to add hand comfort.

더욱이,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접이식 차양용 덮개를 설치하여 햇빛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거나 상기 차양용 덮개로 좌석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예상치 못한 비나 각종 먼지를 막을 수 있도록 했다. Furthermore, by installing a foldable sunshade cover at the top of the backrest part to protect the child from the sun or to completely surround the seat with the sunshade cover to prevent unexpected rain or various dust.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된 앞바퀴(50)는 방향전환축이 결합되어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뒷바퀴(6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유모차(10)의 하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 가능한 상기 앞바퀴(50)로는 상기 유모차(10)를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하고, 고정된 상기 뒷바퀴(60)로는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10)를 직진방향으로 보다 쉽게 이동 가능하게 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wheel 5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is rotated 360 degrees by combining the turning shaft and the rear wheel 60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of the baby carriage 10. Thus, the rotatable front wheel 50 allows the stroller 10 to be redirect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he fixed rear wheel 60 allows the user to view the stroller 10 in a straight direction. Easily moved.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유모차의 하부프레임에 착탈식의 시장용 배낭을 더하거나 상기 유모차의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부를 형성하여 접이식 기능을 더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In addition, recently, a removable market backpack is added to the lower frame of the baby carriage or a hing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main frame of the baby carriage to add a folding function to allow a user to use it more conveniently.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유모차를 사용자가 이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user uses the conventional stroller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의 유모차는 어린이의 무게를 견딜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프레임을 형성시켰기 때문에 도로의 요철부를 지날 때에 충격이 탑승 어린이에게 직접 전달되어 상기 탑승 어린이에게 불안감을 조성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strolle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child, the impac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oarding child when passing through the uneven part of the road, thereby creating anxiety for the boarding child. .

둘째, 상기 유모차를 너무 힘껏 밀어 가속이 붙었을 때 그대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어린이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children who ride in the stroller are always exposed to danger because they may lead to accidents when the stroller is pushed too hard and the acceleration is applied.

셋째, 상기 유모차를 경사로에 세워두었을 경우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가 잠시의 부주의로 손잡이를 놓게 되면 상기 유모차가 경사로를 따라 계속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경사로에서는 보다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Third, when the stroller is placed on the ramp, if the user holding the handle releases the handle inadvertently for a while, the stroller may continue to descend along the ramp, thus requiring more attention from the ramp.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격 흡수를 위한 다중 완충장치와 안전한 이동을 위한 제동장치를 구비한 하중물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ad carrying device having a multiple shock absorber for shock absorption and a braking device for safe moveme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중을 가진 대상물이 놓이도록 구비된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되,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끼움결합되며 2중으로 탄발지지되도록 구비된 다중 완충장치; 및 상기 완충장치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중물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loading unit and a main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object with a load; A multiple shock absorber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frame, the sliding unit being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support sliding in double; And it provides a load carrying device comprising a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ock absorber.

여기서, 상기 다중 완충장치는, 상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와, 하단부가 상기 바퀴의 회전지지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와, 상기 상부구속부와 상기 하부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하부구속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구비된 보조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multiple shock absorber, the first member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and the lower e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A second membe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upport part of the wheel and the other end slidably fit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 lower restrain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nfinement part and the lower constraining part to provide elastic support, and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nstrain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strain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It is preferred to include two springs.

또한, 상기 제2부재와 끼움결합된 상기 제1부재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기 전에는 상기 제1스프링이 작용하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을 시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스프링과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여유길이를 두고 배치된 상기 보조구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member is fitted with the second member is such that the first spring acts before receiving a certain load or more, and when the load is a certain load or more, the first extension is moved downwards and the second spr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auxiliary restraint portion disposed with a clearance length to act at the same time.

더욱이, 상기 제2스프링을 지지하는 상기 보조구속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프링의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auxiliary constrain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spring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first spr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ction of the first spring.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간의 끼움결합되는 내측공간에는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가 충진되는 댐핑실린더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damping cylinder is filled with a fluid to provide a damping force in an inner space fit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여기서, 상단부가 구조물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하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과 이어지는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상기 상부구속부와 상기 하부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하부구속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구비된 보조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member is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memb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member including an upper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on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A low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structure,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lower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 be slidably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Second member;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nfinement portion and the lower constraining portion to provide elastic support force; 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nstrain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strain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to provide elastic support force.

또한, 상기 다중 완충장치의 외관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 케이스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ylindrical c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elastic material surround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ple shock absorber.

더욱이, 하중을 가진 대상물이 놓이도록 구비된 로딩부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면서 하중물 운반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되는 힘을 지지하 기 위한 상부프레임에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진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회전지지부에 결합된 바퀴의 양측에 형성시킨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에 밀착되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가 제동되도록 브레이크 지지대에 고정된 브레이크용 패드를 포함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a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ing unit provided with the load-bearing object, and to slide the upper frame for supporting the force that is pressurized to move the load carrier.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handle fitted to the guide groove; And a friction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heel coupled to the rotation support part provided to support the wheel of the load carrying device, and a brake pad fixed to the brake suppo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to brake the load carrying devi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raking device composed of an operating unit including.

그리고,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는,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제1치형부품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운동이 되도록 형성된 손잡이의 양측 끝단에 결합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된 제2치형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operation unit of the braking device, the first tooth-shaped parts provided in the upper frame formed with a guide groove to enable the sliding movement; An operating shaf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and to be in a sliding motion;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toothed component coupled to the working shaft so that the working shaft is rotatable.

또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는, 상기 바퀴의 회전지지부에 고정되고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지지부와;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의 측면부에 형성된 마찰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제동을 주기 위한 브레이크용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rating unit of the brake device, the brake support portion is fixed to the rotational support portion of the wheel and installed to ope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 wire is pulled; A brake pad coupled to the brak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brake the load carrying devic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friction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wheel; Preferably, the brake support part includes a wire holder supporting a wire fixed to one side of the brake support part to ope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더욱이, 상기 제1치형부품과 상기 제2치형부품은 상기 손잡이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작동축의 상기 제2치형부품이 회전할 수 있도록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rst toothed part and the second toothed part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rack and pinion so that the second toothed part of the operating shaft can rotate while the handle is in sliding motion.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유모차가 정지시에 움직임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퀴의 마찰부에 밀착되어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용 패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ke pad is installed so that the operating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of the wheel so that the baby carriage does not move when stopp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하중물 운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load carr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상기 다중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상기 다중 완충장치가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놓인 하중물이 유아이면 상기 충격으로 인한 불안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하중물이 물품이면 상기 물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multiple shock absorber absorbs the shock that may occur during movement by installing the multiple shock absorber on the load transport device, if the load placed on the load transport device is an infant, it may prevent anxiety due to the shock. If the load is an article, damage to the article can be prevented.

둘째,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설치된 다중 완충장치는 2중 스프링 구조로 되어서 탄발지지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일정 이하의 하중에서는 하나의 스프링으로, 일정 이상의 하중에서는 두개의 스프링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이동시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multi-shock absorber installed in the load carrying device has a double spring structure and configured to act as a support for elasticity, one spring at a predetermined load or less and two springs are operated in sequence at a predetermined or more load. The impact from the generated road surface can be absorbed more effectively.

셋째,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는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형식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의 손잡이를 밀게 되면 제동이 풀려 상기 유모차를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손잡이를 놓게 되면 상기 손잡이가 자동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제동이 걸려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운반장치의 안전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 since the operation part of the brake device is formed on the handle of the load carrying device and is operated in a slide type, when the user pushes the handle of the stroller, the brake is released to move the stroller, and when the handle is released, the handle Since the braking is stopped on the load carrying device while automatically returning,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carrying device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는 상기 완충장치와 상기 제동장치가 함께 구 비되어 있어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놓인 하중물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였기 때문에 상기 운반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시장에서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shock absorber and the braking device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load carrying device, the safety of the load placed on the load carrying device and the ease of use can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It can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consumer purchasing power in the mark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물 운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load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는 유아나 물품 등의 하중을 가진 대상물을 싣고 이동하는 장치로서 유모차, 시장용 카트 등과 같이 내부의 일정 공간에 상기 대상물을 놓고 하부에 이동에 편리한 바퀴를 설치한 장치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상 유모차를 예로써 설명하며, 물론 본 발명이 상기 유모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load carrying device is a device for carrying an object having a load such as an infant or an article and moving the object in a predetermined space, such as a baby carriage, a market cart, and a device equipped with wheels that are convenient for movement in a lower portion. Say.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olle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물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d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물 운반장치(110)는 본체(150), 다중 완충장치(140) 및 바퀴(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2,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50, multiple shock absorber 140 and the wheel 160.

상세히, 상기 본체(150)는 하중을 가진 대상물이 놓이도록 구비된 로딩부(151)와 상기 로딩부(151)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222)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main body 150 includes a loading unit 151 provided to place an object having a load and a main frame 222 for supporting the loading unit 151.

여기서, 상기 로딩부(151)에는 유아나 물품 등 하중을 가진 대상물을 놓을 수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70)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70)은 사용자가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를 이동시키 위해 힘을 줄 수 있는 손잡이(175)가 형성된 상부프레임(171)과 연결되고, 상기 로딩부(151)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71)를 상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60)가 설치된 하부프레임(172)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oading unit 151 may place an object having a load such as an infant or an article and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170. In addition, the main frame 170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71 is formed with a handle 175 to force the user to move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the loading unit 151 While supporting the load carrying device 17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72, the wheel 160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in the direction to move.

예컨대, 상기 로딩부(151)에 유아를 놓을 수 있는 좌석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좌석은 좌부와 등받이부를 갖춘 의자형으로 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 범위 내에서 좌석이 베드 모양으로 변경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71)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175)에는 고무재질이나 스폰지성 재질의 보조재를 씌워 손의 편안함을 더해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eat for placing an infant is provided in the loading unit 151, the seat may be a chair having a seat and a backrest, and may be installed to chang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In this way, the seat can be changed into a bed shape within the inclination angle range of the backrest part by enabl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ackrest part to be changed. In addition, the handle 175 formed on the upper frame 171 may be covered with an auxiliary material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ponge material to add hand comfo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완충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완충장치(140)는 제1부재(210), 제2부재(220), 보조구속부(230), 제1스프링(240) 및 제2스프링(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member 210, the second member 220, the auxiliary restraint 230, the first spring ( 240 and the second spring 250.

여기서, 상기 제1부재(210)는 상기 메인프레임(17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딩부(151)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72)에 연결되되, 상기 제1부재(210)의 상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17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0)의 하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장부(210a)와 상기 제1연장부(210a)의 일단부에 상부구속부(2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member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72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70 to support the loading unit 151, the upper end of the first member 210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72. The lower end of the first member 2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art 210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restraining part 210b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10a. Do.

또한, 상기 상부구속부(210b)는 탄발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하부프레임(172)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는 탄성지지력이 직 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restraining portion 210b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lower frame 172 are connected to restrain the means for providing the elastic support force. Moreover, the means for providing the elastic support force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in which the elastic support force acts in a linear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부재(220)는 상기 제2부재(220)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160)의 회전지지부(295)와 연결되며 상기 제2부재(220)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210a)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2연장부(220b) 및 상기 제2연장부(220b)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구속부(2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member 220 has a lower end of the second member 220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part 295 of the wheel 16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ember 220 has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220b that is slidab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210a and a lower constraining part 220a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b.

예컨대, 상기 제2부재(220)에 형성된 제2연장부(220b)는 상기 제1부재(210)에 형성된 제1연장부(210a)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장부(220b)가 상기 제1연장부(210a)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구속부(220a)는 상기 제2부재(220)가 상기 바퀴(160)의 회전지지부(295)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b formed on the second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10a formed on the first member 210. It may be forme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one extending portion (210a), the lower constraining portion (220a)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second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of the wheel 160. .

여기서, 상기 바퀴(160)의 회전지지부(295)는 상기 바퀴(160)가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160)의 중심을 통과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바퀴의 중심에 삽입된 후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220)와 연결되는 지지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of the wheel 160 is formed with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heel 160 so that the wheel 160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wheel and is configured as a sup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220 while supporting the rotary shaft.

그러나, 상기 바퀴(160)의 회전지지부(295)는 상기 바퀴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앞바퀴 혹은 방향전환이 불가한 뒷바퀴에 따라 구조를 달리할 수 있는데, 상기 앞바퀴의 회전지지부(295)는 상기 제2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앞바퀴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하면서 상지 지지대와 결합된 방향전환축 및 상기 방향전환축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방향전환축의 일정부분에 양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향전환축의 일정부분에 양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 체인 상기 방향전환축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후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2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However,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of the wheel 160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depending on the front wheel which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heel or the rear wheel which cannot be change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of the front wheel is the second Is connected to the member 220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is enabled while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turning shaft and the turning shaft coupled to the upper support an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urning shaft in both directions It may be composed of a protruding axis of rotation. That is, wheel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turning shaft, and the supporting shaft is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220 after the rotating shaft and one chain of the turning shaft are coupled to the supporting member. Can be connected.

또한, 상기 뒷바퀴의 회전지지부(295)는 상기 제2부재(220)와 연결되어 상기 뒷바퀴를 지지하는 U자형 지지대와 상기 U자형 지지대의 일정부분에 상기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뒷바퀴에 상기 뒷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끝단을 U자형 지지대에 결합시킨 뒤 상기 제2부재(22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된 바퀴와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되지 않은 바퀴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된 바퀴를 뒷바퀴로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되지 않은 바퀴를 앞바퀴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of the rear wheel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220 is to be composed of a U-shaped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and a rotating shaft for rotating the rear wheel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shaped support. Can be. That is, the rotating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rear wheel to be rotatable, and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may be coupled to the U-shaped support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22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heel with the turning shaft and the wheel without the turning shaft, so that the wheel without the turning shaft is formed as the front wheel with the rear wheel.

한편, 상기 제1스프링(240)은 상기 제1부재(210)의 상기 상부구속부(210b)와 상기 제2부재(220)의 상기 하부구속부(220a)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2스프링(240)은 상기 제2부재(220)의 하부구속부(220a)와 상기 제2부재(220)의 상기 제2연장부(220b)에 구비된 보조구속부(230)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pring 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restraining portion 210b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lower restraining portion 220a of the second member 220 to provide elastic support. The second spring 240 is an auxiliary restraining part 230 provided in the lower restraining part 220a of the second member 220 and the second extending part 220b of the second member 220. It is interposed in between to provide support for the shot.

여기서, 상기 보조구속부(230)는 상기 제2부재(220)의 상기 제2연장부(220b)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2부재(220)와 끼움결합된 상기 제1부재(210)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기 전에는 상기 제1스프링(240)만 작용하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을 시에는 상기 제1연장부(210a)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스프링(250)과 동시에 작동하도록 여유길이를 두고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250)을 지지하는 상기 보조구속부(230)는 상기 제1스프링(240)이 하중을 받아 작용할 시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프링(240)의 내측에 배치된다.Here, the auxiliary constraining part 230 is fit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b of the second member 220 so that the first member 210 fitted with the second member 220 is fixed. Before receiving the above load, only the first spring 240 acts, and when the load exceeds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rst extension part 210a moves downward while operating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spring 250. Preferably disposed. In addition, the auxiliary restraint unit 230 supporting the second spring 25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pring 240 so that the first spring 240 is not disturbed when the first spring 240 operates under load.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0)의 제1연장부(210a)와 상기 제2부재(220)의 제2연장부(220b) 간의 끼움결합되는 내측공간에는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가 충진되는 댐핑실린더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luid is fill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in an inner space that is fit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10a of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b of the second member 220. Preferably, the damping cylinder is provided.

예컨대, 상기 상부구속부(210b)가 형성된 제1부재(210)에 상기 댐핑실린더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부재(220)의 제2연장부(220b)의 끝단에 피스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10a)와 상기 제2연장부(220b)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가 하중을 받아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2연장부(220b)에 결합된 피스톤이 가압되어 상기 제1부재(210)에 형성된 댐핑실린더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압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다중 와충장치(140)가 상기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좀더 원만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압력은 공기압이나 유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mping cylinder may be formed in the first member 210 having the upper constraining portion 210b to couple the piston to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0b of the second member 220. When the first shock absorber 210a and the second extender 220b are fitted to each other when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performs a sliding motion under load, the second extender 220b is coupled to the second extender 220b. The piston is pressurized to fill the damping cylinder portion formed in the first member 210 to receive the pressure. As a result, the multiple charging device 140 can more smoothly absorb the shock due to the load. Of course, the pressure may be formed by air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따라서,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20)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 뒤, 상기 제1부재(210)의 상기 상부구속부(210b)와 상기 제2부재(220)의 상기 하부구속구(220a) 사이에 제1스프링(240)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220)의 제2연장부(220b)에 구비된 보조구속부(230)와 상기 제2부재(220)의 상기 하부구속부(220a) 사이에 제2스프링(250)이 개재되어 2중의 탄발지지력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도록 구비된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를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를 설치하여 사용 함으로써 탑승된 하중물의 무게에 따라 적절하게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의 안정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fter the first member 210 and the second member 220 are fitted to allow the sliding movement, the upper restraining portion 210b and the second member 220 of the first member 210 are coupled. A first spring 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estraint holes 220a. In addition, a second spring 250 is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restraining part 230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220b of the second member 220 and the lower restraining part 220a of the second member 220. It is to install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is provided in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s provided so that the double support force is provided in sequence. As such, by installing and using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may be appropriately absorb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ed loa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load carrying device.

한편, 상기 바퀴(160)는 상기 완충장치(140)의 하단부에 상기 바퀴(16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상기 회전축을 포함한 상기 회전지지부(295)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wheel 160 is formed o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including the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wheel 1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ock absorber 140.

예컨대,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에 설치된 상기 바퀴(160)에 있어서, 앞바퀴는 상기 다중 완중장치(140)의 제2부재(220)에 연결된 회전지지부(295)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295)에는 방향전환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방향전환축의 일정부분에 양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각각 바퀴를 결합시켰다. 즉, 상기 앞바퀴는 두개의 바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295)의 방향전환축에 의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는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wheel 160 installed in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the front wheel is formed o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220 of the multi-duplex device 140,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t 295, the turning shafts are integrally formed to couple wheels to the rotating shafts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to a portion of the turning shaft. That is, the front wheel is formed of two wheels, by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295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s enabled to change the direction.

그러나,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의 뒷바퀴는 상기 회전지지부(295)에 바퀴가 형성되어 있지만 방향전환축이 없기 때문에 상기 뒷바퀴는 직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를 직진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직진방향으로 고정된 뒷바퀴로 인해 보다 쉽게 직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된 바퀴와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되지 않은 바퀴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된 바퀴를 뒷바퀴로 상기 방향전환축이 형성되지 않은 바퀴를 앞바퀴로 할 수도 있다.However, the rear wheel of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although the wheel is formed on the rotary support portion 295, because there is no direction change shaft, the rear wheel is fixed in a straight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n the straight direction, the rear wheel fixed in the straight direction can be moved more easily in the straight directio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heel with the turning shaft and the wheel without the turning shaft, so that the wheel without the turning shaft is formed as the front wheel with the rear wheel.

한편,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는 다양한 충격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조물의 프레임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그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may be used in the frame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affected by various impacts,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원통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 케이스가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의 외관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타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중 완충장치(140)의 작동시 상기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뤄진 원통 케이스로 인해 충격 흡수를 더욱 잘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ase to protect the appearance. Here, since the cylindrical case surrounds the exterior of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the cylindrical case may be protected from other substances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In addition, when the multiple shock absorber 140 is operated, the shock absorber may be better absorbed due to the cylindrical case made of the synthetic resin of the elastic materia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 조작부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brake opera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에는 하중물 운반시 안전성을 더해주기 위해 제동장치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120)는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의 상기 로딩부(151)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프레임(170)에 연결된 상기 상부프레임의 손잡이(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4,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braking device in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to add safety when carrying the load. Here, the operation unit 120 of the braking device includes a handle 175 of the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70 supporting the loading unit 151 of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여기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의 상기 로딩부(151)를 지지하는 상기 메인프레임(170)에 연결된 상기 상부프레임(171)은 상기 손잡이(175)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5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frame 171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70 supporting the loading unit 151 of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s a guide groove (S) to allow the handle 175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 350 is preferably formed.

그리고,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120)는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350)이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171)에 구비된 제1치형부품(31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120 of the braking device includes a first toothed part 310 provided in the upper frame 171 in which the guide groove 350 is formed to enable the sliding movement.

상세히, 제1치형부품(310)은 래크로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71)의 일측에 상기 래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치형부품(310)이 설치된 상부프레임(17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운동이 되도록 형성된 손잡이(175)의 양측 끝단에 결합된 작동축(330)과 상기 작동축(3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된 제2치형부품(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detail, the first tooth-shaped part 310 is preferably made of a rack and is configured by securing a space so that the rack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71. In addition, the operating shaft 330 and the operating shaft 33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175 formed to be in the sliding motion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171 in which the first toothed component 310 is installed are rotatable. And a second toothed component 340 coupled to the actuating shaft.

여기서, 상기 제2치형부품(340)은 상기 제1치형부품(310)인 래크와 맞물려 작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이 되고, 상기 피니언을 상기 손잡이(175)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작동축(330)에 설치함으로써 손잡이(175)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시켰을 때 상기 래크와 상기 피니언이 맞물려 작동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econd toothed part 340 is a pinion so as to operate in engagement with the rack which is the first toothed part 310, the pinion to the operating shaft 330 formed on both ends of the handle 175 When installed, the rack and the pin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handle 175 is pressed to perform a sliding motion.

더욱이, 상기 손잡이(175)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작동축(330)에는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와 연결된 와이어(19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175)가 가압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190)가 당겨져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handle 175 is formed on the operating shaft 330 formed at both ends of the handle 175 to form a fixing part to which the wire 190 connected to the operating part 130 of the brake device can be fixed. As the sliding movement forward, the wire 190 is preferably pulled so that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can be operated.

상세히, 상기 와이어(190)는 상기 와이어(190)의 일측이 상기 작동축(33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상기 바퀴의 회전지지부에 설치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에 연결된다.In detail, the wire 190 has one side of the wire 190 is fixed to the operating shaft 330, the other side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installed on the rotation support of the wheel. do.

한편, 상기 와이어(190)는 합성수지로된 피복을 씌워 상기 와이어(19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90)가 상기 손잡이(175)를 포함하는 상기 조작부(120)에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로 연결될 시 상기 와이어(190)가 상기 상부 프레임(171), 메인 프레임(170) 및 하부 프레임(17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 결속부(19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 190 is covered with a synthetic resin to protect the wire 190 and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braking device in the operation unit 120, the wire 190 includes the handle 175. When connected to 130, it is preferable to form a wire binding unit 191 so that the wire 190 may be fixed to the upper frame 171, the main frame 170, and the lower frame 17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 작동부의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brake oper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는 상기 바 퀴(160)의 양측에 형성된 마찰부(440)와 상기 마찰부(440)와 밀착되어 상기 하중물 운반체(110)가 제동되도록 브레이크 지지대(410)에 결합된 브레이크용 패드(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and 5,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e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unit 440 and the friction unit 44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heel 160 and the load carrier ( And a brake pad 480 coupled to the brake support 410 to brake 110.

상세히,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는 상기 브레이크용 패드(480)가 상기 바퀴(160)의 측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퀴의 마찰부(440)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브레이크용 패드(480)가 결합된 브레이크 지지대(410)가 상기 바퀴(160)의 회전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90)가 당겨지고 풀리면서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190)를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홀더(4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In detail,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is such that the brake pad 48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heel 1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440 of the wheel, and the brake pad 480. Is coupled to the brake support 410 is fixed to the rotation support of the wheel (160). Accordingly, the wire 190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holder 460 supporting the wire 190 so that the brake support 410 can be operated while being pulled and released.

예컨대,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는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의 뒷바퀴에 형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회전지지부는 U자형 회전지지부(490)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U자형 회전지지부(490)와 이와 결합된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의 구조를 같이하여 앞바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may be formed on the rear wheel of the load carrier 110, the rotation suppo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U-shaped rotation support (490). Of course, the U-shaped rotary support 490 and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coupled thereto may be formed in the front wheel.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는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의 일정부분에 고정용 볼트(450)를 이용하여 상기 U자형 회전지지부(490)에 고정시키되 상기 손잡이(175)가 가압되어 상기 와이어(190)가 당겨졌을 때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rake support 410 is fixed to the U-shaped rotation support 490 using a fixing bolt 450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rake support 410, the handle 175 is pressed to the wire ( When the brake 190 is pulled, the brake support 410 is formed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더욱이,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19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와이어 고정용 볼트(451)를 결합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의 타측에는 상기 와이어 홀드(460)를 결합시켜 상기 와이어(190)에 의해 상기 브레이 크 지지대(410)가 상기 바퀴(160)의 양측에서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120)에 의해 와이어(910)가 당겨졌을 때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410)의 일측에 상기 와이어 고정용 볼트(451)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190)가 당겨지면서 상기 와이어(190)가 상기 와이어 홀드(460)에 동시에 걸리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U자형 회전지지부(490)에 형성된 브레이크 지지대(410)가 좌우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wire fixing bolt 45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rake support 410 so that the wire 190 is fixed, and the wire hold 46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ke support 410. The wire support 190 allows the brake support 410 to simultaneously operate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both sides of the wheel 160. That is, when the wire 910 is pulled by the operation unit 120, the wire 190 fixed by the wire fixing bolt 451 is pulled to one side of the brake support 410 while the wire 190 is pulled. Since the brake holder 460 is installed to the wire hold 460 at the same time, the brake support 410 formed on the U-shaped rotation support part 490 ope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를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할 때 상기 손잡이(175)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190)를 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당겨진 와이어(190)는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130)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작동부(130)의 브레이크 지지대(410)를 좌우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패드(480)가 상기 바퀴(160)의 마찰부(440)에서 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the manipulation unit 120 of the braking device pulls the wire 190 while the handle 175 slides forward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move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n addition, the pulled wire 19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30 of the braking device to operate the brake support 410 of the operation unit 1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brake pad 480 is the wheel ( It is to fall from the friction portion 440 of 160.

이와 같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가 이동할 때에는 손잡이(175)가 전방으로 밀려지면서 상기 와이어(190)가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당겨지는 와이어(190)로 인해 상기 작동부(130)의 상기 브레이크 패드(480)가 상기 바퀴(160)의 마찰부(440)에서 떨어지게 되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가 정지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480)가 상기 바퀴(160)의 마찰부(440)에 밀착되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110)가 저절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moves, the brake 175 of the operating unit 130 is moved due to the wire 190 being pulled because the handle 175 is pushed forward. The pad 480 is separated from the friction portion 440 of the wheel 160 to allow the load carrying device to move. In addition, when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is stopped, the brake pad 4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440 of the wheel 160 so that the load carrying device 110 does not move by itsel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물 운반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d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완충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l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 조작부의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braking devic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 작동부의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brake oper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하중물 운반장치 120: 조작부110: load carrying device 120: control panel

130: 작동부 140: 다중 완충장치130: operating unit 140: multiple shock absorber

150: 본체 151: 로딩부150: main body 151: loading unit

160: 바퀴 170: 메인프레임160: wheel 170: mainframe

171: 상부프레임 172: 하부프레임171: upper frame 172: lower frame

210: 제1부재 210a: 제1연장부210: first member 210a: first extension portion

210b: 상부구속부 220: 제2부재210b: upper constraining portion 220: second member

220a: 하부구속부 220b: 제2연장부 220a: lower constraining portion 220b: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보조구속부 295: 회전지지부230: auxiliary restraint portion 295: rotation support portion

310: 제1치형부품 330: 작동축310: first tooth part 330: working shaft

340: 제2치형부품 350: 가이드 홈340: second tooth part 350: guide groove

410: 브레이크 지지대 440: 마찰부410: brake support 440: friction

460: 와이어 홀드 480: 브레이크용 패드460: wire hold 480: brake pad

Claims (12)

하중을 가진 대상물이 놓이도록 구비된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A main body including a loading part provided to place an object having a load and a main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ing part;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되,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끼움결합되며 2중으로 탄발지지되도록 구비된 다중 완충장치; 및A multiple shock absorber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main frame, the sliding unit being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support sliding in double; And 상기 완충장치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중물 운반장치. Load carrying device comprising a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ock absor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중 완충장치는, The multiple buffer device, 상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와, A first member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art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and having a lower e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restrain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하단부가 상기 바퀴의 회전지지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와, A second membe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art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a rotational support part of the wheel and the other end being slidably fit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restrain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Wow, 상기 상부구속부와 상기 하부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restraint part and the lower restraint part to provide elastic support; 상기 하부구속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구비된 보조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estraint part and the auxiliary restraint part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to provide elastic support for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부재와 끼움결합된 상기 제1부재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기 전에는 상기 제1스프링이 작용하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하중을 받을 시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스프링과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여유길이를 두고 배치된 상기 보조구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The first member, which is fitted with the second member, allows the first spring to act before receiving a predetermined load or more, and simultaneously acts with the second spring while the first extension moves downward when the load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load or more. Load carr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the auxiliary restraint portion disposed to have a length to spar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스프링을 지지하는 상기 보조구속부는 상기 제1스프링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프링의 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The auxiliary constraining part supporting the second spring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pr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ction of the first spring.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간의 끼움결합되는 내측공간에는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가 충진되는 댐핑실린더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And a damping cylinder portion in which fluid is fill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in an inner space fit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상단부가 구조물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A first member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art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 frame of the structure and having a lower e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restrain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하단부가 상기 구조물의 프레임과 이어지는 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구속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A low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a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structure,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lower restraining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 be slidably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Second member; 상기 상부구속부와 상기 하부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A firs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onfinement portion and the lower constraining portion to provide elastic support force; And 상기 하부구속부와 상기 제2연장부에 구비된 보조구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탄발지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완충장치. 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onstraining part and the auxiliary constraining part provid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to provide elastic suppor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다중 완충장치의 외관을 감싸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통 케이스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완충장치.Multiple shock absor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case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elastic material surrounding the appearance of the multiple shock absorbers. 하중을 가진 대상물이 놓이도록 구비된 로딩부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에 연결되면서 하중물 운반장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되는 힘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에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진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작부; 및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ing unit provided to place the load-bearing object to slide the upper frame for supporting the force that is pressed to move the load carrying device, An operation unit including a handle fitted in the guide groove; And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의 바퀴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회전지지부에 결합된 바 퀴의 양측에 형성시킨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에 밀착되어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가 제동되도록 브레이크 지지대에 고정된 브레이크용 패드를 포함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중물 운반장치.A friction pad formed on both sides of a wheel coupled to a rotation support part provided to support the wheel of the load carrying device, and a brake pad fixed to the brake suppo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rt to brake the load carrying device; Load carrying device comprising a braking device consisting of an operating unit includ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동장치의 조작부는, The operation unit of the braking device,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된 제1치형부품과;A first tooth-shaped part provided in the upper frame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to allow sliding motion; 상기 상부프레임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운동이 되도록 형성된 손잡이의 양측 끝단에 결합된 작동축과; An operating shaf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and to be in a sliding motion; 상기 작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축에 결합된 제2치형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And a second tooth-shaped part coupled to the working shaft such that the working shaft is rotatabl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동장치의 작동부는, The operating part of the braking device, 상기 바퀴의 회전지지부에 고정되고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 지지부와;A brake support part fixed to the rotation support part of the wheel and installed to operat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s the wire is pulled;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의 측면부에 형성된 마찰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하중물 운반장치에 제동을 주기 위한 브레이크용 패드와; A brake pad coupled to the brake support part and configured to brake the load carrying devic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 friction part formed at a side of the wheel; 상기 브레이크 지지부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지지대 의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And a wire holder for supporting the wire fixed to one side of the brake support to operate the brake suppo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치형부품과 상기 제2치형부품은 상기 손잡이가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상기 작동축의 상기 제2치형부품이 회전할 수 있도록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And said first toothed part and said second toothed part are provided with a rack and pinion so that said second toothed part of said operating shaft can rotate while said handle is slid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작동부는 상기 유모차가 정지시에 움직임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퀴의 마찰부에 밀착되어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용 패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물 운반장치.The operation unit is a load carr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stalling the brake pa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ortion of the wheel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by carriage is stopped.
KR1020090095625A 2009-10-08 2009-10-08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KR101131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25A KR101131873B1 (en) 2009-10-08 2009-10-08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25A KR101131873B1 (en) 2009-10-08 2009-10-08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65A true KR20110038365A (en) 2011-04-14
KR101131873B1 KR101131873B1 (en) 2012-04-05

Family

ID=4404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25A KR101131873B1 (en) 2009-10-08 2009-10-08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87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382A (en) * 2018-12-06 2019-04-02 安徽凯川电力保护设备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al equipment battery apparatus for placing
CN109677479A (en) * 2019-03-04 2019-04-26 北京小李行车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hand propelled delivery vehicle and braking control system
CN109703614A (en) * 2019-03-04 2019-05-03 北京小李行车科技发展有限公司 Hand propelled delivery vehicle and braking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506U (en) * 1996-08-08 1998-05-15 김중흔 Stroller shock absorber
KR200224850Y1 (en) * 1998-10-14 2001-07-19 이성재 Shock Absor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2382A (en) * 2018-12-06 2019-04-02 安徽凯川电力保护设备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al equipment battery apparatus for placing
CN109677479A (en) * 2019-03-04 2019-04-26 北京小李行车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hand propelled delivery vehicle and braking control system
CN109703614A (en) * 2019-03-04 2019-05-03 北京小李行车科技发展有限公司 Hand propelled delivery vehicle and brak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873B1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251B (en) The stroller for children of trailers can be changed into
KR101677214B1 (en) Baby carriage
KR101131873B1 (en) load carrier and multi shock absorber thereof
KR101626778B1 (en) Baby wagon with improved ease of use
CN107428271B (en) Automobile seat with improved rigidity structure
CN107249929B (en) Infant seat with vibration damper
US20100052373A1 (en) Wave infant car seat
KR200464952Y1 (en) Baby Carriage be Strengthen Safety Function
KR20100025835A (en) Stroller with a separable seat
JP7043827B2 (en) Electric mobile
JP6850134B2 (en) Wheelbarrow
KR20180046305A (en) Baby carriage
CN103407482A (en) Folding baby carriage and method
CN208658436U (en) A kind of baby walker rocking horse device
KR101205634B1 (en) Stroller having shock absorber
US20040145133A1 (en) Multi-functional infant-carrying device
CN205469145U (en) Multifunctional hand cart
CN212766424U (en) Baby stroller convenient to fold and good in brake performance
CN113306620A (en) Multifunctional cart
CN107600156B (en) Damping baby carrier with multiple functions
JP6783968B1 (en) Step overcoming device
TWI578942B (en) Improved structure of the stroller
CN215900924U (en) Multifunctional children bearing toy
KR102376092B1 (en)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N203637897U (en) Skateboard baby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