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215A -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215A
KR20110037215A KR1020090094553A KR20090094553A KR20110037215A KR 20110037215 A KR20110037215 A KR 20110037215A KR 1020090094553 A KR1020090094553 A KR 1020090094553A KR 20090094553 A KR20090094553 A KR 20090094553A KR 20110037215 A KR20110037215 A KR 2011003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medium oil
drying
high frequency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노천식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09009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215A/ko
Publication of KR2011003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2Sludge treatment using liquids immiscible with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being a slurry or paste applied onto moving elements, e.g. chains, plates, for drying thereon, and subsequently removed therefr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2Sludge, slurries or mixtures of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물을 이송하면서 상부에는 고주파를 조사하고 하부에는 열매체유의 열을 가하여 다양한 특성을 갖는 건조물을 신속하고 고르게 건조할 수 있고, 건조처리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일측에 건조물 투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건조물 배출구가 구비된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건조물을 이송하도록 설치된 건조물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조물에 고주파를 조사하는 고주파 발진기; 및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열매체유의 열을 이송되는 건조물로 전달하는 열매체유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1020090094553
고주파, 열매체유, 건조실, 벨트컨베이어, 임펠러, 이송스크류

Description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 AND SYNTHETIC HEAT TRANSFER FLUID}
본 발명은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물의 하부에는 열매체유를 통해 열을 가하고 상부에는 고주파를 조사하여 건조 속도를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농가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분뇨, 육가공시설에서 폐기되는 가축,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오폐수의 슬러지 등과 같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다습성 폐기물은 환경오염의 주원인 중 하나로서,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커다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다습성 폐기물은 60~70%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통상의 폐기물과 같이 소각처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예전에는 주로 매립방식으로 처리되었다. 그러나, 매립방식의 경우 폐기물이 부패하면서 심한 악취와 함께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 하여 더욱 심각한 2차적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습성 폐기물을 수거한 후 이를 건조처리하여 매립시 악취 및 침출수 발생을 방지하고, 종류에 따라 동물의 사료나 농작물의 비료로 재활용하는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처리 방법으로는 자연건조방식, 열풍건조방식, 고주파건조방식 등이 있다.
자연건조방식은 넓은 공간에 폐기물을 분산 배치하고 발효제를 혼합하거나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것으로, 건조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오수, 오염물 등으로 인해 대기와 수계 및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열풍건조방식은 건조로 내부에 폐기물을 투입하고 고온의 공기를 순환공급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자연건조방식에 비해 건조시간은 단축되나 수분 함량이 높은 폐기물의 경우 과다한 에너지가 소요되고, 폐기물의 외부에 열이 집중되어 일부는 탄화되고 일부는 제대로 건조되지 못하는 등 처리물의 건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고주파건조방식은 고주파를 폐기물에 조사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한 자연건조방식이나 열풍건조방식에 비해서는 효과적이나, 고주파의 특성상 조사거리가 짧아 대략 30cm 이상은 투과가 어렵기 때문에, 폐기물의 양이 많아질 경우, 고주파 방식의 건조장치 역시 열풍건조방식과 마찬가지로 폐기물의 상부는 건조가 이루어지나 하부는 제대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조가 불량하게 되고, 건조속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고주파의 출 력을 높일 경우 폐기물의 상부는 과도하게 가열되어 탄화가 발생하는 등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에너지만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폐기물 처리 외에도 건어물, 건과일, 약재 등과 같은 다양한 건조 식품의 제조공정에도 상기한 건조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고주파건조방식이 보다 효과적이기는 하나, 예를 들어 과일이나 야채와 같이 투습성이 낮은 표피가 외부에 있는 물체를 상기 고주파건조방식으로 건조시킬 경우에는 고주파에 의해 물체 내부에서 증발된 수분이 표피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건조상태가 매우 불량하게 되고 건조속도도 매우 떨어지져 거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물을 이송하면서 상부에는 고주파를 조사하고 하부에는 열매체유의 열을 가하여 다양한 특성을 갖는 건조물을 신속하고 고르게 건조할 수 있고, 건조처리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건조물 투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건조물 배출구가 구비된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건조물을 이송하도록 설치된 건조물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조물에 고주파를 조사하는 고주파 발진기; 및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열매체유의 열을 이송되는 건조물로 전달하는 열매체유 히터를 포함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서, 상기 건조실은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건조물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하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송수단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단부에 하측에 위치된 다른 이송수단의 상부로 건조물이 떨어지도록 낙하통로가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상기 열매체유 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 히터의 열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실은 상부에 내부의 증발된 수분과 오염물이 배출되는 배기덕트가 설치되고, 벽체부에 주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흡기공이 형성된 흡기패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은 복수의 풀리에 의해 벨트가 순환 이동되는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대에 배치된 건조물을 회전운동하면서 이동시키는 이송날개가 구비된 임펠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대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로의 내부에 배치된 건조물을 회전운동을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로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건조물의 상부에서 조사되는 고주파에 의한 수분 증발과 건조물의 하부에서 가해지는 열매체유의 열에 의한 수분 증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주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건조물의 하부까지 고르게 수분 제거가 이루어져 다량의 건조물을 신속하게 건조 처리할 수 있고, 고주파 발진기의 출력을 과도하게 높일 필요가 없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고주파에 의한 건조물 상부의 집중적 발열로 인한 탄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물이 수분 방출을 방해하는 표피를 가진 경우에도 열매체유의 열에 의해 표피가 건조되면서 수분 방출이 가능한 상태로 변화되어 건조물 내부까지 고르게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다층 구조로 설치된 각 이송수단의 후단부에 낙하통로를 구비하여 건조 물이 공기 중에 뿌려지면서 다음 단의 이송수단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이 촉진되고, 건조물 내에 잔류된 수증기의 방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건조속도가 더욱 향상되며, 낙하되는 동안 건조물의 혼합과 위치 변경이 이루어져 건조물이 더욱 균일하고 신속하게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3) 열매체유 히터의 하부에 단열체를 구비하여 각 열매체유 히터에 의해 공급되는 열이 해당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건조물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열매체유에 의한 건조물 하부의 건조 속도를 높여 건조물의 상부와 하부의 건조 상태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음식물 찌꺼기, 농/축/수산 폐기물, 유기물 슬러지 등과 같은 폐기물의 처리, 건어물, 건과일, 약재 등과 같은 건조식품의 제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함습성 물질(이하, '건조물'로 통칭)을 고주파에 의한 발열과 열매체유에 의한 가열에 의해 건조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건조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된 건조실(101)에 다층을 이루도록 복수의 벨트컨베이 어(110)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110)의 상측에는 고주파 발진기(130)가, 하측에는 열매체유 히터(12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실(101)은 외부와 구획된 공간을 이루어 건조물의 증발을 위한 온도를 유지하고 증발된 수분과 오염물이 주변으로 무단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실(101)의 상부에는 내부의 증발된 수분과 오염물을 처리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104, 105)가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기덕트(104, 105)에는 건조실(101) 내부에 부압을 가하는 배기펌프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101)의 벽체부에는 주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흡기공(109)이 형성된 흡기패널(108)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101)의 상부 일측에는 처리될 건조물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건조물 투입구(102)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는 수분이 제거된 건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물 배출구(103)가 구비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10)는 건조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상기 건조실(101)의 내부에 복수의 벨트컨베이어(110)가 상하 소정 간격으로 다단 설치되어 상부의 투입구(102)로부터 하부의 배출구(103)로 순차적으로 건조물을 이송하게 된다. 각 벨트컨베이어(110)는 후단부가 건조실(101)의 벽면과 이격되어 해당 벨트컨베이어(110)의 후단까지 이송된 건조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낙하통로(107)를 형성하고, 상하 이웃한 벨트컨베이어(110)의 반대 측에 낙하통로(107)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경로를 이룬다.
각 벨트컨베이어(110)는 통상의 것과 유사하게 양측의 풀리(112, 113)에 의 해 벨트(111)가 순환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벨트(111)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120)가 설치된다.
상기 열매체유 히터(120)는 열매체유의 열을 상기 벨트(111)를 통해 전달하여 건조물의 하부를 주로 가열하는 것으로, 열매체유가 수용되는 다양한 챔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외부의 보일러와 순환공급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열매체유 히터(120)의 하부에는 단열체(14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체(140)는 각 열매체유 히터(120)의 열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부의 벨트(111)에 의해 이송되는 건조물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발포 수지와 같은 다공성 단열재를 비롯하여 통상의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발진기(130)는 건조물에 고주파를 가하여 내부 발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통상의 마그네트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발진기(130)는 각 벨트컨베이어(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31은 마그네트론의 작동열 회수 공급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조장치에 의한 건조물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 건조실(101)의 내부로 유입된 건조물은 최상단의 벨트컨베이어(110)에 적재되어 반대측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건조물에 상기 고주파 발진기(130)에 의한 고주파와 상기 열매체유 히터(120)에 의한 열이 가해져 건조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주파 발진기(130)에서 조사된 고주파에 의해 건조물 내부에 물분자의 진동에 따른 내부 발열이 이루어지고, 이 열에 의해 주로 건조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된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 히터(120)의 열이 벨트(111)를 통해 건조물의 하부에 전달되고, 이 열에 의해 건조물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된다. 증발된 수증기는 상기 배기덕트(104, 10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고, 오염물 제거를 위한 후처리 공정으로 전달된 후 배출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증발된 수분을 응결하는 응축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최상단에 위치된 벨트컨베이어(110)의 후단까지 이송된 건조물은 상기 낙하통로(107)를 통해 하부에 위치된 다음 단의 벨트컨베이어(110) 상부로 낙하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된 벨트컨베이어(110)까지 순차적으로 전달 및 이송되어 상기 배출구(103)를 통해 건조실(101) 외부로 배출된다. 각 단의 벨트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고주파 및 열매체유에 의한 수분제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건조물의 상부에서 고주파를 조사하여 내부발열에 의한 수분 제거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건조물의 하부에서 열매체유의 열전달을 통한 외부가열에 의해 수분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적재된 건조물의 높이가 고주파 도달거리 이상으로 큰 경우에도 건조물의 하부까지 상기 열매체유에 의한 수분제거가 이루어져 다량의 건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발진기의 출력을 과도하게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건조물 상부의 집중적 발열로 인한 탄화를 방지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벨트컨베이어(110)의 후단부에 구비된 낙하통로를 통해 건조물이 하부로 떨어져 다음 단의 벨트컨베이어(110)로 전달되므로, 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이 촉진되고, 건조물 내에 잔류된 수증기의 방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건조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낙하되는 동안 건조물의 혼합과 위치 변경이 이루어져 건조물의 건조가 보다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매체유 히터(120)의 하부에 단열체(140)가 설치되어 각 단의 열매체유의 열이 해당 벨트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건조물의 하부에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열매체유에 의한 건조물 하부의 건조 속도를 높여 건조물의 상부와 하부의 건조 상태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건조물의 이송수단으로서 벨트컨베이어(110)가 구비될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송수단은 이하에 예시되는 제2실시예의 임펠러 구조, 제3실시예의 스크류 구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이송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건조실(101) 내부에 서로 이격된 다층 구조를 이루도록 복수의 이송수단이 구비되고, 각 이송수단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주파 발진기(130)와 열매체유 히터(12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수단이 임펠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제2실시예의 이송수단은 상향 개구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요부가 연접하여 구비된 이송대(151)와 이 이송대(151)의 각 요부에 대응 설치된 다수의 임펠러(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152)는 복수의 이송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151)의 각 요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건조물을 다음의 연접한 요부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이송대(151) 역시 전술한 벨트컨베이어(110)와 마찬가지로 각 이송대(151)의 후단부에 상하 교번적으로 반대 측에 낙하통로(107)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대(151)의 하부에 열매체유 히터(120)가 구비되고, 이 열매체유 히터(120)의 하부에 단열체(140)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건조물 이송수단이 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도시된 제3실시의 이송수단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송로(163)의 내부에 이송스크류(161)가 설치되어 이송스크류(161)가 회전하면서 이송로(163) 내부의 건조물을 후단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이송로(163)의 하부에 열매체유 히터(120)가 구비되고, 이 열매체유 히터(120)의 하부에 단열체(140)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조장치 101 : 건조실
102 : 건조물 투입구 103 : 건조물 배출구
104, 105 : 배기덕트 107 : 낙하통로
108 : 흡기패널 109 : 흡기공
110 : 벨트컨베이어 111 : 벨트
112, 113 : 풀리 120 : 열매체유 히터
130 : 고주파 발진기 140 : 단열체
151 : 이송대 152 : 임펠러
161 : 이송스크류 163 : 이송로

Claims (8)

  1. 일측에 건조물 투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건조물 배출구가 구비된 건조실;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를 향해 건조물을 이송하도록 설치된 건조물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하향 설치되어 이송되는 건조물에 고주파를 조사하는 고주파 발진기; 및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열매체유의 열을 이송되는 건조물로 전달하는 열매체유 히터를 포함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건조물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하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각각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단부에 하측에 위치된 다른 이송수단의 상부로 건조물이 떨어지도록 낙하통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유 히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유 히터의 열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상부에 내부의 증발된 수분과 오염물이 배출되는 배기덕트가 설치되고, 벽체부에 주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흡기공이 형성된 흡기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복수의 풀리에 의해 벨트가 순환 이동되는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벨트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대에 배치된 건조물을 회전운동하면서 이동시키는 이송날개가 구비된 임펠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대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이송로의 내부에 배치된 건조물을 회전운동을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로의 하부에 상기 열매체유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20090094553A 2009-10-06 2009-10-06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KR20110037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553A KR20110037215A (ko) 2009-10-06 2009-10-06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553A KR20110037215A (ko) 2009-10-06 2009-10-06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215A true KR20110037215A (ko) 2011-04-13

Family

ID=4404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553A KR20110037215A (ko) 2009-10-06 2009-10-06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72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28B1 (ko) * 2011-10-05 2013-09-03 조대연 정수슬러지의 활성화 장치 및 활성화 방법
KR102300443B1 (ko) * 2021-04-09 2021-09-08 이종선 펠릿용 우드칩 건조장치 및 건조 우드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28B1 (ko) * 2011-10-05 2013-09-03 조대연 정수슬러지의 활성화 장치 및 활성화 방법
KR102300443B1 (ko) * 2021-04-09 2021-09-08 이종선 펠릿용 우드칩 건조장치 및 건조 우드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18B1 (ko)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US7966744B2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wave
EP1968755A1 (en) Apparatu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organics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
WO201604365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O2016022198A1 (en) Organic waste digester system
KR20180116220A (ko)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일체형 다단식 마이크로파 유동상 건조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20150037451A (ko) 신속 배추절임 및 저염김치 제조 시스템
KR0177364B1 (ko) 유.무기성 슬러지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US2015035343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Biosolids to Class A Fertilizer
JP4848549B2 (ja) 食品ゴミ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100894268B1 (ko) 유기물 분리 처리장치
KR20110037215A (ko) 고주파 및 열매체유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1744782B1 (ko) 애벌레건조장치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KR100845886B1 (ko) 밴드타입의 열풍 건조장치
JP4387279B2 (ja) 過熱蒸気処理装置
JP2003279247A (ja) 減圧乾燥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1655880B1 (ko) 신속 낱잎 김치 제조시스템
KR101655883B1 (ko) 신속 세절 맛김치 제조시스템
KR200417441Y1 (ko) 컨베이어식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207598B1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시스템
KR100425957B1 (ko)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장치
KR100962170B1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JP2006007025A (ja) 乾燥機
KR970073760A (ko) 음식물 스레기의 소멸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