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160A - 전립선 수술장치 - Google Patents

전립선 수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160A
KR20110037160A KR1020090094466A KR20090094466A KR20110037160A KR 20110037160 A KR20110037160 A KR 20110037160A KR 1020090094466 A KR1020090094466 A KR 1020090094466A KR 20090094466 A KR20090094466 A KR 20090094466A KR 20110037160 A KR20110037160 A KR 2011003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unit
prostate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204B1 (ko
Inventor
박종관
이상귀
홍철운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2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3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74Prostate operation, e.g. prostatectomy, turp, bhp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7Pro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립선 수술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전립선 수술장치는, 요도를 통해 단부가 전립선의 위치로 삽입되는 수술유닛; 상기 수술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가스을 포함하는 수술부산물을 수거하는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통해 상기 수술유닛으로 수술부산물 및 가스 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유닛; 및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립선 수술장치, 여과유닛, 여과통, 격막플레이트부재, 필터부재

Description

전립선 수술장치{PROSTATE OP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전립선 수술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전립선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립선 수술장치는 전립선 비대증이 발생한 경우 요도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칼,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환부를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전립선 수술장치의 종래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28572호, 일본 특개평5-168643호, 일본 특개평11- 290331호 등의 전립선 수술장치. 요도 통과 수술용 내시경, 전립선비대증 치료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전립선 수술장치들은 내시경, 전기칼 또는 레이저 방출 수단 등의 절제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의 전립선 수술장치들은 요도를 통해 삽입된 후 절제수단이 환부에 위치되면 물을 공급하면서 전기칼에 전기를 공급하여 가열하거나, 레이저를 환부에 조사한 후 환부를 절단하거나, 태워서 제거한다. 수술 중에 발생한 혈액 및 신체조직을 포함하는 수술부산물 및 환부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수술유닛의 절제경의 외부로 배출된 후 수거통에서 수술부산물이 수거된 후 가스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전립선 수술장치들의 경우에는 발생된 유해가스가 여과 과정 없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수술 중인 환자 또는 의료진이 유해가스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립선 수술 중에 발생하는 가스를 정화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립선 수술장치는, 요도를 통해 전립선의 위치로 삽입되어 전립선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유닛을 구비한 전립선 수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유닛에 의한 수술 중 환부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를 유입받은 후 여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통; 및, 상기 여과통 내부에 수납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통의 내부 영역을 분할하는 다공성 격막플레이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하부에서 유입 받고, 상기 여과통 내부에서 여과된 공기는 상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통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규토(Silica) 또는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규소화합 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립선 수술장치는, 또한, 단부가 전립선의 위치로 삽입되는 수술유닛; 상기 수술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포함하는 수술부산물을 수거하는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통해 상기 수술유닛으로 수술부산물 및 가스 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유닛; 및 내부를 양측으로 분리하는 격막플레이트와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펌프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격막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된 영역 중 일 측의 영역으로 상기 수술유닛에 의한 수술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유입받은 후 상기 필터부재와 격막플레이트를 경유하여 타측 영역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유해가스에서 유해성분을 여과하는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립선 수술 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에 포함되는 유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립선 수술 중에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효율적인 제거에 의해 수술 중인 환자나 의료진이 유해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술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전립선 수술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전립선 수술장치(1)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통(10), 제 1 물공급관(11)을 통해 상기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으며 전립선의 내측으로 단부가 삽입되어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유닛(100), 상기 수술유닛(100)의 하부에 결합된 수술부산물배출관(101)을 통해 수술유닛(100)과 연결되는 수거통(200), 상기 수거통(200)에서 수술부산물이 분리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가스배출관(201)에 연결되는 펌프유닛(300) 및 상기 펌프유닛(30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유입시키는 제 2 가스배출관(302)과 내부에서 유해가스가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여과공기배출관(401)을 구비한 여과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수통(10)은 수술 중 수술유닛(100)을 통해 수술 부위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 1 물공급관(11)을 통해 저장된 물을 수술유닛(10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술유닛(100)과 연결된다. 상기 저수통(10)에 저장되는 물은 유리온, 증류수, 식염수 등일 수 있으며, 감염 방지, 소독 등을 위해 소독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술유닛(100)은 수술부위로 삽입되어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수술유닛(100)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술유닛(100)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수술유닛(100)은 전립선 수술부위를 절제하고, 절제된 수술부위에 물을 공급하여 수술부위를 세척하며, 수술 중 발생하는 수술부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제 1 삽입유닛(120), 제 2 삽입유닛(130), 내시경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유닛(120)은 제 1 삽입본체(121) 및 수술부산물배출관(101)과 연결되는 물 배출관(123)을 포함하는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삽입본체(121)의 내면(121a)은 물과 수술부산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나선 형상의 물 배출홈(129)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물 배출관(123)은 수술 부위에 공급된 물이 혈액 및 신체조직 등의 수술부산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삽입본체(121)의 후단 측에 형성되며, 물 배출관(123)은 제 1 삽입본체(121) 배출유로(S1)과 연통된다. 또한, 물 배출관(123)은 배출밸브(125)가 설치되어, 물 배출관(12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혈액과 섞인 물이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물 배출관(123)은 제 1 삽입본체(121)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도 정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물 배출관(123)은 하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수거통(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물 배출관(123)의 후단부에는 수술 시 수술유닛(1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손잡이(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삽입유닛(130)은 제 2 삽입본체(131) 및 물 유입관(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삽입본체(131)는 상기 제 1 삽입본체(121)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 1 삽입본체(1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 파이프이며, 제 2 삽입본체(131)의 내면(131a)에는 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나선형상의 물 유입홈(139)이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물 유입관(133)은 수술부위 세척 및 수술유닛(100)의 냉각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2 삽입본체(131)의 후단 측에 형성된다. 상기 물 유입관(133)은 제 2 삽입본체(131) 물공급유로(S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물 유입관(133)에는 유입밸브(135)가 설치되어, 물 유입관(123)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물의 공급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물 유입관(133)은 제 2 삽입본체(131)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도 정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물 유입관(133)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저수통(10)과 제 1 물공급관(11)을 통해 연결되며, 유입밸브(135)의 개방 시,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은 중력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 1 물공급관(11)과 물유입관(133)을 통해 수술유닛(100)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삽입본체(121)에 제 2 삽입본체(131)가 삽입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 1 삽입본체(121)의 내면(121a)과 제 2 삽입본체(131)의 외면(131b) 사이의 공간이 물이 배출되는 배출유로(S1)를 형성한다.
상기 내시경 유닛(140)은 수술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절제하기 위한 것으로, 내시경 본체(141), 절제수단(144), 핸들부(142), 제어부(147), 디스플레이유닛(148)을 포함한다.
상기 내시경 본체(141)는 도 2와 같이 물공급유로(S2)를 형성하면서 제 2 삽입본체(131)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으로 플렉시블한 특성을 지닌다. 상기 내시경 본체(141)의 자유단(141a)에는 절제수단(144)이 설치된다. 내시경 본체(141)의 후단 측에는 핸들부(142)가 형성되고, 핸들부(142)에는 시술자가 내시경 본체(141)를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수술손잡이(103)가 더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시경본체(141)의 자유단(141a)에는 통상의 내시경 유닛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시경 유닛(143)의 핸들부(142)의 단부에는 상기 절제수단(144)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 렌즈의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출력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거통(200)은 수술유닛(100)을 이용한 수술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수술부산물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거통(200)은 상부 면의 일 측에 상기 수술유닛(100)에 연결된 수술부산물배출관(101)이 삽입 결합되고, 타 측에는 수술부산물이 분리된 유해가스를 펌프유닛(300)으로 이송시키는 제 1 가스배출관(201)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펌프유닛(300)은 수거통(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은 후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펌프(310)로 배출하는 습기분리부(320)와, 습기분리부(320)와 연결되어 수술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신체조직 등의 수술부산물을 내부로 공급된 물과 함께 배출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펌프(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습기분리부(320)는 상기 제 1 가스배출관(201)을 통해 수거통(20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유입 받도록 수거통(200)과 연결되고, 펌프연결관(301)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가스를 펌프(310)로 공급하도록 펌프(310)와 연결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스배출관(201)은 상기 습기분리부(320)의 상부 면에 결합되고, 상기 펌프연결관(301)은 상기 습기분리부(320)의 상부면 또는 상부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여과유닛(400)은 펌프유닛(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유입 받은 후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한다.
도 4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여과유닛(400)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여과유닛(400)은 유해가스를 일시 저장하는 여과통(410), 상기 여과통(410) 내부에 수납되는 필터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400)은 상기 여과통(410)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는 다공성 격막플레이트부재(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막플레이트부재(420)는 여과통(410)의 내부를 양분하며, 양 분된 영역 중 일 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격막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타 측 영역으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유닛(400)은 상기 격막플레이트부재(420)에 의해 분리된 영역 중 일 측의 상부 면에 상기 제 2 가스배출관(302)이 결합되고, 타 측 영역의 상부 면 에 여과공기배출관(401)이 삽입결합된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400)은 상기 여과통(41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제 2 물공급관(441)에 의해 물을 공급받은 후 여과통(400) 내부에서 분사하는 물분사노즐(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불분사노즐(440)은 별도의 펌프를 구비하거나, 상기 펌프유닛(300)에 의해 저수통(10)의 물 또는 상수도원 등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규토(Silica) 또는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규소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전립선 수술장치(1)를 이용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시술자는 제 1 삽입본체(121)의 끝단이 환자의 인체 내 전립선 환부까지 위치하도록 제 1 삽입유닛(120)을 환자의 요도를 통해 삽입한다. 이 경우, 제 1 삽입유닛(120)을 용이하게 환자의 인체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였던 종래의 삽입가이드부재(미 도시)를 제 1 삽입본체(12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하여, 삽입가이드부재의 둥근 끝단이 제 1 삽입본체(12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 1 삽입유닛(120)을 요도를 통해 삽입한다.
이후, 시술자는 삽입가이드부재(미 도시)를 제 1 삽입본체(121) 후방으로 빼내고, 이후, 제 2 삽입유닛(130)을 제 1 삽입유닛(120) 내부에 삽입하고, 다음으로 내시경 유닛(140)을 제 1 삽입유닛(120) 내부에 삽입한다. 이 경우, 물 유입관(133)은 상 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하고, 물 배출관(123)은 하 측으로 향하도록 배 치한다. 또한, 이러한 조립에 의해서 내시경 유닛(140)의 내시경 본체(141)는 제 1 및 제 2 삽입유닛(120,130)으로부터 약간 외 측으로 돌출되며, 내시경 본체(141)의 자유단에 설치된 절제수단(144)은 수술부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술자는 핸들부(142)의 수술손잡이(103)를 잡고 핸들링하여, 내시경 본체(141)의 자유단에 설치된 절제수단(144)을 이용하여 인체 내 전립선 부근의 환부에 대한 수술을 시행한다. 이때 물공급유로(S2)를 통해서는 저수통(10)에 채워진 물이 공급되어 절제수단(144)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면서 수술부위에 분사되어 수술부위를 세척한다.
이때 펌프유닛(300)의 흡입력이 수거통(200)을 통해 수술유닛(100)의 배출유로(S1) 전달되어 수술 부위를 세척한 물과 수술부위에서 발생하는 혈액과 신체조직을 포함하는 수술부산물 및 가열된 절제수단(144)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유로(S1)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수술부산물 및 유해가스는 수술부산물배출관(101)을 통해 수거통(200)으로 유입된다.
수거통(200)으로 유입된 물, 수술부산물은 수거통(200)의 내부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수집되고, 물과 수술부산물이 분리되는 유해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 1 가스배출관(201)을 통해 습기분리부(320)로 유입된다.
습기분리부(320)로 유입된 유해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는 습기분리부(320)의 상부로 유입된 후 내부에서 수분이 분리된 후 펌프연결관(301)을 통해 펌프(310)로 배출된다.
펌프(310)로 배출된 유해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는 펌프(310)의 내부 유로를 경유한 후 제 2 가스배출관(302)을 통해 여과유닛(400)으로 유입된다.
여과유닛(400)의 내부에서는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유입된 유해가스와 공기가 격막플레이트부재(420)에 의해 분리된 일 측 영역으로 유입된 후 격막플레이트부재(420)의 다수의 구멍을 통해 타측 영역으로 유입된 후 여과공기배출관(40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유해가스는 필터부재(430)와 물분사노즐(44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여과되고, 유해가스가 여과된 공기만이 여과공기배출관(401)을 통해 외부(대기 중)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유닛(400)에 의해 전립선 수술 중에 수술 부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여과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수술 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에 의한 수술실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고, 시술자 및 환자들을 보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전립선 수술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술유닛(100)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수술유닛(100)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도 1의 여과유닛(400)의 수직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전립선 수술장치 10: 저수통
100: 수술유닛 200: 수거통
300: 펌프유닛 400: 여과유닛
410: 여과통 420: 다공성 격막 플레이트부재
430: 필터부재

Claims (5)

  1. 요도를 통해 전립선의 위치로 삽입되어 전립선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유닛을 구비한 전립선 수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술유닛에 의한 수술 중 환부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를 유입받은 후 여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통; 및,
    상기 여과통 내부에 수납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통의 내부 영역을 분할하는 다공성 격막플레이트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하부에서 유입 받고, 상기 여과통 내부에서 여과된 공기는 상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통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규토(Silica) 또는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규소화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5. 단부가 전립선의 위치로 삽입되는 수술유닛;
    상기 수술유닛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포함하는 수술부산물을 수거하는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통해 상기 수술유닛으로 수술부산물 및 가스 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프유닛; 및,
    내부를 양측으로 분리하는 격막플레이트와 내부에 충진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펌프유닛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격막플레이트에 의해 분리된 영역 중 일 측의 영역으로 상기 수술유닛에 의한 수술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유입받은 후 상기 필터부재와 격막플레이트를 경유하여 타측 영역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유해가스에서 유해성분을 여과하는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수술장치.
KR1020090094466A 2009-10-06 2009-10-06 전립선 수술장치 KR10116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6A KR101163204B1 (ko) 2009-10-06 2009-10-06 전립선 수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66A KR101163204B1 (ko) 2009-10-06 2009-10-06 전립선 수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60A true KR20110037160A (ko) 2011-04-13
KR101163204B1 KR101163204B1 (ko) 2012-07-06

Family

ID=4404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66A KR101163204B1 (ko) 2009-10-06 2009-10-06 전립선 수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72A (ko) * 2017-07-26 2019-02-0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양극성 수술기구의 유해가스 배출장치
KR20210129556A (ko) * 2020-04-20 2021-10-28 (주)이롭 가스 추출부를 구비한 의료용 그래스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909B1 (ko) 2020-03-16 2020-08-03 김남배 요도경 장치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요도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22A (ko) 2001-02-03 2001-05-07 임태래 전기 수술장치
US20070249990A1 (en) 2006-04-20 2007-10-25 Ioan Cosmescu Automatic smoke evacuator and insufflation system for surgical proced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72A (ko) * 2017-07-26 2019-02-0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양극성 수술기구의 유해가스 배출장치
KR20210129556A (ko) * 2020-04-20 2021-10-28 (주)이롭 가스 추출부를 구비한 의료용 그래스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3204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7072A (en) Ultraviolet air enhancement and laser plume evacuation method and system
KR101849436B1 (ko) 지속적 기도양압 장치의 오존 소독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8876707B2 (en) Hand-held ear vacuum with camera and video display
JP6929872B2 (ja) 通路を有する医療デバイスをオゾンガスで処理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RU2644264C2 (ru) Адаптерный элемент, высокочастотный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насадка адаптера и система
KR101907353B1 (ko) 의료용 자동세척장치
CN110393982B (zh) 用于腹腔镜手术的空气净化器
WO2013035192A1 (ja) 鼻炎の症状を外科的に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163204B1 (ko) 전립선 수술장치
JP5255708B2 (ja) 創傷治療装置の改良または創傷治療装置に関する改良
CN114010868B (zh) 神经外科防积血冲洗式手术装置
KR100930512B1 (ko) 경성 내시경용 세정 소독기
JP2007313113A (ja) 内視鏡保管庫
WO2010070387A1 (en) Surgical device for washing wounds and surgical sites
KR100968280B1 (ko) 이비인후과용 의료장치
JPS6226446B2 (ko)
WO2017138661A1 (ja) スコープ先端部の洗浄器
CN210409855U (zh) 一种腔镜手术烟雾吸引过滤装置
JP2022018236A (ja) エアロゾルの滅菌装置
KR101018471B1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JP2022504997A (ja) フィルタリング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844099B1 (ko) 휴대용 외상 소독기
CN114917015B (zh) 一种可调低负压吸引器
CN216317531U (zh) 一种腹腔镜恒压除烟装置
CN213552285U (zh) 一种具有气溶胶净化功能的腔镜中空电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