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631A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631A
KR20110036631A KR1020117004362A KR20117004362A KR20110036631A KR 20110036631 A KR20110036631 A KR 20110036631A KR 1020117004362 A KR1020117004362 A KR 1020117004362A KR 20117004362 A KR20117004362 A KR 20117004362A KR 20110036631 A KR20110036631 A KR 2011003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eiver
jammer
gain
ag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임 와이스만
조란 야노세비치
아비그도르 브릴란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508,300 external-priority patent/US20110021168A1/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6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수신기의 이득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이득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재머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재머의 존재 및 이득 상태의 비교에 기초하여 수신기의 현재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수신기의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방법 및 장치. 일 양태에서, 장치는 상이한 모드에서 동작하는 2 개의 LNA;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제공하는 재머 검출기; 및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수신하기 위해 재머 검출기에 연결된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를 포함하고, AGC 회로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 및 이득 상태 비교에 기초하여 2 개의 LNA 사이를 선택한다. Comparing the gain state of the receiver to at least one gain state threshold; Determining the presence of jammers; And switching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er to a new mode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presence and gain states of the jammers,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togg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des of the receiver based on the input signal level. . In one aspect, the apparatus includes two LNAs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A jammer detector providing a jammer interrupt bit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a jammer;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coupled to the jammer detector to receive the jammer interrupt bit, wherein the AGC circuit selects between the two LNAs based on the jammer interrupt bit and the gain state comparison.

Description

듀얼 모드 자동 이득 제어 (AGC) 를 갖는 수신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35 U.S.C.§119 에 따른 우선권 주장Claims of Priority under 35 U.S.C. §119

본 특허출원은 2008년 7월 31 일자로 출원되고, 본 특허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여기에 참조에 의해 명백히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인 미국 가출원번호 제61/085,321호에 대해 우선권 주장한다.This patent application is filed on July 31, 2008 and is assigned to the assignee of this patent application and is hereby expressly incorporated by reference, entitl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085,321.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 수신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더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자동 이득 제어를 갖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에 관련된다.The present disclosure generally relates to apparatus and methods for a communication receiv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ual mode AGC receiv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종래의 통신 수신기에서는, 2 개의 상충하는 요건: 고 감도 및 고 선형성이 있다. 고 감도는 수신기가 약한 신호에 민감하도록 높은 이득을 갖는 저 잡음 수치 (figure) 의 수신기 특성을 지칭한다. 저 잡음 수치 LNA 는 수신기에 더 나은 감도 및 약한 신호에 대해 양호한 SNR 을 제공한다. 그러나, 높은 이득을 갖는 저 잡음 수치 LNA 는, 상호변조 레벨이 증가하기 때문에 강한 간섭 (예를 들면, 재머 (jammer)) 이 존재할 때 적절한 SNR 을 제공하는 것에 실패한다. 상호변조 레벨 증가는 고 감도 수신기에 대한 낮은 IP3 (third order intercept point) 및 낮은 P1dB (1dB compression point) 에 기인한다. 다른 효과는 슈퍼헤테로다인 (superheterodyne) 수신기 내에서 뿐만 아니라 ZIF (zero IF) 및 VLF (very low IF) 수신기 내에서의 IF 잡음을 나타나게 하고 영향을 미치는 낮은 IP2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이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 대한 예는 믹서일 수 있다. In conventional communication receivers, there are two conflicting requirements: high sensitivity and high linearity. High sensitivity refers to receiver characteristics of low noise figure with high gain such that the receiver is sensitive to weak signals. Low noise figure LNA provides the receiver with better sensitivity and better SNR for weak signals. However, low noise figure LNAs with high gains fail to provide adequate SNR in the presence of strong interference (e.g. jammers) because of the increased intermodulation level. The intermodulation level increase is due to the low third order intercept point (IP3) and low P1dB (1dB compression point) for the high sensitivity receiver. Another effect is the low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IP2), which exhibits and affects IF noise in ZIF (zero IF) and VLF (very low IF) receivers as well as in superheterodyne receivers. An example of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may be a mixer.

고 선형성은 높은 IP3 및 높은 P1dB 의 수신기 특성을 지칭한다. 고 선형 수신기는 강한 신호에 대한 및 강한 간섭 (예를 들면, 재머) 에 대한 내성 (immunity) 을 개선해왔다. 즉, 고 선형 수신기는 강한 신호 또는 강한 간섭이 존재할 때 고 감도 수신기보다 더 적은 왜곡 (예를 들면, 상호변조 프로덕트 레벨, 이득 압축, 위상 비선형성, AM-PM 변환 등) 을 갖는다. 그러나, 고 선형 수신기 (예를 들면, 그 LNA) 는 더 높은 잡음 수치 및 더 낮은 이득을 갖고, 그러므로 약한 재머가 존재할 때 또는 재머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때 최적의 감도 및 SNR 을 제공할 수 없다. High linearity refers to receiver characteristics of high IP3 and high P1dB. High linear receivers have improved immunity to strong signals and to strong interference (eg jammers). That is, high linear receivers have less distortion (eg, intermodulation product level, gain compression, phase nonlinearity, AM-PM conversion, etc.) than high sensitivity receivers when there is strong signal or strong interference. However, a high linear receiver (eg its LNA) has a higher noise figure and lower gain and therefore cannot provide optimal sensitivity and SNR when there is a weak jammer or no jammer at all.

약한 신호에 대한 수신기 설계 대 강한 신호에 대한 수신기 설계 사이에 시스템 설계 트레이드오프 (tradeoff) 가 있다. 그러므로, 고 감도 수신기는 약한 신호에 대해 최적이고, 고 선형 수신기는 강한 신호에 대해 최적이다. There is a system design tradeoff between receiver design for weak signals versus receiver design for strong signals. Therefore, high sensitivity receivers are optimal for weak signals and high linear receivers are optimal for strong signals.

그러나, 많은 경우에 수신기 입력에서 나타나는 약한 소망하는 신호 및 강한 소망하지 않은 재머의 조합이 있다. 일 예에서, 약한 소망하는 신호 및 강한 소망하지 않는 재머는 동시에 수신된다. 이 경우, 고 감도 수신기는 수신기 입력에서의 강한 재머의 존재 때문에 이득 압축 및 상호변조 왜곡으로 인해 신호-대-잡음 비 (SNR) 성능을 열화시킬 수도 있다. 반면에, 고 선형성 수신기는 또한 더 높은 잡음 레벨을 야기하는 더 높은 잡음-수치 및 약한 소망하는 신호에 대한 감소된 감도로 인해 SNR 성능을 열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수신기 설계 (고 감도 또는 고 선형성) 의 둘 중 하나는 타협, 즉, 잡음 수치, IP3 및 P1dB 성능에 대한 선택의 대상이 된다.However, in many cases there is a combination of a weak desired signal and a strong undesired jammer appearing at the receiver input. In one example, a weak desired signal and a strong undesired jammer are receiv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high sensitivity receiver may degrade signal-to-noise ratio (SNR) performance due to gain compression and intermodulation distortion due to the presence of strong jammers at the receiver input. On the other hand, high linearity receivers may also degrade SNR performance due to higher noise-values resulting in higher noise levels and reduced sensitivity to weak desired signals. Therefore, either of the receiver designs (high sensitivity or high linearity) is a compromise, the choice of noise figure, IP3 and P1dB performance.

개시된 것은, 입력 신호 환경에 따라 고 감도 저 잡음 증폭기 (LNA) 와 고 선형성 LNA 사이에서 토글링(toggle)할 수 있는, 듀얼모드 AGC 수신기 설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이다. 일 양태에서, 듀얼모드 AGC 수신기는 재머 감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ual-mode AGC receiver design capable of toggling between a high sensitivity low noise amplifier (LNA) and a high linearity LNA depending on the input signal environment. In one aspect,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cludes jammer sensing.

설명의 방법에 의해 다양한 양태로 도시되고 기술된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른 양태가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실제적인 설명이지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Other aspec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shown and described in various aspects by the method of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in nature and not as restrictive.

도 1a 는 멀티-라디오 시스템 관리를 위한 초 광대역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도 1b 는 종래의 수신기에 대해, 재머가 있는 캐리어 대 잡음과 3차 상호변조 레벨을 더한 것 (C/(N+IM)) 의 특성과 비교해서, 재머가 없는 캐리어 대 잡음 (C/N) 특성을 도시한다.
도 2 는 수신기에서 고 선형성 특성 및 고 감도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SNR (예를 들면, C/N) 을 최적화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 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전단 (front-end)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는 스위치 포인트 (SP) 및 이득 상태의 관점에서 듀얼 모드에 대한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 는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 모드 (모드 2) 양자 모두에 대한 입력 RF 레벨의 함수로서 결과적인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이득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b 는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 모드 (모드 2) 양자 모두에 대한 입력 RF 레벨의 함수로서 결과적인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잡음 수치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동작 모드 및 상태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듀얼 모드 또는 아닐 수 있는 AGC 를 갖는 수신기에 대한 상이한 이득 상태에 대한 ADC 입력에서의 전압 필요조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상이한 이득 상태에 대해 증가된 상호변조 프로덕트 레벨을 갖는 캐리어 대 잡음 비 (C/N)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a, 9b 및 9c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3개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a 는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에 커플링되는 재머 검출기 (JD) 의 블록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b 는 초 광대역 듀얼 AGC 수신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 은 믹서/저역 통과 필터 (LPF) 의 아날로그 출력에서의 RF 잡음 대 ADC 잡음 사이의 비를 주파수를 축으로 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 는 입력 신호 환경에 기초하여 듀얼 모드들 사이의 토글링에 대한 일 예시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3 은 입력 신호 환경에 기초하여 듀얼 모드들 사이의 토글링에 적합한 디바이스 (13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1A shows an exemplary overview of an ultra wideband dual mode AGC receiver system for multi-radio system management.
Figure 1b shows a jammer-free carrier-to-noise (C / 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 of jammer-carrier-to-noise plus third-order intermodulation level (C / (N + IM)) for a conventional receiver. The characteristic is shown.
2 shows an example for optimizing SNR (eg, C / N) by combining high linearity characteristics and high sensitivity characteristics at the receiver.
3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front-end.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transition diagram for dual mode in terms of switch point (SP) and gain states.
5A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ing dual mode AGC receiver gain state as a function of input RF level for both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high linear mode (mode 2).
5B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ing dual mode AGC receiver noise figure state as a function of input RF level for both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high linear mode (mode 2).
6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mode and state diagram.
7 shows an example of voltage requirements at the ADC input for different gain states for a receiver with AGC, which may or may not be dual mode.
8 shows an example of carrier to noise ratio (C / N) with increased intermodulation product level for different gain states.
9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9A, 9B and 9C show three other examples of a dual mode AGC receiver.
10A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jammer detector JD coupled to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10B shows an example of an ultra wideband dual AGC receiver block diagram.
FIG. 11 shows an example with frequency as the ratio between RF noise to ADC noise at the analog output of a mixer / low pass filter (LPF).
12 shows an example flow diagram for toggling between dual modes based on an input signal environment.
13 shows an example of a device 1300 suitable for toggling between dual modes based on an input signal environment.

부가된 도면들과 관련해서 하기에서 말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개시가 실시될 수도 있는 그 양태들만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기술된 각각의 양태는 단지 본 개시의 일 예 또는 설명으로서 제공된 것이고, 다른 양태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반드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체적인 상세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구체적인 상세 없이도 본 개시가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몇몇의 예에서, 본 개시의 개념을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 및 디바이스가 블록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도시되었다. 두문자 및 다른 기술적인 용어는 오직 편의 및 분명함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as a description of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aspects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Each aspect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is provided merely as an example or description of the disclosure and should not necessarily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ronyms and other technical terms may be us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설명의 간단함을 목적으로 방법론들이 행위의 일련으로서 도시되고 기술된 반면에, 몇몇 행위들이 한 개 이상의 양태들과 관련하여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 및/또는 다른 행위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방법론들은 행위의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업자는 방법론이 상태 다이어그램 내에서와 같이, 상호 관계가 있는 상태 또는 사건들의 연속으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모든 도시적인 행위들이 한 개 이상의 양태들과 관련된 방법론을 구현하는 것이 요구될 수는 없다.While methodologies are shown and described as a series of acts for the purpose of simplicity of description, some acts may occur concurrently with a different order and / or other act than that shown and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or more aspects. As such, methodologies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ac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methodology may alternatively be represented as a series of interrelated states or events, such as in a state diagram. Moreover, not all urban acts may be required to implement a methodology involving one or more aspects.

도 1a 는 멀티-라디오 시스템 관리를 위한 초 광대역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시스템의 일 예시적인 개요를 도시한다. 시스템은, 예를 들면, 가깝고 먼 재머를 감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재머 검출기, 공존 (coexistence) 관리 서브시스템, 및 듀얼 모드 AGC 수신기를 포함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고 감도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모드 및 고 선형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한다. 낮은 재머의 경우에 대해, 수신기는 저 선형성이지만 고 감도를 제공하도록 제 1 모드에서 동작한다. 임계값을 넘는 높은 재머의 경우에, AGC 수신기는 중간의 감도이지만 고 선형성을 제공하도록 제 2 모드로 스위칭된다. 1A shows an exemplary overview of an ultra wideband dual mode AGC receiver system for multi-radio system management. The system includes, for example, a hardware jammer detector for detecting near and far jammers, a coexistence management subsystem, and a dual mode AGC receiver.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cludes a first mode for providing high sensitivity and a second mode for providing high linearity. For the case of low jammers, the receiver operates in the first mode to provide high linearity but high sensitivity. In the case of high jammers above the threshold, the AGC receiver is switched to the second mode to provide medium sensitivity but high linearity.

도 1b 는 종래의 수신기에 대해 입력 수신기 내에 나타나는 재머가 없는 캐리어 대 잡음 (C/N) 특성을, 재머가 있는 캐리어 대 잡음과 3차 상호변조 레벨을 더한 것 (C/(N+IM)) 의 특성과 비교하여 도시한다. 이 종래의 수신기 설계는 고 선형성 특성 및 고 감도 특성을 갖는 것 간의 타협에 기초한다. 이상적으로, 도 1b 의 종래의 수신기는 재머가 존재할 때 최소한의 열화를 갖는 약한 신호를 동작하고 수신해야 한다. 종래 수신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일 기술은 어떠한 값, 예를 들면, 도 1b 에 도시된 3dB 보다 작은, 커브의 두 개의 극단 (extreme) 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 최적화 프로세스는 NF (noise figure) 와 IIP3 (input third order intercept point) 간의 균형이고, 여기서 IIP3는 상호변조 프로덕트 및 일 예로서 IP3 또는 더 높은 차수의 IP 의 레벨에도 또한 영향을 미치는 P1dB를 정의한다. 최적화 프로세스는 고 선형성 수신기를 초래한다. 고 선형성 수신기를 사용할 때의 페널티는 더 높은 IIP3 를 위한 열화된 잡음 수치 (예를 들면, 더 높은 잡음 수치 값) 및 열화된 LNA 이득이다. 그리고, 감도는 종래 수신기를 "균형맞추기" 를 시도함으로써 감소된 SNR 로 인해 희생된다. Figure 1b shows the jammer-free carrier-to-noise (C / N)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receiver plus the jammer-carrier-to-noise and third-order intermodulation levels (C / (N + IM)) for a conventional receiver. Shown in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s conventional receiver design is based on a compromise between having high linearity characteristics and high sensitivity characteristics. Ideally, the conventional receiver of FIG. 1B should operate and receive a weak signal with minimal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jammers. One technique for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receiver is to create two extremes of the curve, less than any value, for example 3 dB shown in FIG. However, this optimization process is a balance between noise figure (NF) and input third order intercept point (IIP3), where IIP3 yields P1dB, which also affects the level of intermodulation products and, for example, IP3 or higher order IP. define. The optimization process results in a high linearity receiver. Penalties when using a high linearity receiver are degraded noise figure (eg higher noise figure value) and degraded LNA gain for higher IIP3. And the sensitivity is sacrificed due to the reduced SNR by attempting to "balance" the conventional receiver.

약한 재머를 갖는 또는 재머가 없는 넓은 동적 영역에 걸쳐 고 감도 수신기 (예를 들면, 고 감도 LNA) 를 사용하는 것은 고 선형성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서 개선된 감도를 초래한다. 그러나, 강한 재머가 존재할 때, SNR (예를 들면, C/N) 은 이득 압축 및 상호변조 왜곡으로 인해 열화된다.Using a high sensitivity receiver (eg, a high sensitivity LNA) over a wide dynamic range with weak or no jammer results in improved sensitivity compared to using a high linearity receiver. However, when strong jammers are present, the SNR (eg, C / N) degrades due to gain compression and intermodulation distortion.

도 2 는 싱글 듀얼모드 AGC 수신기에서의 고 선형성 특성 및 고 감도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재머 환경에서의 SNR (예를 들면, C/N) 을 최적화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싱글 듀얼모드 AGC 수신기에서의 상이한 입력 신호 환경을 위해 고 선형성 및 고 감도의 두가지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SNR (예를 들면, C/N) 의 최적화는 도 2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약한 재머가 존재할 때 또는 재머가 존재하지 않을 때,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고 선형성 LNA 특성과 함께, 심지어 높은 입력 소망 신호 레벨과 함께 동작한다. 반면에, 강한 재머가 존재할 때,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SNR (예를 들면, C/(N+I) 에 의해 대체되는 C/N) 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 선형성 LNA 특성과 함께 동작한다. 2 shows an example for optimizing SNR (eg, C / N) in a jammer environment by combining high linearity characteristics and high sensitivity characteristics in a single dual-mode AGC receiver. By combining two characteristics of high linearity and high sensitivity for different input signal environments in a single dual-mode AGC receiver, the optimization of SNR (eg, C / N) is mad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when a weak jammer is present or when no jammer is present, the dual mode AGC receiver operates with high linearity LNA characteristics and even with high input desired signal levels.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strong jammer, the dual mode AGC receiver operates with a high linearity LNA feature to optimize the SNR (eg, C / N replaced by C / (N + I)).

도 3 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 프론트-엔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 예에서, AGC 회로 (미도시) 로부터의 자동 이득 제어 (AGC)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듀얼 모드 AGC 수신기 프론트-엔드에 인가된다. AGC 회로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동적 영역을 증가시키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C) 입력에서 허용되는 최대값보다 크지 않은 레벨에서 수신기 출력 전력을 제한한다. AGC 는 ADC 입력에서 소망 신호 레벨을 제한하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출력에서 전력 또는 전압 리미터 (limiter) 로서 동작한다. 일 양태에서, 컴포넌트 허용오차 (tolerance) 및 원치않는 신호들의 전력 누설에 대한 마진 (margin) 은 AGC 회로 내에 포함된다. 재머가 없는 환경에서, AGC 회로는 수신기가 선형성 및 감도 필요조건을 만족하도록 최적화된다. 3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front-end. In one example,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signal from an AGC circuit (not shown) is applied to the dual mode AGC receiver front-end shown in FIG. The AGC circuitry increases the dynamic range of the dual-mode AGC receiver and limits the receiver output power at levels not greater than the maximum allowed at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input. The AGC acts as a power or voltage limiter at the dual mode AGC receiver output, which limits the desired signal level at the ADC input. In one aspect, the margin for component tolerance and power leakage of unwanted signals is included in the AGC circuit. In a jammer-free environment, the AGC circuit is optimized for the receiver to meet linearity and sensitivity requirements.

일 예에서, 재머 검출기는 소망하지 않는 신호들을 식별하고 듀얼 모드 - 고 선형성 모드 및 고 감도 모드- 사이의 스위치를 트리거 (trigger) 하기 위해 듀얼 모드 AGC 수신기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듀얼 모드는 : 1) 저전력 신호들 및 약한 재머 또는 재머가 없을 때를 위한 고 감도 모드 및 2) (대시 라인 내에 도시된) 강한 재머에 대한 보통의 감도를 갖는 고 선형성 모드이다. 도 3 은 듀얼 모드에 대한 몇몇 예시적인 이득 상태 값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고 감도 모드는 1.4 dB 의 잡음 수치를 갖는 20 dB 에서의 이득 상태 G0 을 포함한다. 고 선형성 모드는 5 개의 이득 상태, 예를 들면, (1.7 dB 의 NF 를 갖는) 14.5 dB 에서의 G1, 9.5 dB 에서의 G2, 3 dB 에서의 G3, -8.5 dB 에서의 G4 및 -22 dB 에서의 G5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예를 들면, 듀얼 모드 LNA ) 는 병렬 경로로 구현된다. 다른 양태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예를 들면, 듀얼 모드 LNA) 는 단일 경로로 구현된다. In one example, a jammer detector is included within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 identify undesired signals and to trigger a switch between the dual mode—high linearity mode and high sensitivity mode. For example, the dual mode is: 1) high sensitivity mode for low power signals and no weak jammer or jammer and 2) high linearity mode with moderate sensitivity to strong jammer (shown in dash line). 3 shows some example gain state values for dual mode. For example, the high sensitivity mode includes a gain state G0 at 20 dB with a noise figure of 1.4 dB. The high linearity mode has five gain states, for example, at G1 at 14.5 dB (with NF of 1.7 dB), G2 at 9.5 dB, G3 at 3 dB, G4 at -8.5 dB and -22 dB. Includes G5. In one aspect, a dual mode AGC receiver (eg, dual mode LNA) is implemented in a parallel path. In another aspect, a dual mode AGC receiver (eg, dual mode LNA) is implemented in a single path.

일 예에서, 2 개의 AGC 테이블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 내의 프로세스 내에 포함된다. 제 1 AGC 테이블은 저 잡음 수치 LNA 가 사용되는 고 감도 모드를 위해 사용된다. 제 2 AGC 테이블은 높은 IP3 LNA 가 사용되는 고 선형성 모드를 위해 사용된다. 2 개의 AGC 테이블은, 감지된 재머가 소정의 임계값을 크로스할 때 재머 검출기의 응답에 기초하여, 더 넓은 신호 영역에서의 시스템 감도를 개선하고 고 선형성 LNA 로 스위칭 하기 위해 고 감도 LNA 의 사용을 최대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 양태에서, AGC 테이블의 값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한다: 이득 압축 포인트; 믹서 보호; 포화 (saturation) 으로부터 ADC 보호; 및 CNR 열화 당 상호변조 프로덕트 레벨. 다른 예는 최적화된 스위치 포인트 및 설정 대 동작 주파수를 갖는 모드 1 을 위한 수개의 테이블들 및 최적화된 스위치 포인트 및 설정 대 동작 주파수를 갖는 모드 2 를 위한 하나의 테이블 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예를 들면, 주파수, 변조 방식 또는 모든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기초한 적응적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이다. In one example, two AGC tables are included in a process in a dual mode AGC receiver. The first AGC table is used for the high sensitivity mode where low noise figure LNA is used. The second AGC table is used for the high linearity mode in which a high IP3 LNA is used. The two AGC tables use the use of a high sensitivity LNA to improve the system sensitivity in the wider signal area and switch to a high linearity LNA based on the response of the jammer detector when the sensed jammer crosses a predetermined threshold. Allow to maximize In one aspect, the values of the AGC table are based 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gain compression point; Mixer protection; ADC protection from saturation; And intermodulation product level per CNR degradation. Another example may be several tables for mode 1 with optimized switch point and set versus operating frequency and one table for mode 2 with optimized switch point and set versus operating frequency. Another example is an adaptive switch point table based on, for example, frequency, modulation scheme or a combination of all parameters.

도 4 는 스위치 포인트 (SP) 및 이득 상태의 관점에서 듀얼 모드에 대한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스위치 포인트는 모드를 표시하는 x 값 및 스위치 포인트를 표시하는 y 값을 갖는 SPxy 로 표시된다. 도 4 에서, 각각의 모드 (모드 1 및 모드 2) 는 6 개의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다. 이득 상태는 모드 1 을 위한 G0 내지 G6 및 모드 2 를 위한 G1 내지 G6 로 표시된다. G0 는 모드 2 에서 바이패스 (bypass) 된다. 최상위 라인은 고 감도 모드 (모드 1) 에 대한 상태 천이를 도시하고, 최하위 라인은 고 선형성 모드 (모드 2) 에 대한 상태 천이를 도시한다.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위치 포인트에서, 상이한 이득 상태가 선택된다.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transition diagram for dual mode in terms of switch point (SP) and gain states. The switch point is represented by SPxy with an x value representing the mode and a y value representing the switch point. In FIG. 4, each mode (mode 1 and mode 2) has six switch points. The gain state is indicated by G0 through G6 for mode 1 and G1 through G6 for mode 2. G0 is bypassed in mode 2. The top line shows the state transition for the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the bottom line shows the state transition for the high linearity mode (mode 2). As shown in FIG. 4, at each switch point, a different gain state is selected.

도 5a 는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성 모드 (모드 2) 양자에 대한 입력 RF 레벨의 함수로서 결과적인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이득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1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낮은 입력 전력 레벨 (Pin) 을 위한 가장 높은 이득 상태 G0 에서 시작하고 입력 전력 레벨 (Pin) 이 증가함에 따라 대응하는 잡음 수치 (NFG1, NFG2, NFG3...) 를 갖는 스위치 포인트 (SP11, SP12, SP13...) 에서 연속적인 이득 상태 (G1, G2, G3,...) 로 천이한다. 도 5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2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낮은 입력 전력 레벨 (Pin) 을 위한 이득 상태 G1 에서 시작하고 입력 전력 레벨 (Pin) 이 증가함에 따라 대응하는 스위치 포인트 (SP22, SP23...) 에서 대응하는 잡음 수치 (NFG2, NFG3...) 를 갖는 연속적인 이득 상태 (G2, G3,...) 로 천이한다. 모드 2 에 대한 스위치 포인트 SP21 은, 모드 2 에서 이득 상태 G0 을 바이패스하기 위해, 예를 들면, 200dBm 의 매우 낮은 입력 전력 레벨에서 설정된다. 5A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ing dual mode AGC receiver gain state as a function of input RF level for both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high linearity mode (mode 2). As shown in FIG. 5A, in mode 1, the dual mode AGC receiver starts in the highest gain state G0 for the low input power level Pin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noise figure NF as the input power level Pin increases. G1 , Transition from the switch points SP11, SP12, SP13 ... with NF G2 , NF G3 ...) to the continuous gain states (G1, G2, G3, ...). As shown in FIG. 5A, in mode 2, the dual mode AGC receiver starts in a gain state G1 for a low input power level (Pin) and corresponding switch points (SP22, SP23) as the input power level (Pin) increases. Transitions to successive gain states (G2, G3, ...) with corresponding noise figures (NF G2 , NF G3 ...). Switch point SP21 for mode 2 is set at a very low input power level, for example 200 dBm, to bypass the gain state G0 in mode 2.

도 5b 는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 모드 (모드 2) 양자에 대한 입력 RF 레벨의 함수로서 결과적인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잡음 수치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1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낮은 입력 전력 레벨 (Pin) 을 위한 가장 높은 이득 상태 G0 및 가장 낮은 잡음 수치 NFG0 에서 시작하고, 입력 전력 레벨 (Pin) 이 증가할수록 대응하는 스위치 포인트 (SP11, SP12, SP13...) 에서 연속적인 이득 상태 (G1, G2, G3,...) 로 천이한다. 도 5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2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낮은 입력 전력 레벨 (Pin) 을 위한 이득 상태 G1 및 대응하는 잡음 수치 NFG1 에서 시작하고, 입력 전력 레벨 (Pin) 이 증가할수록 대응하는 스위치 포인트 (SP22, SP23...) 에서 대응하는 잡음 수치 (NFG2, NFG3...) 를 갖는 연속적인 이득 상태 (G2, G3,...) 로 천이한다. 모드 2 에 대한 스위치 포인트 SP21 는, 모드 2 에서 이득 상태 G0 을 바이패스하기 위해, 예를 들면, 200dBm 의 매우 낮은 입력 전력 레벨에서 설정된다. 5B shows an example of the resulting dual mode AGC receiver noise figure state as a function of input RF level for both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high linear mode (mode 2). As shown in FIG. 5B, in mode 1, the dual mode AGC receiver starts at the highest gain state G0 and the lowest noise figure NF G0 for the low input power level (Pin), and the input power level (Pin) is increased. Increasingly, it transitions from the corresponding switch points (SP11, SP12, SP13 ...) to successive gain states (G1, G2, G3, ...). As shown in FIG. 5B, in mode 2, the dual mode AGC receiver starts at a gain state G1 and a corresponding noise figure NF G1 for a low input power level (Pin), and responds as the input power level (Pin) increases. Transitions to a continuous gain state (G2, G3, ...) with corresponding noise figures (NF G2 , NF G3 ...) at the switch points (SP22, SP23 ...). Switch point SP21 for mode 2 is set at a very low input power level of 200 dBm, for example, to bypass the gain state G0 in mode 2.

재머 검출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AGC 스위치 포인트는,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향상되거나 뒤떨어진다. AGC 스위치 포인트는 도 5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RF 입력 전력에 대해 LNA 이득 상태 및 잡음 수치에 영향을 준다. 높은 이득 상태에서, AGC 스위치 포인트는 병합되거나 병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병합 특성은 입력 전력에 대해 출력 전압 레벨에 종속하고, 여기서 출력 전압 레벨은 ADC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ADC 전체 스케일 레퍼런스 (reference)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일 양태에서, 스위치 포인트의 값은 재머가 존재할 때 더 일찍 스위칭하도록 수정된다. 일 양태에서, (G0 상태가 아닌) 이득 상태들 사이의 스위치 포인트의 값은 재머 레벨에 기초하여 적응적이다. Based on the state of the jammer detector, the AGC switch points are improved or inferior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AGC switch point affects the LNA gain state and noise figure for RF input power as shown in FIG. 5A. In the high gain state, AGC switch points may or may not be merged. The merging characteristic is dependent on the output voltage level with respect to the input power, where the output voltage level is limited so as not to exceed the ADC full scale reference to prevent ADC saturation. In one aspect, the value of the switch point is modified to switch earlier when jammers are present. In one aspect, the value of the switch point between the gain states (not the G0 state) is adaptive based on the jammer level.

일 양태에서, 상기에 정의된 스위치 포인트 (SP) 는 모드들 간에 스위칭될 때 업데이트된다. 추가적으로, 스위칭 논리는 모드들 간의 토글링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레시스 (hysteresis) 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재머 검출기 (JD) 는 그 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해 그 고유의 스위치 포인트 레지스터를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더 높은 이득 상태 (예를 들면, G3 를 넘는 이득 상태) 를 위해, JD 는 선택적으로 무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높은 이득 상태에서, AGC SP 는 동일해지기 위해 병합된다. In one aspect, the switch point (SP) defined above is updated when switching between modes. In addition, the switching logic includes hysteresis to prevent toggling between modes. In another example, each jammer detector (JD) has its own switch point register to store its threshold. In another aspect, for higher gain states (eg, gain states above G3), JD may optionally be ignored. In another example, in the high gain state, the AGC SPs merge to become identical.

다른 양태에서, AGC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은 수신된 재머 레벨에 기초하여 적응적일 수도 있다. AGC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은 수신기 압축 포인트, ADC 포화 포인트, 캐리어/잡음 비를 열화시키는 IMR3 레벨, 및 언급된 파라미터들 뿐만 아니라 이득 응답에도 영향을 주는 동작 주파수와 같은 수개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한다. 재머가 없는 환경에서, AGC 스위치 포인트는 수신기가 선형성 및 감도 필요조건을 만족하도록 최적화된다. 일 예에서, AGC 스위치 포인트는 재머의 존재에 기초하여 더 일찍 천이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수정은 수신된 재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적응적일 수도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AGC switch point table may be adaptive based on the received jammer level. The AGC switch point table is based on several parameters such as receiver compression point, ADC saturation point, IMR3 level that degrades the carrier / noise ratio, and operating frequency that affects the gain response as well as the parameters mentioned. In a jammer-free environment, the AGC switch point is optimized for the receiver to meet linearity and sensitivity requirements. In one example, the AGC switch point may be modified to transition earlier based on the presence of jammers. The modification may be adaptive based on the received jammer power level.

도 6 은 동작 모드 및 상태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다양한 동작 상태들 사이의 천이가 고 감도 수신기 상태를 위한 모드 1 및 고 선형성 수신기 상태를 위한 모드 2 뿐만 아니라 디버그 모드 및 고정 (fixed) 모드를 포함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6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mode and state diagram. FIG. 6 shows that the transition between various operating states includes mode 1 for high sensitivity receiver state and mode 2 for high linearity receiver state, as well as debug mode and fixed mode.

도 7 은 듀얼 모드이거나 아닐 수 있는 AGC 를 갖는 수신기에 대한 상이한 이득 상태를 위한 ADC 입력에서의 전압 필요조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도 9 에서 도시된 믹서로의 입력 RF 전력의 함수로서, 도 9 에 도시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RF 섹션으로부터의 출력 전압 (예를 들면, ADC 로의 입력 전압) 의 그래프이다. 입력 RF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도 10a 에 도시된 AGC 회로는 이득 상태 (GS1, GS2, GS3, GS4...로 표시되고, 또한, G1, G2, G3, G4...로도 표시됨) 를, RF 섹션으로부터의 출력 전압 (예를 들면, ADC 로의 입력 전압) 이 ADC 레벨 최대 리미트 (limit) 아래로 유지되도록 설정한다. ADC 레벨 최대 리미트는 도 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DC 전체 스케일 최대 전압에 대한 마진이다. 마진은 ADC 포화가 신호 누설 및 신호 PAR (peak to average ratio) 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AGC 정확도 허용오차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7 shows an example of voltage requirements at the ADC input for different gain states for a receiver with AGC, which may or may not be dual mode. FIG. 7 is a graph of the output voltage (eg, input voltage to the ADC) from the RF section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shown in FIG. 9 as a function of the input RF power to the mixer shown in FIG. 9. As the input RF power increases, the AGC circuit shown in FIG. 10A shows gain states (denoted by GS1, GS2, GS3, GS4 ... and also denoted by G1, G2, G3, G4 ...), Set the output voltage from the RF section (eg, the input voltage to the ADC) to stay below the ADC level maximum limit. The ADC level maximum limit is the margin for the ADC full scale maximum voltage as shown in FIG. The margin is intended to prevent ADC saturation from interfering with signal leakage and signal peak to average ratio (PAR), and to facilitate AGC accuracy tolerances.

도 8 은 도 9 에 도시된 믹서로의 입력 RF 전력 레벨에 대한 상이한 이득 상태에 대한 증가된 상호변조 프로덕트 레벨을 갖는 캐리어 대 잡음비 (C/N) 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대 잡음비 (C/N) 는 입력 레벨이 증가할수록 증가된 상호변조 프로덕트 레벨로 인해 열화된다. 일 예에서, 그러한 증가가 강한 재머의 존재로 인해 일어난다. 증가된 전력과 감소된 전력 사이의 히스테레시스는 스위치 포인트에서의 토글링을 방지하기 위해 AGC 회로로 도입된다. 고 감도 모드 (모드 1) 에서, RF 체인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 감도를 증가시키는, 더 높은 이득 및 더 낮은 잡음 수치를 갖는다. 반면에, 고 선형성 모드 (모드 2)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더 낮은 이득 및 더 높은 잡음 수치에서 동작한다. 일 예에서, 고 선형성 모드에서의 공칭 (nominal) 이득 (G0) 상태는 강한 재머의 존재로 인해 C/N 열화에 대해 듀얼 모드 AGC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해, 제 1 모드 2 스위치 포인트 (SP21) 를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00dBm 으로 설정함으로써 바이패스된다. 8 shows an example of carrier to noise ratio (C / N) with increased intermodulation product levels for different gain states for the input RF power level to the mixe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the carrier-to-noise ratio (C / N) degrades due to the increased intermodulation product level as the input level increases. In one example, such increase occurs due to the presence of strong jammers. Hysteresis between increased and reduced power is introduced into the AGC circuit to prevent toggling at the switch point. In the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the RF chain has higher gain and lower noise figure, which increases dual mode AGC receiver sensitivity. On the other hand, in high linearity mode (mode 2), dual mode AGC receivers operate at lower gain and higher noise figure. In one example, the nominal gain (G0) state in high linearity mode provides a first mode 2 switch point (SP21) to protect the dual mode AGC receiver against C / N degradation due to the presence of strong jammers. Bypass is set to -200 dBm (as shown in FIG. 4).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2 개의 모드들 사이에서 토글링한다. 일 양태에서, 2 개의 모드들은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성 모드 (모드 2) 를 포함하고,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입력 신호 환경에 따라 이 2 개의 모드들 사이에서 토글링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고 감도 모드에 있으면, 강한 재머가 나타날 때 즉각의 보호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이러한 보호는 빠른 공격 (fast attack)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빠른 공격은 강한 입력 신호 레벨 (예를 들면, 재머) 의 출현 후에 신속한 이득 감소인,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의 특성을 지칭한다. 그 다음, 강한 재머가 사라질 때,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2 개의 모드들 사이의 빠른 토글링을 피하기 위해 느린 릴리즈 (slow release) AGC 회로를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느린 릴리즈는 강한 입력 신호 레벨 (예를 들면, 강한 재머) 의 출현 후의 느린 이득 증가인,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의 특성을 지칭한다. 빠른 공격 느린 릴리즈 또는 느린 디케이 (decay) JD 는, 강한 신호 및 최종 이득 값으로의 느린 컨버젼스 (convergence) 를 수신할 때의 신속한 이득 감소를 기술하는, AGC 로부터 따온 용어이다. 이 발명에서, 2 개의 시스템이 있다. AGC 및 재머 검출기. 재머 검출기는 다음의 이유로 인해 빠른 공격 느린 릴리즈 모드에서 동작한다. 첫번째 우선권은 수신기를 보호하고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재머 검출기는 빠른 공격 모드에서 동작하고 수신기를 보호된 모드로 이전 (transfer) 한다. 이 모드는 고 선형성 보통 감도인 "모드 2" 로 정의된다. 두번째로, 수신되는 환경이 천천히 변화하는 것 (재머가 빠르게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음) 이 추측된다. 그러므로, 2 개의 모드들 사이의 토글링을 피하고 그럼으로써 수신기의 성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느린 릴리즈 프로세스가 있다. 추가적으로, 느린 릴리즈 프로세스는 시스템을 페이딩 (fading) 으로부터 보호하고 신호 왜곡을 방지한다. 공격에서의 재머 검출기 시그널링 (signaling) 은, 모드 1 AGC 테이블로부터 모드 2 AGC 테이블로 스위칭하기 위해, BB (예를 들면,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 를 알린다. AGC 테이블은 이득 상태 스위치 포인트 대 입력 전력, 및 전류 설정 등과 같은 다른 설정의 테이블임을 주목한다. 모드 1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은 고 감도 저 선형성 모드에 대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는 G0 이득 상태를 포함한다. 모드 2 AGC 테이블은 고 선형성 보통 감도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는 그 스위치 포인트 설정을, 예를 들면, -200dBm 으로 의도적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G0 이득 상태를 바이패스한다. 결과로서, 모드 2 는 G1 이득 상태에서 시작하고, 또한 이는 그 설계가 감도와 선형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인 전통적인 수신기 모드이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interrupt) 의 결과로서, 시스템의 이득은 감소된다. 시스템은 소정의 릴리즈 시간에 대해 낮은 이득 및 모드 2 스위치 포인트 AGC 테이블을 유지한다. AGC 는 더 낮은 이득의 모드 2 테이블을 갖는 수신기의 이득을 관리하고, 릴리즈 시간이 그 릴리즈 기간동안 재머가 없다는 것을 보인 후에만 다시 모드 1 로 스위칭한다. 그러므로, 느린 릴리즈는, 재머가 사라진 후에 느린 이득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AGC 및 JD 동작을 지칭한다.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ggles between two modes. In one aspect, the two modes include a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a high linearity mode (mode 2), and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ggles between these two mode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environment. If the dual-mode AGC receiver is in high sensitivity mode, it may need immediate protection when a strong jammer appears. In one example, this protection is implemented using a fast attack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Fast attack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which is a rapid gain reduction after the appearance of a strong input signal level (eg, jammer). Then, when the strong jammer disappears, the dual mode AGC receiver may need a slow release AGC circuit to avoid fast toggling between the two modes. Slow release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which is a slow gain increase after the appearance of a strong input signal level (eg, a strong jammer). Fast Attack Slow Release or Slow Decay JD is a term derived from AGC that describes a rapid gain reduction when receiving a strong signal and a slow convergence to the final gain value. In this invention, there are two systems. AGC and jammer detectors. The jammer detector operates in fast attack slow release mode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priority is to protect the receiver and maintain the quality of service. Therefore, the jammer detector operates in fast attack mode and transfers the receiver to the protected mode. This mode is defined as "mode 2" which is high linearity normal sensitivity. Second, it is speculated that the incoming environment changes slowly (jammers appear or do not appear quickly). Therefore, in order to avoid toggling between the two modes and thereby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receiver, there is a slow release process. In addition, the slow release process protects the system from fading and prevents signal distortion. Jammer detector signaling in the attack informs the BB (eg,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to switch from the mode 1 AGC table to the mode 2 AGC table. Note that the AGC table is a table of other settings such as gain state switch point to input power, and current settings. The mode 1 switch point table is used for the high sensitivity low linearity mode. Therefore, this includes the G0 gain state. Mode 2 AGC tables are used for high linearity moderate sensitivity. Therefore it bypasses the G0 gain state by having its switch point setting intentionally set to, for example, -200 dBm. As a result, mode 2 starts in the G1 gain state, which is also a traditional receiver mode whose design is a tradeoff between sensitivity and linearity. As a result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the gain of the system is reduced. The system maintains a low gain and mode 2 switch point AGC table for a given release time. The AGC manages the gain of the receiver with the lower gain mode 2 table and switches back to mode 1 only after the release time shows that there is no jammer during that release period. Therefore, slow release refers to AGC and JD operation, which means that the slow gain increases after the jammer disappears.

종래의 수신기 설계에서, AGC 회로는 단일 무선 주파수 (RF) 대역에 걸쳐 협대역 동작을 위해 설계된 싱글 재머 검출기 (JD) 에 의해 트리거된다. 그러나, 많은 무선 시나리오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 송신 전력 레벨, 및 변조 방식에서 동작하는, 수개의 간섭 송신기들이 있다. 싱글 재머 검출기는 초 광대역폭에 걸쳐 다양한 재머를 감지하는데 최적은 아니다. 그럼에도, 광대역 환경에서 나타나는 모든 재머들에 대해 수신기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In conventional receiver designs, the AGC circuit is triggered by a single jammer detector (JD) designed for narrowband operation over a single radio frequency (RF) band. However, in many wireless scenarios, there are several interfering transmitters that operate in various frequency bands, transmit power levels, and modulation schemes. Single jammer detectors are not optimal for detecting a variety of jammers over very wide bandwidths.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to protect the receiver against all jammers appearing in a broadband environment.

종래의 수신기 설계에서, 싱글 AGC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이 있고, 설계는 선형성과 감도 사이의 타협이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설계는 보호된 모드인 모드 2 설계와 유사하다. 재머가 특정한 소정의 임계값 아래인 경우에 감도 개선은 없다. 종래의 수신기는 LNA 및 믹서의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감도를 희생하고 재머에 대항하여 보호한다. 더욱이, 종래 수신기는 버스트 (burst)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빠른 공격 느린 릴리즈 JD 프로세스를 갖고있지 않다. 이 발명은 2 개의 타입의 재머 검출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예로서 N+4 (예를 들면, 4 번째 인접 대역) 까지 나타나는 대안적인 재머와 같은, 재머와 가까운 대역내를 모니터링하는, 협대역 재머 검출기를 포함한다. 협대역 JD 는 재머를 감지하기 위한 기저대역 필터보다 앞선 수신기의 아날로그 기저대역에서, 또는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IF 주파수 또는 수신기에서 블록을 수신하는 임의의 다른 주파수에서 구현된다. 추가적으로, 수신기는 재머로부터 먼 대역 내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하기 위한 광대역 재머 검출기를 갖는다. In conventional receiver designs, there is a single AGC switch point table, and the design is a compromise between linearity and sensitivity. Therefore, the traditional design is similar to the mode 2 design, which is a protected mode. There is no sensitivity improvement when the jammer is below a certain predetermined threshold. Conventional receivers sacrifice sensitivity and protect against jammers by increasing the current in the LNA and mixer. Moreover, conventional receivers do not have a fast attack slow release JD process to operate in burst mode. This invention includes two types of jammer detectors. The receiver includes, for example, a narrowband jammer detector that monitors in-band close to jammers, such as alternative jammers appearing up to N + 4 (eg, the fourth adjacent band). Narrowband JD is implemented at the analog baseband of the receiver prior to the baseband filter for sensing jammers, or at the IF frequency of the superheterodyne receiver or any other frequency that receives a block at the receiver. Additionally, the receiver has a wideband jammer detector to protect the receiver from within the band far from the jammer.

도 9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 (9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 예에서, 자동 이득 제어 (AGC) 를 갖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이득 상태에 대한 2 개의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을 갖는 AGC 에 대한 2 개의 모드를 갖는다. 더욱이,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2 개의 LNA 경로, 하나는 고 감도 낮은 전류 (모드 1) 및 다른 하나는 고 선형성 보통 감도 (모드 2) 인 것을 갖는다. 9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900. In one example, a dual mode AGC receiv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AGC) has two modes for AGC with two switch point tables for gain states. Moreover, the dual mode AGC receiver has two LNA paths, one with high sensitivity low current (mode 1) and the other with high linearity moderate sensitivity (mode 2).

듀얼 모드 AGC 수신기에 대해, 모드 1 은 고 감도 및 저 선형성 특성을 갖는다. 모드 2 는 고 선형성 및 보통 감도 특성을 갖는다. 모드 1 은 낮은 잡음 수치, 높은 이득, 및 낮은 전류 소비를 갖는 LNA 를 사용한다. 모드 1 은, 수신기 입력에서 낮은 레벨 재머가 존재할 때 또는 재머가 없을 때 사용된다. 모드 2 는 더 낮은 이득, 더 높은 IP3, 및더 높은 전류 소비를 갖는 LNA 를 사용한다. 모드 2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입력에서 강한 재머가 존재할 때 사용된다. 2 개의 모드들 사이의 천이는, 도 9 에 도시되지 않은 재머 검출기 (JD) 에 의해 트리거되는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에 의해 구현된다. AGC 스위치는, 강한 재머가 감지되는 경우에 모드 1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 (고 감도, 낮은 NF) 에서 모드 2 스위치 포인트 테이블 (고 선형성 보통 감도) 사이에서 스위칭한다.For dual mode AGC receivers, Mode 1 has high sensitivity and low linearity characteristics. Mode 2 has high linearity and moderate sensitivity characteristics. Mode 1 uses an LNA with low noise figure, high gain, and low current consumption. Mode 1 is used when there is a low level jammer at the receiver input or when there is no jammer. Mode 2 uses LNA with lower gain, higher IP3, and higher current consumption. Mode 2 is used when there is a strong jammer at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put. The transition between the two modes is implemented by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triggered by a jammer detector (JD) not shown in FIG. The AGC switch switches between mode 1 switch point table (high sensitivity, low NF) to mode 2 switch point table (high linearity normal sensitivity) when a strong jammer is detected.

일 예에서, 입력 RF 신호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에 연결된 수신 안테나 (미도시) 에 의해 캡쳐되고, 저 잡음 증폭을 위한 모드 1 LNA 및 모드 2 LNA 양자 모두의 입력 (910, 920 각각) 및 모드 1 출력 RF 신호 및 모드 2 출력 RF 신호의 프로덕션으로 각각 전송된다. 도 9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1 LNA 는 입력 (910) 을 갖고, 모드 2 LNA 는 입력 (920) 을 갖는다. AGC 회로는 선택된 출력 RF 신호를 산출하기 위해, 모드 1 출력 RF 신호와 모드 2 출력 RF 신호 사이를 선택하기 위한 메커니즘 (미도시) 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매커니즘이 모드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In one example, the input RF signal is captured by a receive antenna (not shown) connected to a dual mode AGC receiver, and inputs (910, 920 respectively) and mode 1 of both mode 1 LNA and mode 2 LNA for low noise amplification. The output RF signal and the mode 2 output RF signal are respectively sent to the production. As shown in FIG. 9, the mode 1 LNA has an input 910 and the mode 2 LNA has an input 920. The AGC circuit provides a mechanism (not shown) for selecting between the mode 1 output RF signal and the mode 2 output RF signal to produce a selected output RF signa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echanism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to select modes without affecting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선택된 출력 RF 신호는 주파수 하향변환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의 프로덕션을 위해 믹서/저대역 통과 필터 (LPF) (930) 로 전송된다. 입력 기저대역 신호는 입력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을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940) 로 전송된다. 입력 디지털 신호는 그 다음 이득 조정 및 출력 디지털 신호의 프로덕션을 위해 일 예로서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 (DVGA) (950) 로 전송된다. 출력 디지털 신호는 그 다음 일 예로서 디지털 심볼을 캡쳐링하고 그들을 이후의 복조 프로세스를 위해 전송하기 위한 샘플 서버 (SS) 모듈 (960) 로, 또한 출력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 (예를 들면, 수신기 출력 에너지) 의 추정을 위해 에너지 추정기 (energy estimator; EE) (970) 로 전송된다. The selected output RF signal is sent to a mixer / low pass filter (LPF) 930 for frequency downconversion and production of the input baseband signal. The input baseband signal is sent to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940 for conversion to an input digital signal. The input digital signal is then sent to the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DVGA) 950 as an example for gain adjustment and production of the output digital signal. The output digital signal is then taken as an example to a sample server (SS) module 960 for capturing digital symbols and sending them for subsequent demodulation processes, and also the energy of the output digital signal (eg, receiver output energy). Is sent to an energy estimator (EE) 970 for the estimation of.

일 양태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입력 RF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한다. 도 9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제1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 1 LNA,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LNA,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제공하는 재머 검출기, 및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수신하기 위한 재머 검출기에 결합된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AGC 회로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와 이득 상태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LNA 와 제 2 LNA 사이에서 선택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2 개의 LNA 중의 하나에 결합된 믹서를 더 포함하고, 입력 RF 신호를 하향변환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필터링된 하향변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향변환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믹서에 연결된 저대역 통과 필터 (LPF) 를 포함한다. 필터링된 하향변환 신호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링된 하향변환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로 입력된다. 디지털화된 신호는 그 다음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 (DVGA) 로 입력되고, DVGA 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스케일링한다. DVGA 에 연결된 에너지 추정기는 스케일링된 디지털화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기 출력 에너지를 추정하기 위해 이를 사용한다. 수신기 출력 에너지는 그 다음 재머 검출기로 입력되고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의 값은 재머 검출기 임계값에 대해 RF 입력 신호의 레벨의 비교에 기초한다. 일 양태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기저대역에서 수신기 입력 에너지에 기초하여 2 개의 LNA 중의 하나로의 입력에서 정규화된 (normalized)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9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대역에서 수신기 입력 에너지는 ADC 또는 DVGA 의 출력중의 임의의 것에서, 또는 ADC 로의 입력에서 탭핑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새로운 모드를 반영하기 위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새로운 이득 및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설정하고, 여기서 프로세서는 재머 검출기가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는 AGC 회로의 일부분이다. In one aspect,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ggles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the input RF signal level. As shown in FIG. 9, a dual mode AGC receiver includes a first LNA operating in a first mode, a second LNA operating in a second mode, a jammer detector providing jammer interrupt bits to indicate the presence of jammers,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coupled to the jammer detector for receiving the jammer interrupt bits, wherein the AGC circuitry is between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based on the jammer interrupt bits and the gain state comparison. Choose. The dual mode AGC receiver further includes a mixer coupled to one of the two LNAs and downconverts the input RF signal to a downconverted signal.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cludes a low pass filter (LPF) coupled to the mixer for filtering the downconverted signal to produce a filtered downconverted signal. The filtered downconverted signal is input to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that digitizes the filtered downconverted signal to produce a digitized signal. The digitized signal is then input to a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DVGA), which DVGA scales the digitized signal. An energy estimator coupled to the DVGA receives the scaled digitized signal and uses it to estimate the receiver output energy. Receiver output energy is then input to the jammer detector and used to set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The value of the jammer interrupt bit,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jammer, i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level of the RF input signal against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n one aspect,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cludes a processor for obtaining a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at an input to one of the two LNAs based on the receiver input energy at baseband. As shown in FIG. 9, the receiver input energy at baseband can be tapped at any of the outputs of the ADC or DVGA, or at the input to the ADC. The processor sets the new gain and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 reflect the new mode, where the processor instructs the jammer detector to update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is part of the AGC circuit.

도 9a, 9b, 및 9c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3 개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 는 각각의 경로는 전체 이득 체임을 사용하는 2 개의 LNA 경로를 갖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모드 2 LNA 는 높은 전류에서 동작하는 모든 6개의 이득 상태와 함께 6 개의 이득 상태 (G1 내지 G6) 를 포함한다. 모드 1 LNA 는 낮은 전류에서 동작하는 모든 7 개의 이득 상태와 함께 7 개의 이득 상태 (G0 내지 G6) 를 포함한다. 도 9b 는 이득 상태 (G0 내지 G6) 를 포함하는 싱글 LNA 경로를 갖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도 9b 의 예에서, 이득 상태 (G0) 는 이득 체인의 일부분이지만, G0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모드 2 에서 동작할 때 스킵된다. 도 9c 는 2 개의 LNA 경로로, 전체 이득 체인 및 전용 (dedicated) 믹서/저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는 각각을 갖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모드 2 LNA 는 높은 전류에서 동작하는 모든 6 개의 이득 상태와 함께 6 개의 이득 상태 (G1 내지 G6) 및 믹서/저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모드 1 LNA 는 낮은 전류에서 동작하는 모든 7 개의 이득 상태를 갖는 7 개의 이득 상태 (G0 내지 G6) 및 믹서/저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당업자는 일 양태에서, 높은 전류 및 낮은 전류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값들을 암시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9A, 9B, and 9C show three examples of a dual mode AGC receiver. 9A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with two LNA paths, each path using a full gain chain. Mode 2 LNA includes six gain states (G1 through G6) with all six gain states operating at high currents. Mode 1 LNA includes seven gain states (G0 to G6) with all seven gain states operating at low current. 9B shows a second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with a single LNA path including gain states G0 through G6. In the example of FIG. 9B, the gain state G0 is part of the gain chain, but G0 is skipped when the dual mode AGC receiver is operating in mode two. 9C shows an example of a dual mode AGC receiver with two LNA paths, each using a full gain chain and a dedicated mixer / low pass filter. Mode 2 LNA includes six gain states (G1 to G6) and a mixer / low pass filter with all six gain states operating at high currents. Mode 1 LNA includes seven gain states (G0 to G6) and a mixer / low pass filter with all seven gain states operating at low curr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mplies a relative value for.

도 10a 는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 (1020) 에 연결된 재머 검출기 (JD; 101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재머 검출기 (JD; 1010) 및 자동 이득 제어기 (AGC) 회로 (1020) 는 도 9 에 도시된 듀얼 모드 AGC 수신기 (900) 에 연결된다. 일 양태에서, 재머 검출기 (JD; 1010) 및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 (1020) 는 듀얼 모드 AGC 수신기 (900) 의 일부분이다. 재머와 소망 신호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재머 검출기 입력 신호는 강한 재머의 감지를 위해 재머 검출기 (JD; 1010) 로 전송된다. 일 예에서, 재머 검출기 입력 신호는 (도 9 에 도시된) 에너지 추정기 (EE; 970) 의 출력이다. 재머 검출기 입력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을 초과하면,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는 재머 검출기 (JD; 1010) 에 의해 설정되고, AGC 회로 (1020) 로 전송된다. 일 예에서,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1 은 THj 를 넘는 재머 레벨이 감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0 은 THj 를 넘는 재머 레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에서,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은 재머 검출기 내의 비교기에 적용된다. 일 양태에서, 재머 검출기 (1010) 는 복수의 재머 검출기들의 조합이고, 각각은 소정의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으로 설정된다. 일 양태에서, 재머 검출기 (101) 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 모두에 기초한, 수개의 상보적 (complementary) 재머 검출기에 기초한다. 재머 검출기 (1010) 는 대역 내 재머를 감지하기 위한 협대역 재머 검출기 (NB JD), 대역 외 재머 및 멀리 떨어진 재머를 감지하기 위한 광대역 재머 검출기 (WB JD), 및 동시 (concurrent) 동작 재머를 위한 소프트웨어 재머 검출기 (SW JD) 를 포함한다. NB JD, WB JD 및 SW JD 의 각각은 그 고유의 최적화된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을 갖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 개시의 정신 및 범위와 일치하여, 재머 검출기 (1010) 는 복수의 재머 검출기일 수도 있고, 각각은 소정의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으로 설정됨을 이해할 것이다.10A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jammer detector (JD) 1010 coupled to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1020. A jammer detector (JD) 1010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GC) circuit 1020 are connected to the dual mode AGC receiver 900 shown in FIG. In one aspect, the jammer detector (JD) 1010 and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1020 are part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900. A jammer detector input signal comprising both a jammer and a desired signal is sent to a jammer detector (JD) 1010 for detection of a strong jammer. In one example, the jammer detector input signal is the output of an energy estimator (EE) 970 (shown in FIG. 9). If the level of the jammer detector input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set by the jammer detector JD 1010 and sent to the AGC circuit 1020. In one exampl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 1 means that a jammer level above TH j has been detected. And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 0 means that there is no jammer level above TH j . In one example,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is applied to a comparator in the jammer detector. In one aspect, the jammer detector 1010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jammer detectors, each set to a predetermined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In one aspect, jammer detector 101 is based on several complementary jammer detectors, based on both hardware and software. Jammer detector 1010 includes a narrowband jammer detector (NB JD) for detecting in-band jammers, a wideband jammer detector (WB JD) for detecting out-of-band jammers and distant jammers, and a concurrent operating jammer A software jammer detector (SW JD). Each of NB JD, WB JD, and SW JD has its own optimized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jammer detector 1010 may be a plurality of jammer detectors, each set to a predetermined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AGC 회로 (1020) 는,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 모두에 대한 입력으로서, 전류 LNA 이득 상태, 전류 DVGA 이득 상태, 및 전류 EE 값뿐만 아니라,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 또는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status) 비트를 수용한다. AGC 회로의 출력은, 다양한 AGC 입력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LNA 이득 상태 및 업데이트된 DVGA 이득 상태이다. AGC 회로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 및 전류 LNA 이득 상태와 이득 상태 임계값의 시리즈의 이득 상태 비교에 기초하여, 2 개의 LNA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일 예에서,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 모두의 출력은 (도 9 에 도시된) 2 개의 LNA 및 DVGA (950) 의 출력을 나타낸다. AGC 회로 또는 알고리즘 또는 양자 모두 (1020) 는, 고 감도 모드 (모드 1) 및 고 선형성 모드 (모드 2) 에서 이득 상태의 선택을 지배하는 2 개의 AGC 테이블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강한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모드 1 (고 감도 모드) 로 설정되고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가 HIGH (예를 들면, 비트=1)로 어서트 (assert) 되면, AGC 회로 (1020) 는 업데이트된 LNA 이득 상태 및 업데이트된 DVGA 이득 상태를 모드 2 (고 선형성 모드) 의 적절한 값들로 설정함으로써 응답한다. 일 양태에서, 2 개의 AGC 테이블은 하나의 AGC 테이블로 결합된다. 다른 예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모드 2 (고 선형성 모드) 로 설정되고 소정의 시간 기간동안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가 LW (즉, 비트=0) 로 남아있으면, 소정의 시간 기간동안 강한 재머의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서, AGC 회로 (1020) 는 업데이트된 LNA 이득 상태 및 업데이트된 DVGA 이득 상태를 모드 1 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한다.The AGC circuit 1020 accepts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s or interrupt status bits, as well as current LNA gain states, current DVGA gain states, and current EE values, as inputs to the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 The output of the AGC circuit is an updated LNA gain state and an updated DVGA gain state based on various AGC inputs. The AGC circuit selects one of the two LNAs based on a jammer interrupt bit and a gain state comparison of the series of current LNA gain states and gain state thresholds. In one example, the output of the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represents the output of two LNA and DVGA 950 (shown in FIG. 9). The AGC circuit or algorithm or both 1020 include two AGC tables that govern the selection of gain states in the high sensitivity mode (mode 1) and high linearity mode (mode 2). In one example, to indicate the presence of a strong jammer, when the dual mode AGC receiver is set to mode 1 (high sensitivity mode) and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asserted to HIGH (eg, bit = 1) The AGC circuit 1020 responds by setting the updated LNA gain state and the updated DVGA gain state to appropriate values of mode 2 (high linearity mode). In one aspect, two AGC tables are combined into one AGC table. In another example, i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s set to mode 2 (high linearity mode) and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remains LW (ie, bit = 0)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absence of strong jammers for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o indicate, AGC circuit 1020 sets the updated LNA gain state and the updated DVGA gain state to the appropriate values of mode 1.

도 10b 는 초 광대역 듀얼 AGC 수신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a 의 재머 검출기 (1010) 는 3 개의 별개의 검출기 : 협대역 재머 검출기, 광대역 재머 검출기, 및 소프트웨어-기반 재머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10b 에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이 3 개의 검출기로부터의 인터럽트는 전술한 이득 상태의 제어를 위해 합성 인터럽트 신호를 AGC 알고리즘 블록으로 전송하는 JD 판독 블록으로 전송된다. 또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SBI) 제어기는 JD 및 AGC 알고리즘의 스테이터스에 기초하여 수개의 제어 신호들 (카운터, 인터럽트 마스크, 임계값 세트, 및 인터럽트 소거 (clear)) 을 재머 검출기에 제공한다. 10B shows an example of an ultra wideband dual AGC receiver block diagram. The jammer detector 1010 of FIG. 10A includes three separate detectors: a narrowband jammer detector, a wideband jammer detector, and a software-based jammer detector,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10B. Interrupts from these three detectors are sent to the JD read block which sends the synthesized interrupt signal to the AGC algorithm block for control of the gain state described above. The serial bus interface (SBI) controller also provides several control signals (counter, interrupt mask, threshold set, and interrupt clear) to the jammer detector based on the status of the JD and AGC algorithms.

일 양태에서, 모드 2 (고 선형성 모드) LNA 는 복수의 이득 상태를 갖는다. 일 예에서, 모드 2 LNA 는 이득은 감소하고 잡음 수치는 증가하는 순서로 3 개의 이득 상태 (G1, G2, 및 G3) 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모드 2 는 다른 더 높은 이득 상태 (G4, G5 및 G6) 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AGC 회로에서, 모드 2 LNA 이득 상태는 AGC 스위치 포인트의 교차점에 따른다. 일 예에서, 모드 1 LNA 는 복수의 이득 상태를 갖는다. 당업자는 모드 1 및/또는 모드 2 에 대한 이득 상태의 양은 본 발명 개시의 정신 또는 범위에 영향을 주지않고,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파라미터에 종속하여 선택될 수 있다. In one aspect, the mode 2 (high linearity mode) LNA has a plurality of gain states. In one example, the mode 2 LNA has three gain states (G1, G2, and G3) in order of decreasing gain and increasing noise figure. Additionally, mode 2 may have other higher gain states G4, G5, and G6. In one aspect, in an AGC circuit, the mode 2 LNA gain state depends on the intersection of the AGC switch points. In one example, the mode 1 LNA has a plurality of gain stat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mount of gain state for Mode 1 and / or Mode 2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parameters without affecting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2 개의 AGC 테이블의 각각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2 개의 모드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AGC 스위치 포인트들 (SP) 의 하나의 셋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모드 1 에 대해, 이득 상태 G0 으로부터 G1 으로의 천이를 위한 AGC 스위치 포인트 (SP) 는 대략 -80dBm 이다. 이득 상태 G0 는 모드 1 에서의 저 잡음 수치, 높은 이득 LNA 경로에 대응한다. 일 예에서, 모드 2 에 대해, 이득 상태 G0 으로부터 G1 으로의 천이를 위한 AGC 스위치 포인트 (SP) 는 매우 낮게, 예를 들면, 대략 -200dBm 으로 설정되어, 효율적으로 이득 상태 G0 은 스킵되고 더 낮은 입력 신호 레벨 조건에서 이득 상태 G1 은 활성화 상태이다. 일 양태에서, AGC 스위치 포인트 (SP) 의 설정은 2 개의 모드 사이의 스위칭이 있을 때 업데이트된다. 히스테레시스는 2 개의 모드들 사이의 토글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된다. Each of the two AGC tables includes one set of AGC switch points (S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modes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 one example, for mode 1, the AGC switch point SP for transition from gain state G0 to G1 is approximately -80 dBm. Gain state G0 corresponds to the low noise figure, high gain LNA path in mode 1. In one example, for mode 2, the AGC switch point SP for transition from gain state G0 to G1 is set very low, for example approximately -200 dBm, so that gain state G0 is skipped and lower In the input signal level condition, the gain state G1 is active. In one aspect, the setting of the AGC switch point SP is updated when there is a switching between the two modes. Hysteresis is added to prevent toggling between the two modes.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종래의 싱글 모드 수신기와 비교해서 재머가 존재할 때 수신기의 감도를 개선한다. 추가로,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전체 시스템 잡음 수치가 최소가 되도록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잡음에 대해 버퍼링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수신기에서, 수신기의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에 의해 샘플링된다. ADC 는 NADC 로 표시된 ADC 잡음을 생성한다. 디지털 수신기의 설계는 소망 캐리어 대 잡음비 (C/N) 에 의해 지배된다. LNA 의 설계 파라미터들은 C/N 을 최적화하기 위해 선택된다. 총 RF 잡음 수치에의 LNA 의 잡음 수치의 효과는 식 (1) 에 의해 기술된다. Dual mode AGC receivers improve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in the presence of jammers compared to conventional single mode receivers. In addition, the dual-mode AGC receiver provides buffering for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noise so that the overall system noise figure is minimal. For example, in a digital receiver, the analog signal of the receiver is sampled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The ADC generates ADC noise, denoted as N ADC . The design of the digital receiver is governed by the desired carrier to noise ratio (C / N).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LNA are selected to optimize C / N. The effect of the noise figure of the LNA on the total RF noise figure is described by equation (1).

(1)

Figure pct00001
(One)
Figure pct00001

식 (1) 은 저 잡음 수치 F 1 및 높은 이득 G 1 을 갖는 LNA 는 더 낮은 F eq Equation (1) shows that LNAs with low noise figure F 1 and high gain G 1 have lower F eq .

초래하는 RF 체인의 나머지의 잡음 수치를 보상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LNA 는 또한 ADC 잡음을 보상한다. ADC 입력에서의 RF 섹션은 잡음 수치 F T 및 이득 G T 를 갖는다. ADC 는 잡음 수치 F ADC 를 갖는 캐스케이드된 블록으로서 모델링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그 입력 포트에서의 ADC 잡음은 식 (2) 에 의해 주어진다. ADC 잡음은 양자화 (quantization) 잡음, 열 잡음 및 다른 잡음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It compensates for the noise figure of the rest of the resulting RF chain. Furthermore, the LNA also compensates for ADC noise. The RF section at the ADC input has a noise figure F T and a gain G T. The ADC may be modeled as a cascaded block with a noise figure F ADC . Therefore, the ADC noise at that input port is given by equation (2). ADC noise includes quantization noise, thermal noise and other noise components.

(2)

Figure pct00002
(2)
Figure pct00002

ADC 입력에서 레퍼런스된 총 RF 잡음은 식 (3) 에 의해 주어진다. The total RF noise referenced at the ADC input is given by equation (3).

(3)

Figure pct00003
(3)
Figure pct00003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는 식 (4) 에 의해 주어진다.The cascaded noise figure is given by equation (4).

(4)

Figure pct00004
(4)
Figure pct00004

식 (4) 는 G1 이득 상태에 비해 더 큰 공칭 (G0) 이득 상태로 인해 및 공칭 (G0) 이득 상태일 때 감소된 총 RF 잡음 수치 F T 로 인해 G T 가 증가될 때, 케스케이드된 잡음 수치가 개선됨을 나타낸다. Equation (4) is a cascaded noise figure when G T is increased due to a larger nominal (G0) gain state compared to the G1 gain state and a reduced total RF noise figure F T when at nominal (G0) gain state. Indicates improved.

식 (5) 는 잡음비 (NR) 을 정의한다.Equation (5) defines the noise ratio (NR).

(5)

Figure pct00005
(5)
Figure pct00005

여기서 식 (5) 의 N ADC 는 식 (2) 에 의해 주어진 ADC 잡음 밀도, k 는 볼츠만 (Boltzmann) 상수, T 는 켈빈 단위의 실온, GT 는 총 RF 이득, F T 는 총 RF 잡음 수치이고 F ADC 는 ADC 잡음 수치이다. Such that the expression N ADC is the ADC noise density given by equation (2) (5), k is Boltzmann (Boltzmann) constant, T is the room temperature in degrees Kelvin, GT is the total RF gain, F T is the total RF noise figure and F ADC is the ADC noise figure.

식 (5) 는 높은 이득을 갖는 저 잡음 수치 LNA 는 ADC 잡음 N ADC 보다 높은 RF 잡음 N RF 를 초래함을 나타낸다. 이 관계는 전체 시스템 잡음 수치에 대한 ADC 잡음 공헌이 무시할만 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Equation (5) indicates that the low noise figure LNA with high gain results in higher RF noise N RF than the ADC noise N ADC .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ADC noise contribution to the overall system noise figure is negligible.

식 (6) 은 테이크오버 (takeover) 이득 (TOG) 을 정의한다.Equation (6) defines the takeover gain (TOG).

(6)

Figure pct00006
(6)
Figure pct00006

식 (6) 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더 높은 테이크오버 이득 (TOG) 는 ADC 잡음 공헌이 더 낮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NR 이 개선되고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 F T_Rx F T 로 접근한다. 도 11 은 (dBm 단위로 측정된) 잡음 대 주파수의 스펙트럼 플롯이다. 도 11 은 주파수를 축으로 (도 9 에 도시된) 믹서/저대역 통과 필터 (LPF) (930) 의 아날로그 출력에서의 RF 잡음 (N RF ) 에서 ADC 잡음 (N ADC ) 사이의 일 예시적인 비를 주파수에 대해 도시한다. △N = NRF - NADC 는 로그 단위 (dB)의 RF 잡음 (NRF) 과 ADC 잡음 (NADC) 사이의 비를 나타낸다. As shown by equation (6), higher takeover gain (TOG) implies lower ADC noise contribution. In addition, the NR is improved and the cascaded noise figure F T_Rx approaches F T. 11 is a spectral plot of noise versus frequency (measured in dBm). FIG. 11 is an exemplary ratio between RF noise ( N RF ) to ADC noise ( N ADC ) at the analog output of mixer / low pass filter (LPF) 930 (shown in FIG. 9) along the frequency axis. Is shown for frequency. ΔN = N RF -N ADCs represent the ratio between logarithmic (dB) RF noise (N RF ) and ADC noise (N ADC ).

듀얼 모드 AGC 수신기는 G1 이득 상태 하에서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와 비교하여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 F T _ Rx 를 개선하기 위해, 개선된 잡음 수치 및 더 높은 이득을 갖는 공칭 (G0) 이득 상태를 이용한다. 성능 개선은 G0 이득 상태 하에서, G T 가 G1 이득 상태와 비교하여 더 높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므로,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 F T _ Rx 는 더 개선되고 식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F T 에 접근하며, 테이크오버 이득이 개선된다.The dual mode AGC receiver uses a nominal (G0) gain state with improved noise figure and higher gain to improve the cascaded noise figure F T _ Rx compared to the cascaded noise figure under the G1 gain state. Performance improvement is possible because under the G0 gain state, G T is higher compared to the G1 gain state. Therefore, the cascaded noise figure F T _ Rx is further improved and approaches F T as shown in equation (4), and the takeover gain is improved.

식 (7) 은 G1 이득 상태와 G0 이득 상태 사이의 캐스케이드된 잡음 수치 (NF) 비를 나타낸다. 식 (8) 은 G1 이득 상태와 G0 이득 상태 사이의 TOG 비를 나타낸다.Equation (7) represents the cascaded noise figure (NF) ratio between the G1 gain state and the G0 gain state. Equation (8) represents the TOG ratio between the G1 gain state and the G0 gain state.

(7)

Figure pct00007
(7)
Figure pct00007

(8)

Figure pct00008
(8)
Figure pct00008

재머 검출기 (JD) 를 갖는 AGC 회로 상호작용은 도 10a 에서 도시되고, 동작 모드들에 대한 이득 상태 및 잡음 수치 상태는 도 4 내지 6 에서 제공된다. 프로세서 알고리즘에 대한 입력은 LNA-믹서 이득 상태, DVGA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 상태,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및 EE (에너지 추정기) 값이다. 이러한 입력 및 에너지 추정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AGC 상태, 새로운 LNA 상태 및 새로운 DVGA 상태가 계산된다. 일 양태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프로세서 (905) (미도시) 는 계산을 수행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 (905) 는 AGC 회로 (1020) 의 일부분이다. AGC circuit interaction with a jammer detector (JD) is shown in FIG. 10A, and the gain state and noise figure state for the operating modes are provided in FIGS. 4 to 6. Inputs to the processor algorithm are LNA-mixer gain state, DVGA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stat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and EE (energy estimator) values. Based on this input and energy estimate, a new AGC state, a new LNA state and a new DVGA state are calculated. In one aspect, the processor 905 (not shown)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performs the calculation.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905 is part of the AGC circuit 1020.

도 12 는 입력 신호 환경 (예를 들면, 입력 신호 레벨) 에 기초하여 (고 감도 모드 및 고 선형성 모드와 같은) 듀얼 모드들 사이의 토글링에 대한 일 예시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블록 1210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추정한다. 일 양태에서, 수신기 입력 에너지는 기저대역, 예를 들면, ADC 로의 입력, ADC 의 출력 또는 DVGA 의 출력에서 측정된다. 수신기 입력 에너지는 재머 에너지, 소망 신호 레벨 및 잡음 레벨을 포함한다. 블록 1220 에서, 종합 (aggregate) 이득에 의해 기저대역에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분할함으로써 수신기 프론트 엔드에서 (예를 들면, 도 9 에 도시된 LNA 중의 하나로의 듀얼 모드 AGC 수신기 입력에서)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서 (905) 는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한다. 종합 이득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모드에 따라, 하나 이상의 DVGA (950), ADC (940), 믹서/LPF (930) 및 (도 9 에 도시된) 2 개의 LNA 중의 하나 이상의 이득을 포함한다. 블록 1230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현재 모드를 판단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모드 1 (고 감도 모드) 에 있으면, 블록 1240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40 에서, 예를 들면, (스위치 포인트 S11 내지 S16 을 갖는) 모드 1 AGC SP 테이블을 사용한다. 듀얼 모드 AGC 수신기가 모드 2 (고 선형성 모드) 에 있으면, 블록 1250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50 에서, 예를 들면, (스위치 포인트 S 21 내지 S26 을 갖는) 모드 2 AGC SP 테이블을 사용한다. 블록 1240 에 후속하는 블록 1241 에서, 이득 상태 (GS) 가 G0 보다 크거나 같은지 및 G1 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예를 들면, G0≤GS≤G1) 판단한다. 일 예에서, 모드 1 비교기 임계값이 G0 또는 G1 를 위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득 상태 (GS) 가 G0 보다 크거나 같고 G1 보다 작거나 같으면, 블록 1243 으로 진행한다. 이득 상태 (GS) 가 G0 보다 크거나 같지 않고 G1 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블록 1242 로 진행한다. 블록 1242 에서, 이득 상태 (GS) 가 G2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일 예에서, 모드 1 비교기 임계값은 G2 를 위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득 상태 (GS) 가 G 2 보다 크면, 블록 1280 으로 진행한다. 이득 상태 (GS) 가 G2 보다 크지 않으면, 블록 1243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43 에서,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값을 결정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값은 입력 신호 레벨 및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에 기초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값은 현재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가 1 이면, 듀얼 모드 AGC 수신기를 모드 2 (고 선형성 모드) 로 스위칭하기 위해 블록 1245 로 진행하고, (스위치 포인트 S21 내지 S26 을 갖는) 모드 2 AGC SP 테이블을 사용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가 0 이면, 블록 1280 으로 진행한다. 일 예에서, 재머 검출기의 상태는 재머 검출기로의 입력 및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스테이터스에 기초한다. 12 shows an example flow diagram for toggling between dual modes (such as high sensitivity mode and high linearity mode) based on an input signal environment (eg, input signal level). In block 1210, estimate the receiver input energy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 one aspect, the receiver input energy is measured at baseband, eg, input to the ADC, output of the ADC or output of the DVGA. Receiver input energy includes jammer energy, desired signal level, and noise level. In block 1220,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at the receiver front end (eg, at a dual mode AGC receiver input to one of the LNAs shown in FIG. 9) by dividing the receiver input energy at baseband by an aggregate gain. Acquire. In one aspect, the processor 905 obtains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The aggregate gain includes the gain of one or more of one or more DVGA 950, ADC 940, mixer / LPF 930 and two LNAs (shown in FIG. 9), depending on the mode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n block 1230, determine the current mode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s in mode 1 (high sensitivity mode), proceed to block 1240. In block 1240, for example, use the Mode 1 AGC SP table (with switch points S11 through S16). If the dual mode AGC receiver is in mode 2 (high linearity mode), proceed to block 1250. In block 1250, for example, use a Mode 2 AGC SP table (with switch points S 21 through S26). In block 1241 subsequent to block 12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G0 and less than or equal to G1 (eg, G0 ≦ GS ≦ G1). In one example, determine whether the mode 1 comparator threshold is for G0 or G1. If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G0 and less than or equal to G1, proceed to block 1243. If the gain state GS is not greater than or equal to G0 and less than or equal to G1, proceed to block 1242. In block 1242, determine whether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G2. In one example, determine if the mode 1 comparator threshold is for G2. If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G 2, proceed to block 1280. If the gain state GS is not greater than G2, go to block 1243. In block 1243, determine the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The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based on the input signal level and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The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he current mode to the new mode. I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1, proceed to block 1245 to switch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 mode 2 (high linearity mode) and use the mode 2 AGC SP table (with switch points S21 to S26). I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is zero, go to block 1280. In one example, the state of the jammer detector is based on the status of the input to the jammer detector and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블록 1250 에 후속하는, 블록 1251 에서, 이득 상태 (GS) 가 G1 보다 크거나 같은지 및 G2 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예를 들면, G1≤GS≤G2) 판단한다. 일 예에서, 모드 2 비교기 임계값이 G1 또는 G2 를 위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득 상태 (GS) 가 G1 보다 크거나 같고 G2 보다 작거나 같으면, 블록 1253 으로 진행한다. 이득 상태 (GS) 가 G1 보다 크거나 같지 않고 G2 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블록 1252 로 진행한다. 블록 1252 에서, 이득 상태 (GS) 가 G3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일 예에서, 모드 2 비교기 임계값이 G3 를 위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득 상태 (GS) 가 G3 보다 크면, 블록 1280 으로 진행한다. 이득 상태 (GS) 가 G3 보다 크지 않으면, 블록 1253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53 에서,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비트의 값을 결정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비트의 값은 입력 신호 레벨 및 재머 검출기 임계값 (THj) 에 기초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비트는 현재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비트가 0 이면, 듀얼 모드 AGC 수신기를 모드 1 (고 감도 모드) 로 스위칭하기 위해 블록 1255 로 진행하고, (스위치 포인트 S11 내지 S16 을 갖는) 모드 1 AGC SP 테이블을 사용한다.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스테이터스 비트가 1 이면, 블록 1280 으로 진행한다.In block 1251, following block 1250, determine whether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G1 and less than or equal to G2 (eg, G1 ≦ GS ≦ G2). In one example, determine whether the mode 2 comparator threshold is for G1 or G2. If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G1 and less than or equal to G2, proceed to block 1253. If the gain state GS is not greater than or equal to G1 and less than or equal to G2, proceed to block 1252. In block 1252, determine whether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G3. In one example, determine if the mode 2 comparator threshold is for G3. If the gain state GS is greater than G3, go to block 1280. If the gain state GS is not greater than G3, go to block 1253. In block 1253, determine a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bit. The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bit is based on the input signal level and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TH j .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bi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he current mode to the new mode. I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bit is zero, proceed to block 1255 to switch the dual mode AGC receiver to mode 1 (high sensitivity mode) and use the mode 1 AGC SP table (with switch points S11 to S16). I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status bit is 1, proceed to block 1280.

블록 1245 또는 블록 1255 에 후속하여, 블록 1260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60 에서,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업데이트한다. 일 양태에서, 재머 카운터 (미도시) 에서의 재머 검출기 임계값이 업데이트된다. 다른 양태에서, 재머 비교기 (미도시) 에서의 재머 검출기 임계값이 업데이트된다. 블록 1260 에 후속하여, 블록 1270 으로 진행한다. 블록 1270 에서, 스위칭 이후의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모드 (예를 들면, 새로운 모드) 를 반영하고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반영하는 새로운 이득 상태를 설정한다. 블록 1270 에서, 재머 검출기 임계값은 새로운 이득 상태에 기초하여 재머 비교기내에서 업데이트된다. 블록 1280 에서, 듀얼 모드 AGC 수신기의 현재 모드를 반영하고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반영하는 새로운 이득 상태를 설정한다. 블록 1280 에서, 재머 검출기 임게값은 새로운 이득 상태에 기초하여 재머 비교기내에서 업데이트된다. 일 양태에서, 새로운 이득 상태는 이득 상태 (GS) 와 같을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블록 1270 또는 블록 1280 에서의 새로운 이득 상태는 LNA 이득 및/또는 포스트-LNA 이득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블록 1270 또는 1280 에 후속하여, 블록 1210 으로 되돌아간다. 당업자는 도 12 에 도시된 알고리즘 또는 포션 (portion) 은 본 발명 개시의 정신 또는 범위에 영향을 주지않고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도 12 에 도시된 알고리즘의 포션은 듀얼 모드 AGC 수신기 (900) 내의 프로세서 (905) (미도시) 에 의해 수행된다.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서 (905) 는 AGC 회로 (1020) 의 일부분이다. Subsequent to block 1245 or block 1255, proceed to block 1260. In block 1260, update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n one aspect,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at the jammer counter (not shown) is updated. In another aspect,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n the jammer comparator (not shown) is updated. Following block 1260, flow proceeds to block 1270. At block 1270, set a new gain state that reflects the mode (eg, new mode)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after switching and reflects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At block 1270,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s updated in the jammer comparator based on the new gain state. At block 1280, set a new gain state that reflects the current mode of the dual mode AGC receiver and reflects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At block 1280,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is updated in the jammer comparator based on the new gain state. In one aspect, the new gain state may be the same as the gain state GS. In one example, the new gain state at block 1270 or block 1280 includes an LNA gain and / or a post-LNA gain. In one aspect, following block 1270 or 1280, return to block 1210.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lgorithm or portion shown in FIG. 12 may be repeated without affecting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one aspect, the portion of the algorithm shown in FIG. 12 is performed by a processor 905 (not shown) in the dual mode AGC receiver 900. In another aspect, the processor 905 is part of the AGC circuit 1020.

당업자는 본원에 기술된 예들과 관련있게 기술된 다양한 설명적인 컴포넌트,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기적 하드웨어, 펌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것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 다양한 설명적인 컴포넌트, 블록, 모듈, 회로,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가 일반적으로 그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른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기술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 개시의 범위 또는 정신을 달리하는 것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descriptive components, logic blocks, modules, circuits, and / or algorithm step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electrical hardware, firmware, computer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o clearly illustrate this, the interchangeability of hardware, firmware, and software, various illustrative components, blocks, modules, circuits, and / or algorithm steps have been described above generally in terms of their functionality. Whether such functionality is implemented as hardware, firmware or software depends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and design constraints imposed on the overall system. Skilled artisans may implement the described functionality in varying ways for each particular application, but such implementation decision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causing a departure from the scope or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예를 들면,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프로세서(들)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 (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에 기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은 여기에 기술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면, 절차, 기능 등) 을 통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내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설명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 논리 블록, 모듈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는 또한 해당 분야에서 알려진 어떠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서 수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어로서 코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for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processor (s)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FPGA), a processor,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microprocessor, another electronic unit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or a combination thereof. With software, implementations may be through modules (eg, procedures, functions, etc.)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executed by a processor. In addition, the various illustrative flow diagrams, logic blocks, modules, and / or algorithm step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coded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executed on any computer-readable medium known in the art.

도 13 은 입력 신호 환경에 기초하여 (고 감도 모드 및 고 선형성 모드와 같은) 듀얼 모드 사이의 토글링에 적합한 디바이스 (13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디바이스 (1300) 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블록 1310, 1320, 1330, 1340, 1341, 1342, 1343, 1345, 1350, 1351, 1352, 1353, 1355, 1360, 1370 및 1380 에서의 입력 신호 환경에 기초하여, (고 감도 모드 및 고 선형성 모드와 같은) 듀얼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것에 대한 상이한 양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모듈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어떠한 조합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디바이스 (1300) 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된다. 13 shows an example of a device 1300 suitable for toggling between dual modes (such as high sensitivity mode and high linearity mode) based on an input signal environment. In one aspect, the device 1300 is input at blocks 1310, 1320, 1330, 1340, 1341, 1342, 1343, 1345, 1350, 1351, 1352, 1353, 1355, 1360, 1370, and 1380 as described herein. Based on the signal environment, it is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ing one or more modules configured to provide different aspects of toggling between dual modes (such as high sensitivity mode and high linearity mode). For example, each module includes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one aspect, the device 1300 is also implemented by at least one memory in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processor.

개시된 양태들의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만들거나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포괄적인 원리는 본 개시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previous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aspec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aspec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aspec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ure.

Claims (22)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갖는 수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는 입력 RF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 (toggle) 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LNA);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 2 LNA;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제공하는 재머 검출기; 및
상기 재머 검출기에 연결되어 상기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수신하는 자동 이득 제어 (AGC)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AGC 회로는 상기 재머 인터럽트 비트 및 이득 상태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NA 와 상기 제 2 LNA 사이에서 선택하는, 수신기.
A receiver having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the receiver toggles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a level of an input RF signal,
The receiver includes:
A first low noise amplifier (LNA) operating in the first mode;
A second LNA operating in said second mode;
A jammer detector providing a jammer interrupt bit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a jammer;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AGC) circuit coupled to the jammer detector to receive the jammer interrupt bit;
The AGC circuit selects between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based on the jammer interrupt bit and gain state comparis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NA 및 상기 제 2 LNA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RF 신호를 하향변환 신호로 하향변환하는 믹서; 및
상기 믹서에 연결되어, 상기 하향변환 신호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하향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저대역 통과 필터 (LPF) 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 mixer coupled to one of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to downconvert the input RF signal to a downconverted signal; And
And a low pass filter (LPF) coupled to the mixer to filter the downconverted signal to produce a filtered downconverted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PF 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링된 하향변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가변 이득 증폭기 (DVGA) 로 입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C) 를 더 포함하고,
상기 DVGA 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스케일링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2,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coupled to the LPF to digitize the filtered downconverted signal to generate a digital signal and input the digital signal to a digital variable gain amplifier (DVGA);
The DVGA scales the digital sig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VGA 에 연결되어, 상기 스케일링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기 출력 에너지를 추정하는 에너지 추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출력 에너지는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설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재머 검출기로 입력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energy estimator coupled to the DVGA, the energy estimator estimating a receiver output energy based on the scaled digital signal,
And the receiver output energy is input to the jammer detector for use in setting a jammer detector threshol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머 인터럽트 비트의 값은 상기 재머 검출기 임계값에 대한 상기 입력RF 신호의 레벨의 비교에 기초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value of the jammer interrupt bit i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level of the input RF signal to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제 1 항에 있어서,
기저대역에서의 수신기 입력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NA 및 상기 제 2 LNA 중 하나에 대한 입력에서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cessor for obtaining a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at an input to one of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based on receiver input energy at baseban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새로운 모드 및 상기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반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새로운 이득을 설정하는, 수신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cessor sets a new gain of the receiver to reflect the new mode and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머 검출기가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cessor instructing the jammer detector to update a jammer detector threshold.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를 갖는 수신기로서, 상기 수신기는 입력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드와 상기 제 2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 (toggle) 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LNA);
상기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 2 LNA;
재머의 존재를 나타내는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제공하는 재머 검출기;
상기 재머 인터럽트 비트를 수신하고 상기 재머 인터럽트 비트 및 이득 상태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NA 와 상기 제 2 LNA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A receiver having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the receiver toggles betwee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ased on an input signal level,
The receiver includes:
A first low noise amplifier (LNA) operating in the first mode;
A second LNA operating in said second mode;
A jammer detector providing a jammer interrupt bit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a jammer;
Means for receiving the jammer interrupt bit and selecting between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based on the jammer interrupt bit and gain state comparis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NA 와 상기 제 2 LNA 사이의 선택을 반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새로운 이득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9,
Means for setting a new gain of the receiver to reflect a selection between the first LNA and the second LNA.
입력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수신기의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글링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기의 이득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이득 상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재머의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머의 존재 및 상기 이득 상태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기의 현재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A method of toggling between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of a receiver based on an input signal level, the method comprising:
The method of toggling,
Comparing the gain state of the receiver to at least one gain state threshold;
Determining the presence of jammers; And
Switching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er to a new mode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presence of the jammer and the gain sta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상기 현재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 모드는 고 선형성 모드 또는 고 감도 모드 중의 하나인,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Determining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er;
And the current mode is one of high linearity mode or high sensitivity mode.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기 출력 에너지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Estimating the receiver output energ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출력 에너지에 기초하여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obtaining a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based on the receiver output energ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모드 및 상기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반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새로운 이득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Setting a new gain of the receiver to reflect the new mode and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제 15 항에 있어서,
재머 검출기 임계값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Updating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제 11 항에 있어서,
수신기 출력 에너지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Estimating the receiver output energy.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출력 에너지에 기초하여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nd obtaining a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based on the receiver output energ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로부터 상기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하지 않는 결정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And making a decision not to switch from the current mode to the new mod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 및 상기 정규화된 수신기 입력 에너지를 반영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의 새로운 이득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토글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Setting a new gain of the receiver to reflect the current mode and the normalized receiver input energy.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은,
수신기의 이득 상태를 하나 이상의 이득 상태 임계값과 비교;
입력 신호 레벨 및 재머 검출기 임계값에 기초하는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값을 판단; 및
상기 재머 검출기 인터럽트 비트의 값 및 상기 이득 상태의 비교에 기초하여 현재 모드를 새로운 모드로 스위칭할지 또는 스위칭하지 않을지의 결정을 위한 것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Execution of the computer program,
Compare the gain state of the receiver with one or more gain state thresholds;
Determine a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based on the input signal level and the jammer detector threshold; And
And for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a current mode to a new mode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value of the jammer detector interrupt bit and the gain stat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은 또한 상기 수신기의 상기 현재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현재 모드는 고 선형성 모드 또는 고 감도 모드 중의 어느 하나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The method of claim 21,
Execution of the computer program is also to determine the current mode of the receiver, the current mode being either a high linearity mode or a high sensitivity mode.
KR1020117004362A 2008-07-31 200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KR2011003663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32108P 2008-07-31 2008-07-31
US61/085,321 2008-07-31
US12/508,300 2009-07-23
US12/508,300 US20110021168A1 (en) 2009-07-23 2009-07-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631A true KR20110036631A (en) 2011-04-07

Family

ID=4122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362A KR20110036631A (en) 2008-07-31 2009-07-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19187A1 (en)
JP (1) JP2011530228A (en)
KR (1) KR20110036631A (en)
CN (1) CN102113224A (en)
TW (1) TW201021437A (en)
WO (1) WO20100148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5393B1 (en) * 2011-02-08 2014-05-14 ST-Ericsson SA Amplifier for a wireless receiver
US8571595B2 (en) 2011-04-07 2013-10-2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WLAN radio receiver gain in a wireless device
EP2509220B1 (en) * 2011-04-07 2016-10-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wlan radio receiver gain in a wireless device
US9148721B2 (en) * 2013-03-14 2015-09-29 Dunlop Manufacturing,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ilent true bypass switching
US9307549B2 (en) * 2013-09-30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NR adjustment in a receiver supporting 256QAM
CN104661289B (en) * 2013-11-18 2019-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Reduce the method and device thereof of mobile terminal power consumption
CN105591655A (en) * 2014-10-22 2016-05-18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Dynamic anti-interference receiver device and method
CN105897284A (en) * 2015-10-26 2016-08-24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Recei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TWI659622B (en) * 2017-05-17 2019-05-1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A system for improving received signal quality
TWI753437B (en) 2020-05-22 2022-01-21 四零四科技股份有限公司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attenuation of the receiving signal
CN113726351B (en) * 2020-05-22 2022-11-01 四零四科技股份有限公司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attenuation value of received signal
CN114143866B (en) * 2020-09-04 2023-08-1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eventing saturation of receiver uplink
CN116015331B (en) * 2022-12-26 2023-08-08 成都爱科特科技发展有限公司 Complex electromagnetic environment weak signal receiv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5431B2 (en) * 1998-03-20 2003-06-09 株式会社東芝 Radio transceiver and its receiving high-frequency unit and control unit
JP2003017957A (en) * 2001-07-04 2003-01-17 Clarion Co Ltd High frequency amplifier and receiver employing the same
CN1711700A (en) * 2002-11-18 2005-12-2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signal and interference power to obtain extended blocking performance
US7664211B2 (en) * 2005-10-07 2010-02-16 Starkey Laboratories, Inc. Automatic gain control with out of band blocking signal compensation
US8781426B2 (en) * 2006-05-1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ntrol loops in a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4806A1 (en) 2010-02-04
EP2319187A1 (en) 2011-05-11
JP2011530228A (en) 2011-12-15
TW201021437A (en) 2010-06-01
CN102113224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6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KR1011667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jammer detection in a receiver
RU2384942C2 (en) Variable band-pass filter for suppressing narrow-band noise and adjustable delay module
JP4834152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loop at the receiver.
US7668523B2 (en) Adaptive AGC in a wireless network receiver
TWI449343B (en) An adaptive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JP4933612B2 (en) Dynamic LNA switch points based on channel conditions
US7536159B2 (en) Automatic gain control using signal and interference power to obtain extended blocking performance
US20110021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with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agc)
JP2002509656A (en)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digital receiver
KR20110036764A (en) Jammer detection with mitigation of detection threshold hysteresis pinch-off effect
US9172344B2 (en) Statistical gain control in a receiver
US92886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with a wideban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JP3586267B2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7979041B1 (en) Out-of-channel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or RF front end
CN111106843A (en) Short wave receiver based on low OIP3 low noise amplifier
JP2004194355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2015126365A (en) Receiver
WO200610338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