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88A - 휴대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88A
KR20110034988A KR1020090092509A KR20090092509A KR20110034988A KR 20110034988 A KR20110034988 A KR 20110034988A KR 1020090092509 A KR1020090092509 A KR 1020090092509A KR 20090092509 A KR20090092509 A KR 20090092509A KR 20110034988 A KR20110034988 A KR 20110034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ower body
light
lantern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491B1 (ko
Inventor
김동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페이버 라이트 엔터프라이지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페이버 라이트 엔터프라이지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Priority to KR102009009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4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21V14/02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1Optical design with conical or pyramida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가능한 램프부재를 노브를 이용해 회전시켜 사용장소에 따라 플래시와 렌턴으로 간편하게 전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 내부로 건전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갖고, 하부는 받침대(11)가 체결고정되며, 몸체 상부로 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 상부에서 원뿔형상의 단차진 반사경(21) 하+부가 끼움홈과 결합고정되며, 그 외측으로 투광판(22)이 설치된 랜턴부(20)와;
상기 랜턴부(20) 상부로 결합되며, 몸체 중앙에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지지대(32)가 구비된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10)와 받침대(11)로 접점단자가 구비되며, 전류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되고, 하부몸체(10)의 상부를 관통해 설치되는 연결대(42)의 끝단부로 접점단자가 접지되어 구성된 전원공급부재(40)와;
상부몸체(30)의 지지대(32)에 몸체가 축 연결되며, 일측부로 연결대(42)와 접지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몸체 내부의 전구(52)가 작동하며, 몸체의 다른 일측부는 상부몸체(30)의 외측에서 조립되는 조절노브(51)와 축 결합되어 몸체가 회전가능한 램프부재(50)와;
상부몸체(30) 상부로 몸체가 착탈 결합되며, 상부로 호형상의 볼록렌즈(61)가 형성된 캡(6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휴대용 조명등, 랜턴, 플래시, 건전지, 조절노브

Description

휴대용 조명등 {a portable lamp}
본 발명은 휴대용 조명등은, 회전가능한 램프부재를 노브를 이용해 회전시켜 사용장소에 따라 플래시와 렌턴으로 간편하게 전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근래,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사람들이 여행을 떠나 자연 풍경을 즐기면서, 취사와 야영을 하는 캠핑문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레저문화의 다양화로 사람들이 야외에서 많은 시간을 활용하게 되었으며, 야간에도 활동할 수 있게 랜턴과 플래시와 같은 휴대용 조명기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플래시와 랜턴은, 사용자가 들고다닐 수 있게 몸체 내부로 수납된 건전지가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구를 발광시켜 빛을 조사해 어두운 장소에서 사물을 분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플래시는 전방으로 빛을 조사해 야간보행 등에 사용하고 있다.
또, 랜턴은 상기와 같이 내부 건전지를 이용해 전구를 발광시키는 구조는 동일하나, 텐트 내부와 같이 일정공간을 비추도록 측면과 하부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조명기기는, 야간 활동시 전방을 비추어 보행이 가능하게 사용되는 플래시와 텐트와 같이 별도의 조명기구가 없는 장소에서 상부나 바닥에 위치시켜 내부공간에 빛을 발산시키도록 하는 랜턴이 각각 필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각의 플래시와 랜턴을 별도로 보관하고, 따로 구분해 사용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 휴가나 기타의 사유로 야외 활동을 영위할 때 사용하는 플래시는 개인별로 휴대하고 있으나, 텐트와 같은 실내에서 사용하는 랜턴은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플래시를 랜턴대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플래시는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품이므로, 실내전체에 빛을 조사하지 못하고 일부분만을 비추어 야간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부피가 작은 가스를 이용한 제품의 랜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스를 사용한 랜턴은 비교적 넓은 공간을 비출 수 있으나, 조그만 부주의에도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열로 인해 텐트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플래시는 좁은 반사각을 갖고 전방으로 빛이 조사되어, 야간 산행과 같이 도보이동할 때 플래시가 비추는 좁은 각도 내에서만 전방의 사람이나 물건을 인식할 수 있어, 야간산행시 발을 헛디뎌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플래시와 랜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하는 하나의 조명등에 플래시와 랜턴이 전구의 회전에 따라 그 기능을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에 걸고리를 형성시켜 텐트 천장 및 손목스트랩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몸체 내부로 건전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갖고, 하부는 받침대(11)가 체결고정되며, 몸체 상부로 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 상부에서 원뿔형상의 단차진 반사경(21) 하부가 끼움홈과 결합고정되며, 그 외측으로 투광판(22)이 설치된 랜턴부(20)와;
상기 랜턴부(20) 상부로 결합되며, 몸체 중앙에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지지대(32)가 구비된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10)와 받침대(11)로 접점단자가 구비되며, 전류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되고, 하부몸체(10)의 상부를 관통해 설치되는 연결대(42)의 끝단부로 접점단자가 접지되어 구성된 전원공급부재(40)와;
상부몸체(30)의 지지대(32)에 몸체가 축 연결되며, 일측부로 연결대(42)와 접지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몸체 내부의 전구(52)가 작동하며, 몸체의 다른 일측부는 상부몸체(30)의 외측에서 조립되는 조절노브(51)와 축 결합되어 몸체가 회전가능한 램프부재(50)와;
상부몸체(30) 상부로 몸체가 착탈 결합되며, 상부로 호형상의 볼록렌즈(61)가 형성된 캡(6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하는 플래시에 랜턴부를 형성하고, 간단한 노브 회전으로 플래시와 랜턴을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하나의 제품만을 휴대하여 편리함을 향상시켰다.
또, 랜턴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경으로 빛의 조사각도를 확대시켜 실내공간을 더욱 환하게 비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 휴대가 가능한 조명등으로 실내 여러 장소에서 바닥과 천장에 설치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캡 중앙으로 볼록 렌즈를 형성되어 램프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넓은 지역에 조사되면서도 전방의 초점조절이 우수해 야간 산행 및 활동이 용이하다.
따라서, 야간 캠핑 및 야외 활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램프부재가 전방을 향해 조사하여 플래시 기능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램프부재가 후방을 향해 조사하여 랜턴 기능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은, 회전가능하게 축지된 램프부재를 노브를 이용해 회전시켜 사용장소에 따라 플래시와 렌턴으로 간단하게 전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휴대용 조명등(100)은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몸체(10)로 건전지가 수납되며, 그 하부로 받침대(11)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몸체(10)와 받침대(11)의 내부에는, 접점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건전지가 수납된 상태에서 체결고정되면, 전류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된 접점단자로 이동하게 된다.
또, 하부몸체(10)의 외면에는 스위치(41)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되는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43)을 설치하여 사용 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하부몸체(10)의 상부에는 원뿔형상을 갖는 반사경(21)이 결합 되도록, 끼움홈이 등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반사경(21)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턱이 각각의 끼움홈에 끼워져 하부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반사경(21)은 상부면이 연속되게 단차진 형상으로 제작되어, 빛의 반사각도와 밝기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또, 하부몸체(10)와 결합시킨 반사경(21)의 외측으로, 투광판(22)이 결합 고정되어 내부 반사경(21)의 오염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로 결합되는 상부몸체(30)를 고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반사경(21)에는 하부몸체(10)와 결합된 연결대(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42)는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30)에 각각 너트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연결대(42)는 저부가 하부몸체(10) 내부에 구비된 접점단자와 결합 되어 전원부와 연결되며, 상부는 상부몸체(30)를 관통해 너트체결되도록 하여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30)가 연결대(42)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몸체(30)는 몸체 중앙에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지지대(3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투광판(22)의 상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홈이 구비되어, 연결대(42)와 몸체를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따라서, 조명등을 구성하는 하부몸체(10)와 상부몸체(30)는 투광판(22)과 연결대(42)를 이용해 지지 고정되며, 반사경(21)과 투광판(22)으로 구성된 랜턴 부(20)를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몸체(30)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32)로, 램프부재(50)가 축 연결되게 결합하며, 상부몸체(30)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되는 조절노브(51)를 램프부재(50)의 측면과 축 고정시켜, 조절노브(51)의 회전으로 램프부재(50)가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하였다.
램프부재(50)가 지지대(32)에 축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하부 랜턴부(2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부몸체(10)로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램프부재(50)의 회전반경에 구멍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램프부재(50)는 상부몸체(30) 외측단부에서 끼워져 결합한 조절노브(51)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되어 램프부재(50)가 지지대(32)를 축결합된 상태에서 원활히 회전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 램프부재(50)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재(40)와 접지되어 있는 연결대(42)의 상부와 단자결합되도록 하여 램프부재(50)로 전원을 공급해 전구(52)를 발광시키도록 하였다.
즉, 하부몸체(10)에 구비된 스위치(41)를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접전단자와 접지된 연결대(42)를 통해 상부몸체(30)에 결합된 램프부재(50)의 전구(52)를 작동시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몸체(30)의 다른 측면에는 회전가능한 걸고리가 설치되며, 손목 스트랩을 결합해 사용자의 보행이나 활동시에 휴대용 조명등(100)을 간편히 휴대하여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몸체(30)의 상부로는 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 중앙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볼록렌즈(61)로 형성시켜 램프부재(50)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으로 집중되게 밝혀주어 플래시 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조명등(100)은, 사용자가 상부몸체(30) 측면에 결합된 조절노브(51)를 회전시켜 램프부재(50)를 상,하 회전시키면, 그 위치에 따라 전구(52)의 조사방향이 전방 및 후방으로 변환되어 빛을 조사함으로써, 랜턴 및 플래시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램프부재(50)에 사용되는 전구(52)는 LED전구를 이용해 사용함으로써, 전기소모를 줄이고 오랜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 전원공급부재(40)에서 공급되는 전원량을 스위치(41)를 이용해 조절함으로써, 전구(52)의 빛의 밝기를 조절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조절노브(51)를 회전시켜 램프부재(50)가 전방을 향하게 되면 전구(52)의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며, 이때 볼록렌즈(61)로 형성된 캡(6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집중도를 향상시킨 플래시로 사용하게 된다.
또, 도 3에서와 같이 조절노브(51)를 회전시켜 램프부재(50)가 후방을 향하게 되면, 전구(52)의 빛이 몸체 내부로 조사되면서, 반사경(21)에 부딪쳐 각도가 확장분산되어 내부공간을 더욱 환하게 비추는 랜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휴대용 조명등(100)을 랜턴으로 사용하게 되면 받침대(11)에 구비된 걸림고리(12)를 이용해 조명등을 뒤집어 텐트, 천막 등의 천장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받침대(11)을 이용해 바닥면에 수직 되게 놓아 사용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플래시 기능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조명등의 랜턴 기능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몸체 11 - 받침대
20 - 랜턴부 21 - 반사경
22 - 투광판 30 - 상부몸체
31 - 관통구멍 32 - 지지대
40 - 전원공급부재 41 - 스위치
42 - 연결대 50 - 램프부재
51 - 조절노브 52 - 전구
60 - 캡 100 - 휴대용 조명등

Claims (4)

  1. 몸체 내부로 건전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갖고, 하부는 받침대(11)가 체결고정되며, 몸체 상부로 끼움홈이 형성된 하부몸체(10)와;
    하부몸체(10) 상부에서 원뿔형상의 단차진 반사경(21) 하부가 끼움홈과 결합고정되며, 그 외측으로 투광판(22)이 설치된 랜턴부(20)와;
    상기 랜턴부(20) 상부로 결합되며, 몸체 중앙에 관통구멍(31)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지지대(32)가 구비된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10)와 받침대(11)로 접점단자가 구비되며, 전류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41)가 하부몸체(10)에 형성되고, 하부몸체(10)의 상부를 관통해 설치되는 연결대(42)의 끝단부로 접점단자가 접지되어 구성된 전원공급부재(40)와;
    상부몸체(30)의 지지대(32)에 몸체가 축 연결되며, 일측부로 연결대(42)와 접지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몸체 내부의 전구(52)가 작동하며, 몸체의 다른 일측부는 상부몸체(30)의 외측에서 조립되는 조절노브(51)와 축 결합되어 몸체가 회전가능한 램프부재(50)와;
    상부몸체(30) 상부로 몸체가 착탈 결합되며, 상부로 호형상의 볼록렌즈(61)가 형성된 캡(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조명등.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램프부재(50)에 사용되는 전구(52)는 LED전구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조명등.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램프부재(50)에 사용되는 전구(52)는 스위치(41)에 의해 순차적으로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조명등.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하부몸체(10)에는 사용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등(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용 조명등.
KR1020090092509A 2009-09-29 2009-09-29 휴대용 조명등 KR10109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09A KR101097491B1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09A KR101097491B1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88A true KR20110034988A (ko) 2011-04-06
KR101097491B1 KR101097491B1 (ko) 2011-12-22

Family

ID=4404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509A KR101097491B1 (ko) 2009-09-29 2009-09-29 휴대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77B1 (ko) * 2012-01-18 2013-12-10 삼포정보통신 (주) 랜턴 겸용 플래시
CN111288391A (zh) * 2020-03-18 2020-06-16 深圳市幼吾幼成长科技有限公司 小夜灯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17B1 (ko) 2013-03-25 2013-12-13 주식회사 미래 엠. 텍. 다용도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77B1 (ko) * 2012-01-18 2013-12-10 삼포정보통신 (주) 랜턴 겸용 플래시
CN111288391A (zh) * 2020-03-18 2020-06-16 深圳市幼吾幼成长科技有限公司 小夜灯及其控制方法
CN111288391B (zh) * 2020-03-18 2022-05-03 深圳市幼吾幼成长科技有限公司 小夜灯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491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313B2 (en) Illumination device
US7731385B2 (en) Multi-mode flashlight
KR102078828B1 (ko) 착탈식 다용도 조명기구
US5860729A (en) Fluorescent lantern with auxiliary light
JP3114446U (ja) 携帯型多目的ランプ
US20110058361A1 (en) Lantern apparatus
KR101097491B1 (ko) 휴대용 조명등
JP3113977U (ja) 携帯用の多用途光電子探照灯
KR101467831B1 (ko) 다기능 지팡이
US7097322B2 (en) Illumination device having detachable lighting units
US20060098424A1 (en) Rechargeable flashlight
KR101128822B1 (ko) 엘이디 램프
KR20130040982A (ko) 랜턴
KR20100009840U (ko) 걸이형 랜턴
CN204879490U (zh) 一种手提式led投光灯
KR20140003551A (ko) 조명장치
KR101969069B1 (ko)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KR101547274B1 (ko) Led 토치라이트
US20180156403A1 (en) Thermoelectric lamp
WO2023281322A1 (en) Portable flashlight with adjustable height and light
CN217422990U (zh) 一种照明灯
KR20160094601A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기차 좌석
KR101594126B1 (ko) 휴대용 랜턴
CN219389444U (zh) 一种多功能灯
KR20130041845A (ko)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