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77B1 - 랜턴 겸용 플래시 - Google Patents

랜턴 겸용 플래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77B1
KR101339977B1 KR1020120005878A KR20120005878A KR101339977B1 KR 101339977 B1 KR101339977 B1 KR 101339977B1 KR 1020120005878 A KR1020120005878 A KR 1020120005878A KR 20120005878 A KR20120005878 A KR 20120005878A KR 101339977 B1 KR101339977 B1 KR 10133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flash
light source
ligh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921A (ko
Inventor
유춘성
Original Assignee
삼포정보통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포정보통신 (주) filed Critical 삼포정보통신 (주)
Priority to KR102012000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광원, 일측으로 광원이 배치되고,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몸체, 몸체의 일측에 결합하고 빛이 투사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빛을 측방향으로 조사하는 랜턴몸체, 일 방향이 개방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랜턴몸체의 외주에서 랜턴몸체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랜턴몸체를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시키는 플래시몸체 및 랜턴몸체 또는 플래시몸체에 구비되어, 플래시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플래시몸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 하여, 랜턴몸체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측방 또는 일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측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어 그 활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랜턴 겸용 플래시 {Flash having lantern function}
본 발명은 플래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빛을 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는 랜턴 겸용 플래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필요한 작업을 위한 빛을 비추기 위한 것으로서 플래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래시는 빛이 전방으로만 집중되게 조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래시는 상기 빛의 조사범위가 전방으로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외의 다른 영역으로는 빛을 조사하기 어려웠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별도의 플래시 또는 광조사 범위가 큰 랜턴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측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랜턴 겸용 플래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광원; 일측으로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하고 빛이 투사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빛을 측방향으로 조사하는 랜턴몸체; 일 방향이 개방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랜턴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랜턴몸체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랜턴몸체를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시키는 플래시몸체; 및 상기 랜턴몸체 또는 상기 플래시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래시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플래시몸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 하여, 상기 랜턴몸체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빛을 측방 또는 상기 일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와 연결되고 외부의 콘센트와 직접연결이 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플러그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몸체는 외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플러그는, 상기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LED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은, 셔터방식으로 상기 플래시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되고, 상기 광원과 대면하는 측면에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부 조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나아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되어 상기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턴 겸용 플래시는,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빛을 선택적으로 전방 또는 측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어 그 활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턴 겸용 플래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랜턴 겸용 플래시를 랜턴용도로 적용하였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충전플러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랜턴 겸용 플래시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차단수단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턴 겸용 플래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랜턴 겸용 플래시를 랜턴용도로 적용하였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충전플러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차단수단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턴 겸용 플래시(900)는, 광원(100)과, 몸체(200)와, 랜턴몸체(300)와, 플래시몸체(400)와, 차단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100)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발산한다. 상기 광원(100)은,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지만, 저전력의 복수개의 LED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0)는, 일측으로 상기 광원(1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내부에 전원공급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200)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10)를 포함한 내부 부품을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210)는, 상기 광원(1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광원(10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211)와, 상기 충전배터리(211)와 연결되는 충전플러그(212)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배터리(211)는, 공지의 충전식 배터리로서 상기 몸체(20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충전플러그(212)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배터리(211)와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배터리(211)로 공급한다. 상기 충전플러그(212)는, 별도의 어댑터 없이 외부의 콘센트와 직접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충전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플러그(212)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200)에 절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몸체(200)는 일측에 상기 충전플러그(21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충전플러그(212)는 상기 수용홈(220)에 일축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홈(220)에 절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플러그(212b)는, 상기 수용홈(220)에 절첩되는 구조가 아닌, 권선된 전선과 연결 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충전플러그(212b)는 먼 곳에 위치한 콘센트에 연결이 용이하고, 또한 장소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직결식으로 연결이 어려운 콘센트에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충전플러그(212b)를 갖는 랜텀 겸용 플래시(900b)는, 상기 몸체(200b) 내부에 상기 전선이 권취되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전선이 권취되고 정역회전하여 상기 전선을 감거나 풀리게 하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의 회동을 제어하는 걸림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전선 권취릴 구조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210a,210b)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다.
상기 랜턴몸체(300)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결합하고 빛이 투사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빛을 측방향으로 조사한다.
상기 플래시몸체(400)는, 일 방향이 개방되고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랜턴몸체(300)의 외주에서 상기 랜턴몸체(300)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랜턴몸체(300)를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수단(500)은, 상기 랜턴몸체(300) 또는 상기 플래시몸체(400)에 구비되어,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개방된 일단을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하여, 상기 랜턴몸체(30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빛을 측방 또는 상기 일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차단수단(500)은, 상기 플래시몸체(400)가 상기 랜턴몸체(300)의 외주를 감싸고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개방된 일단이 개방되어 상기 빛이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일방향으로 조사되게 하고, 반면 상기 플래시몸체(400)가 상기 랜턴몸체(3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뒤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회동하면 셔터들이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개방된 일단을 패쇄 하면서 상기 빛이 측방으로만 조사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차단수단(500)은, 셔터방식으로 상기 플레시몸체(400)의 회동에 따라 개폐되는데, 이러한 셔터방식으로 개폐되는 차단수단의 원리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셔터방식으로 개폐되는 차단수단은, 링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작동부(30)와, 일측이 몸체(10)와 결합하는 힌지부(21)를 통하여 힌지결합하고 타측이 슬롯부(31)를 통하여 상기 작동부(3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개의 셔터들(20)을 포함하여,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30)가 일정각도 회동하면 상기 셔터들은 상기 슬롯부(31)를 통하여 개폐되는 원리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상기 차단수단(500)은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회동에 따라 셔터가 개폐된다. 한편,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한 작동부(30)에 의한 셔터방식구조 외에 기어들로 이루어진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셔터들을 개폐하는 등 공지의 다양한 셔터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차단수단(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슬라이딩 이동과 회동에 따라 작동되는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와 달리 위치센서와, 작동스위치 또는 작동단자 등을 포함하여 상기 플래시몸체(400)의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공지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차단수단(500)은, 상기 광원(100)과 대면하는 측면에 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수단(500)이 폐쇄될 시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여 이에 따라 빛을 확산 및 증대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단수단(500)의 측면에 반사물질을 도포 또는 반사되는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는 등 상기 빛을 반사할 수 있다면 어떤 구성이든지 적용가능하다.
상기 랜턴 겸용 플래시(900a,900b)는, 상기 몸체(200)에 구비되어 외부 조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조도센서(700)와, 상기 조도센서(7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10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랜턴 겸용 플래시(900a,900b)는, 정전 시 자동 점등되거나, 보안의 목적으로 야간에 자동 점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턴 겸용 플래시(900a,900b)는 상기 전원공급부(210)의 충전과 동시에 조명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랜턴 겸용 플래시(900a,900b)는, 상기 몸체(200)의 일측에 마련된 전원스위치(610)와, 조절스위치(6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스위치(610)는, 상기 전원공급부(210)와 연결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스위치(620)는, 상기 전원공급부(210)와 연결 되어 상기 광원(100)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610)와 상기 조절스위치(620)는 공지의 전원스위치(610)와 조절스위치(620)를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원 200... 몸체
210a,210b... 전원공급부 300... 랜턴몸체
400... 플래시몸체 500... 차단수단
610... 전원스위치 620... 조절스위치
700... 조도센서 800... 제어부
900a,900b... 랜턴 겸용 플래시

Claims (7)

  1. 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광원;
    일측으로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하고 빛이 투사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빛을 측방향으로 조사하는 랜턴몸체;
    일 방향이 개방된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랜턴몸체의 외주에서 상기 랜턴몸체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랜턴몸체를 선택적으로 외부 노출시키는 플래시몸체; 및
    상기 랜턴몸체 또는 상기 플래시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플래시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플래시몸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 하여, 상기 랜턴몸체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빛을 측방 또는 상기 일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와 연결되고 외부의 콘센트와 직접연결이 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배터리로 공급하는 충전플러그를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플러그는, 상기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절첩되는 랜턴 겸용 플래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개의 LED인 랜턴 겸용 플래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셔터방식으로 상기 플래시몸체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되고, 상기 광원과 대면하는 측면에 반사부가 형성된 랜턴 겸용 플래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외부 조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 되어 상기 광원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랜턴 겸용 플래시.
KR1020120005878A 2012-01-18 2012-01-18 랜턴 겸용 플래시 KR10133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78A KR101339977B1 (ko) 2012-01-18 2012-01-18 랜턴 겸용 플래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78A KR101339977B1 (ko) 2012-01-18 2012-01-18 랜턴 겸용 플래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921A KR20130084921A (ko) 2013-07-26
KR101339977B1 true KR101339977B1 (ko) 2013-12-10

Family

ID=4899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878A KR101339977B1 (ko) 2012-01-18 2012-01-18 랜턴 겸용 플래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52Y1 (ko) 2015-06-29 2015-10-20 이광수 조사범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2994A1 (en) * 2014-01-28 2017-01-05 Venntis Technologies, Llc Portable and reconfigurable isotropic lighting devices
KR20160062643A (ko) * 2014-11-25 2016-06-02 김진숙 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65Y1 (ko) 2000-07-28 2001-01-15 최복남 다용도 후레쉬
KR2011003498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휴대용 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65Y1 (ko) 2000-07-28 2001-01-15 최복남 다용도 후레쉬
KR2011003498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휴대용 조명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52Y1 (ko) 2015-06-29 2015-10-20 이광수 조사범위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921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77B1 (ko) 랜턴 겸용 플래시
KR20090017941A (ko) 조사범위가 조절되는 반사갓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728117B1 (ko) 디지털카메라용 조명기기
KR200484063Y1 (ko) 화장품 수납용 기능성 가방
CN205859758U (zh) 一种led轨道灯
JP2011015892A (ja) 照明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454547Y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366829B1 (ko)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200081860A (ko) 폴더형 휴대용 램프
KR101951287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3295Y1 (ko) 샤워부스용 기능성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한 샤워부스
JP5935002B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101202519B1 (ko) 용접 마스크
KR20150003518U (ko) 회전형 매입등
KR102022591B1 (ko) 초점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래시램프
KR102264372B1 (ko) 조명이 구비된 거울
KR102230284B1 (ko) 조명기능을 구비한 화장용 콤팩트
KR20130117150A (ko) 실내용 조명장치
KR100982627B1 (ko) 형광등 반사 갓
CN207865303U (zh) 闪光灯
TW201534179A (zh) 照明器具
CN205331884U (zh) 一种医疗救助光源装置
CN206347373U (zh) 一种远距离照明装置
JP2019038325A (ja) 車室内用照明装置
US20150234194A1 (en) Projecting Kalei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