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986A -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986A
KR20110034986A KR1020090092507A KR20090092507A KR20110034986A KR 20110034986 A KR20110034986 A KR 20110034986A KR 1020090092507 A KR1020090092507 A KR 1020090092507A KR 20090092507 A KR20090092507 A KR 20090092507A KR 20110034986 A KR20110034986 A KR 2011003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size
pod
eddy current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996B1 (ko
Inventor
정한섭
김홍덕
남민우
조찬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9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9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MRPC 검사로 외경축 균열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2개의 팬케익 코일과 하나의 플러스포인트 코일이 장착된 MRPC에 의해 와전류 검사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와전류 검사신호로부터 각 주파수의 신호특성을 분석하여 외경축 균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에 대하여 플러스포인트 코일의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보정곡선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이 시작되는 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균열이 끝나는 점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 대비 깊이의 형상 데이터로부터 유효깊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An Eddy Current Examination Method for the Outside Diameter Axial Cracks in Steam Generator Tubes Using Motorized Rotating Pancake Coil}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전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외경축 균열에 대한 MRPC(Motorized Rotating Pancake Coil: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서는, 외압보다 10MPa 가량 높은 내압을 지탱하는 압력경계로서, 니켈-크롬-철 합금(Alloy 600 등)으로 이루어지고, 직경 20㎜ 정도, 두께 1㎜ 정도의 얇은 튜브인 증기발생기 전열관을 이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증기발생기 전열관은 응력에 의한 부식균열의 발생빈도가 높으므로, 주기적으로 가동 중 검사를 수행하여 균열이 탐지되는 전열관을 정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균열이 커질수록 전열관의 내압능력이 저하되는데다가, 균열이 어느 정도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면 전열관의 파열(rupture)이나 누설 등의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가동 중 검사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대한 가동 중 검사로서는, 와전류탐상 비파괴 검사기술을 이용한다. 그렇지만, 균열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MRPC(Motor Rotating Pancake Coil: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를 주로 활용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설비로서의 증기발생기의 건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건전성 평가 절차를 시행하고 있다. 건전성 평가 절차라고 하는 것은, 전열관의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기술기반의 절차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기발생기의 건전성 평가를 수행할 때, 와전류 탐상검사의 균열크기 평가 능력이 매우 중요한 변수로 된다. 이는, 전열관의 건전성 평가가 균열크기와 그 크기의 성장속도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와전류 탐상검사의 균열크기에 대해 구축된 신뢰성 높은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검사의 균열크기 평가 능력이 검사기술, 균열의 형상, 평가자의 기량, 평가절차, 신호품질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아울러, 실제로 증기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균열과 동일한 균열을 충분히 많이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외경축 균열에 대한 MRPC(Motorized Rotating Pancake Coil: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의 최적 균열크기 평가절차와 크기평가 성능, 그리고 POD(Probability of Detection) 성능을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검사절차보다 결정계수 값을 높이고, RMSE 값을 줄여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MRPC 와전류 탐상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성이 높은 MRPC 와전류 탐상검사 성능을 얻기 위해서, 퇴역 증기발생기를 활용한 다자간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퇴역 증기발생기의 다양한 실제 균열을 활용하고, 현장 검사와 동일한 검사기술, 평가자, 평가절차 등을 준수하는 대규모 프로그램으로서, 실제 현장의 검사 성능을 모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아울러, 전열관을 발관해 방사선 물질 취급시설에서 파괴검사를 수행하여 균열의 형상과 크기를 모두 활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39개의 대표적인 외경축 균열을 선택한 후, 다양한 평가절차를 적용하면서, 서로 다른 10개의 평가팀(A1∼A10)으로 하여금 독립적으로 균열의 크기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파괴검사로 확인한 실제 크기와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적용한 평가절차는 현행 현장검사의 평가절차를 기반으로 하되, 주파수, 보정곡선(신호진폭 기반 또는 위상각 기반), 보정시편 노치 깊이의 조합 등을 변화시키면서 6개의 서로 다른 평가절차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상기 절차로 구축된 실제크기 대비 평가크기 데이터베이스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첫째로, 서로 다른 평가절차의 우열을 비교하여 최적 절차를 도출하고, 둘째로, 최적 절차의 균열크기 능력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실제크기 대비 평가크기는 일차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통계적인 결정변수와 평균오차 제곱근을 비교하여 평가절차별 우열을 비교하고 있다.
외경축 균열의 크기는 균열의 길이, 최대깊이, 유효깊이와 유효길이를 적용하여 구한 것이다. 4가지의 균열크기의 변수 모두, 일관되게 특정 평가절차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증기발생기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핵심기술로서는, 비파괴검사의 성능으로서 균열탐지확률(POD)과 균열크기 평가 능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자력 발전설비로서 고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비파괴 검사의 성능, 균열의 성장속도, 균열크기에 따른 내압능력의 감소, 전열관 재료의 물성 등을 모두 고려하는 결정론적 또는 확률론적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하면, MRPC 검사로 외경축 균열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2개의 팬케익 코일과 하나의 플러스포인트 코일이 장착된 MRPC에 의해 와전류 검사신호를 취득하 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와전류 검사신호로부터 각 주파수의 신호특성을 분석하여 외경축 균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에 대하여 플러스포인트 코일의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보정곡선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이 시작되는 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균열이 끝나는 점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 대비 깊이의 형상 데이터로부터 유효깊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정곡선은, 튜브의 두께 대비 100%, 60%, 20% 깊이의 축방향 노치를 가공한 전열관으로부터 얻어진 와전류 검사신호의 진폭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이 제공된다.
또, 상기 단계들에 의해 평가된 균열의 크기를 하기의 식 (1)에 대입하여 실제 균열의 크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1
여기서, VR은 실제 크기, VM은 검사로 평가된 크기, a0, a1은 상수, ε은 오차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단계들에 의해, 기존의 검사절차보다 결정계수 값을 높이고, 또 RMSE 값을 줄임으로써,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400kHz, 300kHz, 100kHz, 10kHz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파수이고, 상기 특정의 주파수는 300kHz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하면, MRPC 검사를 근거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할 때, 어느 정도 크기의 균열이 검사에서 탐지되거나 또는 탐지되지 않을 확률을 나타내는 POD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POD를 하기의 식 (2)의 함수로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균열의 크기로서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D 평가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2
(2)
여기서, xi는 균열의 크기, a, b는 로지스틱 함수를 정의하는 상수를 나타낸다.
이 경우, 통합 POD는 모든 평가자의 평균적인 기량을 반영하고, 기술 POD는 평가자의 기량이 완벽할 때, 즉 MRPC 검사의 기술적인 한계로서의 POD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균열 길이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짧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POD 평가방법으로 도출한 POD 대신에, 깊이와 길이를 모두 고려하는 하기의 식 (3)을 이용하여 POD를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3
(3)
여기서, L은 길이 또는 유효길이, D는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를 나타낸다.
상기 식 (3)에 의해 POD를 계산함으로써, 정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의하면,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외경축 균열에 대한 MRPC(Motorized Rotating Pancake Coil: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의 최적 균열크기 평가절차와 크기평가 성능, 그리고 POD(Probability of Detection) 성능을 정의함으로써, 기존의 검사절차보다 결정계수 값을 높이고, RMSE 값을 줄여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대한 와전류 탐상검사의 성능은 균열의 형상(외경/내경, 축/원주 방향)과 크기, 평가자의 기량, 검사기술, 신호품질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증기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결정입계(Inter Granular) 균열이 가지를 치면서 성장하고, 틈새가 매우 치밀하게 밀착되며, 주위에 철산화물 등이 퇴적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방전가공 노치 또는 실험실에서 신속히 제조한 피로균열과 응력에 의한 부식균열 등은 형상이 반듯하고 깨끗하며 균열틈새가 실제 균열만큼 치밀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균열에 대한 비파괴 검사의 성능을 정확하게 모사하기 곤란하다.
그래서, 실제 균열에 대한 검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퇴역 증기발생기를 활용하는 연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검사신호의 취득과 평가는 모두 실제 발전 소 검사와 동일한 기술, 평가인력과 절차를 적용하고 있다.
실제 균열의 형상과 크기를 확인하고 이를 검사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다수의 전열관을 인출하여 방사성 물질 취급시설에서 파괴검사를 수행하였다.
균열크기는 최대깊이와 길이를 기록하고, 균열형상으로부터 도출한 유효길이와 유효깊이도 반영하였다. 실제 균열의 불규칙한 형상에서 교차되는 많은 직사각형 균열을 가정하여 각각에 대한 파열압력을 계산한 후, 가장 파열압력이 작은 직사각형 균열의 깊이와 길이를 유효깊이와 유효길이라 정의하였다. 당해 직사각형 균열의 파열압력이 실제 균열의 파열압력을 보수적으로 대변한다고 간주한 것이다.
균열크기 평가 최적절차와 성능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도출한다.
먼저, 현장의 현행 검사기술을 기반으로 하되, 주파수와 노치 보정곡선을 변형시킨 6개의 서로 다른 평가절차 변수를 선정한다. (현행의 검사기술은 ③에 해당함.)
① 400kHz: 신호진폭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100, 60, 40)
② 400kHz: 신호진폭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100, 60, 20)
③ 300kHz: 신호진폭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100, 60, 40)
④ 300kHz: 신호진폭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100, 60, 20)
⑤ 400kHz: 위상각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100, 60, 40)
⑥ 300kHz: 위상각 보정곡선; 보정 시편 노치깊이 (100, 60, 40)
퇴역 증기발생기 20개와 전열관 39개의 균열에 대해, 각각 2인으로 구성된 10개 팀에 의해 독립적으로 크기를 평가한다. 이때, 상기한 6가지의 평가절차 사 양을 개별적으로 모두 적용한다.
평가된 크기와 실제 크기를 아래 식 (1)의 직선적인 회귀식으로 분석한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4
여기서, VR은 실제 크기, VM은 검사로 평가된 크기, a0, a1은 상수, ε은 오차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의 식 (1)에 필요한 상수와 데이터는, 표 1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 1에 제시되는 모든 데이터는, 상기의 평가절차 ④에서 도출된 값이다.
표 1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5
다음으로, 6개의 검사기술별 회귀결과로부터 통계적인 결정계수(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값을 구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이 경우, 결정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직선관계를 만족시키고, RMSE 값은 작을수록 회귀식과 실제값의 오차가 작아진다.
다음으로, 모든 크기변수에서 일관되게 평가절차 ④가 가장 큰 r2값과 가장 적은 RMSE값을 나타내므로, 평가절차 ④를 최적의 평가절차로 선정한다. 평가절차 ④의 회귀결과를 도 1a∼도 1d에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a∼도 1d는 최적 평가절차를 적용하여 평가한 크기와 파괴검사로 확인한 실제 크기의 회귀관계를 나타 낸 도면이다.
다음에,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쳐서 POD 성능을 도출한다.
먼저, 퇴역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대한 MRPC 검사신호를 서로 다른 9개 팀에 의해 독립적으로 평가한다. 이 경우, 각 팀은 일차, 이차, 최종 평가자(팀장) 등 3인으로 구성한다.
이어서, 비파괴 검사 평가결과와 파괴검사로 확인한 실제 균열을 비교할 때, 애매한 경우는 모두 전문가팀의 기술적인 토의를 거친 후, 최종적으로 75개의 외경축 균열의 크기와 각 팀별 탐지여부를 데이터베이스 표로 구축한다.
9개 팀별 균열 탐지여부는, 탐지한 경우는 1, 탐지하지 못한 경우는 0으로 표시한다. POD 데이터베이스는, 결과값이 0과 1 밖에 없는 2진 데이터(binary data)이다.
이로부터 연속적인 POD 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식 (2)의 로그-로지스틱(Log-Logistic) 함수를 이용한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6
(2)
여기서, xi는 균열의 크기, a, b는 로지스틱(Logistic) 함수를 정의하는 상수를 각각 나타낸다.
식 (2)의 계산에 필요한 상수와 데이터는 표 2 및 표 3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 2. 통합 POD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7
표 3. 기술 POD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8
이 경우, 통합 POD는 모든 평가자의 평균적인 기량을 반영하고, 기술 POD는 평가자의 기량이 완벽할 때, 즉 MRPC 검사의 기술적인 한계로서의 POD를 나타낸다.
상기의 식 (2)의 회귀식은 일반적인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최대우도방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적용한다.
9개 팀별 평가결과를 각각 POD 함수로 도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POD 함수는 균열이 작을 때에는 0으로, 균열이 커지면 1로 접근하는 연속함수이다. 균열의 크기를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로 하는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우수한 POD 함수가 정의되었으나, 길이 또는 유효길이를 기반으로 하는 POD 함수는 통계적인 의미를 부여하기가 곤란하다.
다음으로, 9개 팀별 평가결과를 하나로 통합하여 기술 POD와 통합 POD를 도출한다. 기술 POD는 평가자의 기량이 완벽할 때 기대할 수 있는 검사기술의 한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9개 팀 중에서 한 팀이라도 탐지를 하면 탐지한 것으로 간 주한다. 반면에, 통합 POD는 9개 팀별 POD 데이터를 모두 통합하여 도출한 POD 함수로서, 평균적인 기량을 가진 임의의 평가자에게 기대할 수 있는 성능을 의미한다.
도 2는 MRPC 와전류 탐상검사의 통합 POD 곡선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 (2)의 함수를 활용하여 도출한 연속적인 POD 함수의 대표적인 통합 POD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POD 함수를 지배하는 균열의 크기변수는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이지만, 균열길이도 POD에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균열의 길이와 깊이가 POD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POD 등고선을 그릴 수 있다. 도 3은 MRPC 와전류 탐상검사의 유효깊이와 유효길이 POD 등고선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 (3)의 2변수 로지스틱 함수를 활용하여 도출한 POD 등고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POD 등고선으로부터, 균열길이가 짧을 때(특히, 10㎜ 이하)는, 길이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9059965108-PAT00009
(3)
여기서, L은 길이 또는 유효길이, D는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식 (3)의 함수를 활용하여 POD를 계산함으로써, 정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식 (3)의 계산에 필요한 상수와 데이터는 표 4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 4
Figure 112009059965108-PAT00010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은, MRPC 검사로 외경축 균열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400kHz, 300kHz, 100kHz, 10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2개의 팬케익 코일과 하나의 플러스포인트 코일이 장착된 MRPC에 의해 와전류 검사신호를 취득하고(단계 S10), 상기 취득된 와전류 검사신호로부터 각 주파수의 신호특성을 분석하여 외경축 균열을 확인한다(단계 S11).
이어서,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에 대하여 플러스포인트 코일의 300kHz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보정곡선을 작성하고(단계 S12),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이 시작되는 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균열이 끝나는 점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며(단계 S13), 상기 측정된 길이 대비 깊이의 형상 데이터로부터 유효깊이를 계산한다(단계 S14).
최후로, 상기 단계들에 의해 평가된 균열의 크기를 상기의 식 (1)에 대입하여 실제 균열의 크기를 추정한다(단계 S15).
상기 보정곡선은, 튜브의 두께 대비 100%, 60%, 20% 깊이의 축방향 노치를 가공한 전열관으로부터 얻어진 와전류 검사신호의 진폭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에 의해, 기존의 검사절차보다 결정계수 값을 높이고, 또 RMSE 값을 줄임으로써,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장의 검사와 건전성 평가절차에 바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크기평가 성능 자료는 건전성 평가 절차에서 핵심요소로 활용 가능하며, 건전성 평가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의 핵심적인 입력자료이다. 결정론적 평가기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확률론적 평가기법도 활용이 가능하다. 와전류 검사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a∼도 1d는 최적 평가절차를 적용하여 평가한 크기와 파괴검사로 확인한 실제 크기의 회귀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MRPC 와전류 탐상검사의 통합 POD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MRPC 와전류 탐상검사의 유효깊이와 유효길이 POD 등고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5)

  1. MRPC 검사로 외경축 균열의 크기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2개의 팬케익 코일과 하나의 플러스포인트 코일이 장착된 MRPC에 의해 와전류 검사신호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와전류 검사신호로부터 각 주파수의 신호특성을 분석하여 외경축 균열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에 대하여 플러스포인트 코일의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보정곡선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외경축 균열이 시작되는 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균열이 끝나는 점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길이 대비 깊이의 형상 데이터로부터 유효깊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정곡선은, 튜브의 두께 대비 100%, 60%, 20% 깊이의 축방향 노치를 가공한 전열관으로부터 얻어진 와전류 검사신호의 진폭을 기반으로 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에 의해 평가된 균열의 크기를 하기의 식 (1)에 대입하여 실제 균열의 크기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
    Figure 112009059965108-PAT00011
    여기서, VR은 실제 크기, VM은 검사로 평가된 크기, a0, a1은 상수, ε은 오차를 각각 나타낸다.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400kHz, 300kHz, 100kHz, 10kHz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파수이고, 상기 특정의 주파수는 300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축 균열 크기 평가방법.
  4. MRPC 검사를 근거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할 때, 어느 정도 크기의 균열이 검사에서 탐지되거나 또는 탐지되지 않을 확률을 나타내는 POD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POD를 하기의 식 (2)의 함수로 계산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균열의 크기로서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D 평가방법.
    Figure 112009059965108-PAT00012
    (2)
    여기서, xi는 균열의 크기, a, b는 로지스틱 함수를 정의하는 상수를 나타낸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균열 길이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짧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POD 평가방법으로 도출한 POD 대신에, 깊이와 길이를 모두 고려하는 하기의 식 (3)을 이용하여 POD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D 평가방법.
    Figure 112009059965108-PAT00013
    (3)
    여기서, L은 길이 또는 유효길이, D는 최대깊이 또는 유효깊이를 나타낸다.
KR1020090092507A 2009-09-29 2009-09-29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KR10113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07A KR101131996B1 (ko) 2009-09-29 2009-09-29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07A KR101131996B1 (ko) 2009-09-29 2009-09-29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986A true KR20110034986A (ko) 2011-04-06
KR101131996B1 KR101131996B1 (ko) 2012-03-30

Family

ID=4404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507A KR101131996B1 (ko) 2009-09-29 2009-09-29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2801A (zh) * 2013-10-28 2014-01-29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非接触式水轮发电机定子机座变形测量装置及方法
KR20160028181A (ko) * 2014-09-03 2016-03-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피검사체의 균열길이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9941B2 (en) 2018-12-12 2022-11-15 Zetec, Inc. Eddy current prob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2801A (zh) * 2013-10-28 2014-01-29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非接触式水轮发电机定子机座变形测量装置及方法
KR20160028181A (ko) * 2014-09-03 2016-03-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피검사체의 균열길이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996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3021A (ko) 피로 손상 예측과 구조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 검사에서의 매립된 결함의 확률론적 모델링과 사이징
Guan et al. Life time extension of turbine rotating components under risk constraints: A state-of-the-art review and case study
CN112597642A (zh) 一种基于金属检验的高温集箱状态评估方法
WO2011059990A1 (en) Method of modeling steam generator and processing steam generator tube data of nuclear power plant
Shokralla et al. Methods for evaluation of accuracy with multiple essential parameters for eddy current measurement of pressure tube to calandria tube gap in Candu® reactors
KR101131996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경축 균열에 대한 모터구동 회전 탐촉자 와전류 탐상검사방법
CN116953196B (zh) 一种钢制三通的缺陷检测与安全状态评估方法
Moorthy et al. Experimental study on delamination identification in tapered laminated composite plates using damage detection models
Hui et al. Plastic limit load analysis for steam generator tubes with local wall-thinning
Trampus Ensuring safety of structures and components at nuclear power plants
Pitner et al.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fracture mechanics to optimize the maintenance of PWR steam generator tubes
Pagan et al. Characterization and structural integrity tests of ex-service steam generator tubes at Ontario Power Generation
CN112649354A (zh) 一种多传感器测量金属管道腐蚀的综合评价方法
Simonen Nondestructive examination reliability
Rao In-service inspection an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safe and reliable operation of NPPs
Dundulis et al. Pipe rupture and inspection sensitivity analysis
Chatterjee et al. A Bayesian probabilistic approach to improved health management of steam generator tubes
Deng et al. Model based POD techniques for enhancing reliability of steam generator tube inspection
Matveev 1. General and reviews
JP2021173695A (ja) 健全性評価解析システム及び方法
Zhang 1. General and reviews
Kurth et al. Impact of Undetected Fabrication Flaws on LBB Risk
WO2016011235A1 (en) Total integrated tube analysis
Peng et al. Study on the Indication Processing Method for the In-Service Inspection Based on RSE-M
Jianling et al. Steam generator heat transfer tube integrity based on leak rate detec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