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765A -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765A
KR20110034765A KR1020090092187A KR20090092187A KR20110034765A KR 20110034765 A KR20110034765 A KR 20110034765A KR 1020090092187 A KR1020090092187 A KR 1020090092187A KR 20090092187 A KR20090092187 A KR 20090092187A KR 20110034765 A KR20110034765 A KR 2011003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isposable
charcoal
calc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철
Original Assignee
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철 filed Critical 유종철
Priority to KR102009009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765A/ko
Publication of KR2011003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43Peroxyhydrates, peroxyacids or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을 첨가하여 살균력과 내식성을 높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응집력 및 견고성이 높은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당 탄산칼슘12 ~ 18 중량부, 안정제 0.05 ~ 0.3 중량부, 지푸라기 또는 왕겨 5 ~ 25 중량부, 대나무껍질 1 ~ 10 중량부, 보강제 1 ~ 3 중량부, 숯 1 ~ 10 중량부, 전분 1 ~ 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형성되는 일회용품은 분해성이 없는 합성수지재와 거의 같은 물성을 가지면서도 분해가 빠르게 일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합성수지, 폴리프로필렌, 안정제, 숯, 왕겨, 지푸라기, 대나무껍질.

Description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PLASTIC MATERIAL OF RESOLVABILITY FOR DISPOSABLE}
본 발명은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을 첨가하여 살균력과 내식성을 높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응집력 및 견고성이 높은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소재는 다양하고 우수한 기능 및 저렴한 가격으로 현대인의 풍요로운 일상생활과 산업발달에 큰 공헌을 해온 반면, 대량으로 발생하는 각종 폐비닐, 스티로폼, 플라스틱 용기 등의 소각이나 매립에 따른 환경호르몬 누출, 맹독성의 다이옥신 검출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합성수지폐기물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쉽게 분해되는 분해성 합성수지의 개발이 진행중이다.
상기 분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조성물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749975호, 제488438호 및 제761038호 등에 개시된 바 있고, 미국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3840512호, 제3941759호, 제3994855호, 제4101720호 및 제4256851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강도와 연성이 취약하여 충격에 쉽게 파손된다.
(2) 살균력 및 내식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당 탄산칼슘12 ~ 18 중량부, 안정제 0.05 ~ 0.3 중량부, 지푸라기 또는 왕겨 5 ~ 25 중량부, 대나무껍질 1 ~ 10 중량부, 보강제 1 ~ 3 중량부, 숯 1 ~ 10 중량부, 전분 1 ~ 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탄산칼슘과 대나무껍질을 첨가하여 강도가 높고 연성이 강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2) 숯을 첨가하여 살균력 및 내식성을 높게 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당 탄산칼슘12 ~ 18 중량부, 안정제 0.05 ~ 0.3 중량부, 지푸라기 또는 왕겨 5 ~ 25 중량부, 대나무껍질 1 ~ 10 중량 부, 보강제 1 ~ 3 중량부, 숯 1 ~ 10 중량부, 전분 1 ~ 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열경화성 수지로 고분자 구조에 3차수소가 많이 있기 때문에 불안정하여 열화가 일어나기 쉬워서 상기 안정제를 사용한다.
상기 안정제는 부자유페놀(hindered phenols), 아인산염(phosphites) 또는 규산알미늄 중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이 12 ~ 18 중량부로 형성되는 이유는 12 중량부 보다 적으면 분해성이 낮아지고, 18 중량부 보다 많으면 강도, 지지력, 내수성이 부족해 지기 때문이다.
상기 지푸라기(벼, 밀 , 보리등의 짚) 및 왕겨는 표피를 이용하여 사용되어 형태제작에 응집력을 높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푸라기 및 왕겨가 5 ~ 25 중량부로 형성되는 이유는 1 중량부 보다 적으면 응집력이 낮고, 24 중량부 보다 많으면 깨짐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대나무껍질은 유연함을 높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1 중량부 보다 적으면 유연함이 낮아지고, 10 중량부 보다 높으면 견고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보강제가 1 ~ 3 중량부로 형성되는 이유는 1 중량부 보다 적으면 결속력에 문제가 발생하고, 3 중량부 보다 많으면 결속력은 높으나 균열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숯이 1 ~ 10 중량부로 형성되는 이유는 살균력과 내식성을 높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1 중량부 보다 적으면 살균력과 내식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 보다 높으면 결속력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전분은 견고력을 강화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1 중량부보다 적으면 견고력이 낮아지고, 20 중량부 보다 많으면 견고력이 높아져 깨짐 현상이 발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일회용 용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프로필렌 78 중량부에 탄산칼슘 10 중량부, 지푸라기 5 중량부, 대나무껍질 2 중량부, 보강제 1 중량부, 숯 1중량부, 전분 3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물 또는 희석알코올 용액(1%이하)을 투여한 후에 고온, 고압에서 추출물을 얻어낸다.
상기와 같이 얻은 추출물을 활용하여 일회용품의 용기 등을 생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일회용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1) 물성실험
제조된 일회용품의 시편을 5cm × 5cm의 크기로 형성하고, 인스트롱으로 10mm/min의 속도로 힘을 가하여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굴곡강도(㎏/㎠)

일회용품

103
(2) 분해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형성된 용기를 50cm의 깊이로 매립한 후에 시간대별로 매립용기를 채취해서 분해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상기 분해성실험 결과 1개월 경과 후 곰팡이가 발생하면서 줄무늬가 생기고, 2개월 경과 후에는 그 형상이 더욱 뚜렷하게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진행이 계속되다가 16개월 경과 후에는 형태를 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분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형성되는 일회용품은 분해성이 없는 합성수지재와 거의 같은 물성을 가지면서도 분해가 빠르게 일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3)

  1.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당 탄산칼슘12 ~ 18 중량부, 안정제 0.05 ~ 0.3 중량부, 지푸라기 또는 왕겨 5 ~ 25 중량부, 대나무껍질 1 ~ 10 중량부, 보강제 1 ~ 3 중량부, 숯 1 ~ 10 중량부, 전분 1 ~ 2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부자유페놀(hindered phenols), 아인산염(phosphites) 또는 규산알미늄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3. 폴리프로필렌 78 중량부에 탄산칼슘 10 중량부, 지푸라기 5 중량부, 대나무껍질 2 중량부, 보강제 1 중량부, 숯 1중량부, 전분 3중량부를 혼합기에 투입하고 물 또는 희석알코올 용액(0.1 ~ 1%)을 투여한 후에 고온, 고압에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품 용기.
KR1020090092187A 2009-09-29 2009-09-29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KR20110034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87A KR20110034765A (ko) 2009-09-29 2009-09-29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87A KR20110034765A (ko) 2009-09-29 2009-09-29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65A true KR20110034765A (ko) 2011-04-06

Family

ID=4404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87A KR20110034765A (ko) 2009-09-29 2009-09-29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7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2944A (zh) * 2015-03-10 2015-06-03 南京工业大学 秸塑复合型板材的制备方法
CN104830085A (zh) * 2015-05-25 2015-08-12 吴江华诚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环保木塑复合材料
CN105111763A (zh) * 2015-08-20 2015-12-02 南京雷实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育苗装置的胶粘基质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2944A (zh) * 2015-03-10 2015-06-03 南京工业大学 秸塑复合型板材的制备方法
CN104830085A (zh) * 2015-05-25 2015-08-12 吴江华诚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环保木塑复合材料
CN105111763A (zh) * 2015-08-20 2015-12-02 南京雷实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育苗装置的胶粘基质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0410B (zh) 用于制造生物塑料产品的方法
US9085677B2 (en) Bioplastics
CN104761818A (zh) 一种利用秸秆制备聚丙烯基木塑复合材料的方法
CN104877367A (zh) 可降解环保筷及其制备工艺
CN104497442A (zh) 一种环保保健木塑板
KR20070010837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CN104497443A (zh) 一种清香环保木塑板
KR20110034765A (ko) 일회용품용 복합분해합성수지 조성물
CN104761820A (zh) 一种利用稻壳粉制备聚丙烯基木塑复合材料的方法
CN105837983A (zh) 一种木塑板及生产工艺
CN105566876A (zh) 一种可降解塑料袋/地膜及其制备方法
CN104558969A (zh) 一种防虫木塑室内套装门及其制备方法
Tatara et al. Design properties for molded, corn-based DDGS-filled phenolic resin
CN102702696A (zh) 全降解生物材料及其制品
CN110643153B (zh) 纳米银抗菌生物降解薄膜的制备方法
CN101717527A (zh) 薯类淀粉降解塑料制品
CN104419784A (zh) 一种皮革用护理剂
CN106947155A (zh) 一种可降解食品包装袋
JP6099481B2 (ja) 抗菌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31063A (zh) 一种藻类制备的热塑性塑料
CN107759988A (zh) 一种可降解型塑料
WO2009135239A8 (de) Lederwerkstoff
CN1118519C (zh) 一次性可降解制品的制造方法及其制品
KR100488438B1 (ko) 자체 분해성이 우수한 일회용 프라스틱용기 조성물
CN105001508A (zh) 一种利用核桃壳粉制备聚乙烯基木塑复合材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