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637A -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637A
KR20110034637A KR1020117000809A KR20117000809A KR20110034637A KR 20110034637 A KR20110034637 A KR 20110034637A KR 1020117000809 A KR1020117000809 A KR 1020117000809A KR 20117000809 A KR20117000809 A KR 20117000809A KR 20110034637 A KR20110034637 A KR 2011003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band
cdma
bands
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지브 메흐로트라
Original Assignee
라지브 메흐로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지브 메흐로트라 filed Critical 라지브 메흐로트라
Publication of KR2011003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GSM, EGSM 900MHz 및 DCS 1800MHz 대역, 또한,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다른 대역의 듀플렉스 방식에 이용되는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duplexed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를 수행하기 위한 US 셀룰러 대역(Cellular Bands) 및 US PCS 대역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Guard Band Frequencies)의 페어링(paring)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활용되지 않은 스펙트럼의 본질적으로 부가적인(inherently additional) 활용을 유도하고, 스펙트럼과 같은 한정된 천연 자원(scarce natural resource)의 최적에 가깝고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용에 적용가능한 2개의 부가적인 산재대역(interspersed Band)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비하여 안정된 연결(balanced link)을 제공한다.

Description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Method and architecture for pairing guard band frequencies for effecting GSM, CDMA, UMTS and WCDMA services}
본 발명은 PGSM, EGSM 900MHz 및 DCS 1800MHz 대역, 또한,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다른 대역의 듀플렉스 방식에 이용되는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duplexed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를 수행하기 위한 US 셀룰러 대역(Cellular Bands) 및 US PCS 대역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Guard Band Frequencies)의 페어링(paring)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셀룰러 통신기술(wireless cellular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및 그 사용은 지난 10년간 전례가 없는(unprecederited) 발전 및 성장을 보여왔다. 이러한 분야에 기본적인 제한 요소(basic constraining factor)와 직면한 요청(challenge)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스펙트럼으로 알려진, 효율적인 캐리어 주파수의 활용이다. 이는 천연자원(natural resource)이며, 그러한 천연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극히 신중하고(prudently)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근래, WTR(World Telecom Regulatory) 단체(bodies)는, 본질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의 종류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의 분류(class)에 대하여, 서로 다른 지역에(in different regions), 다양한 주파수 대역(frquency bands)을 규제(regulate)하여 왔고 할당(allocate)하여 왔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t)는, 그러한 할당의 목적으로 세계를 3개의 지역으로 분할하였다(segregate). 아시아(Indian subcontinent)는 그러한 분류에 대하여 3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지는 반면, 유럽과 아프리카는 1개, 아메리카는 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셀룰러 이동통신의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equipment)의 설계(design) 및 가용성(availability)은 그러한 세계 스펙트럼 할당(worldwide spectrum allocations)에 근거해야 하고 또 호환(compatible) 되어야 한다. 스펙트럼 할당의 관점에서, 널리 사용 가능하고 최신의(emerging) 플랫폼은, [GSM과 WCDMA] 및 CDMA 2000으로 나누어진다. 그러한 플랫폼에 대한 세계 스펙트럼 할당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예로부터, GSM/WCDMA에 할당된 2개의 기본적인 스펙트럼 대역이 900MHz 셀룰러 대역과 1800MHZ DCS 대역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900MHz GSM 셀룰러 대역(25 + 25MHz 스펙트럼)의 밸런스 듀플렉스 셀룰러 모바일 시스템(Balanced Duplex Cellular Mobile System)["듀플렉스 시스템(Duplexed System)"]에서 업링크(up-linking) 및 다운링크(Down-linking) 요청에 대한 실제 대역 할당(Band Allocation)과 배치(Deployment)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101)는 듀플렉스 시스템에 대한 실제 주파수 배치 할당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2)는 초기 할당된(initial allocated) 업링크 주파수와 초기 할당된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의 45MHz 분할(separation)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3)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90MHz에서 915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부호(104)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935MHz에서 960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5)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A)라 불리는 915Hz에서 935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가드밴드는, 한쪽이 다른 한쪽에 들어가지 않도록 마지막 업링크와 최초의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에 간격(gap)이 있어야 한다는 것과 같이,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interference)으로 인해 활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듀플렉스 스펙트럼의 폭발적인 수요에 비하여 그 공급이 부족한 국제적인 천연자원의 엄청난 낭비를 초래하여 왔다.
도 3은 1800MHz DCS 대역(75 + 75MHz 스펙트럼)의 밸런스 듀플렉스 셀룰러 모바일 시스템["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요청에 대한 실제 대역 할당과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106)는 초기 할당된 업링크 주파수와 초기 할당된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의 95MHz 분할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7)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710MHz에서 1785MHz 범위의 7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8)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805MHz에서 1880MHz 범위의 7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9)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B)라 알려진 1785Hz에서 1805MHz 범위의 25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역 또한,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에 근거하여 배치되지 않았다.
도 4 및 도 5는 CDMA 200 스펙트럼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110)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24MHz에서 849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1)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69MHz에서 894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2)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C)라 불리는 849Hz에서 869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113)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850MHz에서 1910MHz 범위의 60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4)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930MHz에서 1990MHz 범위의 60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5)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D)라 불리는 1910MHz에서 1930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종래기술의 실시예에서는 밴드 RMA, RMB, RMC, RMD와 같은 것들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일부 나라에서는, 이러한 개별적인 가드밴드가 사용되었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페어링되지는 않았다). 이는, 기술적인 이유보다, 스펙트럼과 같은 귀중한 천연자원의 최적의 활용에 도달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역사적인 이유에 기인하는 것이다. 인프라(infrastructure) 및 단위 생산(roll out per subscriber) 비용의 폭등을 야기하는 종래기술의 본질적인 비효율성은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900MHz GSM 셀룰러 대역 : 25MHz + 25MHz" : 890HMHz ~ 915MHz의 업링크 및 935MHz ~ 960MHz의 다운링크, 링크간 간섭(interlink interference)을 제거하기 위한 915MHz ~ 935MHz의 활용되지 않은 가드밴드(unutilized Guard Band)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1800MHz DCS 대역 : 75MHz + 75MHz" : 1710HMHz ~ 1785MHz의 업링크 및 1805MHz ~ 1880MHz의 다운링크, 링크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1785MHz ~ 1805MHz의 활용되지 않은 가드밴드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850MHz US 셀룰러 대역 : 25MHz + 25MHz" : 824HMHz ~ 849MHz의 업링크 및 869MHz ~ 894MHz의 다운링크, 링크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849MHz ~ 869MHz의 활용되지 않은 가드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US PCS 대역 : 60MHz + 60MHz" : 1850HMHz ~ 1910MHz의 업링크 및 1930MHz ~ 1990MHz의 다운링크, 링크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1910MHz ~ 1930MHz의 활용되지 않은 가드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PGSM, EGSM 900MHz 및 DCS 1800MHz 대역, 또한, GSM, CDMA, UMTS 및 WCDMA와 같은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duplexed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를 수행하기 위한, US 셀룰러 대역(Cellular Bands) 및 US PCS 대역에서 개별적으로, 가드밴드 주파수(Guard Band Frequencies)의 페어링(paring)을 위한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밴드 RMA, RMB, RMC, RMD의 비활용은 본질적으로 부족한 스펙트럼의 최적에 가까운 활용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밴드 RMA는 밴드 RMB와 페어링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 RMA(주파수가 낮은)는 업링크에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밴드 RMA의 주파수보다 높은(870MHz만큼 높은) 다운링크의 밴드 RMB와 페어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밴드 RMC는(주파수가 낮은)는 업링크에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밴드 RMC의 주파수보다 높은(1061MHz만큼 높은) 다운링크의 밴드 RMD와 페어링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는,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페어링된 듀플렉스 스펙트럼의 부가적인 활용을 유도하며, 스펙트럼과 같은 한정된 천연자원의 최적에 가깝고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비하여 안정된 링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가드밴드에서의 페어링된 듀플렉스의 사용과 같은 페어링된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PGSM, EGSM 900MHz 및 DCS 1800MHz 대역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를 위한 사용되지 않은 낮은 주파수 대역 RMA를 다운링크에서 사용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 RMB와 페어링함으로써, PGSM/EGSM 900MHz 및 DCS 1800MHz 할당된 대역의 최적에 가까운 활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가드밴드에서의 페어링된 듀플렉스의 사용과 같은 페어링된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US 셀룰러 대역 및 US PCS 대역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를 위해 사용되지 않은 낮은 주파수 대역 RMC를 다운링크에서 사용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 RMD와 페어링함으로써, US 셀룰러 대역 및 US PCS 할당된 대역의 최적에 가까운 활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tion Unit)는 할당의 목적으로 세계를 3개의 지역으로 분할하였다. 아시아(Indian subcontinent)는 그러한 분류에 대하여 3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지는 반면, 유럽과 아프리카는 1개, 아메리카는 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셀룰러 이동통신의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equipment)의 설계(design) 및 가용성(availability)은 그러한 세계 스펙트럼 할당(worldwide spectrum allocations)에 근거해야 하고 또 호환(compatible) 되어야 한다.
스펙트럼 할당의 관점에서, 널리 사용 가능하고 최신의(emerging) 플랫폼은, [GSM과 WCDMA] 및 CDMA 2000으로 나누어진다.
그러한 플랫폼에 대한 세계 스펙트럼 할당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예로부터, GSM/WCDMA에 할당된 2개의 기본적인 스펙트럼 대역이 900MHz 셀룰러 대역과 1800MHZ DCS 대역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900MHz GSM 셀룰러 대역(25 + 25MHz 스펙트럼)의 밸런스 듀플렉스 셀룰러 모바일 시스템(Balanced Duplex Cellular Mobile System)["듀플렉스 시스템(Duplexed System)"]에서 업링크(up-linking) 및 다운링크(Down-linking) 요청에 대한 실제 대역 할당(Band Allocation)과 배치(Deployment)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101)는 듀플렉스 시스템에 대한 실제 주파수 배치 할당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2)는 초기 할당된(initial allocated) 업링크 주파수와 초기 할당된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의 45MHz 분할(separation)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3)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90MHz에서 915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4)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935MHz에서 960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5)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A)라 불리는 915Hz에서 935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가드밴드는,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interference)으로 인해 활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듀플렉스 스펙트럼의 폭발적인 수요에 비하여 그 공급이 부족한 국제적인 천연자원의 엄청난 낭비를 초래하여 왔다.
도 3은 1800MHz DCS 대역(75 + 75MHz 스펙트럼)의 밸런스 듀플렉스 셀룰러 모바일 시스템["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요청에 대한 실제 대역 할당과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106)는 초기 할당된 업링크 주파수와 초기 할당된 다운링크 주파수 사이의 95MHz 분할을 나타낸다. 도면부호(107)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710MHz에서 1785MHz 범위의 7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8)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805MHz에서 1880MHz 범위의 7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09)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B)라 알려진 1785Hz에서 1805MHz 범위의 25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대역 또한,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에 근거하여 배치되지 않았다.
도 4 및 도 5는 CDMA 200 스펙트럼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110)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24MHz에서 849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1)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869MHz에서 894MHz 범위의 25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2)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C)라 불리는 849Hz에서 869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113)는 업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850MHz에서 1910MHz 범위의 60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4)는 다운링크 요청을 실행하기 위해 1930MHz에서 1990MHz 범위의 60MHz에 할당된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부호(115)는 기술적으로 가드밴드(Guard Band)(이 경우는 밴드 RMD)라 불리는 1910MHz에서 1930MHz 범위의 20MHz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종래기술의 실시예에서는 밴드 RMA, RMB, RMC, RMD와 같은 것들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이는, 기술적인 이유보다, 스펙트럼과 같은 귀중한 천연자원의 최적의 활용에 도달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역사적인 이유에 기인하는 것이다. 인프라(infrastructure) 및 단위 생산(roll out per subscriber) 비용의 폭등을 야기하는 종래기술의 본질적인 비효율성은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밴드 RMA는 산재된(interspersed)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밴드 RMB와 페어링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 RMA(주파수가 낮은)는 업링크에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밴드 RMA의 주파수보다 높은(870MHz 만큼 높은), 다운링크의 밴드 RMB와 페어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밴드 RMC는(주파수가 낮은)는 업링크에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밴드 RMC의 주파수보다 높은(1061MHz 만큼 높은) 다운링크의 밴드 RMD와 페어링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구조는, 종래기술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스펙트럼의 본질적으로 부가적인 활용을 유도하며, 스펙트럼과 같은 한정된 천연자원의 최적에 가깝고 효율적인 활용을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비하여 안정된 링크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 개선된 연결 밸런스(interlink balance)를 제공하며, 개선된 스펙트럼 활용의 효율 및 개선된 단위 스펙트럼당 휴대전화기의 수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성능(ability)에 대하여 개선된 효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더 낮은 생산비용(costs of roll out) 및 유지비용(running costs) 또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가드밴드(Guard Band)에서의 듀플렉스 사용과 같은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duplexed cellular mobile telcommunication services)를 수행하기 위한, PGSM, EGSM 900MHz 및 DCS 1800MHz 대역(Bands)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Guard Band Frequencies)의 페어링(pairing)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uplink)를 위해 사용되지(unutilized) 않은 낮은 주파수 대역 RMA(lower frequency band RMA)를 다운링크에서 사용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 RMB(higher frequency band RMB)와 페어링(pairing) 함으로써, PGSM/EGSM 900MHz 및 DCS 1800MHz에 할당된 대역(allocated Bands)의 최적에 가까운 활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2.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가드밴드에서의 듀플렉스 사용과 같은 듀플렉스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US 셀룰러 대역(US Cellular Bands) 및 US PCS 대역에서의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를 위해 사용되지 않은 낮은 주파수 대역 RMC를 다운링크에서 사용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 RMD와 페어링 함으로써, US 셀룰러 대역 및 US PCS에 할당된 대역의 최적에 가까운 활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3.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의 연결 밸런스(interlink balnce)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4. I-Den, GSM, PGSM, EGSM, CDMA, CDMA 2000, UMTS와 WCDMA 및 그 외 가드밴드에서의 페어링된 듀플렉스(paired duplexed) 사용과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의 연결 밸런스(interlink balnce)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architecture).
KR1020117000809A 2008-06-13 2009-04-22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 KR20110034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404/DEL/2008 2008-06-13
IN1404DE2008 2008-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637A true KR20110034637A (ko) 2011-04-05

Family

ID=4141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809A KR20110034637A (ko) 2008-06-13 2009-04-22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194468A1 (ko)
EP (1) EP2286519A4 (ko)
JP (1) JP2011524139A (ko)
KR (1) KR20110034637A (ko)
CN (1) CN102067468A (ko)
AP (1) AP2010005497A0 (ko)
BR (1) BRPI0909868A2 (ko)
CA (1) CA2727853A1 (ko)
WO (1) WO2009150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738B1 (ko) * 2014-01-07 2017-08-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운링크 송신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US9357402B2 (en) * 2014-02-25 2016-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uard band usage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633A (en) * 1995-09-06 1998-09-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planning in a multi-system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6195532B1 (en) * 1996-06-28 2001-02-27 At&T Wireless Srcs. Inc. Method for categorization of multiple provid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ervice environment
KR100322025B1 (ko) * 1998-06-15 2002-06-24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주파수할당의증설방법및시스템
EP0975184A1 (en) * 1998-07-20 2000-01-26 Motorola,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and allocation scheme therefor
JP2001346265A (ja) * 2000-06-06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端末装置
US6748219B2 (en) * 2001-01-09 2004-06-08 Harri Jokinen Method for dynamically mapping channels for new GSM frequency bands
US7181161B2 (en) * 2001-09-14 2007-02-20 Atc Technologies, Llc Multi-band/multi-mode satellit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7151795B1 (en) * 2001-12-31 2006-12-19 Arraycom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tral efficiency using mitigated power near band-edge
US20070232349A1 (en) * 2006-04-04 2007-10-04 Jones Alan E Simultaneous dual mode 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US7907578B2 (en) * 2006-05-03 2011-03-15 Cellco Partnership Frequency overlay technique for a pico cell system
US20070286156A1 (en) * 2006-06-06 2007-12-13 Sr Telecom Inc Utilizing guard band between FDD and TDD wireles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7853A1 (en) 2009-12-17
WO2009150662A1 (en) 2009-12-17
CN102067468A (zh) 2011-05-18
EP2286519A4 (en) 2014-12-03
BRPI0909868A2 (pt) 2015-12-08
JP2011524139A (ja) 2011-08-25
EP2286519A1 (en) 2011-02-23
US20110194468A1 (en) 2011-08-11
AP2010005497A0 (en)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9901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TDD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646861B1 (ko) 적어도 2개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주파수 대역의 자원들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8030943A2 (en) Partially overlapping frequency bands in a hybrid frequency reuse plan
EP2020106B1 (en) Scalable spectrum cdma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dynamic orthogonal code allocation
EP2777320A2 (en) Adaptive flexible bandwidth wireless systems
US201500247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sm spectrum refarming for lte small cells
JP200927282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装置
KR20110034637A (ko) Gsm, cdma, umts 및 wcdma 서비스를 위한 가드밴드 주파수의 페어링 방법 및 구조
CN102340782A (zh) 一种双模系统、频谱调度、基带单元及干扰消除方法
EP3261376B1 (en) Heterogeneous-system same-frequency networking method and device
CN101562816A (zh) 一种频率复用的方法及装置
CN106412920B (zh) 一种邻频系统合路的方法及装置
CN114258049A (zh) 无源互调干扰抑制方法、终端、基站以及存储介质
CN102316460A (zh) Td-scdma系统的载波组网配置方法及系统
CA2784833A1 (en) Improved cellular radio frequency spectrum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