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471A -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471A
KR20110034471A KR1020090092002A KR20090092002A KR20110034471A KR 20110034471 A KR20110034471 A KR 20110034471A KR 1020090092002 A KR1020090092002 A KR 1020090092002A KR 20090092002 A KR20090092002 A KR 20090092002A KR 20110034471 A KR20110034471 A KR 2011003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main body
water
sens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대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471A/ko
Publication of KR2011003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물이 채워진 수조와, 상기 수조에 일부 잠기고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수조내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물감지봉, 물감지봉의 검출신호를 컨트롤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조연결선, 상하연결부, 본체연결선을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수조의 경계선에 인접한 본체의 소정부위에는 센서가 내장된 센서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물감지봉은 수조연결선과 상하연결부를 거쳐 상기 센서박스와 직접 연결되어 검출신호를 센서박스내 센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거나 혹은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때 센서까지의 신호전달 경로를 단축함으로써 검출 에러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습, 공기, 청정, 수조, 수위, 감지, 센서, 컨트롤박스, 검출에러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WATER TANK ASSEMBLY FOR 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위감지를 위해 설치되는 감지봉의 형상과 구조를 개량하여 오동작이나 오류발생을 극소화시킨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부와 가습부를 단일 본체에 형성하여 공기청정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조기기중 하나이다.
이러한 가습 공기청정기는 물을 필터로 이용하는 워터필터식 공기정화방식으로 공기 중의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균, 진드기, 꽃가루, 담배연기 등이 공기순환팬으로 흡입된 후 물이 적셔진 회전하는 디스크에 흡착되어 물속으로 끌어들임으로써 공기를 세척하고 가습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 가습 공기청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 공기청정기는 상하면이 개구되고 측면 둘레를 따라 그릴 형상의 토출구(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부면에 그릴 형상의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하부면이 개구되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20)과, 상부면이 개구되어 본체(10)의 하 부에 설치되는 수조(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내부에는 구동부가 설치되는데, 구동부는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브래킷(12)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20)의 흡입구(21)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7)과, 수조(30)에 설치된 디스크조립체(3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그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23)를 포함한다.
아울러, 수조(30) 내부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조립체(35)가 설치되는데, 이 디스크조립체(35)는 지지부(33)로 회전지지되는 디스크축(36)과, 이 디스크축(36)에 병렬로 다수 배열되는 디스크(37)와, 디스크축(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버(38)로 구분된다.
이때, 지지부(33)는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로 구분되고, 디스크축(36) 양단이 제1지지부(31)와 제2지지부(32)의 상단면에 안착되는데, 제1,2지지부(31,32)의 상부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34)에 삽입되어 디스크조립체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수조(30)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는 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손잡이(39)가 형성되고, 이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사용된다.
그리하여, 전원 공급에 따라 송풍팬(17)이 회전하면서 외기를 흡입하고, 디스크(37)가 회전되면서 수조(30) 내에 저장된 물에 적셔지고, 흡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외기와 접촉하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은 물에 적은 디스크(37)에 의해 제거되고 외기는 습기를 포함하게 되고, 습기가 포함된 외기는 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가습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청정 및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조(30)에는 물이 담기기 때문에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 가습 공기청정기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물감지봉(S)과, 수조연결선(L1), 상하연결부(C), 본체연결선(L2), 컨트롤박스(B)로 연결되는 구조가 다단계를 거쳐 연결되어 있고, 특히 연결선의 길이가 길어져서 컨트롤박스(B)에 구비된 센서까지 연결되는 동안 센싱 에러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유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조에 설치되어 저수된 물의 수위나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때 상부케이스와 본체가 연결되는 부위에 센서를 설치하고, 그 검출신호를 컨트롤박스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센싱에러를 방지하도록 한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제공을 그 주된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물이 채워진 수조와, 상기 수조에 일부 잠기고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수조내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물감지봉, 물감지봉의 검출신호를 컨트롤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조연결선, 상하연결부, 본체연결선을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수조의 경계선에 인접한 본체의 소정부위에는 센서가 내장된 센서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물감지봉은 수조연결선과 상하연결부를 거쳐 상기 센서박스와 직접 연결되어 검출신호를 센서박스내 센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거나 혹은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할 때 센서까지의 신호전달 경로를 단축함으로써 검출 에러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주된 구성 부위로, 상하면은 개구되고, 테두리를 따라 그릴 형상의 토출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팬(170)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브라켓(120)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케이스(200)의 흡입구(210)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송풍팬(170)의 회동을 조작 제어하는 조절노브(230)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는 수조(300)가 구비되며, 상기 수조(300)에는 물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수조(300)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35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조립체(350)는 회전축(3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디스크(370)를 포함하며, 회전축(36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레버(380)를 포함하고, 디스크(370)의 일부가 물 속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360)은 한 쌍의 제1,2지지부(310,32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340)에 안착 지지되며, 이들 제1,2지지부(310,320)는 지지부(330)를 구성한다.
그리고, 수조(300)의 저면 모서리 부근에는 내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손잡이(390)가 형성되어 가습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300)의 내벽 적소에는 물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물감지봉(S)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감지봉(S)은 수조연결선(L1)을 통해 상하연결부(C)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상기 상하연결부(C)는 수조(300)와 본체(100) 간의 안전하고 용이한 조립을 위해 소켓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하연결부(C)는 소켓 형태의 수조측 상하연결부와, 본체측 상하연결부로 구성되어 상호 조립시 커넥팅되는 형태로 통전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연결부(C)는 센서박스(4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센서박스(400)는 센서가 내장된 것으로, 기존에는 컨트롤박스(B) 에 내장되어 있던 것을 하향시킨 것이다.
특히, 상기 센서박스(400)는 수조(300)와 결합되는 본체(100)의 접합부, 즉 본체(100)와 수조(200)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본체(100) 쪽 내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감지봉(S)으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센서까지 도달하는 거리 및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검출에러 발생율이 극소화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박스(400)는 본체연결선(L2)을 통해 기존과 같이 컨트롤박스(B)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전원 공급에 따라 송풍팬(170)이 회전하면서 외기를 흡입하고, 디스크(370)가 회전되면서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에 적셔지고, 흡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외기와 접촉하며,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은 물에 적은 디스크(370)에 의해 제거되고 외기는 습기를 포함하게 되고, 습기가 포함된 외기는 토출구(11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가습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청정 및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수조(300) 내부의 물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물감지봉(S)은 실시간으로 감지된 검출신호를 기존보다 짧은 경로를 통해 센서가 내장된 센서박스(400)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시 발생될 에러율이 극소화되고, 검출감도도 높으며, 정확도도 높아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박스(B)는 기존처럼 센싱을 하지 않고, 센싱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만 수행하므로 제어 및 관리가 더욱 쉬워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본체 200....상부케이스
300....수조 400....센서박스

Claims (1)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커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물이 채워진 수조와, 상기 수조에 일부 잠기고 회전되는 디스크조립체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된 송풍팬을 포함하고, 수조내 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물감지봉, 물감지봉의 검출신호를 컨트롤박스로 전송하기 위한 수조연결선, 상하연결부, 본체연결선을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수조의 경계선에 인접한 본체의 소정부위에는 센서가 내장된 센서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물감지봉은 수조연결선과 상하연결부를 거쳐 상기 센서박스와 직접 연결되어 검출신호를 센서박스내 센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1020090092002A 2009-09-28 2009-09-28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20110034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02A KR20110034471A (ko) 2009-09-28 2009-09-28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02A KR20110034471A (ko) 2009-09-28 2009-09-28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71A true KR20110034471A (ko) 2011-04-05

Family

ID=4404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002A KR20110034471A (ko) 2009-09-28 2009-09-28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4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1268A1 (en) Humidifier
KR101307841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7365732B2 (ja) 加湿空気清浄機
WO2022205887A1 (zh) 用于空调器的空气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空调器
JP5053208B2 (ja) 空気清浄機
JP2012052699A (ja) 加湿器
KR20100019824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990A (ko) 가습공기 청정기
KR20140083641A (ko)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200086972A (ko) 가습기
KR20110034471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100945071B1 (ko)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110113263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위감지장치
KR101240085B1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KR20110113264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디스크
KR20200086971A (ko)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2302444B1 (ko) 스마트 환기시스템
KR102087223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KR101174039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장치
JP2012117770A (ja) 加湿空気清浄機
KR20110087751A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240120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341567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10113265A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디스크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