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171A - Color sorter for grain - Google Patents
Color sorter for g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4171A KR20110034171A KR1020090091608A KR20090091608A KR20110034171A KR 20110034171 A KR20110034171 A KR 20110034171A KR 1020090091608 A KR1020090091608 A KR 1020090091608A KR 20090091608 A KR20090091608 A KR 20090091608A KR 20110034171 A KR20110034171 A KR 201100341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passage
- grain
- grains
- goo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색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곡물 등의 피선별 입자를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각 입자의 색채에 따라 상기 피선별입자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불량 피선별 입자를 선별 처리하는 색채선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sorter, wherein moving the screened particles such as grains along a predetermined movement path, determining whether the screened particles are defective or not according to the color of each particle, and when the screen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sorter for screening a selected particle.
쌀 또는 대두 등의 곡물을 수확한 후 소정의 정제공정에서 상품화 가능한 양 품과 상품화 불가능한 불량품으로 선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백미의 경우에, 이물질이나 흑색, 갈색 등으로 변색되어 있은 쌀은 불량품으로서 미리 가능한 한 제거되지 않으면, 그 상품 가치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백미 이외의 많은 곡물에 있어서도, 손상 등에 의하여 변색된 불량품이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으면, 상품 가치를 저하시킬 수 있다.After harvesting grains such as rice or soybean, it is necessary to sort them into commercial goods and non-commercially defective products in a predetermined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white rice, rice discolored with foreign matter, black, brown, etc., may be degraded as long as it is a defective product and is not removed as far as possible. In addition, even in many grains other than white rice, if a defective product or foreign matter discolored due to damage or the like is mixed, the commodity value can be reduced.
따라서 종래부터 쌀 또는 대두 등의 곡립을 표면의 반사율에 의해서 선별하고 분리하는 색채선별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색채선별기는, 곡립을 선별부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소정의 광량하에서 곡립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된 화상에 따라 각 곡립의 불량품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불량품으로 판정된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한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color sorter for selecting and separating grains such as rice or soybean by surface reflectance has been proposed. The color sorter includes a supply unit for supplying grains to the sorting unit,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grains under a predetermined light quantity, a judg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grain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grain determined as defective product. It includes a sorting unit.
그런데, 탈곡을 하게 되면 미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곡물이 낙하하면서 먼지나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이물질이 발생하면 곡물이 빨리 상하게 된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시에도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By the way, threshing occurs when the threshing occurs. In addition, when the grain falls, dust or dust is generated. If this foreign matter occurs, the grains will spoil quickly. In addition, the purchase of the consumer is also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foreign matter.
따라서, 상기 색채 선별기에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집진장치가 선별기 상측 양측면에 배치되어서 먼지를 집진한다. 이 경우, 상기 집진장치가 양측면에 설치되면 중앙부에서 낙하하는 먼지나 분진은 집진하지 못하게 된다.Therefore, a dust collector must be installed in the color sorter. However, conventionally, the dust collecto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or to collect dust. In this case, when the dust collector is installed on both sides, dust or dust falling from the center portion cannot be collected.
또한, 상기 색채선별기는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서로 섞이지 않고도 동시에 선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다른 곡물마다 집진을 가능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color sorter needs to simultaneously screen various types of grain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llecting dust for each of the other grai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색채선별을 마친 곡물에서 집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색채선별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sort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moothing dust collection in the color-finished grai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서로 섞이지 않고도 동시에 선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곡물 종류마다에 대한 색채 선별과 동시에 집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색채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or sort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imultaneously sorting various kinds of grains without mixing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collecting and sorting colors for each grain type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양품의 곡물을 선별할 수 있는 선별 장치부들을 포함하는 색채 선별기로서, 상기 각각의 선별 장치부는, 외부로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곡물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불량품으로 판정된 곡물을 양품의 곡물과 분리시키는 선별부와, 상기 양호 곡물과 불량 곡물을 각각 다른 장소로 안내하는 양품 통로 및 불량품 통로를 포함하는 배출부와, 적어도 상기 양품 배출 통로에 분기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품 통로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Therefore, a color sor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 units arranged side by si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which can sort the grain of the good, each sorting device unit, the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grain from the outside, and A judging sec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supply section are defective, a sorting section for separating the grains determined as defective from the good grains, and a quality passage and a defective passage for guiding the good grains and the bad grains to different places, respectively. And a discharge part including a dust collecting part configured to branch to at least the non-defective product discharge passage to collect fine foreign matter from the non-defective passage.
이 경우, 상기 양품 통로의 측면에 제1 분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1 분기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미세 이물질은 통과시키고, 상기 곡물은 차단시키는 제1 망판과, 상기 제1 분기홀로부터 분기되어서 외부의 집진장치와 연결되는 제1 집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branch hole is formed at a side of the non-defective passage,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branch hole so as to be separable so that the fine foreign matter passes through and the grain is blocked. It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which is branched from the first branch hole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또한, 상기 불량품 통로의 측면에는 제2 분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2 분기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상기 미세 이물질은 통과시키고, 상기 곡물은 차단시키는 제2 망판과, 상기 제2 분기홀로부터 분기되어서 외부의 집진장치와 연결되는 제2 집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branch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efective passage,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ranch hole so as to be detached, the second net board through which the fine foreign matter passes, and blocks the grain; It may include a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which is branched from the second branch hole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이 경우, 상기 제1 집진통로 및 제2 집진통로의 배출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1 집진 통로 및 제2 집진 통로의 배출부와 동시에 연결되는 일반 집진 하우징과,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과 외부의 집진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최종 집진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ust collecting portion,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and the general It may further include a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connect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housing and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양품 통로 및 불량품 통로로 유입되지 않고 이탈되는 곡물을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이탈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탈 통로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 내로 이송시키는 제3 집진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ssage that guides the separated grains to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without being introduced into the non-defective passage and the defective passage,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fin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release passage.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for transferring into the dust collecting housin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색채 선별기는, 복수로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곡물을 공급받는 복수의 공급 호퍼들 및 상기 각각의 공급 호퍼들과 연결되어서 상기 곡물을 낙하 가이드 시키는 복수의 슈트(Chut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공급부들과, 상기 공급부마다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슈트를 따라 낙하한 곡물들 각각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복수의 판정부들과, 상기 공급부마다 대응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판정부의 판정에 의하여 불량품으로 판정된 곡물을 양품의 곡물과 분리시키는 복수의 선별부들과, 상기 공급부마다 대응되는 것으로, 양호 곡물과 불량 곡물을 각각 다른 장소로 안내하는 양품 통로 및 불량품 통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배출부들과, 상기 양품 통로마다 분기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양품 통로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제1 집진 통로들과, 상기 불량품 통로마다 분기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불량품 통로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제2 집진 통로들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 sort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ute arranged side by side, a plurality of chute for drop-guiding the grain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eed hoppers and each of the feed hoppers to receive the grain (Chute) A plurality of supply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ly units, a plurality of determination units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supply units, and a plurality of determination units determining whether each of the grains falling along the chute is defective,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pply units. A plurality of sorting sections for separating the grains, which are determined to be defective, by the determination from the grains of the good, and a plurality of sorting passag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pply units, each of which includes a good passage and a defective passage for guiding the good grain and the bad grain to different places. It is formed by branching each discharge portion and the good passage, and collects fine foreign matter from the good passage The branch that is formed by each of the defective passag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and that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from the reject passage.
이 경우, 상기 각각의 공급부마다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양품 통로 및 불량품 통로로 유입되지 않고 이탈되는 곡물을 별도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탈 통로들과, 상기 이탈 통로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제3 집진통로들과, 상기 제1, 2, 3 집진통로와 동시에 연결되어서 외부의 집진 장치와 연결되는 일반 집진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pply unit, the separation passages for transferring the grains that are separated without entering into the good quality passage and the defective passage to a separate position, and the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for collecting fine foreign matter from the separation passage And a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s at the same tim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배출 통로에 집진 장치를 포함하여서, 색채선별을 마친 곡물에서 집진을 원활하게 하여서, 양품의 곡물에 미강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곡물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커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dust collector in each discharge passage, to facilitate the dust collection in the color-finished grains, the long-life of the grain is not longer contained in the grain of good products do not conta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rice bran or dust, Satisfaction will increase.
또한, 선별 장치부들을 복수로 배치하여서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서로 섞이지 않고도 동시에 선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곡물 종류마다에 대한 색채 선별 과 동시에 집진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 unit can be sorted at the same time without mixing the various types of grain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lor sorting and collecting dust for each type of grai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기(100)의 일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color sort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A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기(100)는 공급부(110)와, 판정부(120)와, 선별부(130)와, 배출부(140)와 집진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lor sorter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110, a determination unit 120, a sorting unit 130, a discharge unit 140, and a dust collecting unit ( 150).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곡물을 공급받아서 후술하는 판정부(120)로 상기 곡물을 가이드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호퍼(111)와, 떨림판(112)과, 슈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1)는 외부로부터 곡물을 담는다. 떨림판(112)은 바이브레이터 등에 의하여 진동 되어 떨림판(112) 위의 곡물을 일정하게 슈트(114)로 공급한다. 슈트(114)는 상기 떨림판(112)에 의해 공급된 곡물을 다시 정렬시켜서 판정부(120)로 보내준다. 한편, 상기 곡물 및 선별기의 각종 컨트롤을 담당하는 컨트롤부(178)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pply unit 110 receives the grain from the outside and guides the grain to the determination unit 120 described later. The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 hopper 111, a shaking plate 112, and a chute 114. The hopper 111 contains grain from the outside. The shaking plate 112 is vibrated by a vibrator or the like to constantly supply the grain on the shaking plate 112 to the chute 114. The chute 114 rearranges the grains supplied by the shaking plate 112 and sends them to the determination unit 12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8 responsible for the various controls of the grain and sorter may be installed.
판정부(120)는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곡물(G)의 불량 여부를 판정한다. 즉, 상기 공급부(110)의 종단부로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낙하한 각 곡물의 화상이 낙하경로 도중의 판정 위치에 있어서 광전센서 등을 포함하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촬영된 화상의 농도와 농도에 관한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각 곡물의 불량품 여부를 판정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grain G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10 is defective. That is, an image of each grain dropped to a terminal of the supply unit 110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is taken by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 photoelectric sensor or the like at a determination position along the drop path, and the dens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s for the concentrations are compared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 grains is defective.
이를 위하여 상기 판정부(120)는 조명수단(122)과, 촬상 카메라(124)와, 판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수단(122)은 슈트(114)로부터 낙하하는 곡물(G)을 조명한다. 상기 조명수단(122)은 곡물의 전,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형광 램프 또는 LED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CCD 카메라 등의 촬상 카메라(124)는 상기 조명하에서 낙하하는 곡물을 촬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판정부(120)는 조명의 기준 값을 설정하기 위한 배경판(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22, an imaging camera 124, and a determination controller (not shown). The luminaire 122 illuminates the grain G falling from the chute 114. The lighting unit 122 may b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grain, it may be composed of a fluorescent lamp or LED lamp. An imaging camera 124 such as a CCD camera captures grain falling under the illumination.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background plate 125 for setting a reference value of illumination.
판별 제어부(미도시)는 촬상 카메라(124)가 인지한 곡물의 영상데이터를 받아서, 곡물의 양품 불량 판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선별 곡물의 종류에 따라 투과량과 반사량이 달라지며 이를 위해 조명수단(122)의 밝기 및 배경판(125)의 각도가 달라지게 설정할 수 있다.The discrimination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image data of the grain recognized by the imaging camera 124, and generates a good quality discrimination signal of the grain.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amount and the reflection amount vary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orted grain, and for thi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122 and the angle of the background plate 125 may be set to be different.
선별부(130)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곡물을 양품의 곡물과 분리시킨다. 상기 선별부(130)는 솔레노이드 밸브(에어건)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된 노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들이 한 모듈을 이루고 있으며 각 노즐(131)은 선별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The sorting unit 130 separates the grain determined to be defective from the grain of the good product. The sorting unit 130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air gun) and a nozzle 131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The nozzles form a module, and each nozzle 131 is connected to a sorting control unit (not shown).
따라서 상기 판정부(120)의 양품 불량 판별 신호에 따라서, 선별 제어부가 노즐(131)의 동작을 콘트롤하여 양호 곡물 내에 섞인 불량 곡물을 선별한다. 즉, 상기 노즐(131)의 동작시에는 일정량의 에어가 불량 곡물의 표면에 일정시간 분사되어 양품 통로(141) 입구쪽에서 불량품 통로(143) 입구 쪽으로 곡물의 궤적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good quality failure determination signal of the determination unit 120, the sort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nozzle 131 to sort the bad grains mixed in the good grains. That i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nozzle 131, a certain amount of air is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defective grains for a predetermined time to change the trajectory of the grains from the inlet side of the good passage 141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defective passage 143.
상기 판정부(120) 및 선별부(130)는 판별 하우징(121)에 의하여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20 and the selection unit 130 may be accommodated by the determination housing 121.
배출부(140)는 상기 양호 곡물과 불량 곡물을 각각 다른 장소로 안내한다. 이 경우, 배출부(140)는, 양호 곡물을 저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양품 통로(141)와, 불량 곡물을 상기 저장소와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불량품 통로(14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양품 통로(141)의 입구는 슈트(114)에서 낙하하는 곡물(G)이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unit 140 guides the good grains and the bad grains to different places. 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ion 140 includes a good passage 141 for moving the good grain to the reservoir and a bad passage 143 for moving the bad grain to a different location than the reservoi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of the conduit passage 141 is in a position where the grain G falling from the chute 114 can naturally flow.
집진부(150)는 적어도 상기 양품 통로(141)에 분기하여 형성되어, 상기 양품 통로(141)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 미세 이물질란, 탈곡을 하면서 발생하는 미강이나, 상기 곡물이 낙하하면서 발생하는 먼지나 분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런 미세 이물질이 잔재하면 곡물이 빨리 상하게 되고, 인체에도 좋지 않으며, 소비자의 구매 시에도 상기 이물질의 존재에 의하여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 dust collecting part 150 is formed by branching at least to the good quality passage 141 to function to collect fine foreign matter from the good quality passage 141. The fine foreign matter includes rice bran generated during threshing, dust or dust generated when the grain falls, and when such fine foreign matter remains, the grain quickly deteriorates and is not good for the human body. It is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색채 선별기(100) 전의 공정에서 발생한 미세 이물질 및 색채선별 공정에서 발생한 미세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foreign matters generated in the process before the color sorter 100 and the fine foreign matters generated in the color sorting process can be collected.
이 경우, 도 4에 도시되고 후에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기(100)가 복수개의 양품 통로(141)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양품 통로(141)마다 상기 집진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집진율이 우수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color sor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good quality passages 141,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150 is formed at each good quality passage 141. Since it is provided, the dust collection rate becomes excellent.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품 통로(141)의 측면에 제1 분기홀(142)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150)는 제1 망판(152)과, 제1 집진 통로(151)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 first branch hole 142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non-defective passage 141,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150 includes a first mesh plate 152 and a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 151).
따라서 상기 제1 망판(152)의 망 사이 간격은 곡물이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는 촘촘하여야 한다. 제1 집진 통로(151)는 상기 제1 분기홀(142)로부터 분기되어서 외부의 집진장치(19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분기홀(142)은 양호 곡물이 유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곡물과 함께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제1 집진 통로(151)로 빠져나가게 된다. 외부의 집진장치(190)는 집진 사이클론일 수 있다. Therefore, the spacing between the meshes of the first mesh panel 152 should be so tight that grain cannot escape.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is branched from the first branch hole 142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190. The first branch hole 14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ood grain is introduced, and thus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while being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grain.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190 may be a dust collecting cyclone.
이 경우, 상기 제1 망판(152)의 망이 촘촘하게 형성됨으로써, 계속 사용하게 되면 상기 망판에 미세 이물질이 끼워지거나 붙어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망판(152)을 쉽게 분리하여 청소한 다음 재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망판(152)은 상기 제1 집진 통로(151)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mesh of the first net board 152 is formed densely, so that when it is used continuously, fine foreign matter is stuck or stuck to the net boar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n operator to easily detach and clean the first mesh panel 152 and then recombine it. For this purpose, the first net plate 152 is preferably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상기 제1 망판(152)이 제1 분기홀(142)에 끼워지는 기구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기홀(142)에 외곽 및 상기 제1 망판(152)의 테두리부(152a)에 각각 결합홀들(142h, 152h)이 형성되고,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162)가 상기 결합홀들(142h, 152h)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분기홀(142) 측면에는 상기 제1 망판(152)이 간단히 조립되도록 가이드 수용부(14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망판(152)이 상기 가이드 수용부(142a)에 가이드 되어서 제1 분기홀(142)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망판(152)이 삽입되고 분리되기 간편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용부(142a)가 상측으 로 돌출된 사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mechanism in which the first mesh plate 152 is fitted into the first branch hole 142 is variou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coupling holes 142h and 152h are formed in the outer edge of the first branch hole 142 and the edge portion 152a of the first mesh plate 152, respectively, and the bolt Coupling member 162 such a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42h, 152h) and fastened. In this case, a guide accommodating portion 142a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ranch hole 142 so that the first mesh plate 152 is easily assembled, and the first mesh plate 152 is provided at the guide accommodating portion 142a. It may be guided and fitted into the first branch hole 142. Here, the guide receiving portion 142a may be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protruding upward so that the first mesh plate 152 is easily inserted and separat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조립이 간단하도록 상기 제1 망판(162)의 상측 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출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protrusion plate protruding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mesh plate 162 to simplify the assembly.
상기 제1 집진 통로(151)는 상기 제1 망판(152)이 설치된 후에, 상기 제1 양품 통로(141)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양품 통로(141) 및 상기 제1 집진 통로(15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들(141h, 151h)이 형성되고, 볼트 등의 결합수단(162)으로 이들 결합홀들(141h, 151h)에 삽입되어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집진 통로(151) 및 제1 망판(152)을 상기 양품 통로(141)에 결합시키는 구조는, 상기 제1 집진 통로(151) 및 제1 망판(152)의 결합홀(151h)은 상기 제1 망판(152)의 결합홀(152h)과 동일한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결합수단으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After the first mesh plate 152 is installe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good quality passage 141. In this case, coupling holes 141h and 151h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nduit passage 141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re formed, and the coupling holes 162 may be formed by coupling means 162 such as a bolt. 141h, 151h) can be combin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structure of coupl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first mesh plate 152 to the non-defective passage 141 may include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first. The coupling hole 151h of the mesh plate 152 may be coupled by the same coupling means as the coupling hole 152h of the first mesh plate 152, or alternatively, may be coupled at different positions by separate coupling means.
다시 도 1 및 도 2로 되돌아가서, 상기 색채 선별기(100)는, 상기 공급부(110), 판정부(120), 선별부(130), 배출부(140), 집진부(150)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70)의 바닥부(171)에는 각각 상기 양품 통로(141), 불량품 통로(143), 제1 집진 통로(151)와 외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양품연결 홀(172), 불량연결 홀(173), 집진 홀(17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종 집진 통로(185)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70)의 바닥부(171) 하측에서 위치하여, 상기 제1 집진 통로(151)와 외부의 집진 장치(19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1 and 2, the color sorter 100 is configured to fix the supply unit 110, the determination unit 120, the selection unit 130, the discharge unit 14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50. It may include a base frame 170, the bottom portion 171 of the base frame 17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assage 141, defective passage 143, connec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outside Good quality connecting hole 172, poor connection hole 173, dust collecting hole 174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185 may be located below the bottom 171 of the base frame 170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190.
한편, 불량품 통로(143)에서 나온 불량 곡물은 다시 공급부(110)로 이송되어서 상기 색채 선별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된 에어에 의해서는 정확하게 불량 곡물만 선별할 수 없고 상기 불량 곡물 주위의 양호 곡물의 일부도 불량품 통로(143)로 유입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fective grains from the defective passage 143 may be transferred to the supply unit 110 to receive the color selection. This is because only the bad grains cannot be sorted accurately by the air blown out from the nozzle, and a part of the good grains around the bad grains also flows into the defective product passage 143.
따라서, 상기 불량품 통로(143)에서도 집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량품 통로(143)의 측면에는 제2 분기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150)는 제2 망판(154)과, 제2 집진 통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망판(154)은 상기 제2 분기홀(144)을 메우는 것으로 상기 미세 이물질은 통과시키고, 상기 곡물은 차단시킨다. 제2 집진 통로(153)는 상기 제2 분기홀(144)로부터 분기되어서 외부의 집진장치(190)와 연결된다. Therefore, a dust collecting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defective product passage 143.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in particular, the second branch hole 14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efective passage 143,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50 is a second net plate 154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 153). In this case, the second net plate 154 fills the second branch hole 144 to allow the fine foreign matter to pass and block the gra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is branched from the second branch hole 144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190.
따라서 상기 제2 망판(154)의 망 사이 간격은 곡물이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는 촘촘하여야 한다. 제2 집진 통로(153)는 상기 제2 분기홀(144)로부터 분기되어서 외부의 집진장치(19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분기홀(144)은 양호 곡물이 유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상기 곡물과 함께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제2 집진 통로(153)로 빠져나가게 된다. 외부의 집진장치(190)는 집진 사이클론일 수 있다. Therefore, the spacing between the webs of the second net board 154 should be tight enough to prevent grain from coming out.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is branched from the second branch hole 144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190. The second branch hole 144 is preferably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ood grain is introduced, and thus is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while being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grain.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190 may be a dust collecting cyclone.
이 경우, 상기 제2 망판(154)의 망이 촘촘하게 형성됨으로써, 계속 사용하게 되면 상기 망판에 미세 이물질이 끼워지거나 붙어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 망판(154)을 쉽게 분리하여 청소한 다음 재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망판(154)은 상기 제2 집진 통로(153)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결합기구는 제1 망판(152) 및 제1 집진 통로(151)의 결합기구와 동일한 기구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since the mesh of the second net board 154 is formed densely, fine foreign matter is stuck or stuck to the net board when it is used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n operator to easily detach and clean the second half board 154 and then reassemble it. For this purpose, the second net plate 154 is preferably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Since the coupling mechanism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chanism of the first mesh plate 152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상기 제1 집진 통로(151) 및 제2 집진 통로(153)의 배출부(140)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집진부(150)는 최종 집진 통로(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집진 통로(185)는 상기 제1 집진 통로(151) 및 제2 집진 통로(153)의 배출부와 동시에 연결되어서, 외부의 집진 장치(190)와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art 140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185. The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185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at the same time,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190.
이 경우, 상기 색채 선별기(100)의 베이스 프레임(170)에 형성되며 제1 집진 통로(151)와 연결된 집진 홀(174)은 제2 집진 통로(153)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진부(150)는, 집진 홀(174)과 연결되는 일반 집진 하우징(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180)이 외부에 노출되어서 자연스럽게 집진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180)이 상기 최종 집진 통로(185)와 연결되어서 외부 집진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hole 174 formed in the base frame 170 of the color sorter 1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part 150 may further include a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hole 174.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naturally collect dust. Alternatively,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may be connected to the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185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ust collecting device.
한편, 상기 배출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통로(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통로(145)는 상기 양품 통로(141) 및 불량품 통로(143)로 유입되지 않고 이탈되는 곡류를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시키도록 가이드한다. 즉, 노즐(131)에서 토출가경에 빗맞추어 이탈되는 곡물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탈 통로(145)를 통한 곡물은 다시 상기 공급부(110)의 호퍼(111)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집진부(150)는, 상기 이탈 통로(145)로부터 미세 이물질을 집진하는 제3 집진 통로(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집진 통로(156)는 직접적으로, 또는 연결호스(158)를 통하여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180) 과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eparture passage 145, as shown in FIG. The release passage 145 guides the grains to be separated without being introduced into the good passage 141 and the defective passage 143 to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That is, the grains through the release passage 145 are guided back to the hopper 111 of the supply unit 110 by guiding the grains separated from the nozzle 131 by the discharge diameter.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156 that collects fine foreign matter from the separation passage 145. In this case, the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156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directly or through a connection hose 158.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 집진 하우징(180)은 상기 색채 선별기(100)의 베이스 프레임(170)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집진 통로(151), 제2 집진 통로(153) 및 제3 집진 통로(156)로부터 미세 이물질이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집진 통로는 하나의 최종 집진 통로(185)를 이용하여 외부 집진장치와 연결되어 집진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is formed in the base frame 170 of the color sorter 100,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and the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 156 to allow fine foreign matter to be conveyed. Therefore, each dust collecting passag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using one final dust collecting passage 185 to collect the dus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채 선별기(100)는 복수의 선별 장치부(101)들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선별 장치부(101)는 각각 별도의 공급부와, 판정부와, 선별부와, 배출부와, 집진부를 구비한다. 즉, 각각의 선별 장치부마다, 별도의 공급 호퍼(111)와, 슈트(114)와,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양품 통로(141)와, 불량품 통로(1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각의 선별 장치부(101)마다 피드 컨트롤, 광량 조절 등을 제어를 별도로 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olor sorter 100 may constitute a plurality of sorting device unit 101. Each said sorting apparatus part 101 is equipped with a separate supply part, a determination part, a sorting part, a discharge part, and a dust collecting part, respectively. That is, each sorting device unit may include a separate supply hopper 111, a chute 114, a camera module (not shown), a good quality passage 141, and a bad quality passage 143. In this case, the feed control, the light amount adjustment, and the like can be separately performed for each sorting device unit 101.
한편, 도 1에 도시된 판정부 및 선별부는 판별 하우징(121)에 의하여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컨트롤부(178)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determination unit and the sel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 may be accommodated by the determination housing 121, and a separate control unit 178 may be installed.
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을 동시에 선별할 수 있게 되며, 선별할 수 있는 곡물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 different types of grai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grain that can be selected.
이 경우, 제1 집진 통로(151) 및 제2 집진 통로(153)는 각각의 양품 통로(141)와, 불량품 통로(143)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서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3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good quality passage 141 and the defective quality passage 143,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is controlled individually. desirable.
한편, 상기 일반 집진 하우징(180)은 각각의 선별 장치부마다 별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모든 선별 장치의 제1, 2 집진 통로(151, 153)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180 may be disposed separately for each sorting device unit, or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s 151 and 153 of all the sorting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기의 일측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도 3은 도 1에서 양품통로와, 제1 망판과 제1 집진통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duit passage, a first net board and a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색채 선별기 101: 선별 장치부100: color sorter 101: sorting unit
110: 공급부 120: 판정부110: supply unit 120: determination unit
130: 선별부 140: 배출부130: sorting unit 140: discharge unit
141: 양품 통로 142: 제1 분기홀141: yield passage 142: first branch hole
143: 불량품 통로 144: 제2 분기홀143: defective product passage 144: second branch hole
145: 이탈 통로 150: 집진부145: escape passage 150: dust collector
151: 제1 집진 통로 152: 제1 망판151: first dust collecting passage 152: first half board
154: 제2 망판 153: 제2 집진 통로154: second half panel 153: second dust collecting passage
156: 제3 집진 통로 180: 일반 집진 하우징156: third dust collecting passage 180: general dust collecting housing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608A KR20110034171A (en) | 2009-09-28 | 2009-09-28 | Color sorter for g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608A KR20110034171A (en) | 2009-09-28 | 2009-09-28 | Color sorter for gra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71A true KR20110034171A (en) | 2011-04-05 |
Family
ID=4404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608A KR20110034171A (en) | 2009-09-28 | 2009-09-28 | Color sorter for g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4171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275B1 (en) * | 2011-08-12 | 2012-02-29 | 주식회사에이멕스 | Camera unit for grain sorter, grain sorte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sorting grain |
CN103817090A (en) * | 2013-12-02 | 2014-05-28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Spray valve port airflow guiding device of color sorter |
KR20150122917A (en) | 2014-04-24 | 2015-11-03 | 주식회사디에스케이 | Color sorting device |
CN105562368A (en) * | 2016-01-22 | 2016-05-11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Combined vertical blanking hopper of color sorter |
CN106475327A (en) * | 2016-10-28 | 2017-03-08 | 合肥美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dust suction converting interface, dust exhaust apparatus and color selector |
CN106623006A (en) * | 2016-12-26 | 2017-05-10 | 太仓美克斯机械设备有限公司 | Dedusting discharging device for grain color selector |
CN106925537A (en) * | 2017-04-28 | 2017-07-07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with on-line measuring device |
CN108435602A (en) * | 2018-05-22 | 2018-08-24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dust-collecting type discharge bucket |
CN109499925A (en) * | 2019-01-09 | 2019-03-22 | 深圳市中瑞微视光电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pattern classification system with Fusion of Color space |
CN110153010A (en) * | 2019-05-31 | 2019-08-23 | 封丘县豫封金属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grain color sorter dedusting blanking device |
CN110882946A (en) * | 2019-12-03 | 2020-03-17 | 安徽联河股份有限公司 | Color selector structure for rice screening |
KR102242846B1 (en) * | 2020-05-07 | 2021-04-22 | (주)일성테크 | Special material for optical color sorter Downhill guide chute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608A patent/KR2011003417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8275B1 (en) * | 2011-08-12 | 2012-02-29 | 주식회사에이멕스 | Camera unit for grain sorter, grain sorte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sorting grain |
CN103817090A (en) * | 2013-12-02 | 2014-05-28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Spray valve port airflow guiding device of color sorter |
KR20150122917A (en) | 2014-04-24 | 2015-11-03 | 주식회사디에스케이 | Color sorting device |
CN105562368A (en) * | 2016-01-22 | 2016-05-11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Combined vertical blanking hopper of color sorter |
CN106475327A (en) * | 2016-10-28 | 2017-03-08 | 合肥美亚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dust suction converting interface, dust exhaust apparatus and color selector |
CN106623006A (en) * | 2016-12-26 | 2017-05-10 | 太仓美克斯机械设备有限公司 | Dedusting discharging device for grain color selector |
CN106925537A (en) * | 2017-04-28 | 2017-07-07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with on-line measuring device |
CN108435602A (en) * | 2018-05-22 | 2018-08-24 | 安徽捷迅光电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dust-collecting type discharge bucket |
CN109499925A (en) * | 2019-01-09 | 2019-03-22 | 深圳市中瑞微视光电有限公司 | A kind of color selector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pattern classification system with Fusion of Color space |
CN110153010A (en) * | 2019-05-31 | 2019-08-23 | 封丘县豫封金属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grain color sorter dedusting blanking device |
CN110882946A (en) * | 2019-12-03 | 2020-03-17 | 安徽联河股份有限公司 | Color selector structure for rice screening |
KR102242846B1 (en) * | 2020-05-07 | 2021-04-22 | (주)일성테크 | Special material for optical color sorter Downhill guide chu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34171A (en) | Color sorter for grain | |
KR101194776B1 (en) | Color sorting device of three step | |
CN103025443B (en) | Ejector system for color sorter | |
US8944255B2 (en) | Chute for optical sorting machine | |
KR100315247B1 (en) | Granular Color Sorter | |
JP4915129B2 (en) | Color sorter | |
KR101317104B1 (en) | Granular material sorting apparatus | |
CN102049391B (en) | Screening device for foreign bodies in tea | |
US20140061103A1 (en) | Optical sorting machine | |
CN102806208B (en) | Granulous object sorting device | |
KR20150122917A (en) | Color sorting device | |
JP2007021381A (en) | Classifier | |
US11278938B2 (en) | Optical sorter | |
KR101389170B1 (en) | Granular material sorting apparatus | |
KR100838184B1 (en) | A color sorter having led array | |
KR101064917B1 (en) | Optional detachable color sorter by including rate of debris | |
JP2000107703A (en) | Method and machine for separating defective rice mixed in mixed rice | |
JP2007021382A (en) | Sorting machine | |
JP2862822B2 (en) | Grain sorter | |
US20220008959A1 (en) | Optical sorter | |
WO2021117417A1 (en) | Particulate sorting apparatus and color sorting machine | |
KR102413403B1 (en) | High-efficiency sorting device for grain seeds using image information inside the husk | |
KR101841139B1 (en) | Raw Material Multi Color Sorting Apparatus | |
US20230001454A1 (en) | Optical sorter | |
JP2007098276A (en) | Sor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