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712A -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712A
KR20110033712A KR1020090091301A KR20090091301A KR20110033712A KR 20110033712 A KR20110033712 A KR 20110033712A KR 1020090091301 A KR1020090091301 A KR 1020090091301A KR 20090091301 A KR20090091301 A KR 20090091301A KR 20110033712 A KR20110033712 A KR 2011003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data
nuclear power
power plant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명
조명석
이춘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9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712A/ko
Priority to PCT/KR2010/004172 priority patent/WO2011037315A1/ko
Publication of KR2011003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 열악한 사용 환경 하에서 운영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 구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이 제안된다. 제안된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은 수명관리DB(Data Base), 원전 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읽어오는 이력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열화현상데이터를 읽어오는 열화자료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읽어오는 정밀점검관리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건전성 수치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건전성평가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내구성예측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보수물량을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하는 보수관리모듈 및 웹화면을 통하여 각 모듈을 구동시키는 웹서버시스템을 포함한다.
원전, 원자력 발전소, 구조물, 관리시스템, 웹서버

Description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Structural Life Management System for the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웹서버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대한 현황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현황에 대한 판단, 점검 및 구조물의 보수를 통해 원전 구조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에너지 자립은 국력을 좌우하고 있으며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에너지원(석유,석탄,천연가스)을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에너지자립은 국운을 걸고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이다.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필수 에너지인 전기의 소비도 해마다 급증하고 있어 발전 설비를 계속해서 늘려나갈 필요가 있는 반면, 수입에너지인 석유사용의 비중을 낮추기 위해서 원자력발전의 이용이 중시되어 왔다. 탈석유전원정책으로 지난 '70년대부터 시작한 원자력발전은 오늘날 주력의 발전원으로 총 발전량 중 거의 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세계 6위 의 원전 강대국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원자력발전은 석유파동(석유공급불안/고유가시대)이나 에너지무기화에 대비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원으로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다만,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제4호 원자로에서 방사능이 누출되었던 사고에서 미루어 볼 수 있듯이 원전의 관리 소홀은 큰 피해를 입힐 우려가 있어 원전의 안전 문제는 언제나 최우선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외부에 영향을 미칠 원자력 사고가 발생한 적이 없지만, 원자력 분야의 매우 경미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그 피해는 매우 심각하며,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에 대한 안전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으며, 향후 안전성 관련 법률 등이 제정 또는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구조물의 건전성을 관리하고 보수 유지를 위한 관리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원전 구조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의 경우 구조물에 대한 자료를 단순히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고, 항목별로 별도로 관리하여 자료의 중복 및 누락, 손실 및 데이터 방대화로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물의 보수 관련 데이터베이스나 구조물 이력자료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미비하여 원전 구조물의 관리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료를 저장하여 DB(Data Base)를 구축하는 단계를 넘어서 저장된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간에 준하는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자료를 토대로 보수관리를 연계하여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수명예측까지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구성을 갖춘 DB구축·평가·대책이 연계된 원전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수명관리DB(Data Base); 원전 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읽어오는 이력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열화현상데이터를 읽어오는 열화자료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읽어오는 정밀점검관리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건전성 수치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건전성평가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내구성 및 예 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내구성예측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보수물량을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하는 보수관리모듈; 및 웹화면을 통하여 이력관리모듈, 열화자료관리모듈, 정밀점검관리모듈, 건전성평가모듈, 내구성예측모듈 및 보수관리모듈을 구동시키는 웹서버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명관리DB는 이력관리모듈, 열화자료관리모듈, 정밀점검관리모듈, 건전성평가모듈, 내구성예측모듈 및 보수관리모듈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항목별 DB로 구축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웹서버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이력관리모듈, 열화자료관리모듈, 정밀점검관리모듈, 건전성평가모듈, 내구성예측모듈 및 보수관리모듈에 대하여 원전 구조물에 대한 데이터를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이력관리모듈, 열화자료관리모듈, 정밀점검관리모듈, 건전성평가모듈, 내구성예측모듈 및 보수관리모듈이 수명관리DB에서 읽어온 데이터 또는 산출한 데이터를 웹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이력데이터는 원전 구조물에 관한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및 ISI·SIT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화현상데이터는 직선형, 영역형, 각도형, 상대좌표형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옵션선택형 화상자료로 입력되는 것을 일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밀점검결과데이터는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검사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전성평가모듈은 부재별 건전성 수치, 부재그룹별 건전성 수치 및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예측모듈은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에 대하여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중성화 속도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중성화깊이를 산출하고 중성화 측면에서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며, 원전 구조물의 염해에 대하여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염화물 확산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염화물 침투량을 산출하고, 염해의 측면에서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수관리모듈은 보수공사가 이루어진 경우 보수공사에 따라 변경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 방법에 있어서, 원전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 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수물량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처리된 결과를 웹화면 상에서 검색하고,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이력데이터는 원전 구조물에 관한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및 ISI·SIT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화현상데이터는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이 직선형, 영역형, 각도형, 상대좌표형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옵션선택형 화상자료로 입력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밀점검결과데이터는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검사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는 부재별 건전성 수치, 부재그룹별 건전성 수치 및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성화와 염해에 대한 내구성을 예측, 산출하는 단계는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에 대하여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중성화 속도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중성화깊이를 산출하고 중성화 측면에서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며, 원전 구조물의 염해에 대하여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염화물 확산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염화물 침투량을 산출하고, 염해의 측면에서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수물량 산출,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보수공사가 이루어진 경우 보수공사에 따라 변경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현황에 대한 각종 자료를 통합적으로 저장하여 이를 통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데이터에 대한 평가 및 보수 유지가 연계되어 관리되는 효과가 있으며, 저장된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간에 준하는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가 가능하며, 구조물의 수명예측까지 통합적으로 가능한 구조물에 대한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전 안전성 향상 및 원전 구조물의 수명관리체계 확립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핵심 분야는 원전 구조물 외에 일반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일반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 시스템으로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 시스템은 수명관리DB(Data Base); 원전 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읽어오는 이력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열화현상데이터를 읽어오는 열화자료관리모듈;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읽어오는 정밀점검관리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건전성 수치를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건전성평가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내구성예측모듈; 수명관리DB에 저장된 구조물이력데이터,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원전 구조물의 보수물량을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하는 보수관리모듈; 및 웹화면을 통하여 이력관리모듈, 열화자료관리모듈, 정밀점검관리모듈, 건전성평가모듈, 내구성예측모듈 및 보수관리모듈을 구동시키는 웹서버시스템; 을 포함하며 이의 구성도가 도 1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은 웹서버시스템(100)의 웹화면을 통하여 구동되는 이력관리모듈(110), 열화자료관리모듈(120), 정밀점검관리모듈(130), 건전성평가모듈(140), 내구성예측모듈(150), 보수관리모듈(160) 및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5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서버시스템(100), 웹서버의 각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제영역별 또는 목적별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수명관리DB(300)로 구성된다.
이력관리모듈(110)에서는 웹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ISI·SIT 관리의 항목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수명관리DB내에서 각 항목별로 DB로 구축하여 웹화면을 통한 사용자 요청시 검색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있는 이력관리를 통한 효과적인 구조물의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사항이라 함은 구조물의 제원과 형식 등의 구조일반, 건설전반의 진행일자, 주요공정 시공일자 등의 건설이력, 구조물의 준공 년도, 구조형식, 면적, 설계강도 등의 구조물 현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면관리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대상 구조물들의 도면을 사이트, 호기, 구조물, 레벨, 도면종류 등을 의미한다. 절차서 관리의 경우 원전에서 사용하는 점검 및 유지관리 관련 절차서와 지침서들을 의미한다.
보고서 관리의 경우 원전에서 사용하는 원전 구조물의 점검과 관련된 보고서 를 말하며, 코드 관리의 경우 원전의 시공시 기준이 되었거나 유지관리에 필요한 설계기준이나 시험기준을 의미한다.
NCR/FCR 관리는 부적합사항보고서(Non Conformance Report)와 현장 설계변경 요청서(Field Change Request)를 의미한다.
ISI·SIT 관리는 원전구조물의 운용중 검사 자료와 원전구조물의 시공시 관련 자료를 의미한다.
열화자료관리모듈(120)과 관련하여 열화란 콘크리트가 시공된 후 건물의 성능이 저하되어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과 화학적인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웹화면상에서 현장 구조물에 발생된 열화현상을 수치적으로 입력받고, 이를 수명관리 DB내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시 웹서버의 웹화면 상에 정확한 축척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화자료의 입력과 관련 5가지 입력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입력 방식에 대한 예시는 이하 도 5a 내지 도 5e의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정밀점검관리모듈(13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웹화면상에서 콘크리트와 철골에 대한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의 항목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수명관리 DB내에 저장하며 항목별 통계를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시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파괴강도와 관련 설계 강도, 측정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초음파 속도관련 초음파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균열진행성 평가와 관련 균열폭, 기준봉값, 측정값,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염화물량과 관련 표면부, 중간부 및 철근부의 염분량, 피복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중성화깊이와 관련 중성화깊이, 피복두께, 중성화비에 대한 데이터를, 자연전위와 관련 자연전위 측정값을, 도막두께와 관련 설계기준, 측정높이, 측정값에 대한 데이터를, 볼트축력과 관련 설계기준, 측정토크치, 적용토크계수, 허용축력, 추정축력을, 토양 및 지하수 성분과 관련 검사구분, 채치위치, 굴착심도, pH, Cl-, SO4 2 - 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 관리한다.
건전성평가모듈(140)과 관련, 건전성은 부재나 구조물의 현상태에 대한 판단을 말하며, 해당요소의 상태를 보수가 필요한 상태, 양호한 상태로 구분하여 보수를 요하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명관리DB에서 건전성 평가에 필요한 부재 및 구조물에 대한 열화자료 데이터 및 정밀점검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저장된 건전성 평가 프로그램에 따라 부재별, 부재그룹별 및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표현하고 이를 사용자 요청시 제공하여 구조물의 현황을 실시간에 준하여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내구성예측모듈(150)과 관련 중성화는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중화되는 현상을 말하고 염해는 태풍이나 계절풍이 함유한 해수 입자가 입히는 재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성화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는 현장 구조물에서의 재령, 피복두께, 중성화 깊이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이를 기 저장된 수식에 적용하여 원전구조물의 실측 중성화 깊이를 근거로 중성화에 따른 구조물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며,
염해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는 수명관리DB에서 염분량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와서 기 저장된 수식에 적용하여 원전 구조물의 실측 염분침투량을 이용한 염해에 따른 구조물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사용자 요청시 웹서버의 웹화면 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수관리모듈(160)에서는 수명관리DB내의 데이터를 근거로 보수대상을 선정하고, 기 저장된 보수보강 프로그램에 따라 보수 물량 산출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고, 이를 근거로 보수 공사 설계내역서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보수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보수 완료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받아 이를 다시 수명관리DB내에 저장하여 현장 실무자들의 보수 관련 유지관리 업무를 보다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원전 구조물의 현황에 대한 데이터의 중복, 누락 등의 오류 없도록 하여 수명관리DB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웹서버시스템 (100)의 경우 사용자 인증을 거친 사용자(500)로부터 온라인을 통하여 웹화면상에서 각 모듈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각 모듈에서 추출, 변환된 데이터를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명관리DB(300)의 경우, 각 모듈로부터 저장되는 원전 구조물에 관한 데이터는 ETL(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ing)처리되어 각 모듈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주제영역별로 구축되고, 다시 데이터간의 유용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여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해 내고 의사결정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마이닝(DM, Data Mining) 과정을 통하여 목적별로 구축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구조물에 대한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는 과정을 넘어서 구조물의 통합적 관리에 필요한 의미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은 원전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10);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20);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30);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S240);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는 단계(S250);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수필요가 있는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260); 보수물량 산출하고, 이에 따라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S270); 및 보수공사 결과 변경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280)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는 웹화면 상에서 검색하고, 출력된 결과를 통하여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관리가 가능하다.
원전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10)에서는 웹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ISI·SIT 관리의 항목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력관리모듈(110)은 이를 수명관리DB내에서 각 항목별로 DB로 구 축하여 웹화면을 통한 사용자 요청시 검색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있는 이력관리를 통한 효과적인 구조물의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20)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웹화면상에서 현장 구조물에 발생된 열화현상을 수치적으로 입력하면, 열화자료관리모듈(120)은 이를 수명관리 DB내에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시 웹서버의 웹화면 상에 정확한 축척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S230)에서는 사용자가 웹화면상에서 콘크리트와 철골에 대한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의 항목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정밀점검관리모듈(130)은 이를 수명관리 DB내에 저장하며 항목별 통계를 관리하고, 사용자 요청시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S240)와 관련, 사용자가 웹화면을 통하여 건전성평가를 요청하는 경우, 건전성평가모듈(140)은 수명관리DB에서 건전성 평가에 필요한 부재 및 구조물에 대한 열화현상데이터 및 정밀점검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저장된 건전성 평가 프로그램에 따라 부재별, 부재그룹별 및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표현하고 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구조물의 현황을 실시간에 준하여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는 단계(S250)와 관련, 중성화에 대한 내구성에 대 해서는 현장 구조물에서의 재령, 피복두께, 중성화 깊이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하면, 내구성예측모듈(150)에서는 이를 기 저장된 수식에 적용하여 원전구조물의 실측 중성화 깊이를 근거로 중성화에 따른 구조물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며,
염해에 대한 내구성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웹화면을 통하여 요청하면, 내구성예측모듈(150)에서는 수명관리DB에서 염분량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와서 기 저장된 수식에 적용하여 원전 구조물의 실측 염분침투량을 이용한 염해에 따른 구조물의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웹서버의 웹화면 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수필요가 있는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260)에서는 사용자가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수여부를 판단하여 웹화면상에서 보수대상을 입력하면, 보수관리모듈(160)은 기 저장된 보수보강프로그램에 의해 보수대상에 대한 보수물량을 산출, 이에 따라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S270)를 통해 보수공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보수공사 결과 변경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280)에서는 보수공사가 완료된 경우에 보수공사를 한 부재나 구조물에 대해 변경된 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하면 보수관리모듈(160)은 이를 다시 수명관리DB내에 저장하여 현장 실무자들의 보수 관련 유지관리 업무를 보다 체계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데이터의 중복, 누락 등의 오류 없이 DB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시스템의 웹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웹화면으로 설계되며 상단부에 각 모듈의 기능을 구동시키는 관리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는 모듈 구동 메뉴(700)가 있으며, 사용자가 웹화면 상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각 관리영역에 대한 웹화면으로 전환되어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고, 각 관리영역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결과값들이 표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력관리모듈(110)이 구동된 웹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웹화면을 통하여 이력관리영역에 대한 웹화면으로 전환된 것을 보여주며, 이력관리모듈(110) 이외에 열화자료관리모듈(120), 정밀점검관리모듈(130), 건전성평가모듈(140), 내구성예측모듈(150), 보수관리모듈(160)의 구동에 따른 웹화면의 전환도 이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5a 내지 도 5e는 사용자가 웹화면을 통하여 열화자료관리모듈(120)을 구동시킨 후, 웹화면 상에서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자료 입력방식 중 직선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직선형 입력 자료는 구조물에 대한 균열, 백태, 균열보수 부위, 철근노출 부위 등이 대상이 되며, 각각 열화의 시점과 종점을 (X,Y)좌표(910)로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구조물 벽체나 기둥 등을 주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좌표의 원점은 화면 왼쪽 하단부가 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자료 입력방식 중 영역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영역형 입력 자료는 망상균열과 같은 영역형의 열화현상이나, 덧씌우기, 패치 등과 같은 보수부위 등의 좌표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입력 형식은 직 선형 자료와 동일하며, 다만 시점 (X, Y), 종점 (X, Y)를 입력한 후, 열화폭 입력란(920)에 영역형 열화의 세로폭(925)을 입력하여야 하는 방식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자료 입력방식 중 각도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각도형 입력은 주로 격납건물의 돔(Dome)과 같은 구형 구조물에서 조사된 열화현상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직선형이나 영역형과 달리 열화 좌표에서 거리의 기준점은 원의 원점으로 하며, 각도의 기준은 화면을 기준으로 우측이 0°가 된다. 즉, 열화의 시점과 종점을 입력하는 것은 상기 방식과 동일하지만, 시점 및 종점의 입력 항목은 (X, Y)좌표가 아니라, 원점으로부터의 (각도, 거리)(930)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자료 입력방식 중 상대좌표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슬래브와 같은 부재의 열화를 조사하고 이들 자료를 입력할 경우, 벽체와 달리 부재의 원점을 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런 경우 각도형 입력자료와 같이 원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조사한다면 문제가 해결되지만 중간에 위치한 벽체 및 기기들로 인해 원점과 열화와의 거리를 현장에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점검자가 쉽게 접근하여 열화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도면상에서 원점과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 기준점을 2개소 선정하여 (열화-기준점)(945), (기준점-원점)(940)과의 상호관계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열화와 원점과의 좌표를 구할 수 있도록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때 필요한 조사자료는 기준점과 원점과의 거리 및 기준점과 열화와의 거리가 된다.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자료 입력방식 중 옵션 선택형 화상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화상자료(950)는 상기 열화입력 방식으로 현장 상황을 나타내기 어렵거나, 추가로 상세한 열화상태를 얻기 위하여 입력되는 자료이다. 주로 열화를 좌표로 나타내기 어려운 철골의 열화자료는 기본적으로 화상자료로서 나타내어지게 되며, 화상자료 자체만으로는 본 시스템 자료로서 활용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므로 각 열화자료별로 열화유형, 점검일자, 열화등급, 부재종류, 보수여부, 정밀점검 등의 내용을 옵션선택 및 직접 입력(955)등을 통하여 DB를 구축하게 된다.
상기 열화자료에 대한 입력방식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들은 수명관리DB(300) 내에서 열화관련DB로 구축되어 저장되고, 이후 각 모듈이 열화자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모듈로 전송되어 원전 구조물의 현황 및 보수 관리의 결과값 도출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시스템의 웹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력관리모듈이 구동된 웹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 중 직선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 중 영역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 중 각도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 중 상대좌표형 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 중 옵션 선택형 화상자료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웹서버시스템 110 이력관리모듈
120 열화자료관리모듈 130 정밀점검관리모듈
140 건전성평가모듈 150 내구성예측모듈
160 보수관리모듈 300 수명관리DB
500 사용자 700 모듈 구동 메뉴

Claims (16)

  1.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수명관리DB(Data Base);
    상기 원전 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읽어오는 이력관리모듈;
    상기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상기 열화현상데이터를 읽어오는 열화자료관리모듈;
    상기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고,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읽어오는 정밀점검관리모듈;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 상기 열화현상데이터 및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건전성 수치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건전성평가모듈;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 상기 열화현상데이터 및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내구성예측모듈;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 상기 열화현상데이터 및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와서 상기 원전 구조물 의 보수물량을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하는 보수관리모듈; 및
    웹화면을 통하여 상기 이력관리모듈, 상기 열화자료관리모듈, 상기 정밀점검관리모듈, 상기 건전성평가모듈, 상기 내구성예측모듈 및 상기 보수관리모듈을 구동시키는 웹서버시스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관리DB는 상기 이력관리모듈, 상기 열화자료관리모듈, 상기 정밀점검관리모듈, 상기 건전성평가모듈, 상기 내구성예측모듈 및 상기 보수관리모듈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항목별 DB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상기 이력관리모듈, 상기 열화자료관리모듈, 상기 정밀점검관리모듈, 상기 건전성평가모듈, 상기 내구성예측모듈 및 상기 보수관리모듈에 대하여 상기 원전 구조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웹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이력관리모듈, 상기 열화자료관리모듈, 상기 정밀점검관리모듈, 상기 건전성평가모듈, 상기 내구성예측모듈 및 상기 보수관리모듈이 수명관리DB에서 읽어온 데이터 또는 산출한 데이터를 상기 웹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는 상기 원전 구조물에 관한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및 ISI·SIT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현상데이터는 직선형, 영역형, 각도형, 상대좌표형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옵션선택형 화상자료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는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 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검사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성평가모듈은 부재별 건전성 수치, 부재그룹별 건전성 수치 및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성예측모듈은 상기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에 대하여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중성화 속도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중성화깊이를 산출하고 중성화 측면에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며,
    상기 원전 구조물의 염해에 대하여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염화물 확산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염화물 침투량을 산출하고, 염해의 측면에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관리모듈은 보수공사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보수공사에 따라 변경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 상기 열화현상데이터 및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10.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전구조물의 구조물이력데이터를 입력하여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원전 구조물의 열화현상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원전 구조물의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수명관리DB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염해에 대한 내구성 및 예측수명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수물량 산출하고,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각 단계에서 처리된 결과를 웹화면 상에서 검색하고,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는 상기 원전 구조물에 관한 일반사항, 도면관리, 절차서 관리, 보고서 관리, 코드관리, 형상관리, NCR/FCR 관리 및 ISI·SIT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현상데이터는 열화현상데이터의 입력방식이 직선형, 영역형, 각도형, 상대좌표형 입력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옵션선택형 화상자료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는 비파괴강도, 초음파속도, 균열진행성 평가, 염화물량, 중성화깊이, 자연전위, 부등침하, 도막두께, 볼트축력, 토양 및 지하수 성분검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검사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을 수치로 나타내는 단계는 부재별 건전성 수치, 부재그룹별 건전성 수치 및 상기 원전 구조물의 건전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와 염해에 대한 내구성을 예측,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전 구조물의 중성화에 대하여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중성화 속도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중성화깊이를 산출하고 중성화 측면에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며,
    상기 원전 구조물의 염해에 대하여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서 염화물 확산계수를 산정하여 설계수명에서의 염화물 침투량을 산출하고, 염해의 측면에서 상기 원전 구조물의 예측수명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 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물량 산출, 보수공사 설계서를 생성시키는 단계는 보수공사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보수공사에 따라 변경된 상기 구조물이력데이터, 상기 열화현상데이터 및 상기 정밀점검결과데이터를 상기 수명관리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방법.
KR1020090091301A 2009-09-25 2009-09-25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33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01A KR20110033712A (ko) 2009-09-25 2009-09-25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0/004172 WO2011037315A1 (ko) 2009-09-25 2010-06-28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01A KR20110033712A (ko) 2009-09-25 2009-09-25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12A true KR20110033712A (ko) 2011-03-31

Family

ID=4379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01A KR20110033712A (ko) 2009-09-25 2009-09-25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33712A (ko)
WO (1) WO201103731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1508A (zh) * 2012-09-06 2012-12-19 中南大学 掘进装备刀具信息管理系统
KR20160068483A (ko) * 2014-12-05 2016-06-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대사고 시 원자로건물의 건전성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KR102260559B1 (ko) * 2020-08-24 2021-06-07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태블릿을 이용한 시설 구조물의 안전 진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0005A1 (en) * 2019-05-10 2020-11-19 Sacertis S.R.L. A method for defining the priorities for maintenance operations in the context of a group of structures belonging to a whole road infrastructure
CN111178674A (zh) * 2019-12-04 2020-05-19 中国特种设备检测研究院 一种工业大数据驱动的起重机械健康管控服务系统
CN116362059B (zh) * 2023-05-30 2023-08-01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道路土层性能劣化评估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775A (en) * 1987-02-24 1990-03-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Cycl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3454759B2 (ja) * 1999-10-20 2003-10-06 株式会社テクノ工営 設備機器の余命診断方法
JP2002038723A (ja) * 2000-07-26 2002-02-06 Suzuko Oshit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リアルタイムライフサイクルメンテナンス手法
KR20080036471A (ko) * 2006-10-23 2008-04-28 (주)오픈시스템서비스 원자력 발전 설비의 안정성 평가 절차서 이력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1508A (zh) * 2012-09-06 2012-12-19 中南大学 掘进装备刀具信息管理系统
KR20160068483A (ko) * 2014-12-05 2016-06-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대사고 시 원자로건물의 건전성 예측시스템 및 예측방법
KR102260559B1 (ko) * 2020-08-24 2021-06-07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태블릿을 이용한 시설 구조물의 안전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7315A1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3712A (ko) 원전 구조물의 통합적 수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arkas et al. Creating a baseline for labour productivity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in Kuwait
Jang et al. Sustainable performance index for assessing the green technologies in urban infrastructure projects
Ahamed et al. Flood-fragility analysis of instream bridges–consideration of flow hydraulics, geotechnical uncertainties, and variable scour depth
Gardner et al. Stochastic conceptual cost estimating of highway projects to communicate uncertainty using bootstrap sampling
Guan et al. Seismic behaviors of RC frame beam-column joints under acid rain circle: a pilot experimental study
Ai et al. Probabilistic degradation modelling of circular tunnels assembled from segmental linings
Huang et al. A framework for integrating embodied carbon assessment and construction feasibility in prefabricated stations
Stephan et al. Ageing management of concrete structure: Assessment of EDF methodology in comparison with SHM and AIEA guides
Dai et al. Comparative study of bridge management programmes and practices in the USA and China
Akgul Development of a bridge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a newly developed model for element condition evaluation based on damage effects
Liu et al. Greenhouse gas emissions management in prefabrication and modular construction based on earned value management
Hajdukiewicz et al. An automated standard-based life cycle quality inspection methodology for smart precast concrete solutions in buildings
Lollini et al. Performance parameters for the durability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stainless steel reinforcement
Ashtiani Araghi et al. Modified BIM Processes Considering Safety–Quality Index for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Kifokeris et al. Bridge quality appraisal methodology: Application in a reinforced concrete overpass roadway bridge
Sun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izing the maintenance of RC girder bridge super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carbon footprint
Qing et al.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structural safety status of ancient Chinese three-hole stone arch bridges—A case study of the Yongchang Bridge
Agrawal et al. Evaluation of the consistency of bridge inspection ratings in New York state
González Developments in damage assessment by Marie Skłodowska-Curie TRUSS ITN project
Jung et al. A progress measurement framework for large-scale urban construction projects
Guo et al. Analysis of Forc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Aged Wood Column Components with Consideration of Targeted Hybrid Fine Modeling
Rens et al. Sustainable approach for optimal steel sheet pile structure assessment,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Duprat et al. A probabilistic threshold for the onset of carbonation-induced corrosion
Shaban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uring the execution phase by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cloud compu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