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654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654A
KR20110032654A KR1020090090257A KR20090090257A KR20110032654A KR 20110032654 A KR20110032654 A KR 20110032654A KR 1020090090257 A KR1020090090257 A KR 1020090090257A KR 20090090257 A KR20090090257 A KR 20090090257A KR 20110032654 A KR20110032654 A KR 20110032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dule
socket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710B1 (ko
Inventor
안건준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9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7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소켓; 그리고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접속패드가 구비된 기판을 갖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에 인터페이스 모듈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손쉽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기존 광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고가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불량시 인터페이스 모듈을 소켓으로부터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소켓, 인터페이스 모듈, 설치홈, 접속단자, 접속패드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User Interface Uni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인터페이스 모듈을 소켓결합방식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탑재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Mobile Terminal)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기기는 키패드(Key pad)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인 휴대 전자기기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의 입력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이 형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의 버튼을 눌러 숫자나 단어 등과 같은 원하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 및/또는 그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근래에는 전자기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나 인터넷 서비스의 지원을 위하 여,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으며,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지원을 위하여 윈도우즈 CE 등과 같은 윈도우즈 운영체제가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휴대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GUI 기반의 윈도우 운영체제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의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을 편리하게 한다.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마우스나 터치패드나 조이스틱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가 있으며, 근래에는 피사체인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광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커서(cursor)와 같은 포인터를 움직이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및/또는 명령을 입력받는 광 조이스틱이 개발되어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최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표적인 일예인 광 조이스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광 조이스틱(10)은, 광원(11)과, 광 신호를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13)가 실장된 기판(15)과, 상기 이미지 센서(13)로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14) 및 상기 기판(15)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광원(11)과 광 가이드(14)가 수용되며 조작면(12a)을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 조이스틱(10)은 전자기기(1)와 별도로 구비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 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전자기기(1)의 본체(2)에 직접 탑재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자기기(1)에 상기 광 조이스틱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슬림화를 위하여 두께가 최소화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면(12a)에 피사체(20)인 손가락을 접촉시켜 움직이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13)에 입력되는 광 신호가 변화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가 조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작면(12a)에 피사체(20)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하우징(12)을 투과하여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조사된다.
반면, 상기 조작면(12a)에 손가락 등의 피사체가 접촉되면, 상기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이 상기 피사체(20)에 부딪혀 반사된 후 상기 광 가이드(14)를 거쳐 상기 이미지 센서(13)에서 촬상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면(12a)에 접촉된 피사체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피사체(20)에 반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3)에 감지되는 광 신호도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13)가 감지한 광 신호는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갖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1)의 디스플레이부(3)에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또는 입력정보의 내용이 표시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문자 및 또는 숫자가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메뉴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13)가 감지한 광 신호의 처리 및 이를 상기 전자 기기(1)의 디스플레이부(3)에 구현하기 위해 상기 광 조이스틱(10)의 기판(15)은 상기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기판(15)에는 별도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6)이 연결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16)에는 커넥터(17)가 구비되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에 상기 커넥터(17)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판(15)은 상기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13)에 의한 광 신호의 검출 및 이미지의 제어방식은 컴퓨터의 광 마우스에서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종래 광조이스틱(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광조이스틱(1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며, 상기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에 탑재된 후에 불량 또는 고장으로 인한 교체시 전자기기(1)의 케이스를 먼저 분해하고 교체후 다시 케이스를 조립해야 하는 등 교체고정이 복잡하고 힘들었다.
그리고, 종래 광조이스틱(10)은 전자기기(1)의 메인보드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넥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 또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는 자체 불량률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접속 불량률이 높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광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에 인터페이스 모듈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손쉽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광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고가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불량시 인터페이스 모듈을 소켓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가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소켓; 그리고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접속패드가 구비된 기판을 갖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접속패드는 상기 기판의 하면 외곽 테두리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기 판의 측면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소켓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소켓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누름스위치와 반대되는 쪽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클릭시 상기 누름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에 인터페이스 모듈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손쉽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광조이스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고가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넥터를 삭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된 인터페이스 모듈의 불량시 인터페이스 모듈을 소켓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불량률이 높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및 커넷터를 삭제하여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구성하는 핵심부품들의 구조를 단일화하여 제품 표준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표준화된 제품을 제조하여 제품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제품 양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소켓이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는, 크게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실장되는 소켓(120) 과, 상기 소켓(120)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실장된 소켓(120)에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실장된 소켓(12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에 외관용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기만 하면, 상기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소켓(12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불량시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켓(120)은 소켓몸체(121)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몸체(121)의 중앙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삽입되는 설치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21a)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122)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122)는 상기 설치홈(121a)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접속단자(122)는 일측이 상기 소켓몸체(1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설치홈(121a)의 바닥면 외곽부로 벤딩되어 돌출된 핀(pin)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122)의 일측 끝단은 상기 소켓몸체(121)의 하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켓(120)이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형성된 소켓접속부(111)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12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접속단자(122)의 타측 끝단은 벤딩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상기 설치홈(121a)에 삽입 장착될 경우 상기 접속단자(122)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과 탄력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설치홈(121a)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122)와 대응되는 접속패드(131a)가 구비된 기판(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광조이스틱과 같은 광포인팅 유닛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상기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입력유닛 및 지문인식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로 광조이스틱과 같은 광포인팅 유닛이 적용된 것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기판(131)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133)와, 상기 광 센서(133)로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미도시)와, 광원(미도시) 및 상기 기판(131)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광원과 광 가이드 등이 수용되며 피사체가 접촉되는 조작면(132a)을 갖는 하우징(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조작면(132a)에 피사체인 손가락을 접촉시켜 움직이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광 센서(133)에 입력되는 광 신호가 변화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광 센서(133)에 의한 광 신호의 검출 및 이미지의 제어방식은 컴퓨터의 광 마우스에서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패드(131a)는 상기 접속단자(122)와 대응되도록 상기 기판(131)의 하면 외곽 테두리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상기 소켓(120)의 설치홈(121a)에 삽입 장착되면, 상기 접속패드(131a)가 상기 접속단자(122)에 접속되며, 결국 상기 기판(13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소켓(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소켓(120)을 매개로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전기적으로 연결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소켓(120)의 설치홈(121a)에 삽입 장착된 후 상기 설치홈(121a)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상기 설치홈(121a)에 삽입시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123)는 일측이 상기 소켓몸체(1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설치홈(121a)의 외곽부로 벤딩되어 돌출된 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톱퍼(123)는 상기 접속단자(122)의 상부에 돌출된 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21a)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삽입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상기 설치홈(121a)의 바닥면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이탈 방지 구조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32)의 상부 테두리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121a)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삽입시 상기 단차부가 상기 스톱퍼(123)에 걸림되어 탄력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클릭시 기능 선택 등의 기능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위하여 상기 소켓(120)의 설치홈(121a)에 구비되는 누름스위치(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스위치(124)는 상기 설치홈(121a)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즉, 기판(131)의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홈(121a)에 누름스위치(124)가 구비된 형태를 개시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에 누름스위치(124)가 구비된 형태는 하기의 제2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누름스위치(124)는 다양한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 돔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돔스위치는 각종 통신기기 및 전자기기의 키패드에 사용되는 반구 형상의 스위치로서,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반구 형상의 돔 스위치 몸체를 가압하여 복수의 접점부(124a)를 접점시킴으로써 스위칭된다. 상기 복수의 접점부(124a)는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110)에 구비된 복수의 접점부(112)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누름스위치(124)와 반대되는 쪽 즉,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에는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클릭시 상기 누름스위치(124)의 누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돌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피사체인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조작면(132a)을 눌러 가압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상기 접속패드(131a)와 상기 접속단자(122)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스위치(124)의 탄력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하강하면서 상기 누름돌기(134)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124)는 가압되어 접점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스위칭에 의한 기능 선택 등 다양한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은 클릭 후 피사체인 손가락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누름스위치(124)의 탄력성에 의해 상기 설치홈(121a)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빠질수 있는데,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스톱퍼(12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저면도이 며, 도 11은 도 9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는, 크게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에 실장되는 소켓(220)과, 상기 소켓(220)과 결합하여 상기 메인보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에 실장된 소켓(220)에 인터페이스 모듈(23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품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에 실장된 소켓(22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자기기에 외관용 본체 케이스를 하기만 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소켓(220)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불량시 인터페이스 모듈(2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소켓(220)은 소켓몸체(221)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몸체(221)의 중앙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이 삽입되는 설치홈(221a)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221a)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222)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222)는 상기 설치홈(221a)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접속단자(222)는 일측이 상기 소켓몸체(2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설치홈(221a)의 하부 외곽부로 벤딩되어 돌출된 핀(pin)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222)의 일측 끝단은 상기 소켓몸체(221)의 하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켓(220)이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에 형성된 소켓접속부(211)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단자(22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단자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접속단자(222)의 타측 끝단은 벤딩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이 상기 설치홈(221a)에 삽입 장착될 경우 상기 접속단자(222)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과 탄력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상기 설치홈(221a)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222)와 대응되는 접속패드(231a)가 구비된 기판(2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광조이스틱과 같은 광포인팅 유닛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상기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전자기기의 조작을 위한 다양한 입력유닛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으로 광조이스틱과 같은 광포인팅 유닛이 적용된 것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상기 기판(231)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233)와, 상기 광 센서(233)로 광을 안내하는 광 가이드(미 도시)와, 광원(미도시) 및 상기 기판(231)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광원과 광 가이드 등이 수용되며 피사체가 접촉되는 조작면(232a)을 갖는 하우징(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면(232a)에 피사체인 손가락을 접촉시켜 움직이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광 센서(233)에 입력되는 광 신호가 변화되어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가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 광 센서(233)에 의한 광 신호의 검출 및 이미지의 제어방식은 컴퓨터의 광 마우스에서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접속패드(231a)가 상기 기판(231)의 측면 테두리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이 상기 소켓(220)의 설치홈(221a)에 삽입 장착되면, 상기 접속단자(222)는 상기 접속패드(231a)에 탄력적으로 접속된다. 결국, 상기 기판(23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상기 소켓(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소켓(220)을 매개로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 탑재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상기 소켓(220)의 설치홈(221a)에 삽입 장착된 후 상기 설치홈(221a)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이 상기 설치홈(221a)에 삽입시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2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223)는 일측이 상기 소켓몸체(22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설 치홈(221a)의 외곽부로 벤딩되어 돌출된 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톱퍼(223)는 상기 접속단자(222)의 상부에 돌출된 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221a)에 상기인터페이스 모듈(230) 삽입시 인터페이스 모듈(230)을 상기 설치홈(221a)의 바닥면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함으로써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이탈 방지 구조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32)의 상부 테두리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221a)에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 삽입시 상기 단차부가 상기 스톱퍼(223)에 걸림되어 탄력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타입 광조이스틱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클릭시 기능 선택 등의 기능을 위한 스위칭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하면 즉, 상기 기판(231)의 하면에 누름스위치(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스위치(234)는 상기 기판(231)의 하면에 구비되는 대신 상기 설치홈(221a)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 즉, 상기 기판(231)의 하면에 누름스위치(234)가 구비된 형태를 개시하며, 상기 설치홈(221a)에 누름스위치가 구비된 형태는 전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누름스위치(234)는 다양한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 돔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돔스위치는 각종 통신기기 및 전자기기의 키패드에 사용되는 반구 형상의 스위치로서, 반구 형상의 돔 스위치 몸체를 가압하여 복수의 접점부(미도시)를 접점시킴으로써 스위칭된다. 상기 복수의 접 점부는 상기 기판(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국 상기 접속패드(231a)와 접속단자(222) 및 소켓접속부(211)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누름스위치(234)와 반대되는 쪽 즉, 상기 소켓(220)의 설치홈(221a)의 바닥면에는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클릭시 상기 누름스위치(234)의 누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누름돌기(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피사체인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조작면(232a)을 눌러 가압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상기 접속패드(231a)와 상기 접속단자(222)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누름스위치(234)의 탄력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이 하강하면서 상기 누름돌기(224)에 의해 상기 누름스위치(234)는 가압되어 접점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타입 광조이스틱은 스위칭에 의한 기능 선택 등 다양한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은 클릭 후 피사체인 손가락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누름스위치(234)의 탄력성에 의해 상기 설치홈(221a)으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빠질수 있는데,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스톱퍼(22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조이스틱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광조이스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소켓이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인터페이스 모듈을 클릭시 누름스위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메인보드 120: 소켓
121: 소켓몸체 121a: 설치홈
122: 접속단자 123: 스톱퍼
124: 누름스위치 130: 인터페이스 모듈
131: 기판 131a: 접속패드
132: 하우징 133: 광 센서
134: 누름돌기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되며,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소켓; 그리고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접속패드가 구비된 기판을 갖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stopper)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패드는 상기 기판의 하면 외곽 테두리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패드는 상기 기판의 측면 테두리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누름스위치가 구비되고, 그에 대응하는 쪽에는 상기 누름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누름돌기가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6. 제1항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090090257A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KR10118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57A KR101182710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257A KR101182710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54A true KR20110032654A (ko) 2011-03-30
KR101182710B1 KR101182710B1 (ko) 2012-09-13

Family

ID=4393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257A KR101182710B1 (ko) 2009-09-23 2009-09-23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51A1 (ko) * 2013-04-18 2014-10-2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51A1 (ko) * 2013-04-18 2014-10-2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453028B1 (ko) * 2013-04-18 2014-10-23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지문센서를 갖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710B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3233B1 (en) Input device
US20020042853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EP2701033B1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140055363A1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080100580A1 (en) Keypad assembly
US20120154182A1 (en) Key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s
KR10118271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KR10108015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JP4984667B2 (ja) 電子機器の操作スイッチ及び操作制御方法
CN114253407B (zh) 触控笔结构及触发模块
KR2011003263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
CN115567626A (zh) 电子设备
CN115543107A (zh) 电子笔及电子笔用芯体
US20150131215A1 (en) Electronic device set, tablet computer and smart watch
CN207338206U (zh) 按键结构及电子装置
KR101639979B1 (ko) 포인팅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02301441B (zh) 电子装置的操作部分的按键结构、使用该按键结构的输入装置和电子装置
US8102370B2 (en) Mode-changeable slim mouse
KR102176089B1 (ko)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585295A1 (en)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KR101151230B1 (ko) 초슬림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WO2018151710A1 (en) Input modules associated with multiple input interfaces
CN115113694A (zh) 一种集成式触摸屏组件及笔记本电脑
WO2007089049A1 (en) Keyboard for notebook computer using one body style keypad
JP4795914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