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320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320A
KR20110032320A KR1020090089749A KR20090089749A KR20110032320A KR 20110032320 A KR20110032320 A KR 20110032320A KR 1020090089749 A KR1020090089749 A KR 1020090089749A KR 20090089749 A KR20090089749 A KR 20090089749A KR 20110032320 A KR20110032320 A KR 2011003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ottom cover
flat cable
flexibl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6901B1 (ko
Inventor
박상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9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지 구조의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과, 광원을 수납하는 금속 재질의 바텀커버과, 바텀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액정표시패널 및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광원과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는 바텀커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전기 방지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전기 방지 구조의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시장치들 중의 하나인 CRT(cathode ray tube)는 TV를 비롯해서 계측기기, 정보 단말기기 등의 모니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CRT 자체의 무게와 크기로 인해 전자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종 전자제품의 소형, 경량화되는 추세에서 CRT는 무게나 크기 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전계 광학적인 효과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가스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표시소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 EL 표시소자(ELD: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 전력 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대면적화, 박형화, 저소비전력화의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 및 저소비 전력 등의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CRT와는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표시장치가 아니므로,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는 화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광을 제공하는 별도의 광원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방식과 직하방식으로 구분된다.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주로 랩탑형 컴퓨터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빛의 균일성이 좋고,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직하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가 20인치 이상으로 대형화되기 시작하면서 중점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으로, 확산판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광원을 배치하여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직접 조광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에지방식에 비해 광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화면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광하는 광원으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tube),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tube) 및 EIFL(external & internal electrode fluorescent tube) 등과 같은 플라즈마 방식의 광원을 이용하거나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된다.
이 중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ing Emmiting Diode)는 장수명, 저전력, 소형 및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바텀 커버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외부로부터의 정전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바텀 커버의 하부에 배치된 구동부의 그라운드 배선이 바텀 커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부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추가 부품 없이 정전기를 차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금속 재질의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광원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및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는 상기 바텀커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전기 방지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를 차폐하기 위한 추가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정전기 방지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시에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정전기를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정표시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바텀커버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패널(110)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서포트 메인(115)과,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120)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1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 층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컬러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화소를 정의하고, 각각의 교차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lim transistor)가 구비되어 각각의 픽셀에 실장된 화소전극과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은 각 픽셀에 대응되는 R, G, B 컬러의 컬러필터, 이들 각각을 테두리 하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가리는 블랙 매트릭스와, 이들 모두를 덮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10)의 측면에는 액정표시패널(11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접속되어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미도 시)와,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미도시)가 구동부(101)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01)는 TCP(tape carrier package)로 이루어진 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부(101)는 액정표시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화소들을 구동시킨다.
액정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120)은 상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상의 바텀커버(180)와, 상기 바텀커버(18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된 메탈PCB(160)와, 상기 메탈PCB(160) 상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5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발광 다이오드(15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는 도광판(140)과, 상기 도광판(140) 하부에 배치되어 도광판(140) 하부로 진행하는 광을 액정표시패널(11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170)와, 상기 도광판(140)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14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키는 광학 시트들(130)을 더 포함한다.
광학 시트들(130)은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시트(133)와, 확산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시트(132)와, 상기 집광 시트(132) 상에 형성된 집광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131)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150)는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조합 또는 백색,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텀커버(180)의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101)가 배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150)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101)와 메탈 PCB(1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190)이 구비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150)는 상기 바텀커버(18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101)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은 상기 구동부(101)와 상기 메탈 PCB(1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구동부(101)의 그라운드와 연결된 그라운드 배선이 상기 바텀커버(18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정전기를 바텀커버(180)로 방출되도록 하여 정전기에 의한 구동부(101)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의 일끝단에는 상기 구동부(101)의 구동부 패드(1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패드(191)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의 다른 끝단은 구부러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메탈 PCB(160)의 커넥터(161)에 삽입되어 메탈 PCB(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의 다른 끝단이 구부러진 구조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의 다른 끝단은 바타입으로 구부러지지 않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의 다른 끝단의 구부러진 영역에는 바텀커버(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전기 방지 패드(197a)가 구비된다.
여기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은 유연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필름(193, 195) 사이에 배선패턴(197)을 포함하는 회로 케이블로써, 연성 재료인 PET(polyester) 또는 PI(polyimide)와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기판이다.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197a)는 바텀커버(180)와 접촉되는 제1 필름(193)의 일부가 제거되어 배선 패턴(197)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정의된다.
정전기 방지 패드(197a)의 배선 패턴(197)은 히팅공정을 통해 바텀커버(180)에 접촉된다.
상기 바텀커버(180)에 접촉된 배선 패턴(197)은 구동부(101)의 그라운드와 연결된 그라운드 배선이다.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197a) 상에는 배선 패턴(197)과 바텀커버(180)의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테이프(199)가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정전기를 차폐하기 위한 추가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발광 다이오드(150)의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190)에 정전기 방지 패드(197a)를 형성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구동부(1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시에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정전기를 차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ㄷ다.
도 2는 도 1의 액정표시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영역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바텀커버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금속 재질의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광원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및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는 상기 바텀커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전기 방지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은,
    유연한 재질의 제1 및 제2 필름;
    상기 제1 및 제2 필름 사이에 형성된 배선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는 상기 바텀커버와 접촉되는 상기 제1 필름이 제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는 히팅공정을 통해 상기 배선 패턴이 상기 바텀커버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의 상기 배선 패턴은 상기 구동부의 그라운드와 연결된 그라운드 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제1 패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광원이 실장된 메탈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패드를 포함한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는 상기 메탈 PCB와 연결되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타측의 구부러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는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가 형성된 영역에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와 상기 바텀커버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90089749A 2009-09-22 2009-09-22 액정표시장치 KR10161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49A KR101616901B1 (ko) 2009-09-22 2009-09-22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49A KR101616901B1 (ko) 2009-09-22 2009-09-22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20A true KR20110032320A (ko) 2011-03-30
KR101616901B1 KR101616901B1 (ko) 2016-04-29

Family

ID=4393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49A KR101616901B1 (ko) 2009-09-22 2009-09-22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190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35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820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04755A (ko) * 2005-03-31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80077824A (ko) * 2007-02-21 2008-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그 백라이트 유닛용하부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135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820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04755A (ko) * 2005-03-31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80077824A (ko) * 2007-02-21 2008-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그 백라이트 유닛용하부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190A (ko) * 2012-12-20 2014-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901B1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411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9461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044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953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13176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7518668B2 (en) Display device having horizontal power transformer configuration
US8848134B2 (en) LED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8000874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6677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2345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632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3386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53631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771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1690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2427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0822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6684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29923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68470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63980A (ko) 표시 장치
KR2012012482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85491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2155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092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