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961A -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961A
KR20110031961A KR1020117002079A KR20117002079A KR20110031961A KR 20110031961 A KR20110031961 A KR 20110031961A KR 1020117002079 A KR1020117002079 A KR 1020117002079A KR 20117002079 A KR20117002079 A KR 20117002079A KR 20110031961 A KR20110031961 A KR 2011003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signal
relay
metric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230B1 (ko
Inventor
팅팡 지
아르납 차크라바르티
아나스타시오스 스타물리스
드쉬 랭
야즈디 캄비즈 아자리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술이 설명된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이들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다이렉트 및 중계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은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본 출원은, 발명이 명칭이 "CRITERIA FOR COMBINING SIGNALS FROM DIRECT AND RELAYED CHANNELS" 로 2008 년 6 월 27 일자로 출원되고,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으며 본원에서 참조로서 통합된 미국 가출원 제 61/076,517 호에 우선권을 주장한다.
I. 기술 분야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송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II . 배경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방송 등과 같은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는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를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의 예들은 넓은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중간의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WMAN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작은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을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는 중계 스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제 1 스테이션 (예를 들어, 소스 스테이션) 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및 디코딩) 하여 이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계 신호를 생성하며, 중계 신호를 제 2 스테이션 (예를 들어, 목적지 스테이션)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의 사용은 네트워크 용량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중계 스테이션의 사용은 또한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다른 패널티를 초래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이한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기술이 본원에 설명된다. 소스 스테이션은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은 이 다이렉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매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은 수신된 신호 세기 파라미터, 수신된 신호 품질 파라미터 등에 기초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와 다이렉트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그 후,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은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 1 임계값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 또는 미리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제 2 및/또는 제 3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 2 임계값은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제 3 임계값은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다이렉트 신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중계 스테이션에 의해, 또는 소스 및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또는 스테이션들이 몇몇 다른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스테이션이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경우 소스 스테이션이 재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돕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스테이션이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코딩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목적지 스테이션이 이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우수한 수신된 신호 품질을 관찰하는 경우에도 아무것도 행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된 중계 신호를 갖는 중계 스테이션들 만이 중계 스테이션들의 중계 신호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신호가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중계 스테이션의 중계 신호로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single frequency network; SFN) 에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함께 프로세싱하여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각각의 선택된 신호를 개별적으로 프로세싱 할 수도 있고, 그 후 모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물의 각종 양태 및 특성들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 는 중계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다.
도 3 은 목적지 스테이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송신을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5 는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6 은 송신을 중계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7 은 송신을 중계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도 8 은 기지국, 중계 스테이션, 및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원에 설명된 기술은 WWAN, WLAN, WPAN 등과 같은 각종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이란 용어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WWAN 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네트워크,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네트워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네트워크,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네트워크 등일 수도 있다. CDMA 네트워크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 (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Flash-OFDM®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LTE (Long Term Evolution) 및 LTE-A (LTE-Advanced) 는 다운링크 상에서 OFDMA 를 그리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 를 채용하는 E-UTRA 를 이용하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의 새로운 릴리즈이다. WLAN 는 (또한 Wi-Fi 로도 지칭되는) 표준들의 IEEE 802.11 패밀리, Hiperlan 등에서의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WMAN 은 (또한 WiMAX 로도 지칭되는) 표준들의 IEEE 802.16 패밀리에서의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기술들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를 나타낸다. 간단함을 위해, 단지 하나의 기지국 (110), 2 개의 중계 스테이션 (120), 하나의 단말기 (130), 및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기 (140) 가 도 1 에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각 유형의 임의의 수의 엔티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 (110) 은 단말기와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도 있고, 노드 B, 진화형 노드 B (evolved Node B; eN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 (110) 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40) 는 기지국 세트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기지국들에 좌표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40) 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 무리일 수도 있다.
단말기 (130) 는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어디든 위치할 수도 있고, 고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다. 단말기 (130) 는 또한, 액세스 단말기, 이동국, 사용자 장비, 가입자국, 스테이션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기 (130) 는 휴대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모뎀, 랩톱 컴퓨터, 무선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단말기 (130) 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해 기지국 (1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순방향 링크 (또는 다운링크) 는 지기국으로부터 단말기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 (또는 업링크) 는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단말기 (130) 는 또한, 다른 단말기들 (도 1 에는 도시하지 않음) 과 피어-투-피어 (peer-to-peer)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 (130) 는 또한, 단말기 (130) 의 지식을 갖고 또는 지식 없이, 중계 스테이션 (120) 으로 신호를 전송하고/하거나 중계 스테이션 (120) 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 (120) 은 상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하류의 스테이션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일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 (120) 은 순방량 링크 및/또는 역방향 링크 상의 데이터 송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순방향 링크 상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 (110)) 으로부터 순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단말기 (예를 들어, 단말기 (130)) 에 대한 순방향 링크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단말기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고, 이 송신을 포함하는 순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생성하며, 순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역방향 링크 상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상이한 단말기들로부터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단말기 (예를 들어, 단말기 (130)) 에 대한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고, 이 송신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생성하며, 역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기지국 (110)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송신은 데이터, 제어 정보, 파일롯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 스테이션 (120) 은 단지 순방향 링크에 대해, 또는 단지 역방향 링크에 대해, 또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모두에 대한 송신을 중계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 (120) 은 각각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통해 임의의 수의 단말기에 대한 송신을 중계할 수도 있다.
도 2 는 중계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100) 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다.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엔티티는 스테이션, 노드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또는 간단히 소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이 전송되는 스테이션은 목적지 스테이션, 또는 간단히 목적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소스로부터 목적지로의 링크는 다이렉트 링크로 지칭될 수도 있고, 소스로부터 목적지로의 신호는 다이렉트 신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데이터 송신을 포워딩하는 스테이션은 중계 스테이션, 간단히 중계기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N 개의 중계기 (1 내지 N) 는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여기서 N 은 임의의 정수 값일 수도 있다. 소스로부터 각 중계기로의 링크는 백홀 (backhaul) 링크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각 중계기로부터 목적지로의 링크는 중계 링크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중계기로부터 목적지로의 신호는 중계 신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매체의 광범위하고 만연하는 성질로 인해, 목적지는 소스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계기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중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개선된 성능을 획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추가 프로세싱, 증가된 레이턴시, 및 다른 오버헤드의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이, 소스 및 중계기로부터의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는 상황을 식별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중계가가 존재하면, 기준은 중계기의 신호가 결합을 위해 충분히 높은 품질인 하나 이상의 특정 중계기를 선택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결합하는 것은 단지 신호들이 비슷한 품질 또는 세기일 때 실질적인 이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어떤 시나리오에서, 다이렉트 링크는 중계 링크보다 더 강할 수도 있다. 이들 시나리오에서는, 중계기가 목적지로 중계 신호를 송신하는 것조차도 이롭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하나 이상의 중계 링크는 다이렉트 링크보다 더 강할 수도 있다. 이들 시나리오에서, 다이렉트 링크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를 이용하는 것은 성능 면에서 이득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메트릭은 다이렉트 링크 및 중계 링크의 품질 또는 세기를 수량화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메트릭은 수신된 신호 세기, 수신된 신호 품질, 오버헤드 비용 등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수신된 신호 세기에 대한 몇몇 예시의 파라미터는 수신된 파일롯 세기, 수신된 파일롯 파워, 수신된 신호 파워, 경로손실 (pathloss), 채널 세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된 신호 품질에 대한 몇몇 예시의 파라미터는 신호대 잡음비 (SNR), 신호대 잡음 및 간섭 비 (SINR), 칩당 에너지 대 총 수신된 파워 비 (Ec/Io), 캐리어 대 간섭비 (C/I)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버헤드 비용에 대한 몇몇 예시의 파라미터는 프로세싱 리소스, 레이턴시, 중계 신호로 인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간섭, 중계 파워 소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트릭은 단일의 수신된 신호 세기 파라미터 (예를 들어, 수신된 파일롯 파워), 단일의 수신된 신호 품질 파라미터 (예를 들어, SINR), 상이한 파라미터들의 가중합 (weighted sum) 등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메트릭은 예상된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 예상된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 등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중계기에 있어서, 예상된 데이터 레이트는 백홀 및 액세스 링크의 세기 또는 품질에 의존적일 수도 있다. 메트릭이 어떻게 정의될 수도 있는지에 관계없이, 간단함을 위해 다음의 설명은 메트릭이 넌-네거티브 값을 갖고 상위 값이 더 좋다고 가정한다. 넌-네거티브, 상위 값 더 좋은 메트릭에 대한 설명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성의 상실을 초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트릭 M 은 네거티브 값을 갖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그 후, 새로운 메트릭 M' 은 M'=지수(M) 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고, 단조성 (monotonicity) 의 손실 없이 모든 포지티브일 것이다. 다른 예로서, 메트릭 M 은 하위 값이 더 좋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M 은 M 대신의 메트릭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고, 더 좋은 상위 값을 갖는다.
소스로부터 목적지로의 다이렉트 링크에 대한 메트릭은 MS 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i 번째 중계기로부터 목적지로의 중계 링크에 대한 메트릭은 MRi (여기서 i∈{ 1, ..., N }) 으로서 나타낼 수도 있고, 여기서 N 은 중계기들의 수이다. N 개의 중계기들에 대한 메트릭은 MR1 ≥ MR2 ≥ ... > MRN 이도록 소팅될 수도 있고, 여기서 MR1 은 최상의 중계 링크에 대한 최상의 메트릭이고 MRN 은 가장 나쁜 중계 링크에 대한 가장 나쁜 메트릭이다.
일 설계에서, 목적지는 다음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싱을 위해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식 (1)
여기서 K1 은 적절하게 선택된 넌-네거티브 상수이다. 식 (1) 에 도시된 설계에서, 다이렉트 신호는 그 메트릭 MS 가 최상의 중계 링크의 메트릭 MR1 및 상수 K1 에 의해 결정된 동적 임계값보다 큰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신호는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세싱으로부터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수 K1 은, 다이렉트 신호가, 그 메트릭이 미리결정된 퍼센티지의 최상의 중계 메트릭보다 더 좋은 경우 선택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는 다음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싱을 위해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2
식 (2)
여기서 Ts 는 적절하게 선택된 고정 임계값이다. 식 (2) 에 도시된 설계에서, 다이렉트 신호는 그 메트릭 MS 가 고정 임계값 Ts 보다 더 큰 경우 선택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는, 기준이 식 (1) 및 (2)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Ts 는, 다이렉트 신호가 그것이 선택될 수 있기 전에 일부 최소 품질 이상에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3
은, 다이렉트 신호가 최상의 중계 신호와 결합될 때 몇몇 이득을 제공할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목적지는 다음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싱을 위해 i 번째 중계기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4
및 식 (3a)
Figure pct00005
여기서
Figure pct00006
식 (3b)
여기서, K2 및 K3 은 적절하게 선택된 넌-네거티브 상수이고, MRth 은 임계 메트릭이다. MRth 는 최상의 메트릭 MR1 또는 미리결정된 값과 동일할 수도 있다.
식 세트 (3) 에 나타난 설계에서, i 번째 중계기로부터의 중계 신호는, 그 메트릭이 (i) 최상의 중계 링크의 메트릭 MR1 및 상수 K2 에 의해 결정된 제 1 동적 임계값 및 (ii) 소스의 메트릭 MS 및 상수 K3 에 의해 결정된 제 2 동적 임계값 양자 모두보다 큰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중계 신호는 그렇지 않은 경우 누락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i 번째 중계기로부터의 중계 신호는 식 (3a) 에서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i 번째 중계기로부터의 중계 신호는 식 (3b) 에서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는 다음의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 프로세싱을 위해 i 번째 중계기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7
식 (4)
여기서 TR 은 적절하게 선택된 고정 임계값이다. 식 (4) 에 나타난 설계에서, i 번째 중계로부터의 중계 신호는, 그 메트릭 MRi 이 고정 임계값 TR 보다 큰 경우 선택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누락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 및 중계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몇몇 예시의 기준은 상기에서 주어진다. 이들 기준은, 신호를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는 상황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기준은 또한,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중계 신호의 선택은, 예를 들어 전술된 오버헤드 비용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컨디션에 의존적일 수도 있다.
상수 K1, K2 및 K3, 및 임계값 TS 및 TR 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에 의한 측정, 필드 테스팅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수들 및 임계값들은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상수들 및 임계값들은 목적지에 저장될 수도 있는 고정값일 수도 있다. 다르게는, 상수들 및 임계값들은 임의의 팩터에 의존적일 수도 있는 구성 가능한 값일 수도 있다.
전술된 설계는, 각각의 중계기에 대한 백홀 링크가 충분히 우수하고, 메트릭 MRi 에 대한 백홀 링크의 영향이 무시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른 설계에서, 소스로부터 i 번째 중계기로의 백홀 링크에 대한 메트릭이 결정될 수도 있고 MSRi (여기서,i∈{ 1, ..., N }) 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i 번째 중계기로부터 목적지로의 중계 링크에 대한 메트릭 MRi 은 그 후 대응하는 백홀 링크에 대한 메트릭 MSRi 을 고려할 수도 있다.
특정 신호를 선택 또는 누락시킬지 여부에 관한 결정은 설계 스테이지에서 또는 채널 컨디션에 기초한 배치 후에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를 갖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순방향 링크 상에서, 중계기는, 단지 중계기에 대해 강한 채널을 갖는 단말기들과 통신하도록 제약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스에 대한 메트릭 MS 는 최상의 중계기에 대한 메트릭 MR1 보다 더 작을 수도 있고, 식 (1) 에서의 기준은 만족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설계 스테이지에서, 다이렉트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면, 목적지는 소스에 대한 메트릭 MS 를 연산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다이렉트 신호를 프로세싱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편, 단말기가 서로에 대해 중계기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식 세트 (3) 에서의 기준은 어느 단말기가 실행 가능한 중계기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소스 및 중계기는 상이한 파일롯들을 송신할 수도 있고, 이 파일롯들은 목적지가 상이한 스테이션을 식별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파일롯은 송신기 스테이션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진 데이터이고, 수신기 스테이션은 채널 추정, 신호 세기 및/또는 품질 측정, 송신기 식별자, 시간 및/또는 주파수 획득 등과 같은 각종 목적을 위해 수신기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파일롯은 또한, 기준 신호, 트레이닝, 프리앰블 (preamble)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소스 및 중계기는 각종 방식으로 파일롯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코드 분할 다중화 (CDM) 가 파일롯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스테이션은 상이한 스크램블링 (scrambling) 코드 및/또는 상이한 직교 코드를 갖는 그 파일롯을 생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파일롯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 리소스 상에서 그 파일롯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는 파일롯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스테이션은 상이한 서브캐리어 세트 상에서 그 파일롯을 송신할 수도 있고, 이들 파일롯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로에 대해 직각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시간 분할 다중화 (TDM) 가 파일롯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이한 스테이션은 상이한 시간 간격으로 그 파일롯을 송신할 수도 있고, 이들 파일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서로에 대해 직각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은 멀리플렉싱된 방식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은 그 파일롯을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다른 스테이션이 그 스테이션을 검출하고 스테이션에 대한 수신된 신호 세기 및/또는 수신된 신호 품질을 측정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각종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목적지는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 파일롯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그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는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다른 송신에 기초하여 각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중계기는 각종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중계기는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중계 신호를 목적지로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중계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전술된 설계들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각각의 중계 신호를 선택할지 않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중계기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되어 중계 신호를 목적지로 송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이들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소스 및 중계기에 대한 메트릭을 연산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그 후, 전술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각각의 중계기를 인에이블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각각의 인에이블된 중계기와 통신하여 중계기가 중계 신호를 목적지로 송신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목적지는 소스와 통신할 수도 있고, 소스는 결과적으로 각각의 인에이블된 중계기와 통신하여 중계기가 중계 신호를 목적지로 송신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도, 목적지는 모든 인에이블된 중계기들로부터의 중계 신호를 프로세싱 할 수도 있다. 이 설계는, 각각의 중계기가 그 중계기를 인에이블한 목적지에 대한 송신만을 포함하는 중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중계기는 각종 방식으로 중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중계기는, 예를 들어, 스테이션 식별을 위해 이용된 구별 가능한 파일롯을 제외하고 그들이 소스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와 유사하도록 중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 신호 및 다이렉트 신호는 그 후, SFN 처럼 보일 수도 있다. 중계 신호 및 다이렉트 신호는 동일한 복조 파일롯을 가질 수도 있고, 이 파일롯은 중계 링크 및 다이렉트 링크 양자 모두에 대해 전체 채널 추정을 획득하도록 목적지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 목적지는 중계 신호 및 다이렉트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고, 복조 파일롯에 기초하여 전체 채널 추정치를 유도할 수도 있으며, 전체 채널 추정치와 함께 수신된 신호에 대해 코히런트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중계 신호와 다이렉트 신호 사이에서 구별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 설계는, 예를 들어 각각의 중계기가 인에이블되거나 디스에이블될 수 있을 때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중계기는 그들이 목적지에 의해 구별될 수 있도록 중계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중계기들은 그 중계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이한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별 가능한 중계 신호는 목적지가 각각의 중계 신호를 선택 또는 누락시키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중계기는 중계 신호를 송신하여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다양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및 중계기는 그 신호를 송신하여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을 제공할 수도 있다. STTD 에 있어서, 소스는 2 개의 연속적인 심볼 주기 1 및 2 각각에서 2 개의 출력 심볼 Sa 및 Sb 를 목적지로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기는 동일한 2 개의 연속 심볼 주기 1 및 2 각각에서 출력 심볼 -Sb * 및 Sa * 을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출력 심볼은 2 개의 심볼 주기에서 2 개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고, 시간 및 공간 다양성 양자 모두를 관찰한다.
STTD 에 있어서, 목적지는 2 개의 연속적인 심볼 주기 1 및 2 에서 2 개의 수신된 심볼 r1 및 r2 를 획득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다음과 같이 2 개의 출력 심볼을 복원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8
및 식 (5a)
Figure pct00009
식 (5b)
여기서 h1 및 h2 는 심볼 주기 1 및 2 각각에 대한 추정된 채널 이득이고,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는 출력 심볼 Sa 및 Sb 각각의 추정치이다.
소스 및 중계기는 또한 그 신호를 송신하여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FTD) 를 제공할 수도 있다. SFTD 에 있어서, 소스는 하나의 심볼 주기에서 2 개의 서브캐리어 1 및 2 를 통해 각각 2 개의 출력 심볼 Sa 및 Sb 를 목적지로 송신할 수도 있다. 중계기는 동일한 심볼 주기에서 동일한 2 개의 서브캐리어 1 및 2 를 통해 출력 심볼 -Sb * 및 Sa * 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출력 심볼은, 2 개의 서브캐리어를 통해 2 개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고, 주파수 및 공간 다양성 양자 모두를 관찰한다.
STTD 및 SFTD 는 통상적으로 2 개의 연속적인 심볼 주기 또는 서브캐리어로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2 개의 안테나로부터 한 쌍의 출력 심볼을 송신하도록 이용된다. 2 개의 스테이션을 갖는 STTD 또는 SFTD 에 있어서, 소스는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중계기는 소스의 제 2 안테나를 흉내 낼 수도 있다. 목적지에는, 소스 및 중계기에 의해 언제 STTD 또는 SFTD 이 채용되는지가 통지될 수도 있다. 목적지는 그 후, 예를 들어 식 세트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TD 또는 SFTD 에 대해 복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소스 및 중계기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에 따라 그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HARQ 를 이용하여, 패킷이 수신기 스테이션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될 때까지 또는 최대 개수의 송신이 전송될 때까지, 또는 몇몇 다른 종료 컨디션에 접할 때까지 송신기 스테이션은 데이터 패킷의 하나 이상의 송신, 하나의 송신을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다. HARQ 는 데이터 송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고, 변하는 채널 컨디션의 존재시 패킷에 대한 레이트 적응을 지원할 수도 있다.
HARQ 에 있어서, 중계기는 목적지에 대한 패킷의 각각의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이 송신을 디코딩하여 패킷을 복원할 수도 있다. 패킷을 정확하게 디코딩하는 동안, 중계기는 디코딩된 패킷에 기초하여 소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남아있는 패킷의 송신을 생성할 수도 있다. 중계기는 그 후, 예를 들어 그 송신에 대한 소스에 의해 이용된 주파수 리소스 및 동일한 시간에 대해 목적지로 각각의 남아있는 패킷의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패킷이 중계기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될 때까지 단지 소스로부터 패킷의 하나 이상의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는, 패킷이 중계기에 의해 정확하게 디코딩된 후에 소스 및 중계기 양자 모두로부터 패킷의 하나 이상의 남아있는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 은 순방향 링크 상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단말기 (130) 일 수도 있고 또는 역방향 링크 상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기지국 (110) 일 수도 있는 목적지 (300) 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목적지 (300) 에서, 안테나 (310) 는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그리고 임의의 수의 중계기로부터 임의의 수의 중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안테나 (310) 는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기 (312) 는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하고, 입력 샘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복조기 (314) 는 입력 샘플을 프로세싱하여 소스 및 중계기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복조기 (314) 는 또한, 소스 및 중계기로부터의 파일롯을 복원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에 수신된 파일롯 심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트릭 연산 유닛 (320) 은 그 스테이션에 대한 수신된 파일롯 심볼 및 가능하게는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연산할 수도 있다. 신호 선택 유닛 (322) 은 유닛 (320) 으로부터 소스 및 중계기에 대한 메트릭 을 수신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또는 누락시키기 위한 기준을 평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닛 (322) 은 식 (1) 또는 (2) 에서의 기준을 평가하여 소스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유닛 (322) 은 식 세트 (3) 또는 식 (4) 에서의 기준을 평가하여 각각의 중계기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유닛 (322) 은 또한, 다른 기준을 평가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유닛 (322) 은 선택된 신호의 인디케이션 (indication) 을 복조기 (314) 및 신호 결합기 (316)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복조기 (314) 는 목적지 (300) 로 전송된 송신을 위해 입력 샘플을 변조할 수도 있고, 그 신호가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되는 각각의 스테이션에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신호 결합기 (316) 는 모든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 심볼을 결합할 수도 있고, 소스에 의해 목적지 (300) 로 전송된 데이터 심볼의 추정일 수도 있는 검출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 신호가 어떻게 전송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복조 및 신호 결합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가 구별되는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 및 신호 결합은 예를 들어, 상이한 스크램블링 시퀀스, STTD, SFTD 등의 이용을 통해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FN 방식으로 전송된,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가 구별이 안 되는 경우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음) 복조 및 신호 결합이 또한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 디코더 (318) 는 검출된 데이터 심볼을 디코딩할 수도 있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목적지 (30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 는 송신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400) 의 도면을 나타낸다. 프로세스 (400) 는, 역방향 링크 송신에 대해 기지국 또는 순방향 링크 송신에 대해 단말기일 수도 있는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412). 목적지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매우 강한 것에서부터 매우 약한 것, 가능하게는 잡음 플로어 미만의 범위에 이르는 임의의 신호 레벨에서 각각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블록 414). 목적지 스테이션은 메트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및 다이렉트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블록 416). 목적지 스테이션은 그 후,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블록 418).
블록 414 의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파일롯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파일롯은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멀티플렉싱 방식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은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구별 가능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그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수신된 신호 세기 파라미터 (예를 들어, 수신된 파일롯 세기, 경로손실 등), 수신된 신호 품질 파라미터 (예를 들어, SNR, SINR, Ec/Io, C/I 등), 및/또는 다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블록 416 에서 각종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신호 선택의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 1 임계값은 (i) 예를 들어 식 (1) 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 또는 (ii) 예를 들어 식 (2) 에 나타난 바와 같은 미리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중계 신호 선택의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제 2 및 제 3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 2 임계값은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제 3 임계값은 식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중계 신호 선택의 다른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제 4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 4 임계값은 최상의 메트릭,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 또는 미리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신호 선택의 일 설계에서, 목적지 스테이션은 최상의 메트릭을 갖는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또한,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또한, 제 2 및/또는 제 3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남아 있는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된 중계 신호를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그 중계 신호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되지 않는 중계 신호를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신호로 송신을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중계 신호가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그 중계 신호로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는 SFN 에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함께 프로세싱하여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다수의 신호들이 메트릭에 기초하여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목적지 스테이션은 다수의 신호들을 개별적으로 프로세싱하여 다수의 프로세싱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고, 그 후 프로세싱된 신호를 결합하여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결합은 상이한 선택된 신호들로부터 검출된 심볼을 합산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결합은 또한, 식 세트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STTD 또는 SFTD 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 는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 (500) 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 (500) 는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이렉트 신호를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수신하기 위한 모듈 (512), 소스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모듈 (514), 메트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및 다이렉트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 (516),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기 위한 모듈 (518) 을 포함한다.
도 6 은 송신을 중계하는 프로세스 (600) 의 설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스 (600) 는 중계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612). 중계 스테이션은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송신을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블록 614). 중계 스테이션은, 송신을 포워딩하도록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중계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616). 중계 스테이션은, 송신을 포워딩하지 않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 없이 중계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송신을 포워딩하지 않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새로운 송신에 대해 또한 리스닝 (listening) 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일한 시간에 송신 및 수신할 수 없음으로 인해 중계 신호를 송신하는 중계 스테이션이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새로운 송신을 리스닝할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할 수도 있다.
송신을 포워딩할지 여부에 관한 결정은 소스 스테이션 또는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중계 스테이션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결정은, 예를 들어 소스 스테이션 또는 목적지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메트릭에 기초하여 중계 스테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일 설계에서, 송신을 포워딩하기 위한 결정은, 중계 스테이션이,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을 갖는 경우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및/또는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송신을 포워딩하기 위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임계값은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제 2 임계값은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다이렉트 신호로부터 구별이 안 되도록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신호 및 중계 신호는 SFN 에 따라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중계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상이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다이렉트 신호로부터 구별되도록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또한, STTD 또는 SFTD 에 따라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 은 송신을 중계하기 위한 장치 (700) 의 설계를 나타낸다. 장치 (700) 는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신호를 중계 스테이션에서 수신하기 위한 모듈 (712),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송신을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 (714), 및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중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모듈 (716) 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7 의 모듈은, 프로세서, 전자 디바이스, 하드웨어 디바이스, 전자 컴포넌트, 논리 회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 은 도 1 의 기지국 (110), 하나의 중계기 (120), 및 단말기 (130) 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기지국 (110) 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송신을 전송할 수도 있고, 또한 역방향 링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송신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명확함을 위해, 단지 단말기 (130) 로 전송되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송신의 프로세싱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기지국 (110) 에서,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810) 는 데이터의 패킷을 수신하여 단말기 (130) 로 전송할 수도 있고, 선택된 패킷 포맷에 따라 각각의 패킷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 하여 데이터 심볼을 획득할 수도 있다. HARQ 가 이용되면, 프로세서 (810) 는 각각의 패킷의 다중 송신을 생성할 수도 있고, 한번에 하나의 송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810) 는 또한,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하여 제어 심볼을 획득하고, 파일롯 심볼을 생성하며, 데이터 심볼, 제어 심볼, 및 파일롯 심볼을 멀티플렉싱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810) 는 (예를 들어, OFDM, CDMA 등에 대해) 멀티플렉싱된 심볼을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기 (TMTR; 812) 는 출력 샘플을 컨디셔닝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하여, 중계기 (120) 및 단말기 (130) 로 송신될 수도 있는 순방향 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중계기 (120) 에서, 기지국 (110) 으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는 수신기 (RCVR; 836) 로 수신 및 제공될 수도 있다. 수신기 (836) 는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하고, 입력 샘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RX) 데이터 프로세서 (838) 는 (예를 들어, OFDM, CDMA, 등에 대한) 입력 샘플을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을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838) 는 또한 수신된 심볼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및 디코딩) 하여 단말기 (130) 로 전송된 송신 (예를 들어, 패킷 및 제어 정보) 을 복원할 수도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830) 는 기지국 (110) 과 동일한 방식으로 프로세서 (838) 로부터의 제어 정보 및 복원된 데이터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 하여, 데이터 심볼 및 제어 심볼을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830) 는 파일롯 심볼을 생성하고, 파일롯 심볼로 데이터 및 제어 심볼을 멀티플렉싱하며, 멀티플렉싱된 심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을 획득할 수도 있다. 송신기 (832) 는 출력 샘플을 컨디셔닝하고, 단말기 (130) 로 송신될 수도 있는 순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 (130) 에서, 기지국 (110) 으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 및 중계기 (120) 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중계 신호가 수신기 (852) 에 의해 수신 및 컨디셔닝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854)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단말기 (130) 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860) 는 정확하게 디코딩된 패킷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전송될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 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856)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송신기 (858) 에 의해 컨디셔닝되어, 기지국 (110) 및 중계기 (120) 로 송신될 수도 있는 역방향 링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중계기 (120) 에서, 단말기 (130) 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는 수신기 (836) 에 의해 수신 및 컨디셔닝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838) 에 의해 처리되어 단말기 (130) 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복원할 수도 있다. 복원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830)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송신기 (832) 에 의해 컨디셔닝되어 기지국 (110) 으로 송신될 수도 있는 역방향 링크 중계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 (110) 에서, 단말기 (130) 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 및 중계기 (120) 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중계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기 (816) 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RX 데이터 프로세서 (818)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단말기 (130) 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복원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820) 는 단말기 (130) 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820, 840 및 860) 는 기지국 (110), 중계기 (120), 및 단말기 (130) 에서 각각 동작을 다이렉팅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820 및 860) 는 도 4 의 프로세스 (400) 및/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술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를 각각 수행 또는 다이렉팅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840) 는 도 6 의 프로세스 (600) 및/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술을 위한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 또는 다이렉팅할 수도 있다. 메모리들 (822, 842 및 862) 은 기지국 (110), 중계기 (120), 및 단말기 (130) 각각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임의의 여러 가지의 상이한 기술 및 테크닉들을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가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 필드 또는 입자, 광학 필드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전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신호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도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도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의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가 사용자 단말기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 상에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별한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비 제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범용 또는 특별한 목적의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고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을 적당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칭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twisted pair), 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개시된 예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개시물의 각종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본 원에서 한정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원에 도시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원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성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에 따른다.

Claims (34)

  1.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파일롯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은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구별 가능한, 상기 파일롯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 세기 파라미터 및 수신된 신호 품질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값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 및 미리결정된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신호 및 상기 임계값을 송신하는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각각의 중계 신호를 선택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제 1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제 2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임계값 및 상기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을 갖는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상기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 2 임계값 및 제 3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남은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3 임계값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된 중계 신호를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상기 중계 신호로 상기 송신을 전송하고,
    프로세싱을 위해 선택되지 않은 중계 신호를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은 상기 중계 신호로 상기 송신을 전송하지 않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single frequency network; SFN) 에 따라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상기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함께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싱을 위해 다수의 신호들이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다수의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신호들을 개별적으로 프로세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상기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는,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또는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FTD) 에 따라 상기 다수의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파일롯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은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구별 가능한, 상기 파일롯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미리결정된 값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수신하고,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고,
    상기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들로서, 각각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파일롯은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구별 가능한, 상기 파일롯들을 수신하고,
    상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파일롯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 각각에 대한 메트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리결정된 값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이렉트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메트릭을 갖는 각각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중계 신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다이렉트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를 목적지 스테이션에서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스테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들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 신호 중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전송된 송신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신호를 중계 스테이션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상기 송신을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스테이션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을 갖는 경우,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지 않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송신 없이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지 않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새로운 송신들에 대해 리스닝 (listening)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다이렉트 신호로부터 구별 안 되도록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렉트 신호 및 상기 중계 신호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single frequency network; SFN) 에 따라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상기 다이렉트 신호로부터 구별 가능하도록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공간-시간 송신 다이버시티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TTD) 또는 공간-주파수 송신 다이버시티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FTD) 에 따라 상기 중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소스 스테이션으로부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송신을 포함하는 다이렉트 신호를 중계 스테이션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으로 상기 송신을 포워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송신을 포함하는 중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스테이션이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을 갖는 경우,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이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의해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스테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메트릭 중에서 최상의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소스 스테이션에 대한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포워딩하지 않도록 하는 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목적지 스테이션에 대한 상기 송신 없이 상기 중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17002079A 2008-06-27 2009-06-25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37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51708P 2008-06-27 2008-06-27
US61/076,517 2008-06-27
US12/490,070 2009-06-23
US12/490,070 US8798526B2 (en) 2008-06-27 2009-06-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PCT/US2009/048721 WO2009158542A1 (en) 2008-06-27 2009-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961A true KR20110031961A (ko) 2011-03-29
KR101237230B1 KR101237230B1 (ko) 2013-02-27

Family

ID=4105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079A KR101237230B1 (ko) 2008-06-27 2009-06-25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98526B2 (ko)
EP (1) EP2316172A1 (ko)
JP (1) JP2011526466A (ko)
KR (1) KR101237230B1 (ko)
CN (1) CN102077482A (ko)
TW (1) TW201018114A (ko)
WO (1) WO2009158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4794B (en) 2008-11-27 2011-06-15 Ipwireless Inc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units, and method for employing a pilot transmission scheme
US8848594B2 (en) 2008-12-10 2014-09-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y of relay nodes
US8040904B2 (en) * 2008-12-17 2011-10-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combining
US8355388B2 (en) * 2008-12-17 2013-0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 access to relays
US8402334B2 (en) 2008-12-17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unctionality in a relay node
US20100150022A1 (en) * 2008-12-17 2010-06-17 Research In Mo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Relay Protocol Stack
US8311061B2 (en) 2008-12-17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xing
US8335466B2 (en) * 2008-12-19 2012-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US8446856B2 (en) 2008-12-19 2013-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lay node selection
US8265128B2 (en) 2008-12-19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th relay nodes
EP2391154A4 (en) 2009-01-20 2016-07-13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678420B2 (ja) * 2009-09-01 2015-03-04 富士通株式会社 中継方法及び中継装置
JP5482068B2 (ja) * 2009-10-01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中継局、中継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8837732B2 (en) * 2010-01-14 2014-09-16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n a wireless network
EP2369760B1 (en) * 2010-03-24 2012-12-19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f an information word transferred by at least a source has to be relayed
US8582493B2 (en) * 2010-05-17 2013-11-12 Intel Corporation Implicit wireless relay station based upon observed communications between a subscr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WO2013094001A1 (ja) * 2011-12-19 2013-06-27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制御方法およびノード
US9019841B2 (en) * 2012-10-19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for relays in LTE using D2D
CA2814303A1 (en) 2013-04-26 2014-10-26 Cellphone-Mat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KR102029208B1 (ko) * 2013-06-04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369609B (zh) * 2013-07-29 2017-02-08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模式切换方法和装置
CN103442407B (zh) * 2013-08-30 2016-06-08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低频段低功耗无线局域网中无线中继的选择方法
US9929851B2 (en) * 2013-09-16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network
US20160157157A1 (en) * 2014-12-01 2016-06-02 Gemtek Technology Co., Lt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0317B (en) 2003-05-28 2012-03-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993904B (zh) * 2004-05-13 2011-09-07 高通股份有限公司 具有用于上行链路及下行链路同步之下行链路检测的非变频中继器
WO2006121381A1 (en) 2005-05-06 2006-11-16 Ericsson Ab Method and arran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relaying
EP1734667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US8135337B2 (en) * 2005-11-29 2012-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cheduling in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KR100819405B1 (ko) * 2006-01-03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부호 변조를 이용하는 릴레이를 가지는 이동통신 장치및 방법
US8027286B2 (en) * 2006-07-28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multi-hop wireless system
US8457674B2 (en) 2006-09-29 2013-06-04 Intel Corporation Architecture, protocols and frame formats for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s
JP5038924B2 (ja) * 2008-01-25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レー伝送システム、基地局、中継局及び方法
US8184633B2 (en) * 2008-10-15 2012-05-22 Zoltes, Inc. Automated interoperability assessments based on iterative profling and emulation of SIP or T.38 fax-relay enabl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25480A1 (en) 2009-12-31
EP2316172A1 (en) 2011-05-04
US8798526B2 (en) 2014-08-05
KR101237230B1 (ko) 2013-02-27
CN102077482A (zh) 2011-05-25
WO2009158542A1 (en) 2009-12-30
JP2011526466A (ja) 2011-10-06
TW201018114A (en) 201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230B1 (ko) 소스 스테이션 및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신호를 선택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52965B1 (ko) 하나의 심벌 기간에서 다수의 부반송파 중 하나의 선택 또는 하나의 부반송파에 대해 다수의 심벌 기간 중 하나의 선택을 통한 메시지 시그널링
JP6189363B2 (ja) ペイロード差分に基づいた復号のための判定メトリックの合成
AU2013338783B2 (en) Transmission scheme and quasi co-location assumption of antenna ports for PDSCH of transmission mode 10 for LTE advanced
KR10156303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다운링크 투명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JP5670337B2 (ja) 無線通信のためのインクリメンタル冗長中継器
KR101184395B1 (ko) 유력한 간섭 시나리오들에서의 동기 tdm-기반 통신
KR20170081648A (ko) 협력적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의 관리
US20140269246A1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JP5801427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送信のためのインクリメンタルリダンダンシリレー
US8958360B2 (en) Coordinat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terminals
US20100266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localized single frequency network
US10425975B1 (en) Method for selecting a device to act as a relay device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node based on received signal quality measurements
WO2020030261A1 (en) Adaptive relaying in 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communication system
KR101922846B1 (ko) 협력적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직접 및 중계전송의 연계 방법
KR10137740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