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264A - 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 Google Patents

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264A
KR20110030264A KR1020100021884A KR20100021884A KR20110030264A KR 20110030264 A KR20110030264 A KR 20110030264A KR 1020100021884 A KR1020100021884 A KR 1020100021884A KR 20100021884 A KR20100021884 A KR 20100021884A KR 20110030264 A KR20110030264 A KR 2011003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hutter
unit
head bod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1082B1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닉스
Publication of KR2011003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01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603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of the front shoo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PURPOSE: An ink spray unit and an inkjet marking devic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ink in a nozzle from hardening by blocking the ink from making contact with the air. CONSTITUTION: An ink spray unit comprises a head(110), a head body(120), and a shutter(130). A nozzle is formed on the head to spray the ink to a target. The head body comprises a slit for passing the ink sprayed from the nozzle and supports the head. The shutter opens and closes the sl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ink is sprayed from the nozzle. The shutter is formed from an elastic material to make tight contact with the head body.

Description

잉크 분사 유닛 및 이를 갖는 잉크젯 마킹 장치{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본 발명은 잉크 분사 유닛 및 이를 갖는 잉크젯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잉크를 분사하여 출력물을 얻기 위한 잉크 분사 유닛 및 이를 갖는 잉크젯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ejection unit and an inkjet mar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 ejection unit and an inkjet mar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o obtain an output by ejecting ink onto an object.

통상적으로, 잉크젯 마킹 장치는 크게 잉크를 분사하여 출력물을 얻기 위한 잉크 분사부와, 상기 잉크 분사부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부 및 상기 잉크 분사부와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In general, an ink jet marking apparatus includes an ink jet unit for largely jetting ink to obtain an output, an ink supply unit for supplying ink to the ink je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k jet unit and the supply unit.

잉크젯 마킹 장치의 상기 잉크 분사부는 상기 잉크 공급부에서 공급된 잉크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노즐을 통해 잉크를 대상물 상에 분사하게 된다. 상기 잉크 분사부의 노즐에서 잉크의 분사가 중단되어 상기의 노즐이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경우, 잉크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솔벤트 성분의 잉크가 증발하여 상당수의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 ink jetting unit of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injects ink supplied from the ink supplying unit onto a target object through a nozz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When the ejection of the ink is stopped at the nozzle of the ink ejection unit and the nozzle is exposed to the air, the ink of the solvent component contained in the ink is evaporated and a large number of nozzles are clogged.

상기와 같이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이 막히게 되면, 잉크의 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원하는 출력물을 얻게 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노즐에 굳어 있는 클리너를 이용하거나 다량의 잉크를 노즐로 배출하여 굳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상기 응고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시간이 소모되어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If the nozzle is sprayed as described above is clogged, the ink is not sprayed properly to obtain the desired outpu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olidified ink by using a cleaner hardened on the nozzle or by discharging a large amount of ink to the nozzle. Therefore, the work becomes cumbersome and the time for removing the solidified ink is consumed, which lowers the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의 노즐에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잉크 분사 유닛과 잉크 굳음으로 인해 발생된 노즐 막힘을 간편하게 해결하기 위한 자동청소 유닛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ejection unit for preventing ink from solidifying on a nozzle of a head for ejecting ink, and an automatic cleaning unit for easily solving nozzle clogging caused by ink solid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을 갖는 잉크젯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marking apparatus having the ink ej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 유닛은 대상물로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잉크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헤드 바디 및 상기 헤드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노즐의 잉크 분사 여부에 따라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d having a nozzle for ejecting ink onto an object,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a slit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passing ink ejected from the nozzle, wherein the head And a shutter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head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lit according to whether ink is injected from the nozz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와의 밀착을 위해 상기 셔터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와의 밀착을 위해 상기 셔터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utt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셔터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셔터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e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utter and moving the shutter to open and close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회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rive unit may rotate the shutter reciproc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linearly reciprocate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셔터가 상기 헤드 바디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e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driving uni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closely contact the head body with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jet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shutter is opened or 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용 부재 및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용 부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is mounted to the driving unit and a sensing member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body, and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the sensing member.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셔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mounted on the head body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헤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드의 잉크 분사 및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e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head,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ink ejection of the head and opening / closing of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셔터의 동작 불량 시 상기 헤드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인터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lock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ead when the shutter is not in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대상물의 마킹면과 상기 커버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셔터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의 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ody includes a region in which the slit i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hutter to space the marking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cover,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lit It may have a groove extending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셔터의 두께보다 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groove may be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to accommodate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슬릿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 바디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ej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having a second sl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t and surrounding the head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슬릿의 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ay have a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t,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slit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의 표면들이 코팅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faces of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may be coat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and to improve chemical resistance of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테프론 코팅, 세라믹 코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코팅, 몰리브덴(MoS2) 코팅, PEEK(Polyether etherketone) 코팅(vicote 코팅), 폴리아미드(Poly Amide) 코팅, CONIF 코팅, Alucoat 코팅, PPS(Polyphenylene sulfide) 코팅, 폴리아세탈(Polyacetal, POM) 코팅, 우레탄 코팅, 나일론 코팅 중 어느 하나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ating is Teflon coating, ceramic coating, polyethylene (PE, PE) coating, molybdenum (MoS2) coating, PEEK (Polyether etherketone) coating (vicote coating), polyamide (Poly Amide) Coating, CONIF coating, Alucoat coating, polyphenylene sulfide (PPS) coating, polyacetal (POM) coating, urethane coating, nylon co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서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잉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ody extends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to the surface into which the head is inserted, and may have a suction passage for sucking ink remaining in the nozz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흡입 통로를 통해 흡입된 잉크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복되는 S자 형태의 흡입 라인을 가지며, 상기 헤드 바디의 흡입 통로와 연결되는 흡입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k ejection unit has a suction line of S-shape to be repeated to prevent back flow of ink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of the head body It may further comprise a suction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헤드 바디 및 상기 셔터의 재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스테인리스 스틸, 탄성 스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may be any one of polyimid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PEEK), stainless steel, elastic steel.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마킹 장치는 잉크를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잉크 분사 유닛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유닛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의 잔류 잉크를 흡입하기 위한 잉크 흡입 유닛 및 상기 잉크 분사 유닛, 상기 잉크 공급 유닛 그리고 상기 잉크 흡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잉크를 대상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잉크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헤드 바디 및 상기 헤드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노즐의 잉크 분사 여부에 따라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An ink jet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 jet unit for jetting ink toward an object, an ink supply unit for supplying ink to the ink jet unit, and an ink suction unit for suctioning residual ink in the ink je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ink ejection unit, the ink supply unit, and the ink suction unit, wherein the ink ejection unit includes a head having a nozzle formed therein for ejecting the ink to an object, and the nozzle is inserted therein. And a slit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passing the ink injected from the nozzle, the head body for fixedly holding the head and the head body, and the slit in contact with the ink injection of the nozzle. It may include a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 유닛은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 동안 노즐을 밀폐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상기 노즐에서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잉크 및 상기 노즐의 세정을 위해 분사된 잉크를 흡입하여 상기 노즐에서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ls the nozzle while the ink is not ejected to block contact with air, thereby preventing the ink from solidifying at the nozzle. In addition, the ink remaining in the nozzle and the ink injected for cleaning the nozzle are sucked to prevent the ink from solidifying in the nozzle.

그리고, 상기 잉크젯 분사 유닛은 감지부를 이용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의 오작동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inkjet injection unit may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by using a detection unit. Therefore, malfunction of the shutter can be confirme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마킹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마킹 장치의 잉크 분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 헤드 바디 및 흡입 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셔터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잉크 공급 유닛 및 잉크 흡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kjet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k ejection unit of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the head body and the suction block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hutter driver illustrated in FIG. 1.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shown in FIG. 1.
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k supply unit and ink suction unit shown in FIG.
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describing th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분사 유닛 및 이를 갖는 잉크젯 마킹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ink ejection unit and an inkjet mar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마킹 장치(10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kjet mark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잉크젯 마킹 장치(1000)는 크게 잉크를 분사하여 출력물을 얻기 위한 잉크 분사 유닛(100)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유닛(200)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에서 분사되고 남은 잉크를 흡입하는 잉크 흡입 유닛(300), 그리고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 및 상기 잉크 흡입 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4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n ink ejection unit 100 for discharging ink and obtaining an output, and an ink supply unit 200 for supplying ink to the ink ejection unit 100. Controlling the ink ejection unit 300, the ink ejection unit 100, the ink supply unit 200, and the ink suction unit 300 to suck the remaining ink ejected from the ink ejection unit 100.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400 for.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 잉크 흡입 유닛(300) 및 제어 유닛(400)은 지지유닛(5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유닛(5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The ink ejection unit 100, the ink supply unit 200, the ink suction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400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500. The support unit 500 includes a guide membe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은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과 같거나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ink ejection unit 100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member. The ink ejection unit 100 may be the same as the ink supply unit 200 or higher than the ink supply unit 200. The ink ejection unit 100 is mounted to the guide member and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 사이에는 잉크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라인이 구비된다. 상기 잉크 흡입 유닛(300)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 사이에는 잉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배관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은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 및 상기 잉크 흡입 유닛(300)과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 유닛(400)은 출력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10) 및 상기 키패드(410)를 통한 입력 결과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420)가 구비된다.A supply line for supplying ink is provided between the ink supply unit 200 and the ink ejection unit 100. A suction pipe for sucking ink is provided between the ink suction unit 300 and the ink injection unit 100. The control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ink injection unit 100, the ink supply unit 200, and the ink suction unit 300 by a cable,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keypad 410 for inputting output contents and a display monitor 420 for displaying an input result through the keypad 410.

상기 잉크젯 마킹 장치(10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잉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잉크의 종류로는 잉크 성분에 따라 유성잉크, 수성잉크, 알코올성 잉크, 글리콜성 잉크, 수지형 잉크, 왁스형 잉크, 폴리아미드형 잉크, 고무베이스형 잉크로 분류할 수 있다. 잉크 건조형에 따라 산화중합형 잉크, 증발건조형 잉크, 침투건조형 잉크, 침전건조형 잉크, 자외선 경화형 잉크(UV Curing Ink), 적외선 건조형 잉크, 자연건조형 잉크, 열경화형 잉크, 모이스취 세트형 잉크, 전자선 경화형 잉크, 1액 반응형 잉크, 2액 반응형 잉크, 겔화건조형 잉크, 증기경화형 잉크, 콜드세트형 잉크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잉크 성분에 따라서는 유성(Solvent Based) 잉크, 수성 잉크가 주로 사용되고, 잉크 건조형에 따라서는 자외선의 에너지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액상으로부터 고상으로 초단위로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가 주로 사용된다.Various types of inks may be used in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1000. The ink may be classified into an oil ink, an aqueous ink, an alcohol ink, a glycol ink, a resin ink, a wax ink, a polyamide ink, and a rubber base ink according to ink components. Oxidation polymerization ink, evaporation drying ink, penetration drying ink, precipitation drying ink, UV curing ink, infrared drying ink, natural drying ink, thermosetting ink, moisture depending on ink drying type It can be classified into a set ink, an electron beam curable ink, a one-liquid reactive ink, a two-liquid reactive ink, a gelling dry ink, a vapor curing ink, and a cold set ink. According to the ink components, oil based (solvent based) ink and water based ink are mainly used, and according to the ink drying type, ultraviolet curing ink which causes photochemical reaction with energy of ultraviolet rays and hardens from liquid phase to solid phase by second is mainly used.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마킹 장치(1000)의 잉크 분사 유닛(1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110), 헤드 바디(120) 및 흡입 블록(15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셔터 구동부(14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셔터(130)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k ejection unit 100 of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1000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head 110, a head body 120, and a suction block illustrated in FIG. 1. It is a side view for demonstrating the state in which 150 is couple | bonded. 4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hutter driver 140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30 shown in FIG. 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의 헤드(110)는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직사각 바(bar)의 형태를 갖는다. 잉크 공급 배관(252)은 상기 헤드(110)는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110)로 잉크를 공급한다. 케이블 연결부(116)는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프로세서(17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176)이 연결된다. 노즐(112)은 상기 일측 단부와 대응하는 헤드(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 공급 배관(252)을 통해 공급된 잉크를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종, 천, 제품 등의 대상물에 분사한다.2 to 5, the head 110 of the ink ejection unit 100 has a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ink supply pipe 252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d 110 to supply ink to the head 110. The cable connection part 116 is formed at one end, and a cable 176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ocessor 17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he nozzle 1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ead 110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and the ink, which is supplied through the ink supply pipe 25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0, Spray to object such as product.

또한, 걸림턱(114)은 상기 헤드(110)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다. 히팅 부재(미도시)는 상기 헤드(110)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헤드(110) 내부의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여 잉크의 유동성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특히, 상기 잉크의 점도가 높은 경우, 상기 히팅 부재가 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jaw 114 is the head 11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has a predetermined width. A heating member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110, and adjusts the viscosity of the ink inside the head 110 to facilitate the fluidity of the ink. In particular, when the viscosity of the ink is high, the heating member is mainly used.

상기 헤드(110)는 열을 잘 전도하는 알루미늄 재질을 가지며, 다이 캐스팅으로 제작된다.The head 110 has an aluminum material that conducts heat well and is manufactured by die casting.

상기 헤드(110)의 노즐(112)의 분사 방식에는 밸브 방식(valve Inkjet), 순환 방식(continues Inkjet), 히팅 방식(Thermal Inkjet) 및 피에조 방식(piezo Ink jet) 등이 있다. Injection methods of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may include a valve inkjet, a continuous inkjet, a heating ink, a piezo ink jet, and the like.

상기 밸브 방식은 밸브의 개폐를 이용하여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이다. 상기 순환 방식은 잉크가 차지 터널(charge tunnel)을 통과하여 일정한 간격의 미세한 방울로 나누어지고 고전압 터널(high-voltage tunnel)에서 가해지는 고전압의 세기에 따라 잉크의 반응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마킹하는 방식이다. 상기 히팅 방식은 잉크에 순간적인 고열을 발생하며, 이때 고열의 끓음에 의해 발생된 잉크 방울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상기 피에조 방식은 피에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피에조의 움직임에 의해 잉크를 배출하는 방식이다. The valve method is a method of ejecting ink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 the circulation method, the ink is divided into fine droplets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charge tunnel and is marked using the difference in the reaction height of the ink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high voltage applied in the high-voltage tunnel. to be. The heating method generates instantaneous high heat in the ink, and in this case, sprays ink droplets generated by boiling of high heat. The piezo method is a method of discharging ink by the movement of the piezo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piezo.

헤드 바디(120)는 상기 헤드(110)를 고정 지지하기 한다. 일 예로, 상기 헤드 바디(120)는 육면체 모양의 블록 형태를 갖는다. 상기 헤드 바디(120)는 일면에 삽입홈(122)을 갖는다. 상기 삽입홈(122)의 크기와 형태는 상기 헤드(110)의 노즐(112) 부위의 크기 및 형태와 대응한다. 상기 헤드(110)는 노즐(112)이 구비되는 타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 바디(120)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110)는 상기 걸림턱(114)이 상기 헤드 바디(120)에 걸릴 때까지 삽입된다.The head body 120 fixes and supports the head 110. For example, the head body 120 has a hexahedral block shape. The head body 120 has an insertion groove 122 on one surfac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122 corresponds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ortion of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The head 110 is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nozzle 1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 is fixed to the head body 120. The head 110 is inserted until the locking jaw 114 is caught by the head body 120.

상기 헤드 바디(120)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제1 슬릿(124)을 갖는다. 상기 제1 슬릿(124)은 상기 삽입홈(122)과 연통하며, 상기 헤드 바디(120)에 삽입된 헤드(110)의 노즐(112)과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 슬릿(124)은 상기 노즐(112)로부터 잉크를 통과시킨다.The head body 120 has a first slit 124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The first slit 124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groove 122 a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inserted into the head body 120. The first slit 124 passes ink from the nozzle 112.

상기 헤드 바디(120)는 상기 타면에 제1 홈(126)을 갖는다. 상기 제1 홈(126)은 상기 제1 슬릿(124)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슬릿(124)의 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홈(124)은 후술하는 셔터(130)의 두께보다 더 큰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body 120 has a first groove 126 on the other surface. The first groove 126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first slit 124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first slit 124 is formed. The first groove 124 may be formed to a depth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1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헤드 바디(120)는 상기 삽입홈(122)의 내측벽에서 상기 일면까지 연장하는 흡입 통로(128)를 갖는다. 상기 흡입 통로(128)는 상기 삽입홈(112)의 내측벽에 형성되는 제1 통로(128a) 및 상기 헤드 바디(1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128a)와 연통하는 제2 통로(128b)를 포함한다. The head body 120 has a suction passage 128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122 to the one surface. The suction passage 128 is a first passage 128a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112 and a second passag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ead body 12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passage 128a. (128b).

상기 제1 통로(128a)는 상기 헤드 바디(120)에 삽입된 상기 헤드(110)의 노즐(112)의 측면 부위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통로(128a)의 폭은 상기 노즐(112)의 장방향 폭과 상기 헤드(110)의 장방향 폭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passage 128a is located at a side portion of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inserted into the head body 120. The width of the first passageway 128a may have a size between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nozzle 112 and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head 110.

상기 제2 통로(128b)는 상기 제1 통로(128a)의 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통로(128b)는 후술하는 흡입 블록(150)과 연결된다. The second passage 128b serves to reduce the width of the first passage 128a. The second passage 128b is connected to a suction block 1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흡입 통로(128)를 통해 상기 노즐(112)에 잔류하는 잉크나 먼지, 찌꺼기 등이 흡입되어 배출된다. Ink, dust, and other residues remaining in the nozzle 112 are suck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28.

상기 헤드 바디(120)는 탄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피로성 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 바디(120)의 재질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스테인리스 스틸, 탄성 스틸 등을 들 수 있다. The head body 120 includes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chemical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fatigue resistanc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head body 120 may includ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stainless steel, and elastic steel.

한편, 밀봉 부재(미도시)가 상기 헤드(110)와 상기 헤드 바디(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헤드(110)와 상기 헤드 바디(120) 사이를 통한 공기 침투를 방지하므로, 상기 노즐(112)이 공기에 노출되어 응고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의 재질로는 잉크에 손상되지 않는 내화학성을 지닌 에폭시, 테프론, UV 계열 등의 본드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접착제 또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Meanwhil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d 110 and the head body 120. Since the sealing member prevents air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head 110 and the head body 120, the phenomenon in which the nozzle 112 is exposed to air and solidifies can be reduced.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include bonds such as epoxy, Teflon, UV-based, or the like, or adhesives or sheets having chemical resistance that are not damaged by ink.

상기 셔터(130)는 상기 제1 홈(126)이 형성된 헤드 바디(120)의 타면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 바디(120)의 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왕복 운동한다. 상기 셔터(130)는 상기 회전 왕복 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슬릿(124)을 개폐한다. 상기 셔터(130)는 얇은 판 형태를 갖는다. 상기 셔터(13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상기 셔터(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셔터(130)의 재질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스테인리스 스틸, 탄성 스틸 등을 들 수 있다. The shutter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ead body 120 in which the first groove 126 is formed, and rotates reciproc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ead body 120. The shutter 130 opens and closes the first slit 124 through the rotary reciprocating motion. The shutter 130 has a thin plate shape. The shutter 1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prevent the shutter 130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material of the shutter 130 may be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PEEK, stainless steel, elastic steel, or the like.

상기 노즐(112)에서 잉크가 분사되는 경우, 상기 셔터(130)는 선회하여 상기 제1 슬릿(124)을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12)에서 분사된 잉크가 상기 제1 슬릿(124)을 통과한다. 상기 노즐(112)에서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셔터(130)는 상기 제1 슬릿(124)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12)의 잉크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여 상기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When ink is ejected from the nozzle 112, the shutter 130 pivots to open the first slit 124. Therefor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112 passes through the first slit 124. When ink is not ejected from the nozzle 112, the shutter 130 blocks the first slit 124. Accordingly, the ink of the nozzle 112 is blocked from contact with air to prevent the ink from solidifying.

상기 제1 홈(126)이 형성된 타면과 상기 셔터(130)는 서로 접촉한다.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의 마찰이 큰 경우, 상기 셔터(130)의 동작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12)에서 분사된 잉크가 상기 헤드 바디(120) 및 상기 셔터(130)에 묻는 경우, 상기 헤드 바디(120) 및 상기 셔터(130)가 상기 잉크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groove 126 is formed and the shutter 130 contact each other. When the friction between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is large,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130 may be poor. In addition, when the ink ejected from the nozzle 112 contacts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may be damaged by the chemical action of the ink. Can be.

그러므로,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의 표면들이 마찰계수가 낮고 내화학성이 높은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and to improve chemical resistance of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are provided. Surfaces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high chemical resistance.

상기 코팅의 예로는 테프론 코팅, 세라믹 코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코팅, 몰리브덴(MoS2) 코팅, PEEK(Polyether etherketone) 코팅(vicote 코팅), 폴리아미드(Poly Amide) 코팅, CONIF 코팅, Alucoat 코팅, PPS(Polyphenylene sulfide) 코팅, 폴리아세탈(Polyacetal, POM) 코팅, 우레탄 코팅, 나일론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테프론 코팅은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 PFA(Perfluoroalkoxy) 코팅, FEP(Fluoroethylenepropylene) 코팅,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코팅, ETFE(EthyleneTetrafluoroethylene) 코팅, PVDF(polyvinylidenefluoried) 코팅, ECTFE(Ethylene-Chlorotrifluoro Ethylene) 코팅, Teflon SF 코팅, Teflon-S 건성 윤활 코팅, Teflon-S One coat 코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ating include Teflon coating, ceramic coating, polyethylene (PE) coating, molybdenum (MoS2) coating, polyether etherketone (PEEK) coating (vicote coating), polyamide coating, CONIF coating, Alucoat coating, Polyphenylene sulfide (PPS) coatings, polyacetal (POM) coatings, urethane coatings, nylon coatings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the Teflon coating is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coating, Perfluoroalkoxy (PFA) coating, Fluoroethylenepropylene (FEP) coating,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coating, Ethylene Tetrafluoroethylene (ETFE) coating, polyvinylidenefluoried (PVDF) coating, Ethylene-Chlorotrifluoro Ethylene (ECTFE) coating , Teflon SF coating, Teflon-S dry lubrication coating, Teflon-S One coat coating, and the like.

따라서,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셔터(130)가 상기 잉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friction between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may be reduced, and the head body 120 and the shutter 13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nk.

셔터 구동부(140)는 상기 헤드 바디(1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셔터(130)의 일단을 고정한다. 상기 셔터 구동부(140)는 상기 셔터(130)가 회전 왕복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예로는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피에조 모터, DC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The shutter driver 1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d body 120 and fixes one end of the shutter 130. The shutter driver 14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shutter 130. Examples of the shutter driver 140 may include a stepping motor, a servo motor, a piezo motor, a DC motor, and the like.

셔터 구동부(140)는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셔터(130) 개폐시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셔터(130)의 개폐 속도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셔터 구동부(140)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Since the shutter driver 140 can precisely control the operation, shock and noise may be reduced when the shutter 130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shutter 130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shutter driver 140 is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occupies less spac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셔터(130)는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제1 슬릿(124)을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셔터(130)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경우, 상기 셔터 구동부(140)는 상기 셔터(130)가 직선 왕복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예로는 리니어 모터(liner motor), 피에조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 보이스 코일(Voice Coil), 솔레노이드(Soleniod) 등을 들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hutter 130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slit 124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When the shutter 130 linearly reciprocates, the shutter driver 140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hutter 130. In this case, examples of the shutter driver 140 may include a linear motor, a piezo actuator, a voice coil, a solenoid, and the like.

상기 셔터 구동부(140)는 감속기(1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142)는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지만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회전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 셔터(130)의 개폐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The shutter driver 140 may be equipped with a reducer 142. The reducer 142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utter driver 140 but impro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utter driver 140.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130 is made stable.

브래킷(144)은 상기 셔터 구동부(140)를 상기 헤드 바디(120)에 고정한다. 상기 브래킷(144)은 상기 헤드 바디(120)와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bracket 144 fixes the shutter driver 140 to the head body 120. The bracket 144 may be coupled to the head body 120 by a screw.

감지부(146)는 상기 셔터(13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 부재(147) 및 센서(148)를 포함한다. The detector 146 detects whether the shutter 130 is opened or closed, and includes a detection member 147 and a sensor 148.

상기 검출 부재(147)는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일 예로, 상기 검출 부재(147)는 일부분이 개방된 원판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 부재(14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셔터(130)의 개폐가 달라진다. The detection member 147 is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hutter driver 140. For example, the detection member 147 may be in the form of a disc with an open portion. Therefor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30 vari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member 147.

상기 센서(148)는 상기 브래킷(144)에 장착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14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검출 부재(147)를 감지한다. 상기 셔터(1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센서(148)의 상기 검출 부재(147) 감지 여부가 달라진다. The sensor 148 is mounted to the bracket 144 and detects the detection member 147 that is rotated by the shutter driver 140. Whether the sensor 148 detects the detection member 147 depends on whether the shutter 130 is opened or closed.

일 예로, 상기 셔터(1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검출 부재(147)가 상기 센서(148)에 감지되고, 상기 셔터(130)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검출 부재(147)가 상기 센서(148)에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셔터(1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검출 부재(147)가 상기 센서(148)에 감지되지 않고, 상기 셔터(130)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검출 부재(147)가 상기 센서(148)에 감지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utter 130 is opened, the detection member 147 is detected by the sensor 148, and when the shutter 130 is blocked, the detection member 147 is connected to the sensor 148. It may not be detect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hutter 130 is opened, the detection member 147 is not detected by the sensor 148, and when the shutter 130 is blocked, the detection member 147 is the sensor 148. Can be detected.

한편, 상기 감지부(148)는 상기 검출 부재(147)없이 상기 센서(148)가 상기 셔터(130)의 위치를 직접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130)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148)가 상기 셔터(130)의 위치를 직접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148 may direct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shutter 130 without the detection member 147. In addition, even when the shutter 130 linearly reciprocates, the sensor 148 may direct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shutter 130.

탄성 부재(149)는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회전축에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탄성 부재(149)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9)는 상기 셔터 구동부(1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 홈(126)이 형성된 타면과 상기 셔터(13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홈(126)이 형성된 타면과 상기 셔터(13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49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shutter driver 140.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49 may be a coil spring. The elastic member 149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hutter driver 140 to prevent the shutter 130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groove 126 is formed.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groove 126 is formed and the shutter 1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흡입 블록(150)은 상기 헤드 바디(120)의 흡입 통로(128)와 연결된다. 상기 흡입 블록(150)은 상기 헤드 바디(120)와 상기 흡입 배관(312)을 연결한다. 흡입 라인(152)은 상기 흡입 블록(150)은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흡입 라인(152)은 S자 또는 U자 반복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흡입 라인(152)은 상기 흡입 배관(312)에 잔류하는 잉크가 상기 흡입 블록(152)을 통해 상기 헤드 바디(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uction block 15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128 of the head body 120. The suction block 150 connects the head body 120 and the suction pipe 312. The suction line 152 is provided with the suction block 150 therein. The suction line 152 has a shape that is repeated S-shaped or U-shaped. Accordingly, the suction line 152 prevents ink remaining in the suction pipe 312 from flowing back to the head body 120 through the suction block 152.

커버(160)는 상기 헤드 바디(12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160)는 상기 헤드 바디(120)의 타면 중 제1 홈(126)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밀착된다. 상기 셔터(130)의 두께가 상기 제1 홈(126)의 깊이보다 작으므로, 상기 커버(160)와 상기 헤드 바디(120)가 밀착하더라도 상기 커버(160)와 상기 셔터(130) 사이가 이격된다. 상기 셔터(130)가 회전 왕복 운동할 때, 상기 셔터(130)와 상기 커버(160)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커버(160)는 서스(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6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head body 120. In this case, the cover 160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first groove 126 is no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ead body 120. Since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130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126, the cover 160 and the shutter body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ven if the cover 160 and the head body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o. When the shutter 130 rotates reciprocally, friction between the shutter 130 and the cover 160 does not occur. The cover 160 may be formed of a sus material.

상기 커버(160)는 제2 슬릿(162) 및 제2 홈(164)을 갖는다.The cover 160 has a second slit 162 and a second groove 164.

상기 제2 슬릿(162)은 상기 제1 슬릿(124)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노즐(112), 상기 제1 슬릿(124) 및 상기 제2 슬릿(162)은 동일축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12)의 잉크가 상기 제1 슬릿(124) 및 상기 제2 슬릿(16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The second slit 162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t 124. The nozzle 112, the first slit 124, and the second slit 162 are located on the same axis. Therefore, ink of the nozzle 112 may be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slit 124 and the second slit 162.

상기 제2 홈(164)은 상기 헤드 바디(120)와 접촉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커버(160)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타면은 상기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제2 홈(164)은 상기 제2 슬릿(162)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슬릿(162)의 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2 홈(164)은 상기 대상물과 상기 커버(160)를 이격시킨다.The second groove 164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160 opposite to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120. The other surface is a surface facing the object. The second groove 16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t 162 including an area where the second slit 162 is formed. The second groove 164 spaces the object from the cover 160.

상기 제2 홈(162)의 깊이가 약 0.2mm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커버(160)가 대상물의 잉크 마킹 부위와 접촉하여 상기 마킹을 손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홈(162)의 깊이가 2mm보다 큰 경우, 상기 커버(160)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상기 노즐(112)과 상기 대상물 사이의 간격도 커져 상기 대상물에 형성되는 마킹이 불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홈(162)의 깊이는 약 0.2 mm 내지 약 2 mm 일 수 있다.When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162 is smaller than about 0.2 mm, the cover 160 may contact the ink marking portion of the object to damage the marking. When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162 is greater than 2 mm, as the gap between the cover 160 and the object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nozzle 112 and the object also increases to form a marking formed on the object. It can be bad. Thus, the depth of the second groove 162 may be about 0.2 mm to about 2 mm.

프로세서(170)는 상기 헤드(110), 상기 셔터 구동부(140) 및 상기 감지부(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70)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상기 헤드(110), 상기 셔터 구동부(140) 및 상기 감지부(14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d 110, the shutter driver 140, and the detector 146.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be connected to the head 110, the shutter driver 140, and the detector 146 through a cable (not shown).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셔터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셔터(130)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감지부(146)를 통해 상기 셔터(130)의 개폐를 확인한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셔터(1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헤드(110)의 잉크 분사를 제어한다.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shutter driver 140 to open and close the shutter 130.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onfirm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30 through the sensing unit 146.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ink injection of the head 1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30.

상기 프로세서(170)는 인터락부(172) 및 알람부(174)를 포함한다. The processor 170 includes an interlock unit 172 and an alarm unit 174.

상기 헤드(110) 및 상기 셔터 구동부(140)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인터락부(172)는 상기 헤드(110) 및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작동을 중단시킨다.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head 110 and the shutter driver 140, the interlock part 172 stops the operation of the head 110 and the shutter driver 140.

상기 헤드(110) 및 상기 셔터 구동부(140)의 작동을 중단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174)는 알람 신호를 발생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head 110 and the shutter driver 140 is stopped, the alarm unit 174 generates an alarm signal.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컨트롤러(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지만, 독립적으로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와 상기 헤드(110), 상기 셔터 구동부(140) 및 상기 감지부(146)와의 연결 거리가 짧아 전기적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헤드(110)의 잉크 분사 및 상기 셔터(130)의 개폐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but may also operate independently. In addition, the connection distance between the processor 170, the head 110, the shutter driver 140, and the detector 146 may be short, thereby minimizing electrical noise. Thus, the processor 170 may accurately control the ink injection of the head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130.

케이스(180)는 상기 헤드(110), 헤드 바디(120), 셔터(130), 셔터 구동부(140), 감지부(146), 흡입 블록(150), 커버(160) 및 프로세서(17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The case 180 includes the head 110, the head body 120, the shutter 130, the shutter driver 140, the detector 146, the suction block 150, the cover 160, and the processor 170. It is provided to wrap.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잉크 공급 유닛(200) 및 잉크 흡입 유닛(3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k supply unit 200 and the ink suction unit 300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잉크 공급 유닛(200)의 잉크 탱크(210)는 상기 잉크젯 마킹 장치(1000)에 사용되는 잉크(I)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 저장소(250)와 연결된다. 1 and 6, the ink tank 210 of the ink supply unit 200 stores ink I used in the inkjet marking apparatus 1000, and is connected to the ink reservoir 250. do.

상기 잉크 저장소(250)는 상기 잉크 탱크(210)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잉크(I)를 저장한다. 상기 잉크 저장소(250)는 공급 배관(252)을 통해 상기 잉크 분사 유닛(100)과 연결된다. The ink reservoir 250 is supplied from the ink tank 210 and stores ink I for supplying to the ink ejection unit 100. The ink reservoir 250 is connected to the ink ejection unit 100 through a supply pipe 252.

제1 플로트 센서(260)는 상기 잉크 저장소(2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잉크(I)의 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잉크량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270)는 상기 잉크 저장소(250) 외부면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The first float sensor 260 is provided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to measure the ink amount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 The pressure sensor 2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k reservoir 250 to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액체 펌프(220)는 상기 잉크 탱크(210)와 상기 잉크 저장소(250)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212) 상에 구비된다. 상기 액체 펌프(220)는 상기 제1 플로트 센서(260)에서 측정된 상기 잉크 저장소(250)의 잉크량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잉크 저장소(250)의 잉크량이 기준양보다 감소하게 되면 상기 액체 펌프(220)가 작동하여 상기 잉크 탱크(210)의 잉크(I)를 상기 잉크 저장소(250)로 공급한다. The liquid pump 220 is provided on a connection pipe 212 connecting the ink tank 210 and the ink reservoir 250. The liquid pump 220 is determined wheth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k amount of the ink reservoir 250 measured by the first float sensor 260. When the ink amount of the ink reservoir 250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mount, the liquid pump 220 is operated to supply the ink I of the ink tank 210 to the ink reservoir 250.

필터(240)는 상기 연결 배관(2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잉크(I) 내의 불순물이나 공기 방울 등을 여과한다. The filter 24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pipe 212 and filters impurities and air bubbles in the ink I.

제1 에어 펌프(230)는 상기 잉크 저장소(250)의 상부면을 통해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을 높인다. 즉 헤드(110) 외부로의 잉크 배출이 필요한 경우, 제1 에어 펌프(230)를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로 펌핑하여 압력을 높이게 된다.The first air pump 230 is connected to the in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ink reservoir 250 to increase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That is, when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ink to the outside of the head 110, by operating the first air pump 230 to pump the outside air into the ink reservoir 250 to increase the pressure.

상기 드레인 밸브(280)는 상기 잉크 저장소(250) 외부면에 구비되어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즉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음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280)는 개방되고,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음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드레인 밸브(28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드레인 밸브(280)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개폐된다.The drain valve 28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reservoir 250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That is,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is higher than a desired pressure (negative pressure), the drain valve 280 is opened,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is lower than a desired pressure (negative pressure), the drain valve 280 remains closed. The drain valve 28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따라서, 상기 제1 에어 펌프(230)와 상기 드레인 밸브(280)를 통해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sure in the ink reservoir 25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first air pump 230 and the drain valve 280.

상기 잉크 흡입 유닛(300)의 잉크 수거통(310)은 흡입 배관(312)을 통해 흡입된 잉크(I)를 저장한다. 잉크 수거통(310)은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에어 펌프(320)는 잉크 수거통(310)과 연결되어 상기 잔류 잉크(I)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에어 펌프(320)의 흡입력에 의해 노즐(112)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될 수도 있다. The ink container 310 of the ink suction unit 300 stores the ink I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312. The ink container 310 is preferably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The second air pump 320 is connected to the ink container 310 to provide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residual ink (I).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f the nozzle 112 may b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econd air pump 320.

제2 플로트 센서(330)는 상기 잉크 수거통(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잉크 수거통(310)의 내부에 수거된 잉크(I)의 양을 체크한다. 따라서, 수거된 잉크(I)가 넘쳐 흡입 배관(312)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float sensor 330 is provided inside the ink container 310 and checks the amount of ink I collected in the ink container 310. Thus, the collected ink I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and flowing back along the suction pipe 312.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00)은 제1 플로트 센서(260)의 또는 이에 상응하는 감지 장치의 감지 결과 잉크 저장소(250)의 잉크량이 기설정된 양보다 적으면 액체 펌프(220)를 구동시켜 잉크 탱크(210)의 잉크(I)를 잉크 저장소(250)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저장소(250)는 일정한 잉크량을 유지할 수 있다.1, 6, and 7, the control unit 400 detects a liquid amount when the ink amount of the ink reservoir 250 of the first float sensor 260 or the corresponding sensing device is less than a preset amount. The pump 220 is driven to supply the ink I of the ink tank 210 to the ink reservoir 250. Therefore, the ink reservoir 250 may maintain a constant ink amount.

제어 유닛(400)은 제1 에어 펌프(230)를 구동시켜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에 압력을 가한다. 상기 잉크 저장소(250)의 잉크(I)는 공급 배관(252)을 통하여 잉크 분사 유닛(100)의 노즐(112)까지 공급된다. 이 때 제어 유닛(400)은 드레인 밸브(280)를 개방하여 상기 잉크 저장소(250) 내부의 압력이 음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112)까지 공급된 잉크(I)는 노즐(112)을 통해 분사되지도 않고, 상기 공급 배관(160)을 따라 역류하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first air pump 230 to apply pressure to the ink reservoir 250. Ink I of the ink reservoir 250 is supplied to the nozzle 112 of the ink ejection unit 100 through the supply pipe 252.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opens the drain valve 280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maintains a negative pressure. Therefore, the ink I supplied to the nozzle 112 is not ejected through the nozzle 112 and does not flow back along the supply pipe 160.

이후, 잉크(I)의 분사나 외부 조건의 변화에 의해 잉크 저장소(250)의 압력이 변하더라도 제1 에어 펌프(230) 및 드레인 밸브(280)를 조절하여 잉크(I)가 상기 상태를 유지한다. Thereafter, even when the pressure of the ink reservoir 250 changes due to the ejection of the ink I or the change of external conditions, the first air pump 230 and the drain valve 280 are adjusted to maintain the ink I in the above state. do.

제어 유닛(400)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셔터 구동부(140)를 작동한다. 상기 셔터 구동부(140)는 셔터(130)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슬릿(124)을 개방한다. 상기 제1 슬릿(124)이 개방되면 헤드(110)의 노즐(112)이 잉크(I)를 분사하여 대상물을 마킹한다. 이때 제어 유닛(400)은 제1 에어 펌프(230) 및 드레인 밸브(280)를 구동시켜 잉크 저장소(250)의 내부의 압력이 음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잉크(I)가 분사되면 잉크 저장소(250)의 잉크(I)는 공급 배관(252)을 따라 분사된 잉크(I)의 양만큼 잉크 분사 유닛(100)으로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The processor 170 operates the shutter driver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The shutter driver 140 moves the shutter 130 to open the first slit 124. When the first slit 124 is opened,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sprays ink I to mark an objec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drives the first air pump 230 and the drain valve 280 to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ink reservoir 250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Therefore, when the ink I is ejected in the above state, the ink I of the ink reservoir 250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ink ejection unit 100 by the amount of the ink I ejected along the supply pipe 252. .

잉크 분사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 유닛(400)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셔터 구동부(140)를 다시 작동한다. 상기 셔터 구동부(140)는 셔터(130)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슬릿(124)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110)의 노즐(112)이 밀폐되어, 상기 노즐(112)의 잉크(I)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ink injection is finished, the processor 170 operates the shutter driver 140 agai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The shutter driver 140 moves the shutter 130 to block the first slit 124. Therefore, the nozzle 112 of the head 110 is sealed, thereby preventing the ink I of the nozzle 112 from hardening.

또한 잉크(I) 분사가 종료되면 제어 유닛(400)은 제2 에어 펌프(32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노즐(112)의 잔류 잉크(I)가 흡입 블록(150) 및 흡입 배관(312)을 따라 배출되어 잉크 수거통(310)에 저장된다. 그리고 장기간의 미사용 등으로 인해 노즐(112)에 잉크(I)가 굳은 경우 제어 유닛(400)은 노즐(112)을 통해 소량의 잉크(I)를 분사하여 잉크(I)로 노즐(112)을 세정한다. 이 경우 노즐(112)이 밀폐된 상태에서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제2 에어 펌프(320)를 작동시켜 세정에 사용된 잉크(I) 및 굳은 잉크(I)를 배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injection of the ink I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400 operates the second air pump 320. Therefore, the residual ink I of the nozzle 112 is discharged along the suction block 150 and the suction pipe 312 and stored in the ink container 310. When the ink I is hardened to the nozzle 112 due to long periods of non-use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400 sprays a small amount of the ink I through the nozzle 112 to draw the nozzle 112 with the ink I. Clean. In this cas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the nozzle 112 is closed. At this time, the second air pump 320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ink I and the solid ink I used for clea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분사 유닛은 잉크가 분사되지 않는 동안 노즐을 밀폐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상기 노즐에서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잉크 및 상기 노즐의 세정을 위해 분사된 잉크를 흡입하여 상기 노즐에서 잉크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ls the nozzle while the ink is not ejected to block contact with air, thereby preventing the ink from solidifying at the nozzle. In addition, the ink remaining in the nozzle and the ink injected for cleaning the nozzle are sucked to prevent the ink from solidifying in the nozzle.

그리고,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감지부를 이용하여 셔터의 개폐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의 오작동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ink jetting unit may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hutter by using a detection unit. Therefore, malfunction of the shutter can be confirmed quick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00 : 잉크 분사 유닛 110 : 헤드
112 : 노즐 114 : 걸림턱
116 : 케이블 연결부 118 : 히터
120 : 헤드 바디 122 : 삽입홈
124 : 제1 슬릿 126 : 제1 홈
128 : 흡입 통로 130 : 셔터
140 : 셔터 구동부 142 : 스텝 모터
144 : 브래킷(bracket) 146 : 감속기
147 : 검출부재 148 : 센서
149 : 탄성부재 150 : 흡입 블록
152 : 흡입 배관 160 : 캡
162 : 제2 슬릿 170 : 프로세서
172 : 인터락부 174 : 알람부
180 : 케이스 200 : 잉크 공급 유닛
210 : 잉크 탱크 220 : 액체 펌프
230 : 제1 에어 펌프 240 : 필터
250 : 잉크 저장소 252 : 잉크 공급 배관
260 : 플로트 센서 270 : 압력 센서
280 : 드레인 밸브 300 : 잉크 흡입 유닛
310 : 잉크 수거통 312 : 잉크 흡입 배관
320 : 제2 에어 펌프 330 : 플로트 센서
400 : 제어부 410 : 키패드
420 : 디스플레이 모니터 500 : 지지부
I : 잉크
100: ink ejection unit 110: head
112: nozzle 114: locking jaw
116: cable connection 118: heater
120: head body 122: insertion groove
124: first slit 126: first groove
128: suction passage 130: shutter
140: shutter drive unit 142: step motor
144: bracket 146: reducer
147: detection member 148: sensor
149: elastic member 150: suction block
152: suction pipe 160: cap
162: second slit 170: processor
172: interlock unit 174: alarm unit
180: case 200: ink supply unit
210: ink tank 220: liquid pump
230: first air pump 240: filter
250: ink reservoir 252: ink supply piping
260: float sensor 270: pressure sensor
280: drain valve 300: ink suction unit
310: ink container 312: ink suction pipe
320: second air pump 330: float sensor
400: control unit 410: keypad
420: display monitor 500: support
I: Ink

Claims (21)

대상물로 잉크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형성된 헤드;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잉크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헤드 바디; 및
상기 헤드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노즐의 잉크 분사 여부에 따라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
A head in which a nozzle for ejecting ink to an object is formed;
A head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a slit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passing ink ejected from the nozzle,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head; And
And a shutter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to open and close the slit according to whether the nozzle ejects 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와의 밀착을 위해 상기 셔터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utt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셔터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jet unit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utter and moving the shutter to open and close the shut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회전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shutter reciprocal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셔터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rive unit linearly reciprocates the shut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셔터가 상기 헤드 바디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4.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driving unit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shut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셔터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 body to confirm whether the shutter is opened or clo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용 부재 ; 및
상기 헤드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용 부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etection unit,
A sensing member mounted to the driving unit and mov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And a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d body to detect the sens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셔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unit comprises a sensor mounted to the head body to sense a position of the shut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드의 잉크 분사 및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head, the driv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to control ink ejection of the head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셔터의 동작 불량시 상기 헤드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인터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12.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rocessor further comprises an interlock unit which stops the operation of the head when the shutter is not i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셔터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의 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body has a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lit, including a region in which the slit i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hut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상기 셔터를 수용하도록 상기 셔터의 두께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13. 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depth of the groove is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hutter to accommodate the shu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 바디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having a second sli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t, and covering the head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마킹면과 상기 커버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는 상기 대상물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슬릿의 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slit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bject to space the marking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cov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t. An ink ejection unit having an extend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 바디와 상기 셔터의 표면들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s of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are coat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and to improve chemical resistance of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상기 코팅은 테프론 코팅, 세라믹 코팅,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코팅, 몰리브덴(MoS2) 코팅, PEEK(Polyether etherketone) 코팅(vicote 코팅), 폴리아미드(Poly Amide) 코팅, CONIF 코팅, Alucoat 코팅, PPS(Polyphenylene sulfide) 코팅, 폴리아세탈(Polyacetal, POM) 코팅, 우레탄 코팅, 나일론 코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ating is Teflon coating, ceramic coating, polyethylene (PE) coating, molybdenum (MoS2) coating, PEEK (Polyether etherketone) coating (vicote coating), polyamide (Poly Amide) coating Ink jet uni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CONIF coating, Alucoat coating, polyphenylene sulfide (PPS) coating, polyacetal (POM) coating, urethane coating, nylon co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에서 상기 헤드가 삽입되는 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노즐에 잔류하는 잉크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ejection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body extends from an inner side wall of the insertion groove to a surface into which the head is inserted, and has a suction passage for sucking ink remaining in the nozz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를 통해 흡입된 잉크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복되는 S자 형태의 흡입 라인을 가지며, 상기 헤드 바디의 흡입 통로와 연결되는 흡입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19. The apparatus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block having an S-shaped suction line which is repeated to prevent backflow of ink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of the head body. Ink je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바디 및 상기 셔터의 재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스테인리스 스틸, 탄성 스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분사 유닛.The ink jet unit of claim 1, wherein the head body and the shutter are made of one of polyimide, polyether ether ketone, stainless steel, and elastic steel. 잉크를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잉크 분사 유닛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유닛과,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의 잔류 잉크를 흡입하기 위한 잉크 흡입 유닛 및 상기 잉크 분사 유닛, 상기 잉크 공급 유닛 그리고 상기 잉크 흡입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분사 유닛은,
상기 잉크를 대상물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형성된 헤드;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과 연통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 잉크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가지며, 상기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헤드 바디; 및
상기 헤드 바디와 접촉하며, 상기 노즐의 잉크 분사 여부에 따라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마킹 장치.
An ink ejection unit for ejecting ink toward an object, an ink supply unit for supplying ink to the ink ejection unit, an ink suction unit for sucking residual ink in the ink ejection unit, the ink ejection unit, and the ink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supply unit and the ink suction unit,
The ink ejection unit,
A head having a nozzle configured to spray the ink onto an object;
A head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a slit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passing ink ejected from the nozzle,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head; And
And a shutter in contact with the head body, the shutter opening and closing the slit according to whether the nozzle ejects ink.
KR1020100021884A 2009-09-15 2010-03-11 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KR1011110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42 2009-09-15
KR20090087242 2009-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264A true KR20110030264A (en) 2011-03-23
KR101111082B1 KR101111082B1 (en) 2012-02-27

Family

ID=4393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884A KR101111082B1 (en) 2009-09-15 2010-03-11 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0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400B1 (en) * 2020-09-03 2021-01-15 유시욱 Inkjet Mar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640A (en) * 1991-09-06 1993-05-28 Tanaka Seisakusho Kk Printing head of printer for metal plate
JPH06143608A (en) * 1992-11-12 1994-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k jet printer
JPH1196413A (en) 1997-09-16 1999-04-09 Toshiba Corp Automatic ticket examination device
JP2000177143A (en) * 1998-12-15 2000-06-27 Canon Inc Ink jet cartridge and carriage of inkjet prin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400B1 (en) * 2020-09-03 2021-01-15 유시욱 Inkjet Mar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082B1 (en)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393B1 (en) Magnetic drive for dispensing apparatus
KR1014241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JP2019063806A (en) Method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on substrate
US20060193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JP2017023898A (en) Coating method and coating device
TWI359302B (en)
CN110267746B (en) Coating apparatus and bubble removing method
KR101111082B1 (en) Unit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unit
JP4548030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JP7071494B2 (en) Applicator with sealing membrane
JP2005152716A (en) Slit-nozzle coating type coating device and slit-nozzle coating type coating method
JP2001113212A (en) Liquid jetting apparatus
JP6842152B2 (en)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its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JP2011156338A (en) Syringe pump
TW201609269A (en) Valve seat for dispenser
KR101270992B1 (en) Photoresist supplying pump for coater apparatus
JP2009162536A (en) Liquid sample dispenser and driving method
KR100625871B1 (en) Appratus for injecting ink and ink jet ma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198297B2 (en) Inkjet prin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3840660B (en) Inkjet printhead for fluids
US9469121B2 (en) Inkjet printer
KR20110053385A (en) Discharging device
JP2009269336A (en) Liquid droplet ej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7210206A (en) Liquid filling apparatus, liquid filling method, liquid droplet discharg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liquid droplet discharge head
KR100550655B1 (en) Apparatus for fixing a wafer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