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178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178A
KR20110030178A KR1020090088189A KR20090088189A KR20110030178A KR 20110030178 A KR20110030178 A KR 20110030178A KR 1020090088189 A KR1020090088189 A KR 1020090088189A KR 20090088189 A KR20090088189 A KR 20090088189A KR 20110030178 A KR20110030178 A KR 2011003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touch
circuit board
portable terminal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옥순천
원창배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178A/en
Priority to US12/876,936 priority patent/US20110065480A1/en
Priority to EP10009354.1A priority patent/EP2302938A3/en
Publication of KR2011003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ffering various visual effects is provided to include a user input unit having various visual effects and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user. CONSTITUTION: A user input unit(200) comprises a three-dimensional image member,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and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The three-dimensional image member includes a lens sheet and a transparent sheet. The user input unit comprises a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lower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member. A control unit senses user input. The control unit controls a display unit.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입체감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갖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ser input uni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various visual effect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portability.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terminal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terminal type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implemented.

그리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기능 등을 겸비하여, 통신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수단 이외에도 각종 데이터 처리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구비하여 컴퓨터 등과 구별이 모호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portable terminal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like, and is widely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eans, various types of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multimedia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like is blurred.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그 기능 이외에도 그 디자인 등의 감성적인 만족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 말기의 외형은 휴대용 단말기의 중요한 선택기준 중 하나이다.The consumer who selects such a portable terminal can select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desig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hereof.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ne of th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of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바 타입(풀터치 스크린 타입 포함), 폴더 타입 및 슬라이드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풀터치 스크린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본체 하우징의 전면 또는 측면에 복수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including a full touch screen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and each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user input. It may be provided. The user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on the front or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except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of a full touch screen type.

일반적으로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키는 조명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입력키에 기호 또는 문양 등이 각인되어 식별기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put key of the user input unit may have an illumination function, and a sign or a pattern may be imprinted on each input key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symbol.

그러나,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구성하는 입력키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을 줄인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향은 사용자 입력부에 의하여 낭비되는 면적을 줄여 디스플레이부의 면적을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However, an input key constituting such a user input unit is used a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user input and reduces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Recent trends of portable terminals ten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display by reducing the area wasted by the user input.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는 그 디자인 또는 구성이 대부분 유사하여, 그 디자인 등을 다양화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전면 또는 상면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input unit is mostly similar in design or configuration, it is not easy to diversify the desig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increasing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the front or the top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user input unit.

본 발명은 입체감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갖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ser input uni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various visual effec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하는 입체부재 및 복수 개의 터치센서 또는 복수 개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체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member including a lens sheet in which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is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transparent sheet provided under the lens sheet. And a user terminal including a touch sensor or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including a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input and control the display. to provide.

또한,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은 상기 렌즈시트의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인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shape pattern may be prin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convex lens of the lens sheet.

이 경우, 상기 입체부재의 투명시트 하면에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표시하는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더 인쇄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identification symbol, a letter or a number indicating a type of user input may be further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그리고,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은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후 인쇄될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specific shape may be printed after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s or numbers are printed.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에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 상부에 LED가 장착될 수 있다.Here, when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an LED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이 경우, 상기 입체부재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LED가 삽입 및 관통되 는 개방구가 복수 개 형성된 고무판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rubber plat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LED is inserted and penetrate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터치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터치영역은 각각의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ouch regions, and the touch regions may include respective touch sensors.

또한, 상기 입체부재 및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복수 개 구비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member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the diffusion member including a plurality of diffusion parts for diffusing light and a blocking part for blocking light.

이 경우, 상기 회로기판의 터치센서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touch sensor of the circuit board detects a touch input,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L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회로기판에 돔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체부재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돔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돌기가 그 하면에 형성된 고무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ome switch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user input unit, a rubber plate may be furth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여기서, 상기 고무판재의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된 도광필름이 상기 고무판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광필름의 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LED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light guide film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rubber plate material pass may be provided under the rubber plate material, and at least one LE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film.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감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갖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user input unit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various visual effe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의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by diversifying the design of the user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입체감 있게 구성함과 동시에, 조명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입체감 있는 휴 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에 더욱 화려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figured in a three-dimensional sens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lighting function, to provide a more colorful visual effect to the user input of the three-dimensional portabl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지 도면에 도시된 전화기로서의 휴대폰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s a telephon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i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MP). Since it can be widely applied to a player, navigation, etc.,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원(244)을 구비한 터치패드(200)와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ouch pad 200 having a light source 244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light source 2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First,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 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The illustrat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d a storage unit 160. ),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or more components,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GPS module 115,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MediaFLO).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only),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115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 module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 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각각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뒤에서 참조되는 도 2는 제1 사용자 입력부(200), 제2 사용자 입력부(300) 및 제3 사용자 입력부(40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는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터치 스크린 자체가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provided in on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input.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and the third user input unit 400 are illustrated, but the user input unit may be omitted or added as necessary. The touch screen itself may be used as one user input unit without a separate user input unit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the lik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Generate a sensing signal.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s, external chargers, wired / wireless data ports, card sockets (e.g. memory cards, SIM / UIM cards), audio input / output (I / O) terminals,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earphone, etc.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ransmit data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햅틱모듈(154) 및 조명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output module 153, and a haptic module 154. And an illumination unit 155 may be included.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과 터치패드(200)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touch pad 200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 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151 and 152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53.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n injection or inlet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implement the user to feel the haptic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조명부(155)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채로운 조명효과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 등이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와는 별도로 조명부(155)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55)는 후술하는 LED 등일 수 있다.The lighting unit 155 may be provided for various lighting effects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n recent portable terminals, a user input unit or the like often provides an illumination function. For this purpose, the illumination unit 155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acklight of the display unit 151. The lighting unit 155 may be an LED or the like described later.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In the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n more detail.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 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하는 입체부재(210) 및 복수 개의 터치센서 또는 복수 개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200 or 300),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 or 3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 lens sheet having convex lenses arranged in a grid, and a three-dimensional member 210 including a transparent sheet which is printed on a lower surface of a pattern having a specific shape and is provided under the lens sheet. And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or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including a circuit board (not shown)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in the user input unit 200 or 300.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n input user input an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51.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본체(100A)와, 상기 제1본체(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본체(100B)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A and a second body 100B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0A.

제1본체(100A)가 제2본체(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00A)가 제2본체(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100A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00B.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inly operates in a standby mode in a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1본체(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 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본체(100A),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2-1), 제1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a first camera module 121-1, or a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disposed.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패드(20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200)는 터치센서가 장착된 회로기판(240)이 복수 개의 터치영역(242)으로 구획되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영역(242)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후술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300)와 같이, 터치센서가 아닌 돔스위치를 구비하여 가압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200 that detects a user's touch input and converts it into a touch signal. The touch pad 200 is a circuit board 240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touch areas 242, by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area 242 is portable To control the terminal. Of cours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dome switch instead of a touch sensor like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pressing.

도 2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하는 입체부재(200) 및 복수 개의 터치센서 또는 복수 개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를 포함한다.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llustrated in FIG. 2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ember 200 including a lens sheet in which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is print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transparent sheet provided under the lens sheet. And a circuit board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or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provided under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상기 입체부재(21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is provid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user input unit.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200)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d 200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상기 제1음향출력모듈(152-1)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상기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제1본체(100A)와 마찬가지로, 제2본체(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100A, the case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2본체(100B),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face of the second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300)는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하는 입체부재(310) 및 복수 개의 터치센서 또는 복수 개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체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8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Lik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includes a lens sheet in which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grid and a transparent sheet printed on a lower surface of a pattern having a specific shape and provided below the lens sheet. A three-dimensional member 310 and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or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may include a circuit board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8.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 는 제3 사용자 입력부(400),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user input unit 400, the microphone modul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r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00, 300, 400))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200, 300, and 40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user input unit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operating in a tactile manner. have.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 이외에도 제2 및 제3 사용자 입력부(300, 400) 역시 터치 패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200,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the second and third user input units 300 and 400 may also be used. It may be provided in a touch pad manner.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wheel or a jog or a joystick that rotates keys. hav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메뉴 활성화, 메뉴 변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300)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menu activation, menu change, etc.,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may be a number or letter, a symbol, or the like. It is for entering.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400)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user input unit 400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마이크모듈(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 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etc.}, or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Or the interface unit 17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3는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3를 참조하면, 제2본체(100B)의 제2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모듈(121-2)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모듈(121-2)은 제1카메라모듈(121-1, 도 1 참조)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body 100B.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see FIG. 1),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module.

예를 들어, 제1카메라모듈(121-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모듈(121-2)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often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immediately.

제2카메라모듈(121-2)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1-3)와 거울(121-4)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121-3)는 제2카메라모듈(121-2)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121-4)는 사용자가 제2카메라모듈(121-2)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flash 121-3 and a mirror 121-4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flash 121-3 illuminates the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The mirror 121-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himself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제2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음향출력모듈 (152-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상기 제2음향출력모듈(152-2)는 제1음향출력모듈(152-1, 도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2-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see FIG. 2),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a speakerphone mode.

또한, 제2리어 케이스(100B-2)(꼭 제2리어 케이스여만 하나?)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1-1)는 제2본체(100B)(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enna 111-1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nly the second rear case?). The antenna 111-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100B and 2.

제2본체(100B)의 제1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2본체(100B)와 제2본체(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00C for slidably coupling the second body 100B and the second body 100B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100A-2 side of the second body 100B.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본체(100B)의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00C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side of the second body 100B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모듈(121-2)) 등이 제2본체(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00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제2카메라모듈(121-2)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11-1, 121-2 내지 121-3, 15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2본체(100B),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111-1, 121-2 to 121-3, and 152-2 described as dispos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such as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At least one may be mounted to the second body 100B, mainly the first rear case 100A-2.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본체(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카메라모듈(121-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카메라모듈(121-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카메라모듈(121-2)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such a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the closed state is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00B). Furthermore, even if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that shooting can be performed up to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module 121-2. May b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에 장착되는 입체부재(210, 31O)의 일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입체부재(210, 310을 이하 "10"으로 표시함)의 분해시시도이며, 도 4(b)는 입체부재(1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c)는 입체부재(1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31O) mounted on the user inpu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4 (a)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310 denoted as "10"), Figure 4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4C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의 입체감을 위하여, 입체부재(10)를 구비한다. 상기 입체부재(10)는 볼록렌즈(11l)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11) 및 특정 형상의 패턴(15b)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11)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13)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ember 10 for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user input unit.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includes a lens sheet 11 having convex lenses 11l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transparent sheet 13 which is printed on a lower surface of a pattern 15b having a specific shape and is provided below the lens sheet 11. ).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은 상기 렌즈시트의 볼록렌즈(11l)의 초점거 리(d(f))에 인쇄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pattern 15b may be printed o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따라서, 상기 렌즈시트(11)는 복수 개의 볼록렌즈(11l)가 격자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볼록렌즈(11l)는 일정한 초점거리(d(f))를 갖으므로, 상기 초점거리(d(f))에 위치하는 특정 형상의 패턴(15b)이 확대되어 관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s sheet 11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lenses 11l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convex lenses 11l have a constant focal length d (f), and thus the focal length d (f). The pattern 15b of a specific shape located at)) may be enlarged and observed.

상기 렌즈시트(11) 하부에는 투명한 광투과성 재질의 투명시트(13)가 구비된다. 상기 투명시트(13)은 상기 초점거리(d(f))에 대응되거나, 초점거리(d(f))보다 크거나 작은 두께를 갖을 수 있다.A transparent sheet 13 made of a transparent light transmissive material is provided under the lens sheet 11. The transparent sheet 13 may correspond to the focal length d (f) or may have a thickness larger or smaller than the focal length d (f).

상기 투명시트(13) 하면에는 특정 형상의 패턴(15b)이 인쇄될 수 있다.A pattern 15b having a specific shape may be pri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13.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은 상기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된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은 패턴의 실제크기보다 확대되어 관찰된다. 또는 그 관찰방향에 따라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pattern 15b may be pri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and may be printed o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The pattern 15b of the specific shape prin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observed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of the pattern. Or it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ation direction.

따라서,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을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하여, 입체감을 부여하며, 신비로운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attern 15b of the specific shape is pri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provide a mysterious visual effect. can do.

그리고, 상기 입체부재는 특정 형상의 패턴(15b) 이외에도 각종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 등이 더 인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attern 15b of the specific shape, the three-dimensional member may be further printed with various identification symbols, letters or numbers 15a.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는 실제로 관측될 수 있는 크기로 인쇄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 등은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식별력이 있는 표식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인쇄 되는 것이므로 상기 볼록렌즈(11l)에 의하여 확대되는 효과가 필요없다.The identifier, letter or number 15a may be printed in a size that can actually be observed. That is,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s or numbers 15a, etc. are not printe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but are printed to be used as a marker having a specific discriminating power, so that the effect of being enlarged by the convex lens 11l is not necessary. .

따라서,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는 상기 볼록렌즈(11l)에 의하여 확대되지 않고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가 아닌 높이에 인쇄되거나, 상기 볼록렌즈(11l)에 의한 상의 확대를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us, the identifier, letter or number 15a is printed at a height other tha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so that it can be observed without being enlarged by the convex lens 11l, A method of blocking the enlargement of the image by the convex lens 11l may be used.

도 4(b)는 입체부재(10)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는 상기 투명시트(13) 하면에 먼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인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As shown in Figure 4 (b), the identifier, letters or numbers (15a) may be first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13). This is to print at a position closer tha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따라서,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를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 상부에 인쇄되도록 하여, 상기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인쇄된 특정 형상의 패턴(15b)은 상기 볼록렌즈(11l)에 의하여 확대되어 입체감을 제공하며, 그 상부에 인쇄된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는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 위에 떠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 or number 15a is printed on the pattern 15b of the specific shape, so that the pattern of the specific shape printed o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 15b) is enlarged by the convex lens 11l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 or number 15a printed on the upper part can obtain a visual effect as if floating on the pattern 15b of the specific shape. have.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15b)은 다양한 모양을 갖을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이 특정방향으로 반복되는 모양을 갖을 수 있다.The specific shape pattern 15b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e same shape may have a shape that is repeated in a specific direction.

도 4(c)는 입체부재(1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4C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도 4(c)에 도시된 입체부재(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입체부재와 달리, 상기 렌즈시트(11) 상면에 투명 수지층(11p)가 특정 영역에 구비된다.Unlike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shown in FIG. 4B, the three-dimensional member 10 illustrated in FIG. 4C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resin layer 11p on a specific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sheet 11.

또한,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투 명시트(13) 하면에 인쇄되는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과 특정 형상의 패턴(15b) 모두가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동시에 인쇄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상기 투명시트(13) 하면에 인쇄되는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과 특정 형상의 패턴(15b) 모두가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의 초점거리(d(f))에 동시에 인쇄되면, 제조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c)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b), and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is pri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wo-spec 13. All of the patterns 15b of a specific shape have the difference that they are simultaneously printed on the focal length d (f) of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Both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and the pattern 15b having a specific shape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13 have a focal length d of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f) at the same time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투명 수지층(11p)을 상기 렌즈시트(11)의 특정 영역에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에 의한 렌즈효과(확대효과)를 상쇄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transparent resin layer 11p is provided in the specific region of the lens sheet 11 is to cancel the lens effect (magnification effect) caused by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즉, 입체감이 요구되지 않는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는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에 의하여 확대되지 않고 실제의 모양으로 관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 수지층(11p)를 구비한다.That is,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 or number 15a for which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not required is not enlarged by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so that the transparent resin layer 11p is observed in an actual shape. Equipped.

따라서,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 상부에 위치하는 렌즈시트(13) 상면에 투명 수지층(11p)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상기 렌즈시트(11)의 볼록렌즈(11l)에 의한 확대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ly, a method of additionally provid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11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sheet 13 positioned above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 or number 15a may be applied to the convex lens 11l of the lens sheet 11. It can give an enlargement effect.

따라서, 상기 투명 수지층(11p)을 선택적으로 상기 렌즈시트(11) 상부에 추가하여 필요한 부분에서는 렌즈효과를 제거하고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15a)를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Therefore, by selectively adding the transparent resin layer 11p on the lens sheet 11, the lens effect can be removed at the required portion,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s or numbers 15a can be clearly observ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1 사용자 입력부(200, 도 2 참조)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of a first user input unit 200 (refer to FIG. 2)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 구비되는 조명부를 구성하는 LED가 소등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5(b)는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 구비되는 조명부를 구성하는 LED가 점등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More specifically, Figure 5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D is turned off to configure the lighting uni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Figure 5 (b) is provid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The top view of the state which LED which comprises the lighting part turned on is shown.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의 상면은 상기 입체부재(21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다양한 입체효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상기 조명부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기호 또는 문자 등을 관찰할 수 없으며,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 표시된 특정 형상의 패턴만이 관찰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composed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Therefor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obtain various stereoscopic effects. As shown in FIG. 5 (a),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not observe the identification symbol or the character, and the specific shape display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when the lighting unit is not operated. Only the pattern of can be observed.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 하부에 구비되는 조명부가 작동되면, 상기 각각의 식별표시가 발광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5B, when the lighting unit provided under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s operated, the respective identification marks emit light.

따라서, 상기 조명부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표시하는 식별표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ing unit is operated, an identification mark for displaying the type of each user input may be displayed.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로 변환하는 터치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that detects a user's touch input and converts it into a touch signal.

이와 같은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단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자제품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not only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but may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상기 입체부재(21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직접 접촉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며, 광투과성 플라스틱 또는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i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it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or resin.

도 5에 도시된 입체부재(210)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로서 사용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의 시작, 종료, 스크 롤, 카메라 모드 전환 등과 같은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부(200)가 장착되는 전자제품의 용도와 위치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Since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shown in FIG. 5 is used as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5, a control signal such as a call start, end, scroll, camera mode switching, and the like is shown. For input,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loc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on which it is mounted.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입체부재(210)는 복수 개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의 시작과 종료를 위한 제어신호가 각각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may receiv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control signals for starting and ending a call may generate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positions of a portion where a touch input is received.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후술하는 회로기판(250,도 6참조)의 구획된 터치영역(253)에 따라 각각 별개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획선(255)은 실제로 눈에 보이는 선이 아니라 단지 각각의 터치영역(253)에 대응하는 입체부재(210)의 터치영역(253)을 구분하는 구획선으로 이해하면 된다. That is,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separate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partitioned touch area 253 of the circuit board 250 (see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artition line 255 shown in FIG. 5 may be understood as a partition line that separates the touch area 253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corresponding to each touch area 253, not a line actually visible.

또한, 도 5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입렵부(200)은 총 9개의 서로 다른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user wearing unit 200 illustrated in FIG. 5 may be configured to allow nine different touch inputs in total.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사용자 입력부(200)의 두 가지 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wo examples of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그 최상부에 상기 입체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는 투과필름(22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at the top thereof, and the transmissive film 220 may be provid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상기 투과필름(220)은 선택적으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광투과부(221)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251)이 작동되면, 보이지 않던 식별기호들이 발광된다.The transmission film 2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 221 to selectively transmit light. As shown in FIG. 5 (b), when the LED 251 is activated, invisible identifiers are emitted.

이와 같은 각각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식별기호가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과필름(220)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electively emit light corresponding to each user input, the transmissive film 220 may be provided.

상기 투과필름(220)의 식별기호(또는 광투과부(221))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은 빛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The region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or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221) of the transmissive film 220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that can not transmit light.

그리고, 상기 투과필름(220)의 식별기호(221)를 제외한 영역을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로 코팅하는 방법 이외에도 식별기호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투과필름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입체부재(210) 하면에 직접 코팅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coating a region except for the identification symbol 221 of the transmission film 220 with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the three-dimensional member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transmission film to selectively emit an identification symbol). 210) A method of directly coating the lower surface may also be used.

즉, 식별기호에 대응되는 부분, 광투과부(221)은 코팅물질로 코팅하지 않고, 그 이외의 영역은 코팅물질로 코팅하여,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방법이다. 후자의 방법은 사용자 입력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That i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221 is not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other areas are coated with a coating material, it is a method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The latter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user input.

상기 투과필름(220) 하부에 고무판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입체부재(210)와 상기 회로기판(250) 사이에 상기 LED(251)가 삽입 및 관통되는 개방구(241)가 복수 개 형성된 고무판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 rubber sheet 240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transparent film 220. That is, the rubber plate member 24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241 through which the LED 251 is inserted and penetrat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and the circuit board 250.

상기 고무판재(240)는 상기 LED(25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개방구(241)가 복수 개 형성되며,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rubber plate 2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241 in which the LED 251 is inserted and seated,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또한, 상기 고무판재(240)는 접착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판 재(240) 양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250)과 상기 상기 고무판재(240) 상부에 위치한 부재를 단단하게 접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ubber sheet 240 may b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When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rubber plate member 240,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member disposed on the rubber plate member 240 may be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고무판재(240)는 상기 LED(251)에서 발광된 빛이 상측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방구(241)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rubber plate 24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41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to the upper side.

상기 개방구(241)는 상기 회로기판(250)에 장착된 LED(251)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LED(251)의 상면만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opening 241 is accommodated by the LED 251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is inserted. Therefore, only the top surface of the LED 251 may be exposed to the top.

상기 고무판재(240)에 형성되는 개방구(241)는 상기 LED(25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LED(251)의 상면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241 formed in the rubber plate 240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ED 251. That i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size so that only the top surface of the LED 25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개방구(241)의 형상은 상기 회로기판(250)에 장착되는 LED(25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opening 24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D 251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상기 고무판재(240)는 LED(251)가 장착된 회로기판(250)과 상기 고무판재(240) 상부에 배치될 입체부재(210) 또는 투과필름(220) 사이의 유격 등을 제거하고, 상기 고무판재(240) 상부에 배치될 입체부재(210) 또는 투과필름(220)과 상기 회로기판(250)를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The rubber plate 240 removes the clearance between the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LED 251 is mounted and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or the transmissive film 220 to be disposed on the rubber plate 240. It serves to attach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or the transmissive film 220 and the circuit board 250 to be disposed on the rubber plate 240.

상기 회로기판(250)에 구비된 LED(251)는 상기 회로기판(250)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으며 돌출된다.The LED 251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5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protrudes from the circuit board 250.

따라서, 상기 고무판재(24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LED(251)로 인한 유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판재(2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rubber sheet 240 is not present, since the play caused by the LED 251 may occur,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ubber sheet 240 to remove it.

그리고, 상기 고무판재(240) 하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LED(251)이 장착된 회로기판(250)이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plurality of LEDs 251 is mounted may be provided below the rubber plate 240.

상기 회로기판(25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터치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터치센서(미도시)가 각각 장착된 터치영역(253)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터치영역(253)의 상면에 복수 개의 LED(251)이 장착된다. The circuit board 250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regions 253 each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not shown) for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and converting the user's touch input into a touch sign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region 253. A plurality of LEDs 251 is mounted.

상기 터치센서는 예를 들면 정전용량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일 수 있다. 정전용량 터치센서는 신체 또는 특정 물체가 접촉했을때 발생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동작한다. 터치할 면에 인체가 접촉할때 발생하는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치와 설정치간의 차이를 감지하여 최종 출력하게 된다. The touch sensor may be,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sensor. The capacitive touch sensor operates by sensing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when the body or a specific object comes in contact with the body. The final output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mall capacitance change and the set value generated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the surface to be touched.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터치센서라면 상기 정전용량 터치센서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If the touch sensor can detect a user's touch input and generate a touch signal, various sensors besides the capacitive touch sensor may be employ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영역(253)은 상기 입체부재(210)의 터치입력영역(212)에 대응하는 회로기판(250)의 구획된 영역이다. 각각의 터치영역(253)은 각각의 그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area 253 is a partitioned area of the circuit board 250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rea 212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Each touch area 253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touch input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회로기판(250)에 구비된 터치영역(253) 상면에 각각 LED(251)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LED(251)은 상기 터치영역(253)에서 터치입력이 수신되어 터치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LED(251)이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LED 251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area 253 of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LED 251 may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touch area 253 to generate a touch signal. In this case, the LED 251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터치영역(253) 상부에 장착된 LED(251)만이 발광되도록 상기 LED(251)를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터치영역(253) 상부에 장착된 LED(251) 이외의 LED도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LED(251)이 발광되는 패턴 또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LED 251 may be controlled to emit only the LED 251 mounted on the touch area 253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and the LED mounted on the touch area 253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 LEDs other than 251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together or sequentially. That is, the pattern or method of emitting the LED 251 may be variously modified.

그리고,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터치영역(253) 상부에 장착된 LED(251) 이외의 LED도 점등되는 경우, 상기 터치입력이 인가된 터치영역(253) 상부에 장착된 LED(251)이 먼저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터치영역에서 터치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LEDs other than the LED 251 mounted on the touch region 253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are also turned on, the LED 251 mounted on the touch region 253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first comes first. It is preferable to light up. This is for the user to easily determine that the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the specific touch area.

또한, 점등된 상기 LED이 소등되는 경우 LED의 불빛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ghted LED is turned off, the light of the LED can be controlled to decrease gradually.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입력부(200)는 확산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llustrated in FIG. 6B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member 230.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투과필름(220) 또는 상기 입체부재(210)과 상기 고무판재 사이에 확산부재(230)가 더 구비한다. 6 (b), the diffusion member 23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ransmissive film 220 or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and the rubber sheet.

상기 확산부재(230)는 복수 개의 확산부(231)과 상기 확산부(231)를 제외한 영역인 차단부(233)로 구성된다.The diffusion member 230 includes a plurality of diffusion parts 231 and a blocking part 233 which is an area excluding the diffusion part 231.

상기 확산부재(230)의 빛이 확산되는 부분, 즉 확산부(231)는 반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안료 등이 첨가된 ABS 수지 등이 사용되면, 상기 확산부재(230)를 투과하는 빛이 확산되어, 상기 투과필름(220)의 식별기호(221)로 균일한 밝기로 투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입체부재(210) 상부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00)를 관찰하는 경우 균일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portion of the diffusion member 230, that is, the diffusion portion 231 may be a plastic of translucent material or the like. When an ABS resin or the like, in which a pigment or the like is added, is used,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230 may be diffused and transmitted with uniform brightness by the identification symbol 221 of the transmission film 220. When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is observ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ember 210, a uniform lighting effect can be obtained.

상기 확산부재(230)는 상기 LED(251)에서 발광되는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켜, 상기 LED(251)의 크기와 무관하게 상기 식별기호(221)에서 발광되는 빛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iffusion member 230 smoothly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thereby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dentifier 221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LED 251. Can be.

상기 입체부재(210) 하면에 인쇄 또는 코팅되거나, 별도의 투과필름(220)에 인쇄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형상은 다양하며, 그 하부에 구비된 LED(251), 예를 들면 LED 소자의 크기는 그 문자 또는 기호의 형상이나 크기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는 위치 또는 크기가 아니므로, 상기 LED(251)의 발광시 각각의 입체부재(210)의 문자 또는 기호 등으로 구성된 식별기호(221)가 균일하게 발광되기 위해서, 상기 확산부재(230)가 필요하다. The shape of the letters or symbols printed or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or printed on a separate transmission film 220 is varied, the size of the LED 251, for example, the LED element provided below Since it is not a position or size that can accurately correspond to the shape or size of the letter or symbol, the identification symbol 221 consisting of the letter or symbol of each three-dimensional member 210 is uniform when the LED 251 emits light. In order to emit light, the diffusion member 230 is required.

하나의 식별기호(221)의 조명이 균일해지므로, 조명의 품질을 향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ince the illumination of one identifier 221 becomes uniform, it may serv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llumina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기 확산부재(230)는 상기 확산부(223)와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부(225)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225)는 각각의 LED에서 제공되는 빛간의 간섭을 차단하여, 선택적으로 식별기호를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ffusion member 230 illustrated in FIG. 5 includes the diffusion part 223 and a blocking part 225 that blocks the transmission of light. The blocking unit 225 may block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ight provided by each LED, so as to selectively emit the identifier.

이 경우, 상기 고무판재(240)는 상기 회로기판(250)과 상기 확산부재(23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유격을 제거하고, 상기 회로기판(250)과 상기 확산부재(230)를 부착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rubber plate 240 removes the gap that may exist between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diffusion member 230, and attaches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diffusion member 230. .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부재(230)는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확산부와 차단부가 선택적으로 빛을 차단하거나 투과시켜 터치영역(253) 각각에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LED(251)에서 발생된 빛이 서로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 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ffusion member 230 gently diffuses the l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diffusion and the blocking unit selectively block or transmit the light to generate the LED 251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touch regions 253. It can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intermittent light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상기 확산부(231)는 빛이 확산 또는 투과될 수 있는 영역이며, 상기 차단부(233)는 상기 확산부의 주변영역으로서 빛의 확산을 차단하는 부분이다. The diffusion part 231 is an area through which light can be diffused or transmitted, and the blocking part 233 is a part of the diffusion part that blocks light diffusion.

상기 회로기판(250) 상부에 구비된 LED(251)이 발광되는 경우, 상기 입체부재(210) 중 터치입력이 인가된 터치입력 영역의 상기 투과필름(220) 또는 입체부재(210) 등의 식별기호(221)만이 발광될 수 있다. When the LED 251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50 is emitted, identification of the transmissive film 220 or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etc. of the touch input area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Only the symbol 221 can emit light.

따라서, 특정 터치영역(253)에 장착된 LED(251)에서 발광된 빛이 다른 터치영역(253) 상부의 식별키호(221)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상기 확산부재(230)의 확산부(231) 사이에 형성된 차단부(233)가 된다. Therefore, preven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mounted on the specific touch region 253 from being supplied to the identification key 221 on the other touch region 253 is not limited to the diffusion of the diffusion member 230. It becomes the blocking part 233 formed between 231.

특정 터치입력영역(212)에 터치입력이 인가되었으나, 상기 LED(251)에서 발광하는 빛이 그 주변 상기 투과필름(220)의 식별기호(221)을 통해서 발광된다면, 정확한 터치입력이 인가되었음을 조명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없다. If a touch input is applied to a specific touch input area 212, bu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is emit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symbol 221 of the transmissive film 220, the correct touch input is applied. You cannot check through the function.

따라서, 상기 차단부(225)는 상기 LED(251)에서 발광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33)는 상기 확산부재(230)에에서 빛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차단물질(예를 들면 패인트)에 의하여 코팅된 부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blocking unit 225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The blocking unit 233 may be a portion coated by a blocking material (for example, a paint) to prevent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230.

물론, 확산부재(230)의 차단부를 빛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구성하는 방법 역시 적용이 가능하다. Of course, the method of configuring the blocking portion of the diffusion member 2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not transmit light is also applicabl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입력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6과 관련된 설명 중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터치영 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터치영역(253(1), 253(2), 253(3))은 각각의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입력부(200) 각각의 터치영역(253(1), 253(2), 253(3))에 독립된 터치센서가 장착되며, 각각 터치 제어부(700)에 연결되어 터치입력이 인가될 경우, 터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6,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The circuit boar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ouch regions, and the touch regions 253 (1), 253 (2), and 253 (3) may have respective touch sensors. That is, independent touch sensors are mounted on the touch areas 253 (1), 253 (2), and 253 (3) of each of the first user input units 200 shown in FIG. 6, and are connected to the touch controller 700, respectively. When a touch input is applied, a touch signal can be generated.

상기 터치 제어부(700)는 상기 LED(251)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LED 제어부(800)로 터치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LED 제어부(800)는 각각의 터치영역(253(1), 253(2), 253(3))에 장착된 LED(251)을 제어하게 된다.The touch control unit 700 transmits a touch signal to the LED control unit 800 that controls the lighting or turning off of the LED 251, and the LED control unit 800 includes the respective touch areas 253 (1) and 253 ( 2), LED 251 mounted on 253 (3) is controlled.

상기 회로기판(250)의 터치센서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LED 제어부(700)는 상기 LED(251)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250)의 터치센서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LED 제어부(700)는 상기 LED(251)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touch sensor of the circuit board 250 detects a touch input, the LED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lighting or turning off of the LED 251. For example, when the touch sensor of the circuit board 250 detects a touch input, the LED controller 700 may operate the LED 251.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터치 제어부(700)와 LED(251)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기 위한 LED 제어부(800)를 구분하여 설명되었으나, 하나의 제어부(180, 도 1참조)가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LED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ouch control unit 700 which receives a touch inpu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LED control unit 800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ED 251. In addition, one control unit 180 (refer to FIG. 1) may receive a touch input to control the LED on or off.

상기 터치 제어부(700)는 상기 회로기판(250)의 구획된 각각의 터치영역(253)에 장착된 터치센서(미도시)되어 특정 터치영역(253)에 인가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The touch controller 700 is a touch sensor (not shown) mounted on each of the divided touch regions 253 of the circuit board 250 to sense a touch signal applied to a specific touch region 253.

따라서, 상기 LED 제어부(800)는 상기 터치신호에 따라 해당 터치영역(253)에 장착된 LED(251)을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ED controller 800 may control the LED 251 mounted on the touch region 253 to be turned on or off in a predetermined manner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체부재(210) 하부에는 상기 투과필름(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LED(251)에서 발광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재(230)구 구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ve film 220 may be provid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210, and the diffusion member 230 may be provided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51.

상기 확산부(231)의 면적은 상기 식별기호(22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상기 차단부(233)는 상기 LED(251)에서 공급되는 빛이 다른 터치영역(253) 상부의 터치입력영역(212)의 투과홀(211)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An area of the diffusion part 231 may be a size that can cover the entirety of the identification symbol 221. The blocking unit 233 blocks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ED 251 from being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hole 211 of the touch input area 212 above the other touch area 253.

상기 확산부재(230)와 상기 LED(251)이 장착된 회로기판(250) 사이에는 상기 확산부재(230)와 상기 회로기판(250)을 부착하는 고무판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고무판재(240)는 상기 LED(251)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확산부재(230)의 확산부(223) 측으로 그 상면이 노출되도록 개방구(241)를 구비한다. A rubber plate 240 for attaching the diffusion member 230 and the circuit board 250 is provided between the diffusion member 230 and the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LED 251 is mounted. The rubber plate 240 includes an opening 241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LED 251 and to expose an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240 to the diffusion portion 223 of the diffusion member 230.

상기 개방구(241)가 구비된 고무판재(240)는  상기 LED(251)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LED(251)의 측면방향으로 LED(251)에서 공급되는 빛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LED(251)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유격을 제거시키거나 회로기판(250)과 확산부재(240)를 접착 또는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ubber plate 240 provided with the opening 241 prevents the light supplied from the LED 251 from counting toward the side of the LED 251 while the LED 251 is seated. It serves to remove the play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LED 251 or to bond or adhere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diffusion member 2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300)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사용자 입력부(200)과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입력부(300) 역시 입체부재(310)가 최상부에 구비된다. 다만, 상기 입체부재(310)을 구성하는 투명시트(미도시)에 패턴(315b)과 함께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315a)가 함께 인쇄된다는 차이점이 있다.Like the first user input unit 200,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also includes a three-dimensional member 310 at the top thereof.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an identification symbol, a letter or a number 315a is printed together with a pattern 315b on a transparent sheet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그리고, 도광필름을 통해 빛을 공급하는 LED가 점등되면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315a)는 화려함과 더불어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D for supplying light through the light guide film is turned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 or number 315a may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with the glamo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300)의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도 9(a)는 제2 사용자 입력부(300)의 분해된 상태를 그 상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며, 도 9(b)는 제2 사용자 입력부(300)의 분해된 상태를 그 하부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In more detail, FIG. 9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from above, and FIG. 9 (b) illustrates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from below. Observed perspective.

상기 제2 사용자 입력부(300)는 입체부재(310)와 도광필름(350) 및 돔스위치(373)와 전극부(377) 등이 구비된 회로기판(370) 등이 적층된 상태로 제공된다.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he light guide film 350, the dome switch 373, the circuit board 370 provided with the electrode unit 377, and the like are stacked.

상기 입체부재(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관련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ncludes a lens sheet in which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nd a transparent sheet which is printed on a lower surface of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and is provided below the lens shee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redundant with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 4.

상기 입체부재(310)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부에서 가압하는 경우, 그 하부에 구비된 돔스위치(373)는 가압되어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s made of a plastic resin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and because the thickness thereof is thin, when pressing from the upper side, the dome switch 373 provided at the lower side can be pressed to generate an input signal. have.

상기 입체부재(310)를 구성하는 투명시트 하면에는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315a) 및 특정 형상의 패턴(315b)이 인쇄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may be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symbol, letters or numbers (315a) and a pattern 315b of a specific shape.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315a) 및 특정 형상의 패턴(315b)가 인쇄된 상기 입체부재(310)과 관련된 설명 중 도 4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 한다. In the description relating to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n which the identification symbol, letters or numbers 315a and the specific shape pattern 315b are printed,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패드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이지만,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는 돔스위치(373)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가압입력을 감지한다. Although the user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S. 5 to 8 is a user input unit in the form of a touch pad, the user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 9 includes a dome switch 373, and detects a pressurization inpu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 입력부(300)의 회로기판(350)에 돔스위치(37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체부재(310)와 상기 회로기판(350) 사이에 상기 돔스위치(37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돌기(331)가 그 하면에 형성된 고무판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ome switch 373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350 of the user input unit 300, a plurality of the dome switches 37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373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and the circuit board 350. The two protrusions 331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sheet 3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즉, 상기 입체부재(310) 하부에는 상기 입체부재(310)의 특정 영역이 가압된 경우, 그 가압력으로 돔스위치(373)를 가압하는 돌기(331)가 복수 개 돌출된 고무판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a specific reg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s press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he rubber plate member 330, which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373 by the pressing force, I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고무판재(330)의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351)이 복수 개 형성된 도광필름이 상기 고무판재(33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광필름(350)의 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LED(도 8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guide film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51 through which protrusions of the rubber plate material 330 are formed is provided under the rubber plate material 330, and at least one or more LEDs a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film 350. (See FIG. 8) may be provided.

따라서, 상기 고무판재(330)에 형성된 돌기(331)는 도광필름(350)의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상기 돔스위치(373)를 가압한다.Therefore, the protrusion 331 formed on the rubber sheet 33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351 of the light guide film 350 to press the dome switch 373.

상기 고무판재(330) 하부에는 도광필름(350)(light guide film)이 구비된다. A light guide film 350 is provided under the rubber plate 330.

상기 도광필름(350)은 투명한 재질의 필름 형태로 제공되며, 그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일 수 있다. The light guide film 35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material may be polycarbonate () or polyurethane (polyurethane).

상기 입체부재(310)의 특정 영역을 가압하는, 회로기판(370)의 돔스위 치(373)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돌기(331)가 상기 도광필름(350)에 형성된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상기 돔스위치(373)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31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373 of the circuit board 370, which presses a specific reg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1 formed in the light guide film 350. As a result, the dome switch 373 may protrude to the side.

상기 도광필름(350)을 채용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LED(390, 도 8 참조)의 수를 크게 줄이고, 그 두께 역시 슬림화할 수 있다.만일, 상기 도광필름(350)의 관통홀(351)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입체부재(310)을 가압하여 발생되며, 상기 고무판재(330)의 돌기(331)를 매개로 상기 돔스위치(373)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감쇄될 것이며 조작감이 떨어지게 된다. By employing the light guide film 350, the number of LEDs 390 (refer to FIG. 8) provided to provide an illumination function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thickness thereof can also be reduced. If the hole 351 is not provided, it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373 via the protrusion 331 of the rubber plate 330 will be attenuated and feeling of operation Will fall.

그러므로, 조작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조명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채용된 도광필름(350)에 상기 돌기(331)가 관통하여 돔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돌기(3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51)을 형성한다.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operation feeling is reduced, the projection 331 so that the projection 331 penetrates through the light guide film 350 employed to provide an illumination function to press the dome switch. The through hole 35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상기 고무판재(330)는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rubber sheet 330 may be made of a soft rubber or the like.

상기 돌기(331)는 돌출높이는 입체부재(310), 도광필름(350) 및 회로기판(370)이 조립된 상태에서 입체부재(310)의 조작버튼(215)을 가압하는 경우 큰 힘이 소요되지 않아도 돔스위치(373)가 가압될 수 있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sion 331 does not require a large force when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215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n a state where the protrusion height is assembled with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he light guide film 350, and the circuit board 370. It is preferable that the dome switch 373 can be pressed even if it is not necessary.

상기 돌기(331)는 상기 입체부재(310) 하부에 위치하는 도광필름(350)의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돔스위치(373)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돌기(331)는 적어도 도광필름(350)의 두께 이상의 돌출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protrusion 331 must be able to selectively press the dome switch 373 through the through hole 351 of the light guide film 350 positioned below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he protrusion 331 is at least The light guide film 350 may be formed to have a protruding height or mor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필름(350)에 형성된 관통홀(351)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기(331)는 상기 관통홀(351) 중 폭이 넓은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기(331)의 단면 모양은 상기 관통홀(351)에 삽입될 수 있는 모양이어야 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rough hole 351 formed in the light guide film 35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the protrusion 331 is inserted into a wide portion of the through hole 351. Since it may b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331 should be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51.

예를 들어, 상기 돌기(331)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rusion 331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고무판재(330)의 돌기(331)는 도광필름(350)의 관통홀(351)과 회로기판(370)의 돔스위치(373) 및 전극부(377)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입체부재(310)의 가압에 의하여 돔스위치(373)와 전극부(377)의 접촉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The protrusion 331 of the rubber plate 33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351 of the light guide film 350 and the dome switch 373 and the electrode portion 377 of the circuit board 370.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dome switch 373 and the electrode portion 377 by the pressing of the 310.

상기 회로기판(370)은 전극부(377)가 복수 개 구비된 기판(375)와 상기 전극부(377)를 가압시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돔스위치(373)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부착필름(371)로 구성될 있다. 상기 돔스위치(373)가 구비된 부착필름(371)은 상기 전극부(377)가 구비된 기판(375)에 부착되어 하나의 회로기판(37O)이 구성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370 may include an adhesive film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ubstrate 375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377 and a dome switch 373 selectively contacting the electrode part 377 when pressed. 371). The attachment film 371 with the dome switch 373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375 having the electrode portion 377 to form one circuit board 37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제2 사용자 입력부(3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duplicat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hrough 9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300)는 각종 숫자와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이와 같은 숫자와 문자 또는 기호 등은 상기 입체부재(310)를 구성하는 투명시트의 하면에 특정 형태의 패턴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시트 하부에 인쇄된 특정 형상의 패턴은 상기 입체부재(310) 상면을 형성하는 렌즈시트에 의한 확대효과에 의하여 입체감을 제공되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various numbers, letters or symbols, such numbers, letters or symbols ar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t may be formed with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The pattern of a specific shape pri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sheet is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the enlargement effect by the lens shee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t can produce a variety of visual effects.

이와 같은 입체부재(310) 하부에는 돌기(331)를 구비하는 고무판재(330)가 구비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s provided with a rubber plate material 330 having a projection 331.

상기 고무판재(330) 하면에 돌출되는 돌기(331)는 회로기판(370)과 입체부재(310) 사이에 개재되어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도광필름(350)의 관통홀(351)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다. The protrusion 33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plate 3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1 of the light guide film 350 inter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370 and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to provide an illumination function. To protrude.

따라서, 입체부재(310)의 특정 영역을 가압하면 상기 돌기(331)는 상기 돔스위치(373)가 가압되고, 가압된 돔스위치(373)가 전극부(377)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pecific region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is pressed, the protrusion 331 presses the dome switch 373, and the pressurized dome switch 373 selectively contacts the electrode portion 377 to control the signal. Can be generated.

상기 도광필름(350)이 유연한 필름 재질일 수 있이므로, 돌기(331)의 돌출높이(t1)가 도광필름(350)의 두께(t2)보다 작아도 강한 힘으로 가압하면 돔스위치(373)가 가압될 수 있으나, 돌기(331)의 돌출높이(t1)를 도광필름의 두께(t2)보다 크도록 하면,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light guide film 350 may be a flexible film material, even if the protrusion height t1 of the protrusion 33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light guide film 350, the dome switch 373 may be pressurized with a strong force. However, if the protrusion height t1 of the protrusion 331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light guide film, the user's feeling of operation may be improved.

이와 같은 제2 사용자 입력부(300)는 상부에 입체부재(31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 등이 입체부재(310)의 렌즈시트의 초점거리에 인쇄되며, 입체감 있는 특정 형태의 패턴 위에 떠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조명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user input unit 300 includes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at the upper portion, an identification symbol, a letter, or a number is printed at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shee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310, and has a specific shape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You can get a visual effect that floats on the pattern, and lighting can be provided.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set forth below. Could be don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부재의 일예를 도시한다. 4 shows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사용자 입력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5 is a plan view of a first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사용자 입력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사용자 입력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8 is a plan view of a second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2 사용자 입력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user input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볼록렌즈가 격자형으로 배열된 렌즈시트 및 특정 형상의 패턴이 하면에 인쇄되며 상기 렌즈시트 하부에 구비되는 투명시트를 포함하는 입체부재 및 복수 개의 터치센서 또는 복수 개의 돔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입체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A three-dimensional member including a lens sheet in which convex lenses are arranged in a grid and a pattern of a specific shape is printed on a lower surface, and includes a transparent sheet provided below the lens shee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or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 user input unit including a circuit board provided below;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은 상기 렌즈시트의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specific shape pattern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inted on the focal length of the convex lens of the lens she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체부재의 투명시트 하면에 사용자 입력의 종류를 표시하는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더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i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heet of the three-dimensional member to identify the type of identification, letters or numbers indicating the type of user inpu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특정 형상의 패턴은 상기 식별기호, 문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후 인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attern of the specific shape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inted after the identification code, letters or numbers are prin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로기판에 터치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 상부에 LE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n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입체부재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LED가 삽입 및 관통되는 개방구가 복수 개 형성된 고무판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rubber plate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LED is inserted and penetrat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터치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터치영역은 각각의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circuit boar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ouch regions, wherein the touch regions are each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입체부재 및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복수 개 구비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diffusion member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the diffus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diffusion portions for diffusing light and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ligh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회로기판의 터치센서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n the touch sensor of the circuit board detects a touch inpu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회로기판에 돔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입체부재와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상기 돔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돌기가 그 하면에 형성된 고무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n the dome switch is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user in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board further comprises a rubber plat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고무판재의 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된 도광필름이 상기 고무판재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광필름의 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LE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light guide film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rotrusions of the rubber plate member pass is provided under the rubber plate member, and at least one LED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film.
KR1020090088189A 2009-09-17 2009-09-17 Mobile terminal KR2011003017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89A KR20110030178A (en) 2009-09-17 2009-09-17 Mobile terminal
US12/876,936 US20110065480A1 (en) 2009-09-17 2010-09-07 Mobile terminal
EP10009354.1A EP2302938A3 (en) 2009-09-17 2010-09-0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89A KR20110030178A (en) 2009-09-17 2009-09-17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78A true KR20110030178A (en) 2011-03-23

Family

ID=4393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89A KR20110030178A (en) 2009-09-17 2009-09-17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17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677A (en) * 2011-08-17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279402B1 (en) * 2011-10-21 2013-06-27 (주)코텍 Advertising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677A (en) * 2011-08-17 2013-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279402B1 (en) * 2011-10-21 2013-06-27 (주)코텍 Advertising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WO2013058593A3 (en) * 2011-10-21 2013-07-04 (주)코텍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having 3d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508B1 (en) Mobile terminal
US20110065480A1 (en) Mobile terminal
KR101545584B1 (en) Mobile terminal
KR10148539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35486B1 (en) Portable terminal
US8154521B2 (en) Mobile terminal
CN103379199B (en) Mobile terminal
KR20110131437A (en) Mobile terminal
KR20100027546A (en) Portable terminal
KR20130049092A (en) Portable terminal
KR101649626B1 (en) Mobile terminal
JP5571760B2 (en) Image modul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module
KR101654055B1 (en) Mobile terminal
KR10177145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KR101586307B1 (en) Touch 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10030178A (en) Mobile terminal
KR20130037121A (en) Mobile terminal
KR101674948B1 (en) Mobile terminal
KR20150016808A (en) Mobile terminal
KR101931942B1 (en) Mobile terminal
KR20140001701A (en) Mobile terminal
KR102023006B1 (en) Mobile terminal
KR102056375B1 (en) Mobile terminal
KR101984100B1 (en) Mobile terminal
KR101786514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