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42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42B1
KR101931942B1 KR1020120107709A KR20120107709A KR101931942B1 KR 101931942 B1 KR101931942 B1 KR 101931942B1 KR 1020120107709 A KR1020120107709 A KR 1020120107709A KR 20120107709 A KR20120107709 A KR 20120107709A KR 101931942 B1 KR101931942 B1 KR 10193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ffraction
guide layer
optical filt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0973A (en
Inventor
박진욱
강영택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42B1/en
Publication of KR2014004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Abstract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홈버튼의 차광부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이나 돌기가 형성된 광필터부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 cas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inside; A top button which is inserted in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includes a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does not transmit light and a light proj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arou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light guiding layer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obette and emitting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evenly; A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ght guide layer; An optical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guide layer and the top-bottom, for blocking light supplied to the light-shielding unit and supplying light to the light-transmitting unit; And a metal dome dispos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top button and elastically changing its shape when the top button is press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blocking part of the groove button is reflected and is emitted again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 to be uniformly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by using an optical filter portion having a diffraction hole or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portio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된 홈버튼 둘레로 사출되는 빛이 투광부를 통해 사출될 수 있도록 빛을 홈버튼의 둘레에 집중시켜 사출하는 구조를 부가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ed around a groove butto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is emitted by concentrating light around the groove button so that the light can be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The terminal can move And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면서 키패드나 각종 버튼이 생략되는 추세이다. 다만, 터치입력이 오작동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또는 사용상 편의를 위해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홈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the keypad and various buttons are omitted while the touch screen is being appli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groove button for inputting a signal by applying a physical pressure for convenience of use, in order to prevent a trouble such as a malfunction of the touch inpu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된 홈버튼 둘레로 사출되는 빛이 투광부를 통해 사출될 수 있도록 빛을 홈버튼의 둘레에 집중시켜 사출하는 구조를 부가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light emitted around a groove butto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is concentrated around a groove button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e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s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A top button which is inserted in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includes a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does not transmit light and a light proj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arou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light guiding layer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obette and emitting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evenly; A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ght guide layer; An optical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guide layer and the top-bottom, for blocking light supplied to the light-shielding unit and supplying light to the light-transmitting unit; And a metal dome dispos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tombstone and having a resilient shape when the tombstone is pressurized.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광가이드층을 향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filter unit may include a reflection plate facing the light guide lay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shielding unit.

상기 광가이드층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탑버튼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reflective layer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layer and reflecting light in the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filter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raction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s.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iffraction holes can be arranged densely as they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필름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m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상기 광가이드층 상면에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lay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s.

상기 돌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rotrusions can be densely arranged as they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돌기는 반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rotrusions may be hemispherical.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버튼의 차광부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이나 돌기가 형성된 광필터부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blocking portion of the groove button is reflected and e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filter portion having the diffraction hole or the protrusion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be uniformly injec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회절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절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필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돌기에 입사된 빛의 반사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me butt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tical filter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iffraction phenomenon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a diffraction hol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me butt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 optical filter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projection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100)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have. However,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100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ing 101, 102,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A varie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프론트 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홈버튼(131), 카메라(121), 음향출력부(152) 및 근접센서(141) 등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및 근접센서(141)와 같이 빛이 투과되어야 하는 위치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101)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 글래스를 배치한다. The front case 101 covers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unit 151 on the front surface. A home button 131, a camera 121, an acoustic output unit 152, and a proximity sensor 141 are arranged. A display unit 151;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case 101 at a position where light should be transmitted, such as the camera 121 and the proximity sensor 141, and a window glas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overing the opening is disposed.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는 큰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모두 커버할 수도 있고, 개구부 별로 별도의 투명한 윈도우 글래스(10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일감 있는 전면 디자인을 위해 일체형 윈도우 글래스(108)을 이용할 수 있다. The window glass 108 may cover the plurality of openings using a large size or may use a separate transparent window glass 108 for each ope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l window glass 108 can be used for a unified front design.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as well.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nclude a battery, a USIM card, a memory card, and the like which are detachable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rear case 102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103 for covering the surface thereof. When the rear cover 103 is removed,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is expo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when the rear cover 103 is coupled, only a side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may be exposed. When the size of the rear cover 103 is reduced, Some may also be exposed. And an opening 103 'for exposing the camera 121' or the sound output unit 152 'to the outside when the rear cover 103 cover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102.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101, 102, and 103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camera 121, the user input units 130/131 and 132,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cases 101 and 102.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홈버튼(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이드 버튼(132)과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A sound output unit 152 and a camera 121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a groove button 131 and a microphone 122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side button 132 and the interface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sensor 137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or are integrally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 The touch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unit 151 to form a layer structure when the touch sensor has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 / RTI >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부의 크기나 화질 등에 민감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에 배선이나 카메라 촬상소자(121)나 음향모듈(152)의 리시버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전자부품을 커버하는 베젤이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the users are sensitive to the size and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unit, and the wiring, the camera imaging element 121, the sound module 152, A bezel that covers electronic components us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 receiv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isposed.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면 명령이 입력하는 키(134)와 물리적인 압력가해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버튼(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1, 132, 133, 134)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input unit 130 includes a key 134 input by a command when a user touches the touch sensor, And may include buttons 131, 132, and 133 of an inputting method. The user input units 131, 132, 133, and 134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상기 버튼(131, 132, 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버튼(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사이드버튼(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리셋 버튼(133)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원을 끄고 켜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Contents input by the buttons 131, 132, and 133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home button 131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ide button 132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size adjustment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controller 133 may receive a command to turn the mobile terminal 100 on and of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13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버튼(131)은 탑버튼(210), 액추에이터(220), 광필터부(230), 광가이드층(240), 회로기판(250) 및 메탈돔(255) 등을 포함한다.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me button 131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groove button 131 includes a top button 210, an actuator 220, an optical filter 230, an optical guide layer 240, a circuit board 250, a metal dome 255, and the like .

탑버튼(210)은 상기 메탈돔(25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탈돔(255)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고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108)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표면에 노출되므로, 윈도우 글래스(108)와 같이 투명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The top bulb 210 is positioned above the metal dome 255 and covers the metal dome 255 so that the metal dome 255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is directly pressed by the user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med in the window glass 108. Since the window glass 108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he window glass 108 can be used.

본 발명의 탑버튼(210)은 둘레부분에 빛이 사출되는 투광부(T)를 포함하고, 가운데 부분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광부(B)를 포함한다. 상기 탑버튼(210)의 차광부(B)는 투명한 플라스틱 버튼(211)의 후면에 인쇄층(212)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top-bottom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ransmissive portion T through which light is emitted, and a middle portion thereof includes a light-shielding portion B so that light can not pass therethrough. The light blocking portion B of the top bar 21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print layer 212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stic button 211.

처음에는 외관에 드러나는 색상의 잉크로 인쇄하고 마지막에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어두운 색상의 잉크로 인쇄하여 차광부(B)를 형성할 수 있다. 차광부(B)의 둘레는 인쇄되지 않아 빛이 투과할 수 있으며, 또는 비전도 코팅기법(NCVM: Non-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빛이 은은한 빛으로 발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light shielding portion B can be formed by printing with an ink of a color that appears initially on the appearance and then printing with an ink of a dark color that can block light at the end. The periphery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B may not be printed and may transmit light, or it may be coated using non-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 (NCVM) so that the light is emitted as gentle light.

탑버튼(210)의 하단부는 윈도우 글래스(108)에 형성된 개구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탑버튼(210)의 하단에는 양 옆으로 연장되어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101, 102) 또는 내부 부품에 고정할 수 있는 버튼 베이스(2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lower ends of the topbelttons 210 can form step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s formed in the window glass 108 and exten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s of the topbelttons 210 to be fixed inside, 102 or a button base 213 which can be fixed to an internal part.

액추에이터(220)는 메탈돔(255)의 상면에 배치되어 탑버튼(210)이 눌릴때 메탈돔(255)의 돌출된 면이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메탈돔(255)의 돌출된 부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으며, 메탈돔(255)의 형상 변화에도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ctuator 22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dome 255 and presses the protruded surface of the metal dome 255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tombstone 210 is pressed. A material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etal dome 255 and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 can be used to smoothly contact the shape of the metal dome 255.

회로기판(2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탈돔(255)이 안착되어 메탈돔(255)의 형상이 변화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로기판(250)은 단단한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플렉서블한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The circuit board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dome 255 is seated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shape of the metal dome 255 changes. The circuit board 250 may use a hard material, but a flexible material may also be used.

광원(257)은 회로기판(250)에 장착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사출하며, 작은 크기에 밝은 빛을 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광원(257)에 램프를 복수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을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다른 빛이 사출되도록 제어하여 표시등(indicator)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257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a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50 and emits light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and can emit bright light with a small siz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lamps may be used for the light source 257 to output various combinations of color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 emit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used as an indicator.

광원(257)은 도면에서와 같이 탑버튼(210)의 양측에 한 쌍을 구비하거나 일측에만 장착할 수도 있다. 양측에 구비하는 경우에 보다 균일한 빛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원(257)은 광가이드층(240)을 향해 빛을 사출하며, 광가이드층(240)의 측면에서 빛을 공급하거나, 광가이드층(240) 하면에서 빛을 공급할 수도 있다. The light source 257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top-bottom 210, or may be mounted on only one side, as shown in the fig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uniform light can be supplied 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on both sides. The light source 257 may emit light toward the optical guide layer 240 and may supply light from the side of the optical guide layer 240 or may provide l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layer 240.

광가이드층(240)은 상기 광원(257)에서 공급되는 점광원(257)을 면광원(257)으로 사출되도록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며, 대표적인 예로 투명한 필름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형성된 광확산필름(Light Guid Film)이 이용된다. The light guide layer 240 serves to scatter light emitted from the point light source 257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257 to the surface light source 257. A typical example of the light guide layer 240 is a diffusion pattern for scattering light on a transparent film A formed light diffusion film (Light Guid Film) is used.

상기 확산패턴은 광원(257)으로부터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광원(257)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빛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적은 양의 빛을 많이 산란시켜야 하므로 확산패턴이 더 조밀하고 복잡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from the light source 257. That is, as the intensity of light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257 decreases, a small amount of light must be scattered much, so that the diffusion pattern can be formed more densely and complicatedly.

상기 광가이드층(240)은 광원(257)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광원(257)이 실장되는 회로기판(250)에 메탈돔(255)을 커버하며 적층된다. 이때, 광원(257)은 광가이드층(240)의 배면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층의(240) 측면에 배치되어 광가이드층(240)에 빛을 공급한다. Since the light guide layer 2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257, the light guide layer 240 is stacked on the circuit board 250 on which the light source 257 is mounted to cover the metal dome 255.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257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layer 240 or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layer 240, as shown in FIG. 2, to supply light to the light guide layer 240.

광필터부(230)는 상기 광가이드층(240)과 상기 탑버튼(2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B)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T)로 빛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ght filter unit 23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guide layer 240 and the top button 210 and blocks light supplied to the light blocking unit B and supplies light to the light transmitting unit T .

차광부(B)로 공급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에 차광부(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사판(235)을 형성하여 광가이드층(240)에서 차광부(B) 방향으로 사출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반사판(235)은 도면상으로는 광필터부(2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광필터부(230)와 광가이드층(240)과 사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A reflection plate 23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ielding portion B so as to shield light supplied to the shielding portion B and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guiding layer 240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B . The reflection plate 235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tical filter unit 230 in the drawing but may be formed between the optical filter unit 230 and the optical guide layer 240.

반사된 빛은 다시 투광부(T)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차광부(B) 방향으로 사출되는 빛은 차광부(B)의 인쇄층에 의해 차단되어 버리므로 에너지적으로 낭비가 된다. 이렇게 낭비가 되는 빛을 광필터부(230)의 반사판(235)을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The reflected light can be supplie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T). That is, light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B is blocked by the print layer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B, which is waste of energy. This waste of light can be blocked by using the reflection plate 235 of the optical filter unit 230.

투광부(T)로 빛을 공급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T)에 대응하는 부분에 회절홀(232)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절현상이란 좁은 공간을 통과한 파동은 도 4와 같이 확산되는 원리로서, 회절홀(232) 즉 좁은 공간을 통과하는 빛은 회절현상에 의해 빛이 확산된다. 회절홀(232)을 통해서만 빛이 통과되면, 빛이 점광원처럼 보일 수 있으나, 회절현상을 통해 빛이 확산되어 투광부(T)에 균일하게 빛이 공급될 수 있다. In order to supply light to the transparent portion T, a diffraction hole 232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T as shown in FIGS. The diffraction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wave that has passed through a narrow space is diffused as shown in FIG. 4.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raction hole 232, that is, a narrow space is diffused by diffraction. When light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diffraction hole 232, light can be seen as a point light source, but light can be diffused through the diffraction phenomenon to uniformly supply light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 [

이때, 광원이 위치한 부분의 빛의 세기는 더 세고 멀리 떨어진 위치는 빛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광원으로 부터 먼 부분에 빛의 확산효과를 더 크게 할 필요가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tensity of the light at the por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is higher and the intensity of light at the far away position is weak,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ffusion effect of the light far from the light source.

광원이 위치한 부분의 회절홀(232)의 갯수를 더 적게 형성하고 광원으로 부터 멀어질 수록 회절홀(232)을 조밀하게 형성하면, 투광부(T) 전체적으로 균일한 세기의 빛이 공급될 수 있다. If the number of the diffraction holes 232 in the por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is made smaller and the diffraction hole 232 is formed more densely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s increased, the light of uniform intensity can be supplied throughout the transparent portion T .

또한 회절현상은 회절홀(232)의 크기가 작을 수록 더 크게 나타나므로, 광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회절홀(232)의 크기가 가까운 곳의 회절홀(232)보다 작게하면, 이격된 위치에서 빛의 확산 효과가 크기 때문에 약한 빛으로도 홈버튼 전체적으로 균일한 세기의 빛이 사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ffraction phenomenon appears larger as the size of the diffraction hole 232 is smaller, when the size of the diffraction hole 232 at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is smaller than the diffraction hole 232 near the light source, The light of uniform intensity can be emitted throughout the groove button even with a weak ligh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홈버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의 광필터부(23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유사하나, 광필터부(230)에 차이가 있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me butt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tical filter unit 230 of FIG. The other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optical filter unit 230 is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의 광필터부(230)는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기(2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절돌기(234)는 상술한 반사판(235)을 통해 반사된 빛이 입사되면 상기 회절돌기(234)를 중심으로 빛이 확산되어 반사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참조)The optical filter 230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4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s T. [ The diffraction protrusion 234 has an effect of diffusing and reflecting light around the diffraction protrusion 234 when the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on plate 235 is incident. (See Fig. 7)

차광부(B)로 입사된 빛이 반사판(235)에서 반사되고 다시 광필터부(230)의 회절돌기(234)에 입사되면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빛이 산란되어 투광부(T) 측에 빛이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필름에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돌기(234)가 형성되고 차광부(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반사판(235)이 형성된다. When th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B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235 and is again incident on the diffraction projection 234 of the optical filter portion 230, light is scatter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 T) side is supplied with light. Referring to FIG. 6, a protrusion 234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T on the transparent film, and a reflection plate 235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shielding portion B.

회절돌기(234)는 빛이 보다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 반구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절홀(232)을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 Diffraction projection 234 may be hemispherical in order to allow the light to diffuse more evenl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above-described diffraction holes 232 togeth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버튼의 차광부(B)로 사출되는 빛은 반사시켜 투광부(T)를 통해 다시 사출되도록 하며, 투광부(T)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절홀(232)이나 회절돌기(234)가 형성된 광필터부(230)를 이용하여 빛이 투광부(T)를 통해 균일하게 사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ed t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B of the groove button is reflected and emitted again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 The light is emitted uniformly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T by using the optical filter portion 230 having the diffraction hole 232 and the diffraction protrusion 234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is transmitt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01, 102, 108: 케이스
151: 디스플에이부 131: 홈버튼
210: 탑버튼 211: 플라스틱 버튼
212: 인쇄층 213: 버튼 베이스
220: 액추에이터 230: 광필터부
231: 광필터층 232: 회절홀
233: 투명필름 234: 돌기
235: 반사판 240: 광가이드층
250: 회로기판 255: 메탈돔
100: mobile terminal 101, 102, 108: case
151: Display 131: Home button
210: the top button 211: the plastic button
212: print layer 213: button base
220: actuator 230: optical filter unit
231: Optical filter layer 232: Diffraction hole
233: Transparent film 234: Projection
235: reflector 240: light guide layer
250: circuit board 255: metal dome

Claims (9)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삽입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와 상기 차광부의 둘레에 형성된 투광부를 포함하는 탑버튼;
상기 탑버튼의 배면에 위치하여 입사된 빛을 전면으로 고르게 사출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
상기 광가이드층과 상기 탑버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광부로 공급되는 빛은 차단하고 상기 투광부로 빛을 공급하는 광필터부; 및
상기 탑버튼의 배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탑버튼이 가압되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화하는 메탈돔을 포함하고,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회절홀이 형성된 필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 cas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inside;
A top button which is inserted into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includes a light shielding portion which does not transmit light and a light projecting portion which is formed arou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light guiding layer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obette and emitting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evenly;
A light source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ght guide layer;
An optical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guide layer and the top-bottom, for blocking light supplied to the light-shielding unit and supplying light to the light-transmitting unit; And
And a metal dome disposed toward the back surface of the tombstone and having a resilient shape when the tombstone is pressed,
The optical filter unit
And a film having a plurality of diffraction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차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광가이드층을 향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lter unit
And a reflective plate facing the light guide lay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shield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홀은 상기 반사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iffraction hol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flec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ffraction hole is arranged densely as the diffraction hole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홀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수록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raction hole is smaller in size as it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부는
상기 광가이드층 상면에 상기 투광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lter unit
And a plurality of diffraction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lay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돌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이격될 수록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wherein the diffraction protrusions are densely arranged as they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sou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돌기는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ffracting projection is hemispherical.
KR1020120107709A 2012-09-27 2012-09-27 Mobile terminal KR101931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en) 2012-09-27 2012-09-27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en) 2012-09-27 2012-09-27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73A KR20140040973A (en) 2014-04-04
KR101931942B1 true KR101931942B1 (en) 2018-12-24

Family

ID=5065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09A KR101931942B1 (en) 2012-09-27 2012-09-27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36A (en) 2019-09-10 2021-03-19 민인걸 A can of beer having a air h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154A (en) *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 source device
JP2009163897A (en) * 2007-12-28 2009-07-23 Shin Etsu Polymer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672A (en) * 2003-06-19 2005-01-13 Omron Corp Pushbutton switch
JP4654654B2 (en) * 2004-10-15 2011-03-23 凸版印刷株式会社 Lighting equipment
KR101028074B1 (en) * 2009-02-23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10131437A (en) * 2010-05-31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154A (en) * 2005-09-29 2007-04-12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 source device
JP2009163897A (en) * 2007-12-28 2009-07-23 Shin Etsu Polymer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73A (en)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KR100639732B1 (en) Touch type butt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14899A (en) Proximity Sensor and Camera Module with the Proximity Sensor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Module
KR101909602B1 (en) Mobile terminal
US9182842B2 (en) Mobile terminal
KR101799460B1 (en) Electronic device
JP2007027115A (en) Keypad lighting device for portable remote terminal
KR101606063B1 (en) Portable terminal
US10007381B2 (en) Mobile terminal
KR20110131437A (en) Mobile terminal
KR20140134163A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3143771A (en) Image module, mobile terminal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module
KR101939293B1 (en) Mobile terminal
KR20100115172A (en) Mobile terminal
KR20140040974A (en) Mobile terminal
KR20140062225A (en) Mobile terminal
KR2012002396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KR20130100667A (en)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module included therein
KR101931942B1 (en) Mobile terminal
KR20100050201A (en) Touch 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79910A (en) Backlight unit and button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126453A (en) Ke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2029240B1 (en) Mobile terminal
KR101392916B1 (en) Portable terminal
CN217820950U (en) Light guide module, display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