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060A - 수술용 봉합사 - Google Patents

수술용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060A
KR20110030060A KR1020090087998A KR20090087998A KR20110030060A KR 20110030060 A KR20110030060 A KR 20110030060A KR 1020090087998 A KR1020090087998 A KR 1020090087998A KR 20090087998 A KR20090087998 A KR 20090087998A KR 20110030060 A KR20110030060 A KR 2011003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line
slip
outer line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179B1 (ko
Inventor
유원식
Original Assignee
유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식 filed Critical 유원식
Priority to KR102009008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79B1/ko
Priority to PCT/KR2010/005421 priority patent/WO2011034286A2/ko
Publication of KR2011003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1Sutur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람 또는 동물의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수술용 봉합사에 있어서, 심선(100) 및 상기 심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심선(100)에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의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되는 밀착부(210),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미끄럼부(220)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합사, 미늘, 수술용 실, 봉합수술

Description

수술용 봉합사 {SUTURE FOR SURGERY}
본 발명은 수술용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선과 상기 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심선에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을 포함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 있어서 상처 및 수술 절개부의 봉합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수술 봉합사를 사용하여 봉합을 하고 있으며, 바늘과 봉합사가 일체화된 바늘부착 봉합사가 수술용 봉합사로 일반화 되어있다.
전형적으로, 바늘부착 봉합사는 바늘의 후방 단부에 봉합사가 부착되고 바늘은 조직을 관통하여 절개된 부위를 접합시키는 하나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도록 당겨지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절개된 조직이 함께 당겨져 유지되도록 연속하여 매듭을 형성하여 묶이게 된다.
수술용 봉합사는 제조 방법 및 형상에 따라, 한가닥의 단섬유(Monofilament) 봉합사와 여러가닥으로 형성된 꼬인 봉합사(Multifilament)로 나뉠 수 있으며, 단섬유 봉합사의 경우 합성수지재를 성형하여 길게 뽑아내는 방식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어서 봉합되는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봉합시간을 단 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섬유 봉합사를 사용하여 봉합을 하는 경우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하여 봉합하려는 조직을 봉합사가 관통하더라도 봉합사를 관통방향으로 잡아당겨 팽팽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다시 봉합사가 관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여 봉합 부위가 벌어지므로 봉합사를 잡아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봉합사의 매듭을 묶어야한다.
또한, 봉합사는 모두 적소에서 봉합사가 고정되도록 묶이는 하나 이상의 매듭이 요구되고 봉합사의 매듭을 묶는 것은 숙달된 기술을 요하는 것으로 수술 과정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차지하게 될 뿐더러 복강경 수술등 일부 수술의 경우 매듭을 형성하는 자체가 매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매끄러운 단섬유 봉합사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봉합하려는 조직 안에서 단섬유 봉합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늘(Barb)을 형성하여 바늘이 삽입되는 방향으로는 매끄러움을 유지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잘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쉽게 봉합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931,85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단섬유 봉합사에 미늘이 형성된 수술용 봉합사는 눈썹이나 주름 성형 수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형 수술에 사용되어 일정 방향으로 당기면서 봉합부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만, 상기 미늘형 봉합사의 경우 단섬유에 미늘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복잡하고, 일정 굵기 이상의 봉합사가 되어야 미늘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외과적 수술에 사용하는 가느다란 봉합사에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꼬인 봉합사의 경우, 단섬유 봉합사에 비해 표면이 거칠어 봉합 수술시 조직을 관통한 후 후퇴하려는 성질이 비교적 적으나, 미늘형 봉합사에 비해서 봉합사의 후퇴를 방지하는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매듭을 묶기 힘든 수술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봉합 수술을 하기에는 미흡한 문제가 있다.
또한, 꼬인 봉합사는 봉합사가 관통하는 방향으로도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단섬유 봉합사에 비해 조직의 손상이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합 수술시 봉합사가 조직을 관통하고 관통한 반대방향으로 쉽게 후퇴하지 않아 봉합사의 매듭 묶음이 편리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용 봉합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사람 또는 동물의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수술용 봉합사에 있어서, 심선(100) 및 상기 심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심선(100)에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10),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미끄럼부(220)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220)에는 미끄럼부(220)의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코팅층(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선(100)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함께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상기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은 상 기 심선을 따라 상호 번갈아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심선에 미끄럼 방지용 외선이 권선되어 봉합사가 봉합하려는 조직을 관통한 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잘 미끄러지지 않아 수술시 봉합사의 매듭을 쉽게 묶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미늘형 봉합사와 달리 굵기가 가느다란 봉합사에 봉합사의 후퇴를 억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미끄럼 방지용 외선을 권선하는 방법으로 봉합사의 제조가 비교적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외선의 미끄럼부에는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봉합사가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는 봉합되는 조직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나아가, 미끄럼 방지용 외선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을 함께 권선하는 경우 각각 권선되는 비율을 조절하여 봉합사의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사람 또는 동물의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수술용 봉합사에 있어서 심선(100) 및 상 기 심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심선(100)에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10),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미끄럼부(220)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선(100)은 모노 필라멘트의 단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적절한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범위에서 여러 형태의 단섬유 또는 꼬임 형태의 멀티 필라멘트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100)의 둘레를 코일 형태로 촘촘하게 권선되어 봉합사는 전체적으로 기타줄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면,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100)에 권선되어 봉합사 전체가 한쪽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심선의 외면에 밀착되게 부착되는 밀착부(210),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미끄럼부(220)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과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표면의 형상이 달라지며, 조직을 관통할 때 미끄럼부(220) 와 주로 접촉하여 매끄럽게 통과하는 순방향과 후퇴방지부(230)가 접촉하여 비교적 관통이 매끄럽지 않은 역방향을 갖는다.
도 4의 (a) 내지 (d)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은 쐐기형, 삼각형 등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4의 (a)와 같은 직각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로서 직각 삼각형의 밑면은 상기 밀착부(210)가 되고 직각 삼각형의 빗면은 상기 미끄럼부(220)로 되며, 직각 삼각형의 수직면은 상기 후퇴방지부(230)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20)은 상기 심선(100)의 둘레를 감싸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표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20)의 단면 형상은 수술용 봉합사의 표면의 거칠기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미끄럼부(220)가 상기 심선(100)에 밀착하는 밀착부(210)와 이루는 각도가 낮아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이 쐐기형태가 되면, 봉합사가 관통할때 좀 더 매끄렵게 관통이 되고 후퇴방지부(230)의 높이가 낮아져서 봉합사의 후퇴를 억제하는 기능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부(220)의 기울기와 상기 후퇴방지부(230)의 돌출 높이는 봉합사가 사용되는 수술 부위 또는 수술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봉합사의 후퇴를 억제하는 정도가 다양한 여러가지 수술용 봉합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은 상기 밀착부(210), 미끄럼부(220) 및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하는 일정한 형태로 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재질은 일정한 단면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재질로 될 수 있으며, 실크와 같은 섬유재도 일정한 거칠기를 가진다면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가 봉합되는 조직내에서 순방향으로 더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으려면 봉합사가 관통할 때 조직과 가장 많이 접촉하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미끄럼부(220)의 표면이 매끄럽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부(220)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도록 코팅재가 도포되어 유지되는 코팅층(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재는 종래의 대표적인 흡수성 수술용 봉합사인 Polyglactin 910에 적용되는 Polyglactin 370(glycolide 30%, lactide 70% 와 calcium stearate)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240)을 형성하는 코팅재는 Polyglactin 370 뿐만 아니라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소재에 따라 봉합사에 도포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Polybutylate나 실리콘 등 기타 여러가지 코팅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40)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미끄럼부(220)에만 형성되고 밀착부(210) 및 후퇴방지부(230)에는 코팅층(240)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220)에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코팅층(240)을 형성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후퇴방지부(230)에는 표면을 거칠게 하는 코팅층을 형성시켜 봉합사의 후퇴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심선(100)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함께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함께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은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과 달리 미끄럼 방지 기능을 하는 미끄럼부(220) 및 후퇴방지부(230)가 존재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은 상기 심선(100)의 주위에 권선 되더라도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같이 봉합사의 역방향으로 후퇴방지부(230)가 형성되는 것과 같은 기능이 없으므로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과 함께 권선되면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으로만 심선(100)의 주위를 권선한 것에 비해 역방향으로 봉합사가 후퇴하는 기능이 약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함께 권선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은 상호 번갈아 가면서 일정 비율로 권선 되어 봉합사의 전 구간에 일정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심선(100)에 권선되는 빈도는 사용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미끄럼 조절용 외 선(300)의 권선 빈도가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권선 비율보다 높을수록 봉합사의 후퇴를 방지하는 기능은 약해지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2회 권선될 때 1회 권선되어, 각각 번갈아 권선되는 도 6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후퇴방지 기능이 약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심선(100)을 중심으로 상기 심선(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밀착부(210)가 심선(100)의 주위에 밀착되면서 나선형으로 감는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심선(100)의 일단과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일단을 고정하고 심선(100)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을 심선(100)에 감으려는 타단방향으로 심선(100)과 90도 이하의 각을 이루도록 잡아당긴 상태에서 심선(100)을 회전시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이 심선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감기는 방법으로 수술용 봉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함께 권선되는 경우에도 도면과 같이 심선(100)과 일단이 결합되고 심선(100)을 회전시켜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함께 교번하여 권선이 되는 방법으 로 제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술용 봉합사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기타 공지된 각종 섬유를 이용한 섬유사 제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과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표면의 거칠기가 달라 순방향과 역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봉합 수술에 있어서 수술용 바늘(400)은 수술용 봉합사가 순방향을 가지고 전진하는 방향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늘은 봉합하려는 조직을 뚫고 나가게 되며 바늘과 결합된 봉합사가 바늘을 따라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은 매끄러운 순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일단 봉합 조직을 통과한 봉합사는 관통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역방향을 가지게 되므로 조직을 관통한 봉합사는 쉽게 후퇴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므로 봉합 수술시 매듭을 묶기가 수월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단면은 여러 형상을 가지므로 형상에 따라 심선에서 돌출되는 후퇴방지부(230)의 돌출정도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수술용 봉합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술 종류 및 봉합 수술이 시술되는 조직의 성질에 따라 적합한 수술용 봉합사를 선택하여 최적의 봉합 수술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심선(100)에 함께 권선 되는 경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의 권선 빈도에 따라 수술용 봉합사의 매끄러움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수술용 봉 합사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미끄럼 방지용 외선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미끄럼 방지용 외선의 미끄럼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봉합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심선 200; 미끄럼 방지용 외선
210; 밀착부 220; 미끄럼부
230; 후퇴방지부 240; 코팅층
300; 미끄럼 조절용 외선 400; 수술용 바늘

Claims (4)

  1. 사람 또는 동물의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수술용 봉합사에 있어서,
    심선(100); 및
    상기 심선(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상기 심선(100)에 고정되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은,
    상기 심선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10);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미끄럼부(220); 및
    상기 봉합사가 상기 조직을 관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퇴방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220)에는 미끄럼부(220)의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코팅층(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100)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함께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용 외선(200)과 상기 미끄럼 조절용 외선(300)은 상기 심선을 따라 상호 번갈아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봉합사.
KR1020090087998A 2009-09-17 2009-09-17 수술용 봉합사 KR101043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98A KR101043179B1 (ko) 2009-09-17 2009-09-17 수술용 봉합사
PCT/KR2010/005421 WO2011034286A2 (ko) 2009-09-17 2010-08-17 수술용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98A KR101043179B1 (ko) 2009-09-17 2009-09-17 수술용 봉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060A true KR20110030060A (ko) 2011-03-23
KR101043179B1 KR101043179B1 (ko) 2011-06-20

Family

ID=4375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998A KR101043179B1 (ko) 2009-09-17 2009-09-17 수술용 봉합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3179B1 (ko)
WO (1) WO201103428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68A1 (ko) * 2012-10-16 2014-04-24 Park Min Jae 생체 삽입용 부재의 표면 가공 장치와 방법,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KR101465946B1 (ko) * 2012-10-18 2014-11-26 (주)에스디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할 수 있는 삽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15B1 (ko) 2011-08-26 2013-08-05 박형배 스마트앵커
KR102092179B1 (ko) 2017-04-11 2020-03-23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N112672698A (zh) * 2018-09-17 2021-04-16 实验室和人们有限公司 用于埋线疗法的线及包括其的用于埋线疗法的针具
CN111700708A (zh) * 2020-06-29 2020-09-25 杭州爱普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双排凹槽锯齿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72Y2 (ko) 1988-03-14 1992-07-27
US5269809A (en) 1990-07-02 1993-12-14 American Cyanamid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use with a slotted suture anchor
US8100940B2 (en) * 2002-09-30 2012-01-24 Quill Medical, Inc.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ITGE20030007A1 (it) 2003-01-27 2004-07-28 Sergio Capurro Filo elastico rivestito per chirurgia
US7329271B2 (en) 2003-12-18 2008-02-12 Ethicon, Inc. High strength suture with absorbable co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68A1 (ko) * 2012-10-16 2014-04-24 Park Min Jae 생체 삽입용 부재의 표면 가공 장치와 방법, 생체 삽입용 부재 및 이를 생체 내에 주입하는 주입 기구
KR101465946B1 (ko) * 2012-10-18 2014-11-26 (주)에스디이 생체 삽입용 부재를 생체 내에 주입할 수 있는 삽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286A2 (ko) 2011-03-24
KR101043179B1 (ko) 2011-06-20
WO2011034286A3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208B2 (ja) 結んだ縫合糸のエンドエフェクタ
EP2020209B1 (en) Surgical suture material
JP5694328B2 (ja) 綿撒糸ストッパを有する有棘縫合糸とそのための方法
KR101043179B1 (ko) 수술용 봉합사
AU2007237207B2 (en) Knotless wound closure device
US11098422B2 (en) Method for forming a barbed suture and the barbed suture thus obtained
US20130079815A1 (en) Interlocking Sutures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AU20102124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nd effector
US20190175170A1 (en) Knotless closure suture and technique
CN206745401U (zh) 一种手术缝合线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2066551B1 (ko) 다중 엔드 루프를 구비한 봉합사
US20130197572A1 (en) Wound Closure Device
KR20130069172A (ko) 수술용 봉합사
US9107660B2 (en) Wound clos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