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025A -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 Google Patents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025A
KR20110030025A KR1020090087951A KR20090087951A KR20110030025A KR 20110030025 A KR20110030025 A KR 20110030025A KR 1020090087951 A KR1020090087951 A KR 1020090087951A KR 20090087951 A KR20090087951 A KR 20090087951A KR 20110030025 A KR20110030025 A KR 2011003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andle
driven
frame
mai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58508B1 (en
Inventor
이기두
Original Assignee
이기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두 filed Critical 이기두
Priority to KR102009008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08B1/en
Publication of KR2011003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8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or elliptically-shaped driving or driven wheel; with expansible driving or driven wheel
    • B62M9/085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or elliptically-shaped driving or driven wheel; with expansible driving or driven wheel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driving or driven wheel

Abstract

PURPOSE: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is provided to be folded using multi-joints to be conveniently transferred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CONSTITUTION: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comprises a frame(10), a saddle(30), a handle bar(40), a driving member(50), and a driven member(70). The frame comprises top links(14,24), bottom links(16,26), and a forward support(52). The top link and bottom links are connected to have the motion in joints by inserting a slider(22) in a main bar(12). The forward support is installed in the joint part of the bottom link. The saddle is installed in the joint part of the top link of the frame. The steering wheel comprises a steering wheel and a brake steering wheel and inserts a stopper in the leading end of the main bar. The driving member upward supports the drive wheel on the forward support of the frame. The driving member concentrically supports a driven wheel(66) and a front-wheel(65). The driving member transfers the pedaling to the front-wheel force through the drive wheel and driven wheel. The driven member inserts a rear supporting stand(72) and steering stick(76) in the rear side of the main bar to rotate and steel .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본 발명은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관절에 의하여 최소로 접을 수 있어 휴대하고 이동이 편리하고 보관 시 장소 부담을 덜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olding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folding bicycle that can be folded to a minimum by the articulated joints, which is portable, convenient to move, and less burdensome in storage.

근래 들어 주5일제 근무의 확대와 웰빙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여가활동 선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정부의 정책적 드라이브에 힘입어 자전거 레저 인구의 폭발적 증가가 지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자전거 운동전에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거나 운동 후에 보관함에 있어 불편이 수반되는 점이 수요 증가의 장애요인으로 될 수 있다.Recently, interest in the use of leisure activities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ive-day workweek and increased interest in well-being. Especially, the explosive growth of the bicycle leisure popul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drive. However, inconvenience in moving to a desired place before or during a bike exercise or storing it after a workout may be an obstacle to an increase in demand.

한국 공고특허 제1995-0009742호의 "절첩식 자전거"는 『전, 후방 프레임(1)(2)의 상하지지부재(5a)(5b) 사이에 삽입된 원형의 회동구(7)를 고정축(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자전거를 용이하게 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Foldable bicycle" of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5-009009 is "fixed shaft (circle 7)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members (5a, 5b)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1) and (2) fixed shaft ( 8), the bicycle can be easily folded in half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around the center.

한국 공개특허 제1985-0004427호의 "접철식 자전거"의 경우에 『조정간 조립체와 안장간 조립체를 상기 프레임의 어느 한 부분과 인접되게 절첩하여 실질적으 로 상기 프레임과 평면상태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folding bicycl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85-0004427, "with a means for folding the inter-manipulator assembly and the saddle-assembly assembly adjacent to any part of the frame to be substantially flat with the frame. '' Initiate.

한국 등록특허 제0646019호의 "접철식 자전거"에 의하면 『앞 바퀴 조립체는 상기 전방 휠 포크(4)를 180도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하부 튜브(2)를 향하여 접철함으로써 접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앞 바퀴(3)를 상기 틈새(2')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외에 핸들과 페달을 접을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한다. According to the "folding bicycle" of Korean Patent No. 0646019, "the front wheel assembly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front wheel fork 4 by 180 degrees and folding toward the lower tube 2, whereby the front wheel (3) to partially insert into the gap 2 '. In addition, the handle and pedal are shown as foldable.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접는 부분을 많이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접는 효율성에 한계가 있어서 자동차 트렁크에 싣거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운반하기 불편한 단점이 여전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re is still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subway or a subway because there is a limit in folding efficiency because structural folding parts cannot be installed.

다른 예로서, 한국 공고특허 제996-0004438호의 "무좌석 절첩식 동력자전거는 가장 간단하고 작은 형태로 접을 수 있으나 동력자전거에 관련되므로 근본적으로 넓은 수요층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atless folding power bicycl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96-0004438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old it in the simplest and smallest form, but cannot secure a large demand group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power bicycl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관절에 의하여 최소로 접을 수 있어 휴대하고 이동이 편리하고 보관 시 장소 부담을 덜 수 있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portable folding bicycle that can be folded to a minimum by the articulated and portable, easy to move and less burden on stor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바 상에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링크의 관절부에 전방지 지대를 지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링크의 관절 부분에 설치되는 안장; 상기 메인바의 선단에 스토퍼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조향핸들과 제동핸들을 구비하는 핸들; 상기 프레임의 전방지지대 상에서 상측으로 구동휠을 지지하고, 하측으로 피동휠과 전륜을 동심상으로 지지하며, 구동휠과 피동휠을 통하여 답력을 전륜에 전달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메인바의 후단에 후방지지대와 조향대를 개재하여 회전 및 조향운동 가능하게 후륜(85)을 지지하는 피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having an anterior zone in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to the joint movement through the slider,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link; A saddle installed at a joint portion of the upper link of the frame; A handle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main bar via a stopper and having a steering wheel and a brake wheel; A driving means supporting the driving wheel upward on the front support of the frame, supporting the driven wheel and the front wheel concentrically downward, and transmitting the stepping force to the front wheel through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And driven means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s 85 so as to be rotatable and steerable through a rear support and a steering wheel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슬라이더의 선단에 부착되어 스토퍼에 접하는 슬라이더측 완충기와, 하부링크에 전방지지대(52)를 연결하는 링크측 완충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lider side shock absorber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and in contact with the stopper, and a link side shock absorber connecting the front support 52 to the lower link.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장 및 핸들은 신속한 각도조절이나 분해를 위해 조임쇠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and the handl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fastened for quick angle adjustment or disassembly.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핸들의 조향핸들은 일측 케이블을 개재하여 후방지지대와 조향대에 연결되고, 제동핸들은 타측 케이블을 개재하여 제동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wheel of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and the steering wheel via one cable, the braking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rake via the other cabl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은 전방지지대 상에 동심으로 1~2개의 전륜을 구비하고, 구동휠의 중심에 연결되는 페달의 답력으로 피동휠과 전륜을 구동하며, 구동휠과 피동휠의 전동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마찰차방식 중에서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has one to two front wheels concentrically on the front support, and drives the driven wheel and the front wheel by the pedal forc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wheel,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The transmiss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selected from the chain method, belt method, gear method, friction metho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동수단은 메인바의 하단에 고정되는 후방지지 대 상에 조향축과 조향대를 개재하여 후륜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via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wheel on the rear support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a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안장, 핸들, 구동수단, 피동수단과 함께 전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으면 자동적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형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형 커버는 힌지와 손잡이와 피동수단이 접히는 쪽의 케이스형 커버를 열고 닫는 여닫이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urther includes a case-type cover which is automatically received when the frame is folded in whole or at least partially together with the saddle, the handle, the driving means, and the driven means, and the case-type cover has a hinge, a handle and a driven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pening and closing butt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se-shaped cover on the side where the means is fol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에 의하면, 다관절에 의하여 최소로 접을 수 있으며, 접음과 동시에 접은 상태로 프레임에 고정된 케이스형 커버에 수납되며, 케이스형 커버에 장착된 슬라이드바로가 길이가를 연장하되는 손잡이로 끌고 갈 수 있어 이동시 승용차나 대중교통으로 이동이 편리하고, 교실, 강당, 극장 등 실내에 휴대하고 입장이 가능하며, 자택의 실내에 보관 시 장소 부담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folding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folded to a minimum by the articulated joint, is stored in the case type cover fixed to the frame in the folded state at the same time folded, the length of the slide bar mounted on the case type cover It is easy to move by car or public transportation when moving, and it is possible to carry and enter indoors such as classrooms, auditoriums, theaters, etc. have.

또한, 대중교통 이용의 전후에 자전거를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여 등하교와 회사출퇴근 및 여행지에서의 자전거 이용이 가능하여 자전거 이용률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ddition, the use of bicycles can be used before and after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use of bicycles at school, commute to work and travel destinations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use of bicycle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자전거를 A-A′및 B-B′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핸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피동수단을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utting of the bicycle of Figure 1 AA 'and BB',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handle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riven means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d Figure 7 shows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은 메인바(12) 상에 상부링크(14)(24)와 하부링크(16)(26)가 슬라이더(22)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서, 하부링크(16)(26)의 관절부에 전방지지대(52)를 지닌다. 본 발명의 자전거는 프레임(10) 상에 안장(30), 핸들(40), 구동수단(50), 피동수단(70)이 다관절 형태로 조립되는 형태이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위해 관절부에 설치되는 연결축(또는 힌지축)은 도시를 생략한다. 그리고 '선단'과 '후단'은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전방과 후방에 해당하는 의미로 설정된다.Fr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link (14) 24 and the lower link (16) 26 on the main bar (12) through the slider 22 to be articulated. It has an anterior support 52 at the joint of the lower links 16 and 26.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he saddle 30, the handle 40, the drive means 50, the driven means 70 is assembled in a multi-joint form on the frame 1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connecting shaft (or hinge shaft) installed in the joint is omitted. 'Front' and 'rear' are set to mean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bicycle.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메인바(12) 상에 상부링크(14)(24)와 하부링크(16)(26)가 슬라이더(22)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이다. 메인바(12)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단면을 지닌 관부재, ㄷ자 단면 등의 각부재 및 이들을 변형하거나 둘 이상 조합한 각종 이형을 사용한다. 메인바(12)의 양단에서 후술하는 주요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수단(예컨대 평면부, 절개부, 관통부 등)을 형성하고 키홈이나 이와 동등한 기능의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상부링크(14)(24)는 메인바(12)의 상측으로 위치하고, 하부링크(16)(26)는 메인바(12)의 하측으로 위치한다. 상부 제1링크(14)와 하부 제1링크(16)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다소 절곡 또는 굴곡된 형태로 하고, 상부제2링크(24)와 하부제2링크(26)는 성형의 간편성을 위해 직선 형태로 한다. 상부제1링크(14)와 하부제1링크(16)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후방지지대(72)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부제2링크(24)와 하부제2링크(26)의 상단부는 슬라이더(22)에 힌지로 연결된다. 슬라이더(22)는 메인바(12) 상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메인바(12) 상에서 슬라이더(22)의 위치를 변동하면 상부링크(14)(24)와 하부링크(16)(26)가 메인바(12)를 중심으로 마치 우산살처럼 펼쳐지거나 접혀진다.In the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nk 14, 24 and the lower link 16, 26 are connected to the main bar 12 through the slider 22 so that articulation is possible. The main bar 12 uses a pipe member having a cross section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nd each member such as a c-section, and various types of deformations or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At both ends of the main bar 12, a means (e.g., a flat portion, a cutout, a penetrating portion, etc.) for coupling with the main parts described later is formed, and is coupled using a key groove or a member having an equivalent function. The upper links 14 and 24 are located above the main bar 12, and the lower links 16 and 26 are located below the main bar 12. The upper first link 14 and the lower first link 16 are somewhat bent or curved to avoid interference, and the upper second link 24 and the lower second link 26 are for convenience of molding. It should be straight. Lower ends of the upper first link 14 and the lower first link 16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72 to be described later, and upper ends of the upper second link 24 and the lower second link 26 are sliders. It is hinged to 22. The slider 22 is reciprocally mounted on the main bar 12. 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slider 22 is changed on the main bar 12, the upper links 14, 24 and the lower links 16, 26 are unfolded or folded around the main bar 12 like umbrellas. All.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0)은 슬라이더(22)의 선단에 부착되어 스토퍼(28)에 접하는 완충기(62)와, 하부링크(16)(26)에 전방지지대(52)를 연결하는 완충기(62)를 구비한다. 전방지지대(52)는 도 1처럼 하부링크(16)(26)의 연결부를 이격시키도록 다른 위치에 연결할 수도 있고, 도시에는 없으나 하부링크(16)(26)의 연결부를 일체화하도록 동일 위치에 연결할 수도 있다. 상측의 완충기(62)는 슬라이더(22)에 부착되어 스토퍼(28)와 접하면서 주로 메인바(12)에서 안장(30)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링크측 완충기(64)는 전방지지대(52)와 하부제1링크(16)를 연결하여 주로 지면에서 핸들(4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 슬라이더측 완충기(62)는 스프링이나 쿠션을 사용하는 반면 링크측 완충기(64)는 가스식이나 스프링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fra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22, the shock absorber 62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8, and the shock absorber for connecting the front support 52 to the lower link (16, 26) 62 is provided. The front support 52 may be connected to another position to space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lower links 16 and 26, as shown in FIG. It may be. The upper shock absorber 62 is attached to the slider 22 to contact the stopper 28 to alleviate the impact mainly transmitted from the main bar 12 to the saddle 30, and the link shock absorber 64 is the front support ( 52 and the lower first link 16 is connected to alleviate the impact mainly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handle 40. The slider side shock absorber 62 uses a spring or a cushion, while the link side shock absorber 64 uses a gas or a spring.

한편, 완충기(64)의 일단은 하부제1링크(16) 상에 슬리브(63)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슬리브(63)를 핀(67)으로 고정하는 구성이 자전거를 접고 펴는 작업의 측면에서 편리하다. 핀(67)은 슬리브(63)를 관통하여 하부제1링크(16)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미도시)에 삽착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shock absorber 64 is installed on the lower first link 16 via the sleeve 63, 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eeve 63 is fixed with the pins 67 in term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bicycle. It is convenient. The pin 67 penetrates through the sleeve 63 to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first link 16.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링크(14)(24)의 관절 부분에 안장(30)이 설치된다. 안장(30)은 상단에 쿠션바(32)를 지닌다. 쿠션바(32)는 짧은 원통상에 쿠션재를 감싼 형태로서 종래의 안장에 비하여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유리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안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안장(30)은 상부제1링크(14)와 상부제2링크(24)가 연결되는 관절 부분에서 직립이나 적절한 경사각으로 로크상태를 유지하지만 자전거를 최소의 크기로 접는 등 필요에 따라 로크를 해제시키고 회전하는 구조를 택하는 것이 좋다. 안장(30)을 결합(로크)하는 실시 예는 후술하는 핸들(40)의 설명을 참조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ddle 30 is installed in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links 14 and 24 of the frame 10. Saddle 30 has a cushion bar 32 on the top. The cushion bar 32 is a form in which a cushioning material is wrapped on a short cylinder,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idth of the cushion bar 32 is narr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addle, but the conventional general saddle is not excluded. The saddle 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at an upright or proper inclination angle at the joint portion where the upper first link 14 and the upper second link 24 are connected, but releases the lock as necessary, such as folding the bicycle to a minimum size. It is better to choose a rotating structure. Embodiments of engaging (locking) the saddle 30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handle 40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부링크(14)(24)와 안장(30)은 3개의 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일자형 단부를 지닌 상부제1링크(14)를 U자형 단부를 지닌 상부제2링크(24)가 감싸고 다시 상부제2링크(24)를 U자형 단부를 지닌 안장(30)이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여타 관절부분의 결합에 있어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을 적용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nks 14 and 24 and the saddle 30 are portions to which three members are connected, and the upper first link 14 having the straight end portion has the upper second link having the U-shaped end ( 24 is wrapped and the upper second link 24 can be combined in such a way that the saddle 30 with the U-shaped end is wrapp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method applies to the coupling of other joint part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조향핸들(45)과 제동핸들(46)을 구비하는 핸들(40)이 상기 메인바(12)의 선단에 스토퍼(28)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핸들(40)은 짧은 원통상에 보호 수지를 덮은 형태의 그립바(42)를 기본으로 하여 양측에 조향핸들(45)과 제동핸들(46)을 구비하는 것으로 종래의 핸들에 비하여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유리하지만 종래의 접이 가능한 핸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핸들(40)은 메인바(12)의 선단에 고정된 스토퍼(28) 상에 직립의 로크상태를 유지하지만 자전거를 최소의 크기로 접는 경우 로크가 해제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택하는 것이 좋다. 조향핸 들(45)과 제동핸들(46)은 핸들(40)의 양측 단에 각각 손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과 작동은 후술한다. 스토퍼(28)는 메인바(12)의 선단에 고정되어 슬라이더(22)의 이탈을 구속하기도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40 having a steering wheel 45 and a braking handle 46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main bar 12 via a stopper 28. The handle 40 has a steering wheel 45 and a braking handle 46 on both sides based on the grip bar 42 of a type that covers a protective resin on a short cylinder. It may be advantageous but does not preclude conventional collapsible handles. The handle 40 maintains an upright lock state on the stopper 28 fixed to the tip of the main bar 12, but when the bicycle is folded to a minimum size, the lock 40 is preferably released to rotate. The steering handle 45 and the braking handle 46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40 so as to be operated by hand, and detailed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opper 28 is fixed to the tip of the main bar 12 to restrain the slider 22 from leaving.

이때, 상기 안장(30) 및 핸들(40)은 신속한 각도조절이나 분해를 위해 조임쇠(34)(44)로 결합된다. 조임쇠(34)(44)는 로크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적 요소로서 특히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을 택한다. 예컨대 도 2처럼 상부제1링크(14)와 안장(30)을 연결하는 힌지상에 잠금축(34b)을 설치하고, 잠금축(34b)의 일단에 스플라인치형(34c)을 형성하고, 잠금축(34b)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스프링(34d)과 캠레버(34a)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캠레버(34a)를 누르면 스플라인치형(34c)이 맞물려 회전이 로크되고 반대로 캠레버(34a)를 올리면 로크가 해제되어 안장(30)의 각도조절이나 분해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처럼 링크 연결부의 보스를 절개한 다음 44a의 캠레버와 44b의 힌지축과 44c의 로크핀을 장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캠레버(44a)를 누르면 로크핀(44c)이 당겨져서 핸들(40)의 회전이 구속되고, 캠레버(44a)를 올리면 핸들(4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임쇠(44)의 경우 연결축 상에 스플라인치형을 형성하면 로크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전자의 조임쇠(34)는 축방향으로 작동하고 후자의 조임쇠(44)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서, 안장(30)과 핸들(40)을 구분하지 않고 공히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are coupled with fasteners 34 and 44 for quick angle adjustment or disassembly. Fasteners 34 and 44 are mechanical elements that perform a lock function, and in particular,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hand without a separate too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locking shaft 34b is installed on a hinge connecting the upper first link 14 and the saddle 30, and a spline 34c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ing shaft 34b, and the locking shaft The spring 34d and the cam lever 34a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34b. Accordingly, when the cam lever 34a is pressed, the spline inch 34c is engaged and the rotation is locked. On the contrary, when the cam lever 34a is raised, the lock is released to allow angle adjustment or disassembly of the saddle 3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boss of the link connection part may be cut and then the cam lever of 44a, the hinge shaft of 44b, and the lock pin of 44c may be mounted. Accordingly, when the cam lever 44a is pressed, the lock pin 44c is pull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handle 40, and when the cam lever 44a is raised, the angle of the handle 40 can be adjusted and folded. In the case of such fasteners 44, forming the splined type on the connecting shaft further improves the locking function. The former fasteners 34 operat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atter fasteners 44 oper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an be applied to 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without being distinguished.

이때, 상기 핸들(40)의 조향핸들(45)은 일측 케이블(47)을 개재하여 후방지지대(72)에 연결되고, 제동핸들(46)은 타측 케이블(48)을 개재하여 제동기(75)에 연결된다. 조향핸들(45)이 후술하는 피동수단(70)의 후방지지대(72)에 연결되는 구성과 작용은 후술한다. 제동핸들(46)은 피동수단(70)에 위치하는 제동기(75)는 물론 도시에는 생략되나 구동수단(50)에 위치하는 제동기도 작동하도록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steering wheel 45 of the handle 40 is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72 via one cable 47, the braking handle 46 to the brake 75 through the other cable 48. Connected.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of the steering wheel 45 to be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72 of the driven means 7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raking handle 46 is connected to the brake 75 located in the driven means 70 as well as the brake located in the driving means 5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한편, 도시에는 생략되나 상기 프레임(10)의 슬라이더(22)는 메인바(12) 상에 임의의 지점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쇠를 구비할 수도 있다. 잠금쇠는 메인바(12)의 다수의 지점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잠금핀을 삽착하는 방식, 볼트나 레버로 조여서 메인바(12)에 마찰력을 작용하는 방식, 메인바(12)에 나선을 형성하고 조절너트로 맞물리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 자전거 주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측면에서 전자의 방식이 선호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er 22 of the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a clamp for fixing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main bar 12. The clasp forms a through hole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main bar 12 and inserts a locking pin, a method of applying a friction force to the main bar 12 by tightening with a bolt or a lever, and a spiral to the main bar 12. Forming and meshing with adjusting nuts. The former method is preferred in that it does not arbitrarily be released by vibration caused by the bicycl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휠(56)과 피동휠(66)을 통하여 답력을 전륜(65)에 전달하는 구동수단(50)이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지지대(52) 상에서 상측으로 구동휠(56)을 지지하는 동시에 하측으로 피동휠(66)과 전륜(65)을 동심상으로 지지한다. 구동수단(50)은 하부링크(16)(26)의 관절 부분에 전방지지대(52)의 중심부를 연결하고, 전방지지대(52)의 상단과 하단에 구동휠(56), 피동휠(66), 전륜(65)을 장착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전륜(65)의 지지를 위해 전방지지대(52)를 개재하는 것은 전술한 완충기(64)에 의한 완충작용을 부여하는데 유리한 점에 기인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50 for transmitting the stepping force to the front wheel 65 through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is driven upward on the front support 52 of the frame 10. While supporting (56), the driven wheel (66) and the front wheel (65) are concentrically supported downward. The driving means 50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upport 52 to the joint portion of the lower link 16, 26, and drive wheels 56 and driven wheels 66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ront support 52. The front wheel 65 is attached. Thus interposing the front support 52 for the support of the front wheel 65 is due to the advantage to impart a buffer action by the shock absorber 64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구동수단(50)은 전방지지대(52) 상에 동심으로 1~2개의 전륜(65)을 구비하고, 구동휠(56)의 중심에 연결되는 페달(55)의 답력으로 피동휠(66)과 전륜(65)을 구동하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의 전동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마찰차방식 중에서 택일된다.At this time, the driving means 50 is provided with one to two front wheels 65 concentrically on the front support 52, driven by the pedal of the pedal (55)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wheel (56) 66 and the front wheel 65, the transmission of the drive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is selected from the chain method, belt method, gear method, friction difference method.

본 발명에서 도 2(b)처럼 1개의 전륜(65)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적인 구조로 한다. 그러나 도 2(c)처럼 2개의 전륜(65)을 사용하는 것은 구동휠(56)과 피동휠(66)을 균형적으로 지지하고, 크기를 작게 하여 접을 때 간섭을 최소화하고, 주행시에 안정성을 향상하는 등의 이유를 고려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b), one front wheel 65 is used as a basic structure. However, the use of two front wheels 65 as shown in FIG. 2 (c) balances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s 66, minimizes the interference when folded by reducing the size, and improves stability when driving. The reason for the improvement is considered.

상기 구동수단(50)에서 전방지지대(52)는 약간 꺾인 형태의 링크부재이고 꺾인 부분의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다. 하부제1링크(16)의 선단 관통공과 히부제2링크(26)의 하단 관통공을 전방지지대(52)의 중앙 관통공과 일치시키고 힌지축으로 연결한다. 전방지지대(52)의 상단 관통공에 구동휠(56)의 중심을 힌지축(미도시)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의 양단에 각각 로드(54)를 개재하여 페달(55)을 장착한다. 전방지지대(52)의 하단 관통공에 피동휠(66)의 중심을 힌지축(미도시)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동휠(56)과 피동휠(66)이 전방지지대(52)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되면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In the driving means 50, the front support 52 is a link member of a slightly bent shape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through holes of the bent portion, respectively. The tip through hole of the lower first link 16 and the bottom through hole of the upper second link 26 coincide with the center through hole of the front support 52 and are connected by a hinge axis. The center of the drive wheel 56 is connected to the upper through hole of the front support 52 by a hinge shaft (not shown), and the pedal 55 is mounted through rods 54 a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The center of the driven wheel 66 is connected to the lower through hole of the front support 52 by a hinge axis (not shown). As such, when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are mounted at the set position of the front support 52, the connection state is stably maintained.

상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마찰차방식이 가능하다. 체인방식의 경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을 이격시키고 상호 체인으로 연결한다. 벨트방식도 체인방식과 동일하며 체인대신 고장력/내마모성을 지닌 벨트를 사용한다. 기어방식의 경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의 크기를 확대하고 중간에 아이들 기어를 개재하는 구성이며, 피동휠(66)보다 구동휠(56)을 약간 크게 하여 증속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마찰차방식은 미끄럼 저항력과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고 중간에 아이들 롤러를 개재하여 연결한다.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may be a chain method, a belt method, a gear method, a friction difference method. In the case of the chain method,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are spaced apar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The belt method is the same as the chain method, and a belt with high strength / wear resistance is used instead of the chain. In the case of the gear type, the size of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is enlarged and an idle gear is interposed in the middle, and the driving wheel 56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riven wheel 66 to increase the speed. . Friction difference method uses materials with good sliding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and connects them through an idle roller in the middl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피동수단(70)이 상기 메인바(12)의 후단에 후방지지 대(72)와 조향대(76)를 개재하여 회전 및 조향운동 가능하게 후륜(85)을 지지한다. 피동수단(70)은 메인바(12)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방지지대(72)를 고정하고, 후방지지대(72) 상에 조향축(74)을 개재하여 조향대(76)를 조향운동 가능하게 장착하며, 조향대(76) 상에 후륜(85)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이다. 후방지지대(72)는 상부의 연결부분이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을 지니고 상하단을 연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메인바(12)와 나선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으로 결합한다. 후방지지대(72)의 상부몸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며, 일측 관통공에는 상부제1링크(14)의 후단을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타측 관통공에는 하부제1링크(16)의 후단을 힌지축으로 연결한다. 후방지지대(72)의 하부몸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심의 관통공에는 후술하는 조향축(74)이 결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n means 70 supports the rear wheels 85 to enable rotation and steering movement through the rear support base 72 and the steering wheel 76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r 12. The driven means 70 fixes the rear support 72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r 12 and enables the steering wheel 76 to be steered through the steering shaft 74 on the rear support 72. The rear wheel 8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76. The rear support 72 has a U-shaped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side to form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is coupled to the main bar 12 in a spiral or bolted manner.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 body of the rear support 72, one side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first link 14 by a hinge axis, and the other through hole of the lower first link 16 Connect the rear end with the hinge shaft. Steering shafts 74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concentric through-hole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lower body of the rear support 72.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피동수단(70)은 메인바(12)의 하단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대(72) 상에 조향축(74)과 조향대(76)를 개재하여 후륜(85)을 지지한다. At this time, the driven means 7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rear wheels 85 through the steering shaft 74 and the steering wheel 76 on the rear support 7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ar 12. .

상기 피동수단(70)은 메인바(12)의 후단에 상부제1링크(14)와 하부제1링크(16)를 동시에 연결하는 후방지지대(72)를 구비하고, 후방지지대(72) 상에 조향축(74)과 조향대(76)를 개재하여 후륜(85)을 지지한다. 후방지지대(72)는 상하단에 관통공을 지니고 메인바(12)와 나선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 또는 끼워맞춤 및 측면에서 핀, 볼트를 고정한 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후방지지대(72)의 상단 관통공에는 상부제1링크(14)의 후단을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하단 관통공에는 하부제1링크(16)의 후단을 힌지축으로 연결한다. 조향대(76)는 측면에서 볼 때 T자 형상이며, 상부몸체에 메인바(12)가 결합되는 동시에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향축(74) 이 설치된다. 조향대(76)의 하부몸체는 외팔보 형태로서 하단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륜(85)을 구동축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조향대(76)를 외팔보 구조로 하는 것은 후륜(85)을 접을 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 2(a) 및 도 5처럼 후륜(85)을 펴고 주행할 때에는 후륜(85)의 수직축과 메인바(12)의 중심이 일치된다.The driven means 70 has a rear support 72 which connects the upper first link 14 and the lower first link 16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r 12, on the rear support 72. The rear wheels 85 are supported through the steering shaft 74 and the steering wheel 76. The rear support 72 has a through-hole i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is coupled to the main bar 12 in a spiral or bolted manner or in a manner of fitting pins and bolts from the side and the side. A rear end of the upper first link 14 is connected to a hinge shaft at an upper through hole of the rear support 72, and a rear end of the lower first link 16 is connected to a lower axis at a lower through hole. Steering wheel 76 is T-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main bar 12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and the steering shaft 74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e lower body of the steering wheel 76 has a cantilever shape to form a through hole at the bottom thereof, and supports the rear wheel 85 as a drive shaft. The cantilever structure of the steering wheel 76 as described above is to minimize interference when the rear wheel 85 is folded. Of course, when the rear wheels 85 are stretched and run as shown in FIGS. 2A and 5, the vertical axis of the rear wheels 85 and the center of the main bar 12 coincide.

상기 피동수단(70)의 조향대(76)는 케이블(47)을 개재하여 조향핸들(45)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핸들(40)의 일측에 장착된 조향핸들(45)은 2개의 케이블(47)을 이용하여 조향대(76)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향핸들(45)을 회전시키면 조향대(76)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후륜(85)이 경사지고 자전거의 조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전거는 자전거 분야에서 일반적인 밴드형 또는 V형의 제동기(75)를 부여할 수 있다. 제동기(75)는 케이블(48)을 통하여 핸들(40)에 장착된 제동핸들(46)에 연결된다. 케이블(47)(48)은 통상의 것처럼 피복을 지니는 형태를 사용한다.Steering wheel 76 of the driven means 70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45 via the cable 47. The steering wheel 45 mounted on one side of the handle 4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wheel 76 using two cables 47,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steering wheel 45 is rotated, the steering wheel 76 rotates to one side so that the rear wheel 85 is inclined and steering of the bicycle is possible. The bi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and-type or V-type brakes 75 which are common in the bicycle field. The brake 75 is connected to the brake handle 46 mounted to the handle 40 via a cable 48. Cables 47 and 48 use a sheathed form as usual.

이외에, 본 발명의 후방지지대(72) 상에는 흙받이(86)와 받침대(88)를 설치할 수 있다. 흙받이(86)는 전륜(65)과 후륜(85)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받침대(88)는 지면에 접촉가능하게 회동되는 구조로 설치한다.In addition, the fender 86 and the pedestal 88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support 72 of the present invention. Mudguard 86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wheel 65 and the rear wheel 85, the pedestal 88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rotated to contact the ground.

도시에는 생략되나, 본 발명은 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조명기를 구성 할 수 있다. 조명등은 전면의 스토퍼에 장착되며, 하부제1링크에 장착되어 구동휠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발전기가 생산한 전력이 전선 케이블에 인가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조명기의 전등이 켜지는 구조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lluminators for use at night. The lighting lamp is mounted on the front stopper, and is mounted on the lower first link, and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is applied to the electric wire cable so that the lamp of the lighting fixture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이 경우 발전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축전지를 장치 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 storage batter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stor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의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장(30), 핸들(40), 구동수단(50), 피동수단(70)과 함께 전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으면 수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형 커버(9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형 커버(90)는 힌지(92)와 손잡이(94)와 피동수단(70)이 접히는 쪽의 케이스형 커버를 열고 닫는 여닫이버튼(92)을 구비한다. 케이스형 커버(90)는 후륜이 접히는 방향의 반대편 커버는 스토퍼와 후방지지대에 접하여 볼트, 핀, 스냅링 등으로 고정 될 수 있으며, 상면에 손잡이(94)를 일체로 지닌다. 후륜이 접히는 방향의 커버는 선단에 힌지(92)를 구비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이고, 커버에 구비된 손잡이(94)는 도 6처럼 고정된 형태로 할 수 있으나, 도 7처럼 인출 가능한 슬라이드바(96)가 구비된 손잡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10), 안장(30), 핸들(40), 구동수단(50), 피동수단(70)을 모두 접으면 케이스형 커버(90) 상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여분의 공간을 구획하면 수납부(98)로 활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 is in contact with the saddle 30, the handle 40, the driving means 50, the driven means 70, in whole or at least partially in order to protect the body or clothes of the user. The case-type cover 9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ase cover 90 is provided with a hinge button 92 that opens and closes the case cover on the side where the hinge 92, the handle 94, and the driven means 70 are folded. Case type cover 90 is the opposite side of the rear wheel folding direction cover can be fixed to the stopper and the rear support bolts, pins, snap rings, etc., and has a handle 94 on the upper surface integrally. The co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wheel is folded i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hinge 92 at the tip, the handle 94 provided on the cover may be a fixed form as shown in Figure 6, the slide bar 96 as shown in Figure 7 You can also use the handle provided with). When the frame 10, the saddle 30, the handle 40, the driving means 50, and the driven means 7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folde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on the case type cover 90, so that extra space is provided. When partitioned, it can be utilized as the housing 98.

접어진 자전거를 펼쳐서 사용하는 방법은 도 1처럼 후방지지대(72)와 후륜(85)이 접힌 상태라면 여닫이 커버를 열고서 펼치고, 슬라이더(22)를 메인바(12)의 상단으로 밀면 상부링크(14)(24)와 하부링크(16)(26)와 전륜을 포함한 전방지지대가 펼쳐지며, 안장(30)과 핸들(40)을 상측으로 회전하여 고정하고, 완충기(64)를 밀어 슬리브(63)와 핀(67) 또는 래칫에 폴을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면 사용이 준비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핸들(40)의 양측을 쥐고 페달(55)을 밟으며 주행하는 점은 종래와 동일하고 조향핸들(45)을 회전하면 후륜(85)이 좌우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제동핸들(46)을 회전하면 제동기(75)가 작동하여 감속 또는 정지된다.How to use the folded bicycle unfolds as shown in Figure 1, if the rear support 72 and the rear wheel 85 is folded, open the case cover and open, push the slider 22 to the top of the main bar 12, the upper link ( 14) (24), the lower link (16) (26) and the front support including the front wheels are unfolded, and 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are rotated upward and fixed, and the shock absorber (64) is pushed on the sleeve (63). The pole is fixed to the pin 67 or ratchet at the designated position, ready for use. Subsequently, the driving point is carried out while holding both sides of the handle 40 and stepping on the pedal 55, and when the steering wheel 45 is rotated, the rear wheel 85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and braked. Rotating the handle 46 operates the brake 75 to slow down or stop.

휴대 또는 보관을 위한 접는 방법은, 도 6처럼 완전하게 접는 방식과 도 7처럼 후륜과 핸들 손잡이 등 일부를 선택적으로 접지 않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즉, 완충기(62)의 일단에서 슬리브(63)를 해제한 후에 슬라이더(22)를 밀어 내리면, 전륜(65)을 포함한 프레임이 동시에 접히고, 이어서 조향대(76)와 후륜(85)을 접고, 안장(30)과 핸들(40)을 임의적으로 접으면 도 6처럼 케이스형 커버(90)에 자동적으로 접혀서 들어와 자전거 전체가 수납된 상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전륜(65), 후륜(85), 안장(30), 핸들(40) 중의 일부는 접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자전거의 부속 일부를 접지 않은 상태로 휴대 또는 보관하는 경우에 도 7처럼 케이스형 커버(90)를 부분적으로 밖에 노출시키거나 씌울 수도 있다. 케이스형 커버(90)의 개방부에 돌출된 전륜은 접어서 수납한 상태로 끌고 다니기 편리하게 한다.The folding method for carrying or storing may be a method of completely folding as shown in FIG. 6 and a method of selectively folding a part such as a rear wheel and a handle knob as shown in FIG. 7. That is, when the slider 22 is pushed down after releasing the sleeve 63 at one end of the shock absorber 62, the frame including the front wheels 65 is folded at the same time, and then the steering wheel 76 and the rear wheels 85 are folded. When 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are arbitrarily folded, 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can be automatically folded into the case-type cover 90 and the entire bicycle can be stored. Of course, some of the front wheel 65, rear wheel 85, saddle 30, the handle 40 may not be grounded. If some parts of the bicycle are carried or stored without being folded, the case type cover 90 may be partially exposed or covered as shown in FIG. 7. The front wheel protruding from the opening of the case-type cover 90 is folded and made easy to carry aroun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whole,

도 2는 도 1의 자전거를 A-A′및 B-B′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icycle of FIG. 1 cut into lines A-A 'and B-B';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핸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handle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의 피동수단을 드러내어 나타내는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riven means of the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and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프레임 12: 메인바10: frame 12: main bar

14, 16: 상부링크 22: 슬리이더14, 16: upper link 22: slider

24, 26: 하부링크 30: 안장24, 26: lower link 30: saddle

34, 44: 조임쇠 40: 핸들34, 44 fastener 40 handle

45: 조향핸들 46: 제동핸들45: steering wheel 46: braking handle

50: 구동수단 52: 전방지지대50: drive means 52: front support

56, 66: 기어 62: 완충기56, 66: Gear 62: Shock Absorber

65: 전륜 70: 피동수단65: front wheel 70: driven means

72: 후방지지대 74: 조향축72: rear support 74: steering shaft

75: 제동기 76: 조향대75: brake 76: steering wheel

85: 후륜 90: 케이스형 커버85: rear wheel 90: case cover

Claims (7)

메인바(12) 상에 상부링크(14)(24)와 하부링크(16)(26)가 슬라이더(22)를 개재하여 관절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링크(16)(26)의 관절부에 전방지지대(52)를 지니는 프레임(10); The upper links 14 and 24 and the lower links 16 and 26 on the main bar 12 are joint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lider 22 and connected to the joints of the lower links 16 and 26. A frame 10 having an anterior support 52;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링크(14)(24)의 관절 부분에 설치되는 안장(30);Saddle 30 is installed in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link (14, 24) of the frame (10); 상기 메인바(12)의 선단에 스토퍼(28)를 개재하여 설치되고, 조향핸들(45)과 제동핸들(46)을 구비하는 핸들(40);A handle (40)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main bar (12) via a stopper (28) and having a steering wheel (45) and a braking handle (46);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지지대(52) 상에서 상측으로 구동휠(56)을 지지하고, 하측으로 피동휠(66)과 전륜(65)을 동심상으로 지지하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을 통하여 답력을 전륜(65)에 전달하는 구동수단(50); 및The drive wheel 56 is supported upward on the front support 52 of the frame 10, the driven wheel 66 and the front wheel 65 are supported concentrically downward, and the drive wheel 56 and driven wheel Driving means (50) for transmitting the stepping force to the front wheel (65) through (66); And 상기 메인바(12)의 후단에 후방지지대(72)와 조향대(76)를 개재하여 회전 및 조향운동 가능하게 후륜(85)을 지지하는 피동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A driving means (70) supporting the rear wheel (85) for rotation and steering movement via a rear support (72) and a steering wheel (76)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r (12); Portable folding bik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10)은 슬라이더(22)의 선단에 부착되어 스토퍼(28)에 접하는 슬라이더측 완충기(62)와, 하부링크(16)(26)에 전방지지대(52)를 연결하는 링크측 완충기(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frame 1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er 22, the slider side shock absorber 62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8, and the link side shock absorber for connecting the front support 52 to the lower links (16, 26) ( 64) A portable folding bik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장(30) 및 핸들(40)은 신속한 각도조절이나 분해를 위해 조임쇠(34)(44)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saddle 30 and the handle 40 is a portable folding bik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asteners (34) (44) for quick angle adjustment or dis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40)의 조향핸들(45)은 일측 케이블(47)을 개재하여 후방지지대(72)와 조향대(76)에 연결되고, 제동핸들(46)은 타측 케이블(48)을 개재하여 제동기(7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steering wheel 45 of the handle 40 is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72 and the steering wheel 76 through one cable 47, the braking handle 46 through the other cable 48, the brake Portable folding bik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75).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수단(50)은 전방지지대(52) 상에 동심으로 1~2개의 전륜(65)을 구비하고, 구동휠(56)의 중심에 연결되는 페달(55)의 답력으로 피동휠(66)과 전륜(65)을 구동하며, 구동휠(56)과 피동휠(66)의 전동은 체인방식, 벨트방식, 기어방식, 마찰차방식 중에서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driving means 50 is provided with one to two front wheels 65 concentrically on the front support 52, driven wheel 66 by the pedal force of the pedal 55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wheel 56 And a front wheel (65), the driving wheel (56) and the driven wheel (66) is a portable folding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 method, belt method, gear method, friction wheel method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동수단(70)은 메인바(12)의 하단에 고정되는 후방지지대(72) 상에 조향축(74)과 조향대(76)를 개재하여 후륜(85)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driven means 70 is a port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s 85 via the steering shaft 74 and the steering wheel 76 on the rear support 7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ar (12). Folding bik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10)은 안장(30), 핸들(40), 구동수단(50), 피동수단(70)과 함께 전체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으면 자동적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케이스형 커버(9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형 커버(90)는 힌지(92)와 손잡이(94)와 피동수단(70)이 접히는 쪽의 케이스형 커버를 열고 닫는 여닫이버튼(9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자전거.The fram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ase-type cover 90 which is automatically received when folded in whole or at least partially together with the saddle 30, the handle 40, the driving means 50, the driven means 70. The case cover 90 is a portable folding bicycle, which includes a hinge button 92 that opens and closes a case cover on a side where the hinge 92, the handle 94, and the driven means 70 are folded. .
KR1020090087951A 2009-09-17 2009-09-17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KR101158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51A KR101158508B1 (en) 2009-09-17 2009-09-17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51A KR101158508B1 (en) 2009-09-17 2009-09-17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025A true KR20110030025A (en) 2011-03-23
KR101158508B1 KR101158508B1 (en) 2012-06-20

Family

ID=4393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951A KR101158508B1 (en) 2009-09-17 2009-09-17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0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3201A (en) * 2014-11-19 2015-03-25 庞思均 Multifunctional, foldable and changeable electromobile
KR20180041991A (en)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만도 Quick Stand for Electronic Bicycle
CN110329414A (en) * 2019-08-22 2019-10-15 宁波兴隆巨创机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power mechanism of the electric motor bicycle with folding with damping perform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295298A (en) 1998-02-06 1999-08-26 Pacific 21 Pty Ltd Folding bicycle frame
KR200259006Y1 (en) 2001-05-03 2001-12-31 조철호 Bicycle
US6588786B2 (en) 2001-08-24 2003-07-08 Darrold Efflandt, Sr. Chain driven front wheel drive and rear wheel steering bicy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3201A (en) * 2014-11-19 2015-03-25 庞思均 Multifunctional, foldable and changeable electromobile
KR20180041991A (en)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만도 Quick Stand for Electronic Bicycle
CN110329414A (en) * 2019-08-22 2019-10-15 宁波兴隆巨创机电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ctric power mechanism of the electric motor bicycle with folding with damping performance
CN110329414B (en) * 2019-08-22 2024-02-13 宁波兴隆巨创机电科技有限公司 Electric power mechanism with damping performance for folding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508B1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606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US4422663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US4433852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US5823554A (en) Folding, pedal-driven vehicle with universal joint transmission system
US4448435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CN202029972U (en) Luggage bicycle structure
HU185269B (en) Collapsible bicycle
TW200536748A (en) Folding cycle
KR20040032042A (en) Collapsible bicycle
US8833777B2 (en) Combination scooter and messenger bag
KR20110000541A (en) All-wheel drive
US4284288A (en) Folding bicycle structure
US4429890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KR101158508B1 (en) A foldable and portable bicycle
US4438942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US7048289B2 (en) Human-powered vehicle
US20170050696A1 (en) Collapsible Tricycle
KR20070121932A (en) Foldable bicycle
WO2016082738A1 (en) Small foldable tricycle
KR100657858B1 (en) Portable bicycle
CN102372060A (en) Portable box type folding bicycle
KR200400672Y1 (en) Portable bicycle
US4429891A (en) Foldable and portable vehicle
JP6546103B2 (en) Folding vehicle
WO2010118499A1 (en) Collapsible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