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838A -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838A
KR20110029838A KR1020090087681A KR20090087681A KR20110029838A KR 20110029838 A KR20110029838 A KR 20110029838A KR 1020090087681 A KR1020090087681 A KR 1020090087681A KR 20090087681 A KR20090087681 A KR 20090087681A KR 20110029838 A KR20110029838 A KR 20110029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heating
cylindrical filter
lin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267B1 (ko
Inventor
이탁수
김병호
이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한국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09008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Abstract

본 발명은 소각장을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배출가스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출가스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굴뚝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흡입구가 굴뚝 내부에 위치되는 라이너 및 노즐과, 상기 라이너 및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시료를 필터링하는 원통여지와, 상기 라이너와 원통여지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원통여지를 감싸고 상기 원통여지를 지지하는 히팅홀더와, 상기 히팅홀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히팅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배출가스, 시료, 채취, 프로브, 히팅홀더, 원통여지

Description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SAMPLE EXHAUST GAS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각장을 포함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출가스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공장과 발전소, 그리고 산업폐기물과 생활쓰레기 등을 소각 처리하는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해물질, 예컨대 배출가스에 포함된 먼지류, 질소산화물, 아황산가스, 염화수소, 다이옥신 등은 인체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현재, 국제기구는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각국에 이의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법령 및 환경부고시 등을 통해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농도를 제한하고 있다.
한편, 공장, 발전소 및 소각장에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유해물질 방지시설이 설치된다. 또한, 이 유해물질 방지시설을 거쳐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성분과 농도를 상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분석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석하는 분석기는, 굴뚝으로부터 배기가스의 일부를 시료로 채취하고 이를 특정 장소의 분석실에 설치된 분석기로 이송하여 분석하는 샘플링 방식과, 분석기를 굴뚝 외벽에 직접 설치하여 분석하는 인시츄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방식 중 샘플링 방식의 분석기는, 굴뚝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와, 이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온의 배출가스가 시료채취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배출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 등의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이 실시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배출가스의 샘플링 시 진공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료채취 대상 대기오염물질외의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고, 수분의 증발을 유도하여 진공펌프의 성능을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때, 히팅박스를 사용하여 입자상물질이 포집되는 원통여지부분을 가열하고, 이를 통해 응축수의 증발을 유도함으로써 원통여지에서 입자상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게 한다.
이 히팅박스의 내구 구조를 살펴보면, 입자상 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과, 사이클론에서 제거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플라스크와, 사이클론을 통과한 입자상 물질을 한 번 더 필터링하는 원통여지와, 히팅박스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히팅박스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상당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 예컨대, 배출가스 시료는 지상에서 20~30m인 지점에서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히팅박스의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할 경우 해당 높이까지 운반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안전사고의 우려도 있다. 또한, 해당 지점의 작업대 공간이 협소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무게를 견디기 힘들다.
한편, 히팅박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대부분, 즉 상술한 사이클론, 플라스크, 원통여지 및 사이클론과 원통여지를 연결하는 연결관 등은 경질유리 또는 석영유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술한 부품은 대부분 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므로 연결부위가 많을수록 시료가 누출될 우려가 있으며, 이의 조립,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를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높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부피와 무게가 작고 가벼워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자류 사용을 최소화하여 시료 누출 및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를 제공하 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는, 일단이 굴뚝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흡입구가 굴뚝 내부에 위치되는 라이너 및 노즐과, 상기 라이너 및 노즐을 통해 유입되는 시료를 필터링하는 원통여지와, 상기 라이너와 원통여지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원통여지를 감싸고 상기 원통여지를 지지하는 히팅홀더와, 상기 히팅홀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히팅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구성요수 중 상기 히팅홀더는, 그 내부에 설치된 상기 원통여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가열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원통여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은, 전원을 인가할 경우 열을 발생하는 전열선 또는 핫가스를 포함하는 고온의 유체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히팅파이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은 연결관을 통해 이송되는 시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내부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열수단에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다른 장비, 일례로 냉각용 펌프, 전등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팅홀더의 내부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 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는, 히팅홀더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부피와 무게를 줄임으로써 가벼워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플라스크 등의 초자류 부품을 생략함으로써 시료 누출 및 파손의 우려가 없다. 특히, 히팅홀더를 쉽게 개폐가 용이한 구조로 제작하여 원통여지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여과효율을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는 크게 채취부(100), 제1처리부(200), 제2처리부(300), 진공펌프(400) 및 컨트롤러(500)로 이루어진다.
채취부(100)는 굴뚝에 설치되어 배출가스로부터 시료가 흡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채취부(100)는, 일단이 굴뚝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프로브(110)와, 프로브(11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라이너(120)와, 라이너(1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채취관인 노즐(130)과, 노즐(130)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피토튜브(14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굴뚝의 내부에 위치되는 채취관(130)은 U자로 형성되고, 그 일단에 흡입구(132)가 마련되며, 타단은 라이너(1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채취관(130)은 그 설치 시 흡입구(132)가 배출가스의 이동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설치할 경우 등속흡인이 가능하고 흡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피토튜브(140)는, 배출가스의 이동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 정압관(142)과, 배출가스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 전압관(144)으로 구성된다.
이 피토튜브(140)는 배출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관(144)에서 측정된 전압과 정압관(142)에서 측정된 정압의 차, 즉 동압을 구하여 배출가스의 유속에 계산한다.
이러한 배출가스의 유속은 시료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요구되는데, 다이옥신이나 입자상 물질 등을 채취할 경우 시료의 흡입속도가 배출가스의 유속과 동일하게 등속흡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피토튜브(140)를 이용하여 배출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출가스의 유속과 동일한 속도로 시료를 흡입한다.
시료의 흡입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토튜브(140)를 통해 측정된 배출가스의 유속이 빨라 동압(전압과 정 압의 차)이 높아지면, 컨트롤러(500)를 이용하여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내의 부압을 낮춰 시료의 흡입속도를 증가시킨다. 반면, 배출가스의 유속이 느려 동압이 낮아지면,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내의 부압을 높여 시료의 흡입속도를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배출가스의 유속과 시료의 흡입속도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시료의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내의 부압은 진공펌프(400)에 의해 조절되고, 진공펌프(400)의 작동은 컨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피토튜브(140)에서 측정된 배출가스의 동압에 따라 컨트롤러(500)가 진공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부압을 조절한다. 결국, 컨트롤러(500)에 의해 시료의 흡입속도가 조절된다.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제1처리부(200)는 채취부(100)에서 채취된 시료를 1차 필터링하는 수단이다. 즉, 채취된 시료로부터 수분 및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다.
제2처리부(300)는 제1처리부(200)에서 1차 필터링된 시료를 흡수액에서 흡수하는 부분이며, 그로부터 분석대상 물질만 분리하는 수단이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즉 다수의 임핀저가 일렬로 배열되어 다단으로 흡수하는 임핀저 박스(impinger box)일 수 있다.
진공펌프(400)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한다. 이때, 발생되는 부압을 통해 시료의 흡입속도가 조절된다.
컨트롤러(500)는 채취부(100), 제1처리부(200), 제2처리부(300) 및 진공펌 프(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출가스의 유속에 따라 시료의 흡입속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제1처리부(200)에 설치된 가열수단(도 5의 250)을 온/오프(on/off)하여 히팅홀더(도 2의 230)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부(200)는, 라이너(120)의 출구 쪽 일단에서 라이너(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원통여지(220)와, 원통여지(220)를 감싸는 히팅홀더(230)와, 히팅홀더(2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원통여지(220)는 내부에 필터(222)가 설치되어 라이너(120)을 통해 이송된 시료로부터 수분 및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원통여지(220)는 시료채취 시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라이너(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원통여지(220)의 탈착이 용이하며, 라이너(120)와 원통여지(22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클램프와 같은 체결수단(224)이 설치된다.
히팅홀더(230)는 내부에 위치된 원통여지(2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원통여지(220)의 내부에 흐르는 시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도의 히팅홀더(230)는, 제1하우징(232a)과, 제1하우징(232a)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232b)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232a)의 내 부에는 원통여지(22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제1안착홈(234a)이 형성되며, 제2하우징(232b)의 내부에는 원통여지(22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제2안착홈(234b)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안착홈(234a,234b)의 내벽에는 탄성패드(236a,236b)가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히팅홀더(230)는 제1 및 제2안착홈(234a,234b)을 통해 원통여지(220)를 지지하므로,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경질유리 및 석영재질의 원통여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안착홈(234a,234b)의 내벽에 탄성패드(236a,236b)가 부착되어,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원통여지(220)를 보호할 수 있다.
지지대(240)는 히팅홀더(230)의 일단에 결합되어 프로브후단(110)과 라이너(120)를 지지하고, 지지대(24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242)가 설치되어 프로브후단(110)과 라이너(120)의 유동을 방지한다. 즉, 지지대(240)는 히팅홀더(230)와 일체로 결합되어, 히팅홀더(230)와 함께 프로브후단(110), 라이너(120) 및 원통여지(220)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히팅홀더(230)와 지지대(240)는 프로브후단(110), 라이너(120) 및 원통여지(2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진동 및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프로브후단(110), 라이너(120)와 원통여지(220)의 연결부위가 어긋날 우려가 없다. 또한, 원통여지(220)와 연결되는 라이너(120)의 단부에는 플랜지(246)가 형성되어, 체결수단(224)에 의한 결합이 확실하다.
한편, 히팅홀더(230)의 내부에는 원통여지(220)를 가열하여 시료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 가열수단(도 5 및 도 6의 250)이 설치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히팅홀더(230)의 내부,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내부에는 가열수단(250)이 설치된다.
이 가열수단(250)은 원통여지(220)의 시료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원통여지(220)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료를 이슬점 이상의 온도를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수단(250)은 원통여지(220)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원통여지(2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수단(250)은 도 5에 도시된 전열선(252)이거나 도 6에 도시된 히팅파이프(254)일 수 있다.
이 중에서, 전열선(252)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발열체이다.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외부로 노출된 단자를 통해 전원을 인가할 경우 원통여지(220)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열선(252)은 사용이 간편하고, 원통여지(220)의 온도를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히팅파이프(254)는 전열선(252)과 달리 핫가스와 같은 고온의 유체를 이용하여 원통여지(220)를 가열한다. 즉,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외부로 노출된 입구를 통해 핫가스가 주입되면, 히팅파이프(254)를 따라 순환하며 원통여 지(220)를 가열한다. 이때, 핫가스는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가스일 수 있다.
이러한 가열수단(250)이 설치된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내부에는 온도센서(256)가 설치된다. 이 온도센서(252)에서 측정된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내부온도는 컨트롤러(도 1의 500)로 전달되어, 가열수단(250)의 작동 제어에 사용된다. 즉, 제1 및 제2하우징(232a,232b)의 내부온도를 상시 측정하고, 이를 통해 가열수단(250)을 작동시켜 원통여지(220)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가열수단(250) 중 제1하우징(232a)에 설치되는 가열수단(250)은 지지대(240)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열수단(250)을 지지대(240)까지 연장할 경우 라이너(120) 내의 응축수 발생을 막아 원통여지(2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원통여지(220)를 라이너(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는 구조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이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처리부(200)는, 라이너(120)의 출구 쪽 일단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의 출구 쪽 일단에 설치되어 라이너(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원통여지(220)와, 원통여지(220)를 감싸는 히팅홀더(230)와, 히팅홀더(23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또한, 라이너(120)와 연결관(210) 사이, 그리고 연결관(210)과 원통여지(22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클램프와 같은 체결수단(224)이 설치된다.
이 중에서 히팅홀더(23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하우징(232a)과, 제1하우징(232a)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232b)로 구성되고, 제1하우징(232a)의 내부에는 원통여지(220)의 측면이 삽입되도록 제1안착홈(234a)이 형성된다. 또한, 제2하우징(232b)의 내부에는 원통여지(220)의 다른 측면이 삽입되도록 제2안착홈(234b)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안착홈(234a,234b)의 내벽에는 탄성패드(236a,236b)가 각각 부착된다.
지지대(240)는, 라이너(120), 그리고 연결관(210)에 의해 라이너(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원통여지(220) 지지할 수 있도록 히팅홀더(230)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히팅홀더(230)와 지지대(240)는 프로브후단(110), 라이너(120) 및 원통여지(2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진동 및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프로브후단(110), 라이너(120)와 원통여지(220)의 연결부위가 어긋날 우려가 없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120)와 연결관(210) 사이, 그리고 연결관(210)과 원통여지(22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클램프와 같은 체결수단(224)이 설치되므로 더욱 견고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중 히팅홀더가 닫힌 상태, 열린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채취부 110: 프로브
120: 라이너 130: 채취관
140: 피토튜브 200: 제1처리부
210: 연결관 220: 원통여지
230: 히팅홀더 240: 지지대
250: 가열수단 300: 제2처리부
400: 진공펌프 500: 컨트롤러

Claims (8)

  1. 일단이 굴뚝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흡입구가 굴뚝 내부에 위치되는 라이너 및 노즐;
    상기 라이너를 통해 유입되는 시료를 필터링하는 원통여지;
    상기 원통여지를 감싸고, 상기 원통여지를 지지하는 히팅홀더;
    상기 히팅홀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프로브 및 라이너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히팅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와 상기 원통여지 사이에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홀더가 상기 지지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팅홀더는,
    상기 원통여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1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통여지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2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안착홈의 내벽에 부착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프로브를 감싸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히팅홀더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에서 상기 원통여지를 감싸는 전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상기 원통여지를 감싸는 히팅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KR1020090087681A 2009-09-16 2009-09-16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KR10106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81A KR101064267B1 (ko) 2009-09-16 2009-09-16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681A KR101064267B1 (ko) 2009-09-16 2009-09-16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838A true KR20110029838A (ko) 2011-03-23
KR101064267B1 KR101064267B1 (ko) 2011-09-14

Family

ID=4393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681A KR101064267B1 (ko) 2009-09-16 2009-09-16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2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7297A (zh) * 2019-12-31 2020-05-15 江苏韵沣检测有限公司 一种废气试样采集装置
KR102181837B1 (ko) * 2019-07-30 2020-11-23 (주)두일테크 오토 퍼지 기능을 구비하는 유속 측정 시스템
KR20210027602A (ko) * 2019-08-29 2021-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 대기환경 모사 내열성 시료 테스터기 및 그 테스트 방법
KR102409227B1 (ko) * 2021-07-30 2022-06-22 주식회사 키마 산업 배기가스용 수분량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692B1 (ko) * 2021-01-26 2021-06-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굴뚝 배출 미세먼지 실시간 측정 장치
KR102592163B1 (ko) * 2023-01-03 2023-10-20 이영근 산업용 굴뚝의 유해가스 시료채취 프로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5447U (ko) 1985-10-31 1987-05-14
JP2001349828A (ja) 2000-06-09 2001-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微量金属カルボニル化合物の測定方法及び捕集装置
JP3583059B2 (ja) 2000-06-29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排ガス導入装置
KR100890062B1 (ko) 2008-08-19 2009-03-25 서원환경기술주식회사 시료가스 채취용 프로브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원격측정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37B1 (ko) * 2019-07-30 2020-11-23 (주)두일테크 오토 퍼지 기능을 구비하는 유속 측정 시스템
KR20210027602A (ko) * 2019-08-29 2021-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 대기환경 모사 내열성 시료 테스터기 및 그 테스트 방법
CN111157297A (zh) * 2019-12-31 2020-05-15 江苏韵沣检测有限公司 一种废气试样采集装置
KR102409227B1 (ko) * 2021-07-30 2022-06-22 주식회사 키마 산업 배기가스용 수분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267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267B1 (ko) 배출가스 시료 채취장치
CN105300744B (zh) 一种火电厂烟气no和汞同时采样和检测的系统
KR102179129B1 (ko) 굴뚝 배출가스의 고정오염원 통합측정장치
KR20120041920A (ko)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채취 및 측정 시스템
US20080282764A1 (en) Calibration checking for continuous emissions monitoring system
KR101692995B1 (ko) 수분유입을 저감시키기 위한 시료가스 채취용 프로브 유니트
CN106840264A (zh) 一种烟气连续在线监测系统
AU2008202646A1 (en) Controlled humidification calibration checking of continuous emissions monitoring system
CN109342284A (zh) 一种用于烟气中有害物质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3512556B2 (ja) ダスト濃度測定装置
KR102198919B1 (ko)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세척 방법
KR101955512B1 (ko) 자동 흡입형 가스 검지기
KR101695647B1 (ko) 파티클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티클 분리방법
KR20180076667A (ko) 굴뚝 배출가스 중 미세먼지 시료 채취관
CN105486551A (zh) 烟气采样器
CA2380774A1 (en) Sampling filter for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CN108120622B (zh) 一种可防尘加热的气体采样装置
KR101466969B1 (ko) 수은이 함유된 시료가스 채취용 프로브 유니트
CN208588591U (zh) 一种烟尘自动检测仪的气体分析两次进样装置
KR100788397B1 (ko) 배출가스 시료 채취기
CN213337515U (zh) 一种高温气体快速检测装置
KR100637863B1 (ko) 희석을 이용한 굴뚝가스시료 채취장치
CN208512224U (zh) VOCs废气爆炸下限的在线监测系统
KR101620408B1 (ko) 가스 감지 시스템
CN212008309U (zh) 一种延长热湿法紫外烟气分析仪气室维护周期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