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072A -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072A
KR20110029072A KR1020100081570A KR20100081570A KR20110029072A KR 20110029072 A KR20110029072 A KR 20110029072A KR 1020100081570 A KR1020100081570 A KR 1020100081570A KR 20100081570 A KR20100081570 A KR 20100081570A KR 20110029072 A KR20110029072 A KR 2011002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network
terminal
response messag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174B1 (ko
Inventor
지정훈
박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881,52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65430A1/en
Publication of KR2011002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2Inter-network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기종 네트워크 중 제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에서, 제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는 단말로부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로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게이트웨이는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한 후에, 단말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Description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DELE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기종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에 복수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즉 멀티모드 인터페이스를 소유한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페이징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특정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협소한 경우, 특정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에서 페이징 지원할 수 없는 경우 등의 이유로 인해서, 해당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특정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로 향하는 트래픽을 처리할 때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 중 제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페이징 대리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대리 요청의 성공인 경우,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값은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식별자,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페이징 대리 방법은, 단말로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서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는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상기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처리 요청의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기에서 상기 단말로 페이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송수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페이징 대리 등록부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송수신부는, 단말로부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서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서 상기 단말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부는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단말로의 수신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상기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제3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소정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 네트워크로 다른 네트워크를 설정함으로써, 소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파워 오프, 등록 해지, 소정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협소함 등의 이유로 페이징을 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페이징을 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대리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대리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DPF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MT, SS, PSS, UE,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P, RAS, 노드B, eNodeB,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간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기종 네트워크는 단말(100) 및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200, 300)를 포함한다.
단말(1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와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 즉 멀티모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모드 인터페이스는 여러 종류의 이기종 네트워크용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단말(100)에 부착된 여러 개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모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WiMA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GP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웨이(200/300)는 앵커 데이터 경로 기능부(anchor data path function, 앞으로 "앵커 DPF"라 함)(210/310) 및 페이징 제어기(220/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앵커 DPF(210)는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단말(100)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가 파워 오프되거나 등록 해지(de-registration)된 경우, 해당 단말(100)로 향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페이징 제어기(220)는 단말(100)의 위치 파악을 위하여 페이징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대리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대리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앞으로 "RAT1 네트워크"라 함)가 해당 인터페이스의 파워 오프, 등록 해지, RAT1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의 협소함 등을 이유로 페이징 대리 처리를 요구하는 네트워크이고, 제1 무선 접속 기술과 다른 제2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앞으로 "RAT2 네트워크"라 함)가 페이징 대리 처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RAT1 네트워크의 앵커 DPF(210)로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를 전송한다(S210). 단말(100)은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를 통해 RAT1 네트워크의 페이징 처리를 RAT2 네트워크에서 대리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는 페이징 대리를 요청한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RAT_Type), 단말(100)의 식별자(MS_ID) 및 페이징을 대리할 네트워크(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320)의 식별자(PC_ID)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RAT_Type)는 네트워크의 무선 접속 기술 타입이 될 수 있으며, 도 2의 예에서는 RAT1을 나타내는 값이다.
앵커 DPF(210)는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에 포함된 페이징 제어기(320)의 식별자(PC_ID)에 기초하여 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320)로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를 전송한다(S220). 이 경우,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는 단말(100)의 식별자(MC_ID) 및 RAT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RAT_Type)를 포함한다.
페이징 제어기(320)는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에 대한 응답 메시지(PAG_DLG_RSP)를 앵커 DPF(210)로 전송한다(S230). 응답 메시지(PAG_DLG_RSP)는 단말(100)의 식별자(MS_ID), RAT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RAT_Type) 및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Result)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페이징 대리 요청이 성공인 경우 결과 값을 '0'으로, 페이징 대리 요청이 실패인 경우 결과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앵커 DPF(21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PAG_DLG_RSP)의 결과 값이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면 '0'인 경우), 단말(100)의 RAT1 네트워크에 대한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한다(S240).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는 예를 들면 표 1처럼 설정될 수 있다.
페이징 대리 등록 여부 인터페이스 상태 페이징 제어기 정보
Paging_Delegation: On, Off REACHABLE_VIA_ANOTHER: Anchor_RAT_Type
REACHABLE_DIRECTLY
NON_REACHABLE
PC_ID, IP 주소, MAC 주소
표 1에서, 응답 메시지(PAG_DLG_RSP)의 결과 값이 성공('0')인 경우 페이징 대리 등록 여부(Paging_Delegation)는 "On"으로 설정되고, 응답 메시지(PAG_DLG_RSP)의 결과 값이 실패('1')인 경우 페이징 대리 등록 여부(Paging_Delegation)는 "Off"로 설정된다. 그리고 도 2의 예에서 인터페이스 상태(REACHABLE_VIA_ANOTHER)에는 Anchor_RAT_Type, 즉 RAT2가 설정되어, 단말(100)의 RAT1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RAT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함을 나타낸다. 페이징 제어기 정보에는 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320)의 정보, 즉 페이징 제어기의 식별자(PC_ID),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앵커 DPF(210)는 단말(100)로 응답 메시지(PAG_DLG_RSP)를 전송하여서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를 통지한다(S250). 이 경우, 응답 메시지(PAG_DLG_RSP)는 단말(100)의 식별자(MS_ID), RAT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RAT_Type), 결과 값(Result) 및 상태 값(State)을 포함한다. 상태 값은 단말(100)의 RAT1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태 값으로 도 2의 예에서는 "REACHABLE_VIA_ANOTHER: RAT2"로 설정된다. 단말(100)도 응답 메시지(PAG_DLG_RSP)에 기초하여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한다(S260).
이와 같이 단말(100)이 RAT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 네트워크로 RAT2 네트워크를 설정함으로써, RAT1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할 수 없는 경우에 RAT2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페이징 대리 처리 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RAT1 네트워크의 앵커 DPF(210)로 수신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S310), 앵커 DPF(210)는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참조한다(S320). 도 2의 예를 참고하면, 앵커 DPF(210)는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서 단말(100)의 RAT1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RAT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는 정보 및 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320)의 정보, 즉 식별자(PC_ID), IP 주소 및 MAC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앵커 DPF(210)는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서 확인한 정보에 기초하여 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320)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PAG_REQ)를 송신한다(S330).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PAG_REQ)는 단말의 식별자(MS_ID) 및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RAT1 네트워크의 타입(RAT_Type)을 포함한다.
페이징 제어기(320)는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PAG_REQ)에 대한 응답 메시지(PAG_RSP)를 앵커 DPF(210)로 송신한다(S340). 응답 메시지(PAG_RSP)는 페이징 처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Result)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페이징 처리 요청이 성공인 경우 결과 값을 '0'으로, 페이징 처리 요청이 실패인 경우 결과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페이징 제어기(320)가 페이징 처리 요청을 수락한 경우, 즉 앵커 DPF(210)로 성공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PAG_RSP)를 송신한 경우, 페이징 제어기(320)는 RAT2 네트워크의 페이징 처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PAG)를 단말로 송신한다(S350). 페이징 메시지(PAG)는 해당 메시지가 다른 기종의 네트워크를 위한 대리 페이징이라는 정보(Delegation), 해당 네트워크(즉, RAT1 네트워크)의 타입을 나타내는 값(RAT_Type) 및 단말(100)의 해당 네트워크용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의 주소(Interface_ID)(예를 들면 IP 주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통해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페이징 처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서 페이징을 대리 처리할 수 있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DPF(2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앵커 DPF(210)는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페이징 대리 장치로 동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DPF(2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앵커 DPF(210)는 송수신부(212), 페이징 대리 등록부(214) 및 데이터베이스(216)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2)는 페이징 대리 요청 메시지(PAG_DLG_REQ)와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PAG_DLG_RSP)를 송수신하며, 또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PAG_REQ)를 송신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PAG_RSP)를 수신한다. 페이징 대리 등록부(214)는 페이징 제어기(32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PAG_DLG_RSP)에 기초하여서 데이터베이스(216)에 표 1과 같은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이기종 네트워크 중 제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대리 요청의 성공인 경우,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상태 값은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함을 나타내는 페이징 대리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식별자,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2 응답 메시지는 상기 결과 값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8. 이기종 네트워크 중 제1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으로서,
    단말로의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서 상기 단말의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는 정보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상기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처리 요청의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기에서 상기 단말로 페이징이 수행되는 페이징 대리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식별자,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방법.
  12. 단말로부터 제1 네트워크의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서 제2 네트워크의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대리를 요청하는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페이징 대리 요청에 대한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서 상기 단말로 제2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하는 페이징 대리 등록부
    를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단말로의 수신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제어기로부터 상기 페이징 처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제3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페이징 대리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3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처리 요청의 성공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페이징 제어기에서 상기 단말로 페이징이 수행되는 페이징 대리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의 결과 값이 페이징 대리 요청의 성공인 경우, 상기 페이징 대리 등록 정보는 상기 페이징 제어기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의 상태 값을 포함하는 페이징 대리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상태 값은 상기 제1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함을 나타내는 페이징 대리 장치.
KR1020100081570A 2009-09-14 2010-08-23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 KR10132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1,527 US20110065430A1 (en) 2009-09-14 2010-09-14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dele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6518 2009-09-14
KR1020090086518 2009-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72A true KR20110029072A (ko) 2011-03-22
KR101328174B1 KR101328174B1 (ko) 2013-11-13

Family

ID=4393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570A KR101328174B1 (ko) 2009-09-14 2010-08-23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965A (ko) * 2013-04-11 2014-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및 이종망 통합 무선 액세스 환경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2281B2 (en) * 1999-11-27 2006-06-13 Long Range Systems, Inc. Multi-mode paging system
US8219117B2 (en) * 2006-02-27 2012-07-10 Alvarion Ltd. Method of paging a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965A (ko) * 2013-04-11 2014-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및 이종망 통합 무선 액세스 환경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174B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5746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290518B2 (en) Paging mechanisms for mobile stations with multiple subscriptions
US9549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roximity-based servic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28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such a system
JP2020129826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US20070002811A1 (en) Mechanism to enable optimized provision of beacon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KR101439270B1 (ko) 다중 케어 오브 어드레싱을 갖는 이동 노드의 터널 통신의 연속성 지원
US8483131B2 (en) Method for negotiating and transmitting length information of location update time
KR101345415B1 (ko) 푸쉬 메시지 전송 방법, 상기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 및 푸쉬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102290691B1 (ko) 통신 방법 및 장치
EP3700142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9241352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n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node of a data service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03664A (ko) 연결설정 및 핸드오버를 수행한 단말을 이용한 인접기지국정보 관리방법 및 시스템
JP7476992B2 (ja) 基地局、及び方法
TW201906431A (zh) 位置追踪方法及使用其之基站與用戶設備
US10880760B2 (en) Identification of neighboring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3005831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local address in shunt connection
JP2009517986A (ja) リバーストンネルを形成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1014291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665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dle mode handover i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KR20170021876A (ko) 코어 네트워크와 무선 노드 인증의 오프로딩
KR101328174B1 (ko) 이기종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대리 방법 및 장치
KR100950845B1 (ko) 역방향 터널을 생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7357798B2 (ja) データリンク上の動的ステータス情報のための報告サービス
US2011006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deleg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