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751A -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751A
KR20110028751A KR1020090086335A KR20090086335A KR20110028751A KR 20110028751 A KR20110028751 A KR 20110028751A KR 1020090086335 A KR1020090086335 A KR 1020090086335A KR 20090086335 A KR20090086335 A KR 20090086335A KR 20110028751 A KR20110028751 A KR 2011002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ter
power led
microcontroller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460B1 (ko
Inventor
박효식
한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이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이콘
Priority to KR102009008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8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organised in strings and incorporating parallel shu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버터를 통합제어함으로써 파워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휘도를 다양하게 가변시키며, 파워 LED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는, 다수의 파워 LED 가 배열된 조명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부(210);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전원의 역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220); 상기 역률 개선된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메인 DC-DC 컨버터(230); 상기 메인 DC-DC 컨버터와 병렬결합된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240) - 상기 직렬 라인은 상기 파워 LED가 복수개 직렬결합됨 -;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 각각에 흐르는 파워 LED 구동전류를 독립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직렬연결된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251, ..., 25N); 및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를 동시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파워, LED, 구동, 컨버터, 마이크로컨트롤러

Description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FOR DRIVING POWER LED USING MICROCONTROLLER}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이 높고, 동작수명이 길기 때문에 최근 LED를 조명분야에 적용하는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특히 파워 LED는 휘도가 높아 조명분야에 적합한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파워 LED는 점등되면 반도체 접합면에 열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워 LED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시켜야 하는데, 대부분의 파워 LED 조명시스템에서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여 파워 LED 조명등이 설치 후 시간이 얼마 경과되지 않아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전원공급장치 후단에 정전류제어회로를 추가하는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의 전체 블럭도로서,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파워 LED에 안정적인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정 류회로부(110), 반도체 스위칭 동작에 의한 입력전원 역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컨버터(120, PFC: Power Factor Corrector), 역률개선용 컨버터 내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회로부(125), 역률 개선된 전압을 적절한 전위의 직류분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메인 DC-DC 컨버터(130), DC-DC 컨버터 내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회로부(135), N개의 직렬라인으로 배열된 파워 LED 소자군(140), N개의 직렬라인에 배열된 파워 LED 구동전류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N개의 전류제한용 컨버터(151, ..., 15N), N개의 전류제한용 컨버터 내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3 내지 (N+2) 제어회로부(161, ..., 16N)을 포함한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는 역률개선용 컨버터(120), 메인 DC-DC 컨버터(130), 그리고 전류제한용 컨버터(151, ..., 15N) 등 3종류의 컨버터가 적용된다.
그런데, 이때 종래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컨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LED 조명등은 복수 개의 파워 LED, 즉 6개 또는 12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직렬라인을 구성한 후, 이러한 직렬라인을 다수 개 병렬로 연결하여 전체 조명등을 구성하게 되는데 각 직렬라인마다 전류제한회로를 별도로 구비한다. 따라서 직렬라인 수만큼의 전류제한용 컨버터의 제어회로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먼저, 각각의 제어회로부마다 제어전원용 전원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다수의 제어전원용 전원전압을 만들기 때문에 전원발생장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파워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에서 휘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통합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휘도를 50% 줄이고자 하는 경우, 항상 정해진 일부 직렬라인만 오프시켜야 한다. 이로 인하여 나머지 파워 LED는 턴온 상태를 지속하므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셋째, 다수의 제어회로부를 통해 각각의 컨버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파워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휘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기 어렵다. 넷째, 다수의 제어회로부를 통해 각각의 컨버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므로 통신기능을 활용한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버터를 통합제어함으로써 파워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휘도를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버터를 통합제어함으로써 파워 LED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버터를 통합제어하므로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는, 다수의 파워 LED 가 배열된 조명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부(210);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전원의 역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220); 상기 역률 개선된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메인 DC-DC 컨버터(230); 상기 메인 DC-DC 컨버터와 병렬결합된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240) - 상기 직렬 라인은 상기 파워 LED가 복수개 직렬결합됨 -;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 각각에 흐르는 파워 LED 구동전류를 독립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직렬연결된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251, ..., 25N); 및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를 동시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혹은 전류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430); 상기 A/D 변환부 내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D 채널선택부(420); 상기 A/D 채널선택부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처리부(410); 및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D 변환부(430)는,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22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1(431); 상기 메인 DC-DC 컨버터(23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2(432); 및 상기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251, ... 25N)의 출력 전류를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3~(N+2)(433, ..., 43(N+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는,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고정되고 시비율이 가변되는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PWM 파형 발생부(441);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 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시비율이 가변되는 PF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PFM 파형 발생부(442); 및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온오프 시점이 동기 또는 비동기적으로 제어되는 제2 내지 (N+1) PWM 파형 발생부(443, ..., 44(N+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에서 요구되는 조도값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의 정격 휘도를 위하여 요구되는 개수보다 소정 개수만큼 더 많게 배치되고, 상기 조명 장치에서 요구되는 조도값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컨버터를 통합제어함으로써 파워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휘도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통합제어를 통해 파워 LED의 스위칭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파워 LED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하므로 원격으로 휘도조절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의 전체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파워 LED에 안정적인 직류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정류회로부(210), 반도체 스위칭 동작에 의한 입력전원의 역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승압형 DC-DC 컨버터(220), 역률 개선된 전압을 적절한 전위의 직류분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메인 DC-DC 컨버터(230), N개의 직렬라인으로 배열된 파워 LED 소자군(240), N개의 직렬라인에 배열된 파워 LED의 구동전류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N개의 전류제한용 강압형 DC-DC 컨버터(251, ..., 25N), 역률개선용 승압형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강압형 DC-DC 컨버터를 동시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구동제어신호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역률개선용 승압형 DC-DC 컨버터(220)에는 주파수가 고정되고 시비율(Duty Ratio)가 가변되는 펄스 폭 변조(PWM) 파형을 제공하고, 메인 DC-DC 컨버터(230)에 주파수와 시비율이 가변되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 파형을 제공하며, 5개의 전류제한용 강압형 DC-DC 컨버터(251, ..., 255)에는 온오프 시점이 동기 또는 비동기적으로 제어되는 펄스 폭 변조(PWM) 파형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DC-DC 컨버터(230)는 공진형 컨버터를 사용하므로 PFM 파형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DC-DC 컨버터가 공진형이 아니면, PWM 파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200)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200)는 복수의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혹은 전류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 한 A/D 변환부(430), A/D 변환부 내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D 채널선택부(420), A/D 채널선택부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처리부(410), 및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D 변환부(430)는 역률개선용 승압형 DC-DC 컨버터(22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1(431), 메인 DC-DC 컨버터(23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2(432), 및 전류제한용 강압형 DC-DC 컨버터(251, ... 25N)의 출력 전류를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3~(N+2)(433, ..., 43(N+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는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고정되고 시비율(Duty Ratio)가 가변되는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PWM 파형 발생부(441),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시비율이 가변되는 PF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PFM 파형 발생부(442), 그리고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온오프 시점이 동기 또는 비동기적으로 제어되는 제2 내지 (N+1) PWM 파형 발생부(443, ..., 44(N+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조명 장치에 요구되는 정격 휘도에 필요한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정격 휘도를 위하여 전체 4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에 100%의 휘도가 요구되면, 4개의 파워 LEDF 직렬 라인 전부를 턴온시킨다.
그런데, 75%의 휘도가 요구되는 경우, 4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 중 3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턴온 상태를 유지시키고, 1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1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은 4개 중에서 번갈아가면서 선택된다. 예컨대, 제1 10분 동안은 제1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턴오프되고, 제2 10분 동안은 제2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제3 10분 동안은 제3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제4 10분 동안은 제4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턴오프된다. 이후,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조명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부착된 조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으로부터 50%의 휘도가 요구된다면, 4개의 직렬 라인 중 2개의 직렬 라인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2개의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2개의 직렬 라인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2개의 직렬 라인 중에서 번갈아가면서 선택된다. 여기서, 4개 직렬 라인 중 2개 직렬 라인을 선택하는 방식은 파워 LED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나 족하다. 예컨대, 제1 10분 동안은 제1 및 제2 직렬 라인을, 제2 10분 동안은 제3 및 제4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조명 장치의 각 직렬 라인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매 10분마다 최하위 및 차하위 온도값을 갖는 직렬 라인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조명 장치에 요구되는 정격 휘도에 필요한 개수보다 소정 개수만큼 더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정격 휘도를 위하여 4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이 필요하다면 1개의 직렬 라인을 추가하여 5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조명 장치에 100%의 휘도가 요구되면, 5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 중 4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턴온 상태를 유지시키고, 1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1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은 5개 중에서 번갈아가면서 선택된다. 예컨대, 제1 10분 동안은 제1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턴오프되고, 제2 10분 동안은 제2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제3 10분 동안은 제3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제4 10분 동안은 제4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제5 10분 동안은 제5 직렬 라인의 파워 LED가 턴오프된다. 이후,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조명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부착된 조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으로부터 75%의 휘도가 요구된다면, 5개의 직렬 라인 중 3개의 직렬 라인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2개의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2개의 직렬 라인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5개 중에서 번갈아가면서 선택된다. 여기서, 5개 직렬 라인 중 2개 직렬 라인을 선택하는 방식은 파워 LED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나 족하다. 예컨대, 제1 10분 동안은 제1 및 제2 직렬 라인을, 제2 10분 동안은 제3 및 제4 직렬 라인을, 제3 10분 동안은 제5 및 제1 직렬 라인을, 제4 10분 동안은 제2 및 제3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조명 장치의 각 직렬 라인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매 10분마다 최하위 및 차하위 온도값을 갖는 직렬 라인을 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부착된 조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으로부터 50%의 휘도가 요구된다면, 5개의 직렬 라인 중 2개의 직렬 라인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3개의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되, 5개의 직렬 라인 중 턴온되는 2개의 직렬 라인을 선택하는 방식은 파워 LED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나 족하다.
또한, 조명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에 부착된 조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으로부터 25%의 휘도가 요구된다면, 5개의 직렬 라인 중 1개의 직렬 라인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4개의 직렬 라인을 턴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1개의 직렬 라인은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5개 중에서 번갈아가면서 선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의 전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전원공급장치의 전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LED 구동용 구동제어신호 파형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컨트롤러(200)의 블럭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10: 정류회로부 220:역률개선용 승압형 DC-DC 컨버터
230: 메인 DC-DC 컨버터 240: 전류제한용 강압형 DC-DC 컨버터
200: 마이크로컨트롤러

Claims (6)

  1. 다수의 파워 LED 가 배열된 조명 장치를 구동함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부(210);
    상기 정류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전원의 역률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220);
    상기 역률 개선된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메인 DC-DC 컨버터(230);
    상기 메인 DC-DC 컨버터와 병렬결합된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240) - 상기 직렬 라인은 상기 파워 LED가 복수개 직렬결합됨 -;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 각각에 흐르는 파워 LED 구동전류를 독립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직렬연결된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251, ..., 25N); 및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를 동시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 메인 DC-DC 컨버터, 그리고,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혹은 전류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430);
    상기 A/D 변환부 내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A/D 채널선택부(420);
    상기 A/D 채널선택부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연산처리부(410); 및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 파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부(430)는,
    상기 역률개선용 DC-DC 컨버터(22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1(431);
    상기 메인 DC-DC 컨버터(230)의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2(432); 및
    상기 N개의 전류제한용 DC-DC 컨버터(251, ... 25N)의 출력 전류를 피드백 받기 위한 A/D 채널#3~(N+2)(433, ..., 43(N+2))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파형 발생부(440)는,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고정되고 시비율이 가변되는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PWM 파형 발생부(441);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시비율이 가변되는 PFM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PFM 파형 발생부(442); 및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온오프 시점이 동기 또는 비동기적으로 제어되는 제2 내지 (N+1) PWM 파형 발생부(443, ..., 44(N+1))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에서 요구되는 조도값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정격 휘도를 위하여 요구되는 개수보다 소정 개수만큼 더 많게 배치되고, 상기 조명 장치에서 요구되는 조도값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파워 LED 직렬 라인은 상기 N개의 파워 LED 직렬 라인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090086335A 2009-09-14 2009-09-1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2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35A KR101028460B1 (ko) 2009-09-14 2009-09-1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35A KR101028460B1 (ko) 2009-09-14 2009-09-1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51A true KR20110028751A (ko) 2011-03-22
KR101028460B1 KR101028460B1 (ko) 2011-04-14

Family

ID=4393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335A KR101028460B1 (ko) 2009-09-14 2009-09-14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6327A (zh) * 2013-10-23 2014-02-19 西安铨芯电子有限公司 非隔离型led驱动电路
KR101495844B1 (ko) * 2012-10-18 2015-02-26 김남규 Led 전원 공급 장치
KR20170006475A (ko) * 2015-07-08 2017-01-18 유수근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기반의 LED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961B1 (ko) * 2011-09-06 2013-06-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Dsp를 이용한 led 구동 장치
KR101342245B1 (ko) * 2012-10-18 2013-12-16 김남규 Led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79A (ko) 1997-07-31 1999-02-2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의 역률개선회로
KR20060055658A (ko) * 2004-11-18 200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844B1 (ko) * 2012-10-18 2015-02-26 김남규 Led 전원 공급 장치
CN103596327A (zh) * 2013-10-23 2014-02-19 西安铨芯电子有限公司 非隔离型led驱动电路
CN103596327B (zh) * 2013-10-23 2016-05-25 西安铨芯电子有限公司 非隔离型led驱动电路
KR20170006475A (ko) * 2015-07-08 2017-01-18 유수근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기반의 LED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460B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844B2 (en) Multichannel constant current LED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LED driving power
US9924569B2 (en) LED driving circuit
EP2316057B1 (en) Power converter for an led assembly and lighting application
JP5981337B2 (ja) 低コストの電力供給回路及び方法
US9374860B2 (en) Lighting device
US9258861B2 (en) Apparatus for driving multi-color LED strings
US20140265894A1 (en) Cascade led driver and control methods
KR101028460B1 (ko)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파워 led 구동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40107836A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TWI584672B (zh) 驅動數種顏色的發光二極體串之裝置
JP5911887B2 (ja) 直列/並列の固体照明デバイス用のランプ制御されたドライバ
Hwu et al. A LED current balancing driver with magnetizing inductance energy recycling considered
Zhao et al. An energy conservation based high-efficiency dimmable multi-channel LED driver
US8947007B2 (en) High efficiency inductor-less off-line LED driver
CN109410848B (zh) Led背光驱动双控制器级联的系统和方法
Dietrich et al. A capacitor-free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LED driver
JP2007234309A (ja) Led駆動制御方法
KR20180104443A (ko) 복합 led 구동 회로
KR101464083B1 (ko) 플리커 저감 기능을 갖는 교류 다이렉트 방식의 led 구동회로
JP2018073702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Luo et al. High step-down multiple-output LED driver with the current auto-balance characteristic
EP2458938B1 (en) LED lighting circuit
Jeong et al. A 110-V AC, 17.1-W multi-segmented LED driver with 96.2% power factor
KR101008432B1 (ko) 디지털 디밍 led 구동 회로
TWI533748B (zh) Light - emitting diode circuit system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and optim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