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25A -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25A
KR20110027525A KR1020100010834A KR20100010834A KR20110027525A KR 20110027525 A KR20110027525 A KR 20110027525A KR 1020100010834 A KR1020100010834 A KR 1020100010834A KR 20100010834 A KR20100010834 A KR 20100010834A KR 20110027525 A KR20110027525 A KR 2011002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ference signal
comp
inform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235B1 (ko
Inventor
구자호
이문일
정재훈
임빈철
고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23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148 priority patent/WO2011031079A2/ko
Priority to US13/394,981 priority patent/US8982747B2/en
Publication of KR2011002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중 셀 기반에서의 CoMP MU-MIMO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특정 기지국을 기준으로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CoMP ID에 기반한 동일한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MU-MIMO 방식을 지원하며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의 경우에 기지국은 CoMP 참조신호의 시퀀스 정보, 주파수 시프트 정보 등을 단말에 추가적으로 전송해 줄 필요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CoMP 세트 ID에 기반하여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P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for MU-MIMO scheme,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MU-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을 위한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과, 이들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광대역 무선이동통신 기술로서 다중 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통신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을 말한다. MIMO 시스템은 동일 데이터 전송 여부에 따라 공간 다중화 기법과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 다중화 기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시스템의 대역폭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의 일 예로 시공간 채널 코딩(Space Time Channel coding)이 있다.
또한, MIMO 기술은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의 채널 정보의 피드백 여부에 따라 개루프 방식 및 폐루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루프 방식에는 송신단에서 정보를 병렬로 전송하며 수신단에서는 ZF(Zero Forcing),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방식을 반복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하고 송신 안테나 수만큼 정보량을 늘릴 수 있는 블라스트(BLAST) 및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전송 다이버시티와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STTC(Space-Time Trellis Code)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폐루프 방식에는 TxAA(Transmit Antenna Array) 방식 등이 있다.
협력 멀티 포인트(Coordinated Multi-Point: CoMP) 시스템 (이하 CoMP 시스템이라 한다)은 다중 셀 환경에서 개선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송을 적용함으로써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CoMP 시스템을 적용하면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CoMP 시스템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셀 기지국(Multi-cell base-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자원(Same Radio Frequency Resource)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UE 1, UE 2, … UE K)에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상태정보(CSI)에 기초하여 공간 분할 다중접속(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CoMP 방식은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적 MIMO (Co-MIMO) 형태의 조인트 프로세싱(JP: Joint Processing)과 협력 스케줄링 방식/빔포밍 방식(CS/CB: Coordinated Scheduling scheme/Beamforming scheme)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인트라 기지국(intra eNB)과 인터 기지국(inter eNB)의 CoMP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셀(Multi Cell) 환경에서 인트라 기지국(110, 120) 및 인터 기지국(130)이 존재한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인트라 기지국은 몇 개의 셀(혹은 섹터)로 이루어져 있다.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 속한 셀 들은 특정 단말과 인트라 기지국(110, 120) 관계에 있다. 즉, 단말이 속한 셀과 같은 기지국을 공유하는 것이 셀 들은 인트라 기지국(110, 120)에 해당하는 셀 들이며, 다른 기지국들에 속한 셀 들은 인터 기지국(130)에 해당하는 셀들이 된다. 이와 같이, 특정 단말과 동일한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셀 들은 x2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상태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주고 받지만, 다른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셀 들은 백홀(140) 등을 통해서 셀 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셀 내에 있는 단일 셀 MIMO 사용자(150)는 한 셀(섹터)에서 하나의 서빙 기지국과 통신하고, 셀 경계에 위치한 다중 셀 MIMO 사용자(160)는 다중 셀(섹터)에서 다수의 서빙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CoMP 시스템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 기지국(Multi-cell base-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즉, 다중 셀 환경 하에서 CoMP 동작을 이용하여 셀 경계 단말의 통신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각 셀에 속한 단말들이 다중-사용자 MIMO(MU-MIMO: Multiple User-MIMO)를 수행함에 있어 CoMP 세트가 겹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CoMP MU-MIMO를 수행하는 다른 셀에 속한 각 단말은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이 어떤 참조신호를 전송하는지 알지 못할 수 있다. 단말들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CoMP MU-MIMO 수행에 있어 통신 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에서, 특정 단말이 상기 CoMP 세트 중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MP 세트 내의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수신한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및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때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생성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에서, 상기 CoMP 세트 내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중 참조신호 시퀀스에 기초해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참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특정 단말이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중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MP 세트 내의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한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및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수단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내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한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생성된 참조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셀 기반에서 CoMP MU-MIMO를 수행함에 있어, 기지국은 단말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신해 주고, 단말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통신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인트라 기지국(intra eNB)과 인터 기지국(inter eNB)의 CoMP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례인 3GPP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 격자 구조(resource grid structure)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CoMP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LTE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 LTE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도 2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단말은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2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SCH: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부 동기 채널(S-SCH: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정보에 따른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여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단계 S203 내지 단계 S206과 같은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접속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통해 특징 시퀀스를 프리엠블로서 전송하고(S203),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이에 대응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통해 상기 임의접속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4). 핸드오버(Handover)의 경우를 제외한 경쟁 기반 임의접속의 경우 그 후 추가적인 물리 임의접속 채널의 전송(S205)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수신(S206)과 같은 충돌해결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수신(S2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S208)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에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채널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 Precoding Matrix Index),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기기는 상술한 CQI, PMI, RI 등의 제어 정보를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 및/또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례인 3GPP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GPP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하향링크로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Code Word)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코드워드는 스크램블링 모듈(301) 및 변조 맵퍼(302)를 통해 복소 심볼로서 처리될 수 있다, 그 후, 복소 심볼은 레이터 맵퍼(303)에 의해 복수의 레이어(Layer)에 매핑되며, 각 레이어는 프리코딩 모듈(304)에 의해 채널 상태에 따라 선택된 소정 프리코딩 행렬과 곱해져 각 전송 안테나에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된 각 안테나별 전송 신호는 각각 자원 요소 맵퍼(305)에 의해 전송에 이용될 시간-주파수 자원 요소에 매핑되며, 이후 OFDM 신호 생성기(306)를 거쳐 각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의 시간-주파수 자원 격자 구조(resource grid structure)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 슬롯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는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와
Figure pat00003
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는 자원 격자(resource grid) 구조로 이용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04
은 하향링크에서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05
는 하나의 RB을 구성하는 부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OFDM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의 크기는 셀 내에서 구성된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라 달라지며
Figure pat00008
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09
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가장 작은 하향링크 대역폭이며
Figure pat00010
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가장 큰 하향링크 대역폭이다.
Figure pat00011
=6이고
Figure pat00012
=110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슬롯 내에 포함된 OFDM 심볼의 개수는 순환 전치(CP: Cyclic Prefix)의 길이 및 부반송파의 간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중안테나 전송의 경우에, 하나의 안테나 포트 당 하나의 자원 격자가 정의될 수 있다.
각 안테나 포트에 대한 자원 격자 내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라고 불리우며, 슬롯 내의 인덱스 쌍 (k,l)에 의해 유일하게 식별된다. 여기서, k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인덱스이고, l는 시간 영역에서의 인덱스이며 k는 0,...,
Figure pat00013
-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고, l는 0,...,
Figure pat00014
-1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자원 블록은 어떤 물리 채널과 자원 요소들 간의 매핑(mapping)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RB는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과 가상 자원 블록(VRB: Virtual Resource Block)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하나의 PRB는 시간 영역의
Figure pat00015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의
Figure pat00016
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로 정의된다. 여기서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는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at00019
는 다음 표 1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PRB는
Figure pat00021
개의 자원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의 PRB는 시간 영역에서는 하나의 슬롯에 대응되고 주파수 영역에서는 180kHz에 대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2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셀 또는 섹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특히 지역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 셀 또는 섹터로 호칭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또는 셀)은 단말에게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또는 셀)으로 볼 수 있고, 협력 다중 전송 포인트(coordinated multiple transmission point) 상에서의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서빙 기지국(또는 셀)은 앵커 기지국(또는 셀)(anchor cell)이라 칭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인접 기지국(셀)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 기지국은 지역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 인접 셀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CoMP 세트라 함은 CoMP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셀의 한 집합을 말한다.
다중 셀 환경 하에서 CoMP 방식을 이용하면 셀 경계 단말의 통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CoMP 방식에는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적 MIMO 형태의 조인트 프로세싱(JP: Joint Processing)과 worst companion, best companion과 같이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한 협력 스케줄링/빔포빙(CS/CB: 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방식, 서로 지리적(geographical)으로 떨어져 있는 전송 프로세스 (예를 들어, 다중-안테나) 방식 등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특히, 협력 스케줄링/빔포밍(CS/CB) 방식은 셀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단말이 제한 및/또는 추천 PMI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worst companion 방식은 단말이 CoMP동작을 수행하는 셀 들에 대해 가장 간섭이 큰 PMI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고함으로써 해당 인접 셀들이 그에 해당하는 PMI를 제외한 차선의 PMI를 사용하여 셀 간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Best companion 방식은 단말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셀 들에 대해 가장 간섭이 적은 PMI에 대해 보고함으로써 해당 인접 셀들이 그에 해당하는 PMI를 사용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줄이는 방법이다.
MIMO 방식에는 한 사용자에게 기지국의 안테나 자원 모두를 할당하는 방식인 단일 사용자-MIMO(SU-MIMO: Single User-MIMO) 방식과 다수의 사용자에게 안테나 자원 또는 무선 공간 자원을 분배하는 방식인 다중 사용자-MIMO(MU-MIMO: Multiple User-MIMO) 방식이 있다. 다중 셀 기반 환경하에서 CoMP MU-MIMO를 수행하는 서로 다른 셀에 속한 각 단말은 CoMP MU-MIMO 수행을 위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이 어떤 참조신호를 전송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 즉, 단말은 이러한 참조신호에 기초하여 정확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셀들이 서빙 셀의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에게 바람직한 신호(desirable signal)를 동일한 자원 영역(시간/주파수 영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코히런트(coherent) 또는 RF 컴바이닝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RF 컴바이닝 방식을 위해 셀 간 협력을 통한 셀 간의 MIMO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MIMO 방식에는 셀 간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SFN: Single Frequency Network) 전송 또는 시공간 블록 코드(SFBC: Space Time Block Code)와 같은 전송 다이버시티(TxD) 방식, 또는 상위 계층(higher layer)의 공간 다중화(SM: Spatial Multiplexing) 방식 등이 있다.
다중 셀 간의 코히런트 MIMO 전송에서 셀 마다 서로 다른 셀 ID에 기반한 참조신호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중 셀 간의 각기 다른 참조신호 시퀀스, 패턴에 의해 데이터 자원 요소와 참조신호 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단말의 채널 추정 성능에 열화를 야기한다. 또한 시공간 블록 코드(SFBC)와 같은 전송 다이버시티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다중 셀간의 각기 다른 참조신호는 다이버시트 이득을 얻기 위한 데이터 간의 페어링(pairling)을 깨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다중 셀 간의 각기 다른 참조신호를 이용함에 따른 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수행하는 CoMP 세트에 속한 셀 들의 참조신호 시퀀스 및 패턴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셀이 같은 셀 ID에 기반한 동일한 참조신호 시퀀스를 동일한 자원 영역(시간/주파수 영역)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중 셀들이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CoMP 참조신호 시퀀스의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안테나 port 5를 이용하여 참조신호 시퀀스 r(m)를 복소값 변조 심볼(complex-value modulation symbol)
Figure pat00023
에 매핑한다고 가정하고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이때, 셀-특정 주파수 시프트(cell-specific frequency shift) 식인
Figure pat00025
를 제외하고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한다. CoMP 동작을 수행하는(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인접 셀은 서빙 셀의 D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퀀스에 기초하여 참조신호 시퀀스을 생성하고 이를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CoMP 참조신호 시퀀스의 생성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사전에 CoMP 세트 ID(
Figure pat00026
)를 설정하고, CoMP를 수행하는 서빙 셀과 인접 셀들이 사전에 설정된 CoMP 세트 ID 중에서 동일한 CoMP 세트 ID에 기반하여 다음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27
인접 셀 들은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생성된 참조신호 시퀀스를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서 CoMP 세트-특정 주파수 시프트(CoMP set-specific frequency shift) 식인
Figure pat00028
를 이용하여 특정 CoMP 세트에 속한 셀 들의 동일한 DRS 시퀀스,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셀 기반의 CoMP 방식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셀 들은 참조신호 시퀀스를 동일하게 생성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셀 경계에 있는 단말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인접 셀로부터 바람직한 신호를 수신하는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JP)의 경우는 SU-MIMO와 MU-MIMO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CoMP 세트를 구성하는 다중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을 위해 모든 자원을 할당하는 SU-MIMO 방식과 다중 기지국이 다수의 단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MU-MIMO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CoMP 세트 내의 특정 한 단말을 위해 다중 셀들이 SU-MIMO를 수행하는 경우는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을 위해 별도로 PDCCH로 셀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없다(예를 들어, 서빙 셀의 참조신호 시퀀스를 기준으로 CoMP 세트에 속한 다중 셀 들이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그러나, 하나의 CoMP 세트 내의 여러 단말을 위해 다중 셀들이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으로 MU-MIMO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에게 CoMP 참조신호 정보에 대해 알려주어야 할 경우가 있다.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각 단말이 각기 다른 물리자원블록(PRB)을 할당받아 MU-MIMO 모드로 동작할 경우, 특정 물리자원블록을 사용하는 단말 자신이 속한 기지국을 기준으로하여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각 단말에게 별도의 CoMP 참조신호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없지만, 다중 셀 MU-MIMO를 수행하는 여러 단말이 특정 물리자원블록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CoMP 참조신호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즉, 특정 단말의 서빙 셀을 기준으로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할 경우, 다른 기지국에 속한 CoMP 단말은 해당 CoMP 참조신호 정보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는 해당 단말의 통신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한다.
먼저, 특정 기지국을 기준으로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하나의 CoMP 세트 내에서 여러 단말이 동일한 물리자원블록을 이용하여 MU-MIMO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각 단말은 해당 CoMP 세트가 어떠한 참조신호 시퀀스를 이용하는지 알아야 정확하게 효율적인 정확한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를 할 수 있다. 한 CoMP 세트 내의 기지국이 한 단말을 위해 SU-MIMO 모드로 동작하며 서빙 셀의 참조신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CoMP 참조신호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여러 단말을 위한 MU-MIMO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이 속한 기지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CoMP 세트 관점에서 서빙 셀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예를 들어, CoMP 세트 내의 셀 A에 단말 1, 단말 2가 속해 있고, 셀 C에 단말 3이 속해 있다고 하자. 하나의 CoMP 세트는 단말 1, 단말 2, 단말 3에게 MU-MIMO 모드로 동작하여 CoMP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CoMP 세트에서 단말 1, 단말 2 입장에서는 서빙 셀은 셀 A가 되지만, 단말 3의 입장에서는 셀 C가 서빙 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MU-MIMO 모드의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에서는 서빙 셀을 정하는 기준이 없다.
따라서, 이 경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CoMP MU-MIMO 모드를 수행하는 단말 중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 시퀀스에 기초하여 동일한 CoMP 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기지국은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셀 간의 조정, 협력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P MU-MIMO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이 가장 많이 속한 기지국(혹은 셀)을 기준 기지국(혹은 셀)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이 되는 기지국(혹은 셀)이 정해지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나머지 인접 셀 들은 기준 기지국의 CoMP 참조신호 시퀀스에 기반하여 동일한 패턴을 가진 참조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기지국이 변경되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인접 셀에 속한 단말은 해당 기지국의 변화된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알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기지국은 단일 셀 기반의 MU-MIMO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MU-MIMO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최대 단말의 수, 레이어 수 등의 정보)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즉, 해당 기지국은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시퀀스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해당 기지국은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시퀀스, Vshift 정보 등을 직접 알려주거나, 기준 기지국의 셀 ID를 알려줌으로써 단말에게 CoMP 참조신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CoMP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a(510), 단말 b(520)는 셀 A(540)에, 단말 c(530)는 셀 C(560)에 속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셀 A(540), 셀 B(550), 셀 C(560)는 하나의 CoMP 세트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단말(510, 520, 530)에게 MU-MIMO를 수행한다. 단말 2개를 포함하는 셀 A를 기준으로 CoMP 세트들은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빙 셀에 속한 기지국(570)이 기준 기지국이 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준 기지국은 기지국 A(570)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때, 셀 C(560)에 속한 단말 c(530)를 위해 셀 C(560)는 셀 A(540)의 ID 또는 셀 A(540)의 CoMP 참조신호 시퀀스, Vshift 정보를 단말 c(530)에 알려줄 수 있고, 그리하여 단말 c(530)는 효율적인 채널 추정 또는 데이터 복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셀 들(550, 560)은 기준 기지국(570)의 CoMP 참조신호 시퀀스와 동일한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로 보낼 수 있다.
다음으로 CoMP 세트 ID에 기반한 동일한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이는 앞서 살펴본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다중 셀들이 기준 기지국(570)에 기반한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것과는 달리, CoMP 세트 ID를 설정하고,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서빙 셀과 인접 셀 들은 동일한 CoMP 세트 ID에 기초하여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고, 동일한 CoMP 참조신호 패턴으로 단말(510, 520, 5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oMP 세트 ID는 사전에 정의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CoMP 세트 ID에 대응하는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각 기지국(570, 580, 590)은 자신에게 속한 단말에게 CoMP 세트 ID의 인덱스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현재 CoMP 참조신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CoMP 세트를 위한 하나의 ID와 이에 대응하는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각 기지국(570, 580, 590)이 해당 단말에게 1비트 크기로 CoMP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on/off) 정보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사전에 정의된 CoMP 세트 ID 또는 CoMP 참조신호 시퀀스에 대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 반-정적(semi-static)으로 단말(510, 520, 5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oMP 참조신호의 생성, 전송은 다음과 같이 CoMP 세트 내의 다중 셀 들이 동일한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에게 전송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CoMP 세트 내의 다중 셀 들이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코히런트(혹은 RF 컴바이닝)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수행하는 셀 들(540, 550, 560)은 각기 다른 셀-특정 주파수 시프트 식인
Figure pat00029
를 제외시킨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동일한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셀 경계에 위치한 특정 단말이 속한 기준 셀(540)은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인접 셀 들(550, 560)에게 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 모드에 대한 지시(indication)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접 셀 들(550, 560)은 현재 해당 셀 ID에 의해 생성되고 있는 참조신호 시퀀스에서 Vshift 값을 생성하는 것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접 셀 들(550, 560)이 기준 셀(540)의 셀 ID에 기반한 CoMP 참조신호를 생성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기준 셀(540)은 자신의 셀 ID 정보를 인접 셀(550, 5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이러한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는 x2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backhaul) 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CoMP 동작을 수행하는 인접 셀 들(550, 560)은 기준 셀(540)의 Vshift 값에 맞춰서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CoMP 참조신호 시퀀스는 각 셀(540, 550, 560) ID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위한 CoMP 세트 ID를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코히런트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수행하는 셀 들(540, 550, 560)은 사전에 정의된 CoMP 세트 ID에 대응하는 CoMP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CoMP 참조신호와 함께 데이터를 단말(510, 520, 5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기준 기지국(혹은 셀)의 ID, CoMP 참조신호 시퀀스, Vshift 정보, CoMP 세트 정보 또는 CoMP 동작 온/오프(on/off)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CoMP MU-MIMO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CoMP MU-MIMO 정보' 또는 'CoMP 참조신호 정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 CoMP MU-MIMO 정보'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이 정보는 이벤트-트리거링(event-triggering)된 시점에 혹은 주기적으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CoMP MU-MIMO 정보'를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PDCCH를 통하여 스케줄링 할당 정보 및 다른 제어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물리 제어 채널은 하나의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 또는 복수 개의 연속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CCE는 9개의 자원 요소 그룹들을 포함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hannel) 또는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에 할당되지 않은 자원 요소 그룹의 개수는 NREG이다. 시스템에서 이용가능한 CCE는 0부터 NCCE-1까지 이다(여기서
Figure pat00030
이다). PDCCH는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중 포맷을 지원한다. n개의 연속 CCE들로 구성된 하나의 PDCCH는 i mod n =0을 수행하는 CCE부터 시작한다(여기서 i는 CCE 번호이다). 다중 PDCCH들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될 수 있다.
Figure pat00031
표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어 정보 등을 몇 개의 영역으로 보낼 지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CCE 단위로 제어 정보 등을 읽어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제어 정보에 따른 포맷으로 구성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tion) 포맷 형태의 PDCCH를 구별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때, 기존 DCI 포맷을 재사용하는 관점에서 임의의 DCI 포맷 상의 일부 필드를 사용하고, 그 외 필드를 제로 패딩(zero padding) 또는 임의값(arbitrary value)으로 채우는 형태로 DCI 포맷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DCI 포맷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DCI 포맷 1B를 이용하여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단일 코드워드의 랭크 1 전송에 대한 간단한 스케줄링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셀 경계 단말에게는 일반적으로 랭크 1로 전송을 수행). 다음 표 3은 DCI 포맷 1B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 비트
국지적/분산된 VRB 할당 플래그(assignment falg) 1
자원 블록 할당
Figure pat00032
변조 및 코딩 방식(MCS) 5
HARQ 처리 수 3(FDD), 4(FDD)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1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2
PUCCH를 위한 TPC 명령 2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 2
프리코딩을 위한 TPMI 정보 2 또는 4
프리코딩을 위한 PMI 확인 1
표 3을 참조하면, DCI 포맷 1B는 복수의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정보 필드는 국지적/분산적 가상 자원 블록(VRB) 할당 플래그(flag) 필드, 자원 블록 할당필드, 변조 및 코딩 (MCS: Modulation and Coding) 방식 필드, HARQ 처리 수 필드, 새 데이터 지시자 필드, PUCCH를 위한 TPC 명령 필드,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 필드, 프리코딩을 위한 TPMI(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정보 필드, 프리코딩을 위한 PMI 승인 필드 등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CI 포맷 1B는 CoMP 방식 중 조인트 프로세싱 방식을 지원하기 다음 표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 비트
국지적/분산된 VRB 할당 플래그(assignment falg) 1
CoMP 존을 위한 자원 블록 할당
Figure pat00033
변조 및 코딩 방식(MCS) 5
HARQ 처리 수 3(FDD), 4(FDD)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1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2
PUCCH를 위한 TPC 명령 2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 2
CoMP MU-MIMO 정보 5
표 4를 참조하면, 여기서 각 정보 필드의 비트 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 비트 수로 정보 필드의 크기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 모드에 관계없이 하향링크 전송의 공통성(commonality)을 갖도록 하기 위해 SU-MIMO, MU-MIMO 등을 위한 DCI 포맷과 동일한 크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CoMP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다중 셀로부터 오는 복조 참조신호에 기반하기 때문에 PMI에 대한 정보 비트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확보되는 공간에 'CoMP MU-MIMO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CoMP MU-MIMO 정보는 가변하기 때문에 일부 필드를 사용하고, 그 외 필드를 제로 패딩(zero padding) 또는 임의값(arbitrary value)으로 채우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단일 셀 기반 MU-MIMO 전송을 위해 전력 옵셋 필드를 추가할 수 있으며, 국지적/분산적 할당을 지원하기 위해 할당 플래그(assignment flag)는 유지하고, 또한 MU-MIMO 전송에 사용되는 프리코딩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TPMI 정보도 유지하며, 주파수 선택적 PMI를 나타내는 PMI 확인 비트는 삭제하는경우에 CoMP MU-MIMO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DCI 포맷에 관한 정보는 다음 표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 비트
국지적/분산된 VRB 할당 플래그(assignment falg) 1
CoMP 존을 위한 자원 블록 할당
Figure pat00034
변조 및 코딩 방식(MCS) 5
HARQ 처리 수 3(FDD), 4(FDD)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 1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2
PUCCH를 위한 TPC 명령 2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 2
하향링크 전력 옵셋 1
CoMP MU-MIMO 정보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는 수신 수단(610), 참조신호 획득 수단(620), 채널상태추정 수단(630), 복조 수단(640), 전송 수단(650) 및 메모리(66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수단(610)은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중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MP 세트 내의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참조신호 획득 수단(620)은 상기 수신한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지국의 참조신호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생성될 수 있다.
채널상태추정 수단(630)은 획득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및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복조 수단(640)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전송 수단(650)은 각 기지국 등으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660)는 연산 처리된 정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소정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는 수신 수단(710), 참조신호 생성 수단(720), 전송 수단(730) 및 메모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수단(710)은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내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참조신호 생성 수단(720)은 수신한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참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 수단(730)은 상기 생성된 참조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740)은 연산 처리된 정보,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소정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11)

  1.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가 MU(Multi User)-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단말이 상기 CoMP 세트 중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MP 세트 내의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및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은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각 기지국 간의 협력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은 상기 각 기지국 간의 협력에 의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가장 많은 단말이 속한 기지국인,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시퀀스 정보 및 주파수 시프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수신 방법.
  5. CoMP 세트에서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oMP 세트 내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참조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은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내 각 기지국 간의 협력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은 상기 각 기지국 간의 협력에 의해 CoMP 동작을 수행하는 가장 많은 단말이 속한 기지국인,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시퀀스 정보 및 주파수 시프트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수신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중 주파수 시프트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시프트값을 오프시켜 참조신호 시퀀스를 생성하는, 기지국의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전송 방법.
  10. CoMP 동작 모드에서 MU(Multi User)-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특정 단말이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중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MP 세트 내의 기준 기지국에 대한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한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획득한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및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수단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의 참조신호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CoMP 동작에서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CoMP 동작을 수행하는 CoMP 세트 내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한 기준 기지국의 셀 ID 정보 또는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기지국의 참조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생성된 참조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100010834A 2009-09-09 2010-02-05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KR10161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34A KR101615235B1 (ko) 2009-09-09 2010-02-05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PCT/KR2010/006148 WO2011031079A2 (ko) 2009-09-09 2010-09-09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US13/394,981 US8982747B2 (en) 2009-09-09 2010-09-09 Method for transceiving reference signal in comp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an MU-MIMO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102309P 2009-09-09 2009-09-09
US61/241,023 2009-09-09
KR1020100010834A KR101615235B1 (ko) 2009-09-09 2010-02-05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25A true KR20110027525A (ko) 2011-03-16
KR101615235B1 KR101615235B1 (ko) 2016-04-25

Family

ID=4373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34A KR101615235B1 (ko) 2009-09-09 2010-02-05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82747B2 (ko)
KR (1) KR101615235B1 (ko)
WO (1) WO20110310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73A1 (ko) * 2012-02-21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02B1 (ko) * 2009-11-24 201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05167A1 (ja) * 2011-01-31 2012-08-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及び品質送信方法
JP5437310B2 (ja) * 2011-05-02 2014-03-1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595917B1 (ko) 2011-05-03 2016-02-19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하이브리드 셀 식별자 시나리오들에서의 식별자들의 동적 할당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CN102811107B (zh) 2011-06-03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导频序列配置方法和网络设备
KR20130014236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6140183B2 (ja) * 2012-11-09 2017-05-31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アンカー無線基地局
CN103945552B (zh) 2013-01-18 2017-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系统中用户设备的调度方法和调度装置
WO2015018068A1 (zh) * 2013-08-09 2015-02-12 富士通株式会社 信息交互方法、基站以及通信系统
JP6263268B2 (ja) 2013-12-19 2018-01-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アンテナ支援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参照信号送信を支援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6130310A1 (en) * 2015-02-11 2016-08-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hannel identification in a mimo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8135030B (zh) * 2016-09-30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物理控制信道的指示方法及其装置
US10404433B2 (en) * 2017-01-31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Matrix-based techniques for mapping resource elements to ports for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479B2 (en) * 2008-08-28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ter-work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08434B2 (en) * 2009-04-28 2012-06-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of signaling particular types of resource el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73A1 (ko) * 2012-02-21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 방법 및 장치
US9603081B2 (en) 2012-02-21 2017-03-21 Lg Electronics Inc. Initial access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79A2 (ko) 2011-03-17
KR101615235B1 (ko) 2016-04-25
US20120170679A1 (en) 2012-07-05
US8982747B2 (en) 2015-03-17
WO2011031079A3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5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42311B1 (ko) CoMP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US10342023B2 (en)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15235B1 (ko)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KR1022140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236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ntennas
US9538524B2 (en)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1022017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814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search space of control channel in subframe
US9596056B2 (en) Method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5884152B2 (ja)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976770B2 (en) Method and device whereby base station allocates nodes to terminal in a semi-static fashion in multi-node system
JP618647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ための参照信号アンテナポート決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40140535A (ko) 하향링크 신호 수신 또는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41972A (ko) CoMP 방식에서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채널상태정보 생성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WO2014021061A1 (ja)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410700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62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895356B2 (ja) 基地局、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