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546A - 여닫이 문 - Google Patents

여닫이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546A
KR20110026546A KR1020090084252A KR20090084252A KR20110026546A KR 20110026546 A KR20110026546 A KR 20110026546A KR 1020090084252 A KR1020090084252 A KR 1020090084252A KR 20090084252 A KR20090084252 A KR 20090084252A KR 20110026546 A KR20110026546 A KR 2011002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w shaft
layer
doub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욱
Original Assignee
차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욱 filed Critical 차현욱
Priority to KR102009008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546A/ko
Publication of KR2011002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one of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necessarily precedes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6Ring gears; Intern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문을 밀기 시작하면 힌지부의 베벨기어가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중에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위쪽의 좌 나사 샤프트와 아래쪽의 우 나사 샤프트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중에 이에 나사 링크가 끼워진 구동 로드에 의해 단층 문이 복층 문의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적은 각도에서도 출입공간이 확보할 수 있고 복도나 실내의 개폐를 위한 공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문 사이에 끼게 되는 사고도 구동 로드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문틀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이 복층 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문틀의 내부 회전 접촉부위에는 반원형 링기어를 형성하고,
여닫이 문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의 일부에는 상기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되는 베벨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된 베벨기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 나사 샤프트와 우 나사 샤프트를 형성하고,
상기 좌 나사 샤프트와 우 나사 샤프트에 구동 로드의 한쪽 나사 링크가 각각 치합되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 로드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는 단층 문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에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여닫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베벨기어에 의해 나사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나사 링크를 우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구동 로드의 다른 쪽에 결합된 단층 문이 복층 문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을 밀거나 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여닫이와 미닫이의 2중 개폐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개폐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개폐씨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반원형 링기어, 복층 문, 공간, 베벨기어, 나사 샤프트, 단층 문, 구동 로드

Description

여닫이 문{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 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여닫이 문을 밀기 시작하면 힌지부의 베벨기어가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중에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위쪽의 좌 나사 샤프트와 아래쪽의 우 나사 샤프트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중에 이에 나사 링크가 끼워진 구동 로드에 의해 단층 문이 복층 문의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적은 각도에서도 출입공간이 확보할 수 있고 복도나 실내의 개폐를 위한 공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문 사이에 끼게 되는 사고도 구동 로드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문을 형성하기 위한 지점에 문틀을 설치하고, 문틀 내에서 문체가 좌, 우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목적하는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문의 형태이다.
특히, 상기 미닫이문은 문체가 문틀에서 손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기 위해 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와 대응결합되어 문체가 슬라이딩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레일이 문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장 보편적인 미닫이문은 문체의 하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는 문틀의 하부에 롤러와 접촉결합되는 레일이 설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문체의 하측에 롤러가 설치된 경우, 상기 문체의 하중에 의해 롤러가 쉽게 파손되며, 레일이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거주자의 이동시 장애물이 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발전된 형태의 미닫이문으로 문체의 상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문틀의 상부에 레일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형태의 미닫이문은 롤러가 상부에 설치되어 롤러의 파손우려가 감소되기는 하지만, 문체의 하부가 하측에 문틀과의 간격이 발생되어 그 간격으로 소음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결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문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에 개폐되는 여닫이문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닫이 문은 출입할 때에 출입자 간에 서로 부딪힘으로 짜증과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며 서로 출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여닫이 문을 활짝 열다 보며 여성들은 힘에 부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문과 문 사이에 손가락 손톱 등의 끼임이 발생하여 크고 작은 부상을 입게 되었다.
더구나 문을 활짝 열기 위해서는 문의 회전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통로나 내부에 문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복도나 실내의 사용면적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2006년 10월 18일자 특허출원 제10-2006-0101592호(여닫이문 구조가 부설된 미닫이문)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두 겹의 문체가 포켓프레임에 인출/인입되도록 설치되고, 두 겹의 문체가 모두 포켓프레임에서 인출되면 목적하는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두 겹의 문체 중 하나의 상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는 문틀의 상부에 롤러가 결합되는 레일이 형성되어 문틀에서 문체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한 미닫이 구성부와;
상기 미닫이 구성부의 문체에 나머지 하나의 문체가 절첩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개폐시키도록 한 여닫이 구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닫이 구성부는 문체가 미닫이 구성부의 문체 끝단과 경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의 경첩은 미닫이 구성부의 문체와 여닫이 구성부의 문체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은폐되도록 하기 위해 양 문체의 상호 대향되는 끝단면에 양측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여닫이 구성부는 문체와 문체가 절첩된 후 대향되는 지점에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성체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2단의 미닫이문과 대응하는 넓이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보다 단순화된 구성 및 보다 적은 힘으로 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닫이문 구조가 부설된 미닫이문에 의하여서는 여닫이 구성부의 여닫이문을 연 후에 다시 미닫이 구성부에 의한 미닫이 문을 이중으로 열거나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여닫이 문을 밀기 시작하면 힌지부의 베벨기어가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중에 베벨기어의 회전에 따라 위쪽의 좌 나사 샤프트와 아래쪽의 우 나사 샤프트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중에 이에 나사 링크가 끼워진 구동 로드에 의해 단층 문이 복층 문의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적은 각도에서도 출입공간이 확보할 수 있고 복도나 실내의 개폐를 위한 공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문 사이에 끼게 되는 사고도 구동 로드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여닫이 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은,
문틀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이 복층 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문틀의 내부 회전 접촉부위에는 반원형 링기어를 형성하고,
여닫이 문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의 일부에는 상기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되는 베벨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에 치합된 베벨기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 나사 샤프트와 우 나사 샤프트를 형성하고,
상기 좌 나사 샤프트와 우 나사 샤프트에 구동 로드의 한쪽 나사 링크가 각각 치합되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 로드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는 단층 문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에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여닫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베벨기어에 의해 나사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이에 치합된 나사 링크를 우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구동 로드의 다른 쪽에 결합된 단층 문이 복층 문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을 밀거나 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여닫이와 미닫이의 2중 개폐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개폐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개폐씨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문에 의하여서는 문틀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이 복층 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여닫이와 미닫이의 2중 개폐가 동시에 작용하도록 하고,
문틀의 반원형 링기어와 베벨기어가 치합되는 여닫이 문의 힌지부에는 좌 나사 샤프트와 우 나사 샤프트를 형성하여 구동 로드의 한쪽 나사 링크가 각각 치합되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동 로드의 다른 쪽에 결합된 단층 문을 복층 문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하여 문을 밀거나 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개폐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개폐씨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 문은,
문틀(1)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10)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20)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5)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20)이 복층 문(10) 사이의 공간(11)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문틀(1)의 내부 회전 접촉부위(2)에는 반원형 링기어(3)를 형성하고,
여닫이 문(5)의 복층 문(10)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12)의 일부에는 상기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되는 베벨기어(13)(13a)(13b)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문틀(1)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된 베벨기어(13)(13a)(13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를 형성하고,
상기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에 구동 로드(30)의 한쪽 나사 링크(31)(32)가 각각 치합되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두 작동편(33)(34)이 축(35)에 의해 결합되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에는 가이드 링크(36)(37)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36)(37)는 단층 문(20)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21)에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은 문틀(1)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10)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20)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5)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20)이 복층 문(10) 사이의 공간(11)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문틀(1)의 내부 회전 접촉부위(2)에는 반원형 링기어(3)를 형성한다.
여닫이 문(5)의 복층 문(10)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12)의 일부에는 상기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되는 베벨기어(13)(13a)(13b)를 다수 형성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문틀(1)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된 베벨기어(13)(13a)(13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를 형성하여 이에 구동 로드(30)의 한쪽 나사 링크(31)(32)가 각각 치합되어 베벨기어(13)(13a)(13b)와 좌 나사 샤프트(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링크(31)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베벨기어(13)(13a)(13b)와 우 나사 샤프트(15)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 링크(32)는 아래쪽으로의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두 작동편(33)(34)이 축(35)에 의해 결합되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상기 구동 로드(30)는 한쪽의 나사 링크(31)(32)가 벌려지는 상태에 따라 다른 쪽에는 가이드 링크(36)(37)도 벌려지게 된다.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36)(37)가 단층 문(20)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벌려짐에 따라 단층 문(20)이 복층 문(10)으로 당겨지게 되어 미닫이 문이 열리는 동작이 발생하게 되므로 복층 문(10)이 여닫이 문과 같이 열리면서 단층 문이 미닫이 문과 같이 열리는 이중의 열림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닫히는 상태는 상기의 열리는 상태와 반대의 동작으로 상기 여닫이 문(5)을 닫으면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된 베벨기어(13)(13a)(13b)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 로드(30)의 한쪽 나사 링크(31)(32)가 각각 치합되어 베벨기어(13)(13a)(13b)와 좌 나사 샤프트(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링크(3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베벨기어(13)(13a)(13b)와 우 나사 샤프트(15)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사 링크(32)는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두 작동편(33)(34)이 축(35)에 의해 결합된 상기 구동 로드(30)는 한쪽의 나사 링크(31)(32)가 오므려지는 상태에 따라 다른 쪽에는 가이드 링크(36)(37)도 오므려지게 된다.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36)(37)가 단층 문(20)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므려짐에 따라 단층 문(20)이 복층 문(10)으로 밀려나게 되어 미닫이 문이 닫히는 동작이 발생하게 되므로 복층 문(10)이 여닫이 문과 같이 닫히면서 단층 문이 미닫이 문과 같이 닫히는 이중의 닫힘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을 열었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을 닫았을 때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을 반만 열었을 때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닫이 문을 완전히 열었을 때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문틀 3 : 반원형 링기어
5 : 여닫이 문 10 : 복층 문
11 : 공간 13, 13a, 13b : 베벨기어
14 : 좌 나사 샤프트 15 : 우 나사 샤프트
20 : 단층 문 21 : 가이드 홈
30 : 구동 로드 31, 32 : 나사 링크
36, 37 : 가이드 링크

Claims (1)

  1. 문틀(1)과 접하는 회전 부위에는 복층 문(10)을 형성하면서 그 끝에는 단층 문(20)을 형성하여 여닫이 문(5)을 열거나 닫을 때 단층 문(20)이 복층 문(10) 사이의 공간(11)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문틀(1)의 내부 회전 접촉부위(2)에는 반원형 링기어(3)를 형성하고,
    상기 여닫이 문(5)의 복층 문(10)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부(12)의 일부에는 상기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되는 베벨기어(13)(13a)(13b)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문틀(1)의 반원형 링기어(3)에 치합된 베벨기어(13)(13a)(13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를 형성하고,
    상기 좌 나사 샤프트(14)와 우 나사 샤프트(15)에 구동 로드(30)의 한쪽 나사 링크(31)(32)가 각각 치합되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두 작동편(33)(34)이 축(35)에 의해 결합되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에는 가이드 링크(36)(37)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구동 로드(30)의 다른 쪽의 가이드 링크(36)(37)는 단층 문(20)의 한쪽에 형성한 가이드 홈(21)에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문.
KR1020090084252A 2009-09-08 2009-09-08 여닫이 문 KR20110026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52A KR20110026546A (ko) 2009-09-08 2009-09-08 여닫이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252A KR20110026546A (ko) 2009-09-08 2009-09-08 여닫이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546A true KR20110026546A (ko) 2011-03-16

Family

ID=4393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252A KR20110026546A (ko) 2009-09-08 2009-09-08 여닫이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5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36B1 (ko) * 2009-09-24 2012-02-28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CN111206854A (zh) * 2019-12-25 2020-05-29 新疆维吾尔自治区第三机床厂 安全平移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36B1 (ko) * 2009-09-24 2012-02-28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CN111206854A (zh) * 2019-12-25 2020-05-29 新疆维吾尔自治区第三机床厂 安全平移门
CN111206854B (zh) * 2019-12-25 2021-08-10 新疆维吾尔自治区第三机床厂 安全平移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954B2 (en) Outswinging window assembly having an operational mode and a wash mode and method of operation
CN104080992A (zh) 收纳式折叠门装置
RU2619015C1 (ru) Дверь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WO2007063541A2 (en) System for positioning sliding doors
CN106687372B (zh) 可伸缩的飞机面板门
KR20090006190U (ko) 미닫이 및 여닫이 겸용 도어 시스템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20110026546A (ko) 여닫이 문
CN204920573U (zh) 导向轮结构及推拉平移门窗
KR200396496Y1 (ko) 접이식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JP2008163715A5 (ko)
RU2630566C1 (ru) Механизм прислонно-сдвижной двери
KR102191551B1 (ko) 역회동 방지형 폴딩도어
JP2008280034A5 (ko)
CN104040102B (zh) 用于边框与扇翼之间的隐蔽装置的铰链
JP2014520727A (ja) 航空機内ドアアセンブリ
CN106168091A (zh) 大开度暗铰链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102453024B1 (ko) 조립 및 현장시공이 용이한 댐핑장치를 갖는 동시 개폐형 여닫이 도어
CN2799819Y (zh) 一种可平推开启的卷帘门/窗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CN213015975U (zh) 一种新型推拉平开联动机构
KR101750319B1 (ko) 출입구 자동 회전문 장치
CN100560925C (zh) 合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