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695A -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695A
KR20110025695A KR1020117002020A KR20117002020A KR20110025695A KR 20110025695 A KR20110025695 A KR 20110025695A KR 1020117002020 A KR1020117002020 A KR 1020117002020A KR 20117002020 A KR20117002020 A KR 20117002020A KR 20110025695 A KR20110025695 A KR 20110025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ulation
unit
differential
differential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샨 바오
홍웨이 시
페이 리우
위바오 저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뉴프론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테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뉴프론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테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뉴프론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테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2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1Arrangements for counter-measures when a por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s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부호화 유닛과, 한 개 제1부호화 유닛이 출력한 데이터를 각기 수신하고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과, 각 서브 채널의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MSC데이터로 다중화하는 제1다중화 유닛과, 제2조 데이터 정보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FIC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부호화 유닛과,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차분 변조 유닛과, 차분 변조 유닛이 생성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 SIGNALS}
본 발명은 모바일 멀티미디어 방송 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과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주축을 이루고 있는 모바일 TV / 모바일 멀티미디어 방송 전송 표준으로는DAB 계열 표준, DVB-H 표준 및 MediaFLO 표준이 있다. 채널 대역폭에 있에서 DAB 계열 표준은 1.712MHz 대역폭의 작동 모드를 사용하고 DVB-H 표준과 MediaFLO 표준은 여러가지 대역폭의 작동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
DAB 시스템에서 송신측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할 경우, 메인 서비스 채널 (MSC)를 통해 제1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고속 정보 채널 (FIC)을 통해 제2조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MSC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해 제1조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1조의 데이터로는 여러가지 서비스 중 적어도 한가지 서비스의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가지 서비스로는 주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 서비스를 포함한다. 제2조의 데이터로는 주로 배치 정보,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서비스 정보와 긴급정보방송 등 정보를 포함한다. FIC에 대하거나 MSC중의 각 서브 채널에 대해서도, DAB 시스템은 통일적인 차분 4위상 편이 변조 (DQPSK)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채널과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이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1.변조 방식이 고정적이어서 적용성이 많이 떨어진다.
2.러우 레벨 차분 변조만 적용하므로 주파수 자원 이용율이 낮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AB 시스템의 부족점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매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각기 순방향 오류 정정 (FEC) 부호화를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부호화 유닛과, 한 개 제1부호화 유닛이 출력한 부호화 후의 데이터를 각기 수신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 (time interleaving)을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과, 각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이 출력한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메인 서비스 채널 MSC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제1다중화 유닛과,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고속 정보 채널 FIC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부호화 유닛과,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차분 변조 유닛과, 차분 변조 유닛이 생성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 (symbol sequence)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은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와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스텝과, 각 서브 채널의 시간 영역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MSC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스텝과,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FIC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텝과,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며 차분 변조를 통해 생성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은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와,N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가 생성한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한 갈래 베이스밴드 전송 프레임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FIC 데이터에 대해서는 한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MSC 데이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러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변조의 적용성을 대폭적으로 추가시킨다. 그리고 하이 레벨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하므로 주파수 자원 이용율을 대폭적으로 제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FIC 데이터에 대해서는 한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MSC 데이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러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변조의 적용성을 대폭적으로 추가시킨다. 그리고 하이 레벨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하므로 주파수 자원 이용율을 대폭적으로 제고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을 이용하면 멀티플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장치의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의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한 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한가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해당 장치(100)는 적어도 한 개의 제1부호화 유닛(S11)과, 적어도 한 개의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과, 제1다중화 유닛(S13)과, 제2부호화 유닛(S14)과, 차분 변조 유닛(S15) 및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S16)을 포함한다.
매개 제1부호화 유닛(S11)은 매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며, 매개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은 한 개 제1부호화 유닛(S11)이 출력한 부호화 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제1다중화 유닛(S13)은 각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이 출력한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MSC 데이터로 다중화 한다. 제2부호화 유닛(S14)은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고 FIC 데이터를 획득한다. 차분 변조 유닛(S15)은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S16)은 차분 변조 유닛(S15)이 생성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중, 제1부호화 유닛(S11)이 사용할 수 있는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제1부호화 유닛(S11)이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를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부호화 유닛(S14)이 사용할 수 있는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으며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제2부호화 유닛(S14)이 길쌈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2조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를 진행한다.
시스템 운행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방식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고정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2)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첫번째 방식을 선택할 경우,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은 제1부호화 유닛(S1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후,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직접 기설정된 고정 파라미터에 따라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면 된다. 두번째 방식을 선택할 경우,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은 제1부호화 유닛(S1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후,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배치 정보가 지시한 인터리빙 깊이 (interleaving depth)에 근거하여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첫번째 방식의 우점은 그 구현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결점은 인터리빙 방식이 단일하여 적용성이 부족하다. 두번째 방식의 우점은 인터리빙 방식이 다양하고 적용성이 비교적 강하며 결점은 그 구현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각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12)이 출력한 각 서브 채널의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는 제1다중화 유닛(S13) 중에서 공통 인터리브 프레임 (CIF)으로 조합된다, 즉, MSC 데이터로 다중화 된다. 차분 변조 유닛(S15)에서 서로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제1다중화 유닛(S13)이 출력한 MSC데이터와 제2부호화 유닛(S14)이 출력한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FIC 데이터에 대해 DQ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고 MSC 데이터에 대해 DQPSK 방식과 차분 8위상 편이 변조 (8D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거나 DQPSK 방식과 차분16진폭/위상 편이 변조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으며, 혹은 8DPSK 방식과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수 있거나 DQPSK 방식, 8DPSK 방식과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수 있다. 부동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부동한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를 진행함으로써 여러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다.
8DPSK의 우점은 간섭 방지 능력이 강하고 착오 코딩 성능이 우수하며 스펙트럼 이용율이 높다. 그리고 8 위상 편이 변조 (8PSK) 의 동기 복조 (coherent demodulation) 과정 중에 발생되는 위상 모호성 (phase ambiguity)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으로 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다. 16DAPSK의 우점은 간섭 방지 능력이 강하고 착오 코딩 성능이 우수하며 스펙트럼 이용율이 높다. 그리고 16위상 편이 변조 (16PSK)의 동기 복조 과정 중에 발생되는 위상 모호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시스템 운행시,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방식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고정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고정적인 방식이란 사전에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를 규정하고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차분 변조 유닛(S15)이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시 직접 상응한 위치의 서브 채널에 대해 규정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다.
B)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가변적인 방식이란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 및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규정하지 않고 배치 정보를 통해서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 및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지시한다. 이러한 경우 차분 변조 유닛(S15)이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시 배치 정보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배치 정보에서 지시한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상응한 위치의 서브 채널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S16)은 차분 변조 유닛(S15)으로부터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수신한 후,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 (phase reference symbol)과 널 심볼 (null symbol)과 함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혹은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널 심볼과 함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그중,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은 동기 채널, FIC와 MSC를 포함한다.
도2는 어느 한 시나리오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더욱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고,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므로 사용되는 인터리빙 깊이에 대해 지시를 내려야 한다. 배치 정보 중에 서브 채널 조직을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해야 하며, 상기 파라미터는 심볼 맵핑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C에서 펑쳐드 길쌈 부호화 유닛(S24)은 배치 정보를 포함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펑쳐드 길쌈 부호화를 진행한다.
MSC에서 한 갈래 직렬된 LDPC 부호화 유닛(S21)과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22)은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LDPC 부호화와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메인 서비스 채널 다중화 유닛(S23)은 각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22)이 출력한 각 서브 채널의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로 CIF를 구성한다.
그중, 서브 채널의 용량은 용량 단위 (CU)로 계산되며 CU의 크기는 32×n 비트 (bit)이고 n의 값은 심볼 맵핑 방식과 연관되는바, 즉 n은 차분 변조 방식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심볼 맵핑 방식이 4위상 편이 변조 (QPSK)일 경우 n=2이며, 심볼 맵핑 방식이 8위상 편이 변조 (8PSK)일 경우 n=3이며, 심볼 맵핑 방식이16위상 편이 변조 (16PSK)일 경우 n=4이다.
LDPC 부호화 유닛(S21)이 데이터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진행한 후,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22)은 동일한 서브 채널의 LDPC 부호화 블록 간에, 배치 정보에서 지시한 인터리빙 깊이에 근거하여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선택가능한 한가지 방식으로는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S22)이 상기 인터리빙 깊이에 근거하여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비트에 기반한 길쌈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메인 서비스 채널 다중화 유닛(S23)은 동일한 길이의 CU를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서로 다른 길이의 CU 간에 채움 데이터를 채움으로써 각 서브 채널의 시간 영역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로 CIF를 구성한다.
비트 전송 프레임 다중화 유닛(S25)은 메인 서비스 채널 다중화 유닛(S23)이 획득한 CIF와 펑쳐드 길쌈 부호화 유닛(S24)이 획득한 길쌈 부호화 후의 FIC 데이터에 대해, 비트 전송 프레임 다중화를 진행함으로써 두 갈래 데이터를 한 갈래 데이터 비트 스트림으로 병합한다. 심볼 맵핑 유닛(S26)은 배치 정보의 지시에 따라 MSC 데이터 중 각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심볼 맵핑을 진행하고 FIC 데이터에 대해서는 QPSK 방식을 사용하여 심볼 맵핑을 진행한다. 그후, 변조 유닛(S27)은 CIF와 FIC 데이터에 대해 상응한 차분 변조를 진행하여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획득한다. 그중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식으로는 변조 유닛(S27)이 인접한 OFDM 심볼의 동일한 한 개 서브 캐리어 상에서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OFDM 심볼 생성 유닛(S28)은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과 널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한다. 심볼 전송 프레임 다중화 유닛(S29)은 OFDM 심볼 생성 유닛(S28)이 생성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 한다.
도2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에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연속적인 "0" 혹은 연속적인 "1"의 길이가 나타나는 것을 제한하여 데이터의 스펙트럼이 분산되면서도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매개 LDPC 부호화 유닛(S21) 전에 한 개 제1에너지 확산 유닛을 추가하여 각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한다. 도3과 같이, 제1에너지 확산 유닛(S31)은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을 입력 순서와 의사 랜덤 시퀀스 (pseudo random sequence)에 따라 비트 모듈로 -2 가산 (bitwise modulo-2 addition)을 진행한 후에 에너지 확산 후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펑쳐드 길쌈 부호화 유닛(S24) 전에 한 개 제2에너지 확산 유닛(S32)을 추가하여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할 수 있다. 그외, 심볼 맵핑 유닛(S26)과 변조 유닛(S27) 간에 한 개 주파수 영역 인터리브 유닛(S33)을 추가하여 심볼 맵핑 유닛(S26)이 맵핑하여 획득한 심볼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 인터리브 유닛(S33)은 맵핑하여 획득한 심볼을 서로 다른 전송 모드에서의 OFDM 심볼 유효 서브 캐리어 개수 K에 따라 블록으로 구획하여,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며, 이어서 변조 유닛(S27)은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 후의 심볼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여기서,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은 심볼의 블록 인터리빙이며 인터리브 블록 크기는 유효 서브 캐리어 개수 K와 같다.
도4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한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아래와 같은 스텝을 포함한다.
스텝(41)에서,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와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스텝(42)에서, 각 서브 채널의 시간 영역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MSC 데이터로 다중화한다, 다시 말하면 각 서브 채널의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로 CIF를 구성한다.
스텝(43)에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FIC 데이터를 획득한다.
스텝(44)에서,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그중,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은 MSC데이터의 각 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낮거나 같다.
스텝(45)에서, 차분 변조에서 생성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중,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사용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LDPC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를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으며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길쌈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2조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를 진행한다.
시스템 운행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방식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고정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2)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첫번째 방식을 선택할 경우,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빙을 진행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직접 기규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면 된다. 두번째 방식을 선택할 경우,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빙을 진행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배치 정보가 지시한 인터리빙 깊이에 근거하여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첫번째 방식의 우점은 그 구현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며 결점은 인터리빙 방식이 단일하여 적용성이 부족하다. 두번째 방식의 우점은 인터리빙 방식이 다양하고 적용성이 비교적 강하며 결점은 그 구현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차분 변조를 진행시 FIC 데이터에 대해 DQ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으며, MSC 데이터에 대해서는 8D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거나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으며, 혹은 더욱 하이 레벨 (high-order)의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할 수 있다.
시스템 운행시,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방식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 고정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고정적인 방식이란 사전에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를 규정하고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시 직접 상응한 위치의 서브 채널에 대해 규정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B)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가변적인 방식이란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 및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규정하지 않고 배치 정보를 통해서 MSC 중에서의 각 서브 채널의 위치 및 매개 서브 채널의 변조 방식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MSC 데이터에 대해 변조를 진행시 배치 정보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배치 정보에서 지시한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상응한 위치의 서브 채널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수신한 후, 차분 변호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 및 널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혹은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널 심볼과 같이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할 수 있다.
도5는 어느 한 시나리오에서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더욱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해당 시나리오에서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고, 가변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므로 사용되는 인터리빙 깊이에 대해 지시를 내려야 한다. 배치 정보 중에 서브 채널 조직을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해야 하며 상기 파라미터는 심볼 맵핑 방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51)에서, FIC에서 배치 정보를 포함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펑쳐드 길쌈 부호화를 진행하여 FIC 데이터를 획득한다.
스텝(52)에서, MSC에서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LDPC 부호화와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매개 서브 채널에서 데이터에 대해 LDPC 부호화를 진행한 후, 동일한 서브 채널의 LDPC 부호화 블록 간에 배치 정보에서 지시한 인터리빙 깊이에 근거하여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상기 인터리빙 깊이에 근거하여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비트에 기반한 길쌈 인터리빙을 진행한다.
스텝(53)에서, 각 서브 채널의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로 CIF를 구성한다. 동일한 길이의 CU를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서로 다른 길이의 CU 간에 채움 데이터를 채우는 것을 통해 각 서브 채널의 시간 영역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로 CIF를구성하는 스텝을 완성한다.
스텝(54)에서, CIF와 FIC 데이터에 대해 비트 전송 프레임 다중화를 진행함으로써 두 갈래 데이터를 한 갈래 데이터 비트 스트림으로 병합한다.
스텝(55)에서, FIC 데이터에 대해 QPSK 방식을 사용하여 심볼 맵핑을 진행하고, 배치 정보의 지시에 따라 MSC 데이터 중 각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심볼 맵핑을 진행한다.
스텝(56)에서, CIF와 FIC 데이터에 대해 상응한 차분 변조를 진행하여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획득한다.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상호 인접한 OFDM 심볼의 동일한 한 개 서브 캐리어 상에서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스텝(57)에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 및 널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한다.
스텝(58)에서,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도5에서 도시한 실시예 중에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연속적인 "0" 혹은 연속적인 "1"의 길이가 나타나는 것을 제한하여 데이터의 스펙트럼이 분산되면서도 안정하게 하기 위하여, 스텝(52) 전에 에너지 확산 스텝을 추가함으로써 각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텝(51) 전에 에너지 확산 스텝을 추가함으로써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할 수 있다.
그외, 스텝(55)와 스텝(56) 간에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맵핑하여 얻은 심볼에 대해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할 수 있다. 맵핑하여 획득한 심볼을 서로 다른 전송 모드에서의 OFDM 심볼 유효 서브 캐리어 개수 K에 따라 블록으로 구획하여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며, 이어서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 후의 심볼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한다. 여기서, 주파수 영역 인터리빙은 심볼의 블록 인터리빙이며, 인터리브 블록 크기는 유효 서브 캐리어 개수 K와 동등하다.
도6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의 한 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 시스템(600) 중에는 N(N은 1보다 큰 정수)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S61)와 한 개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S62)을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S61)는 상기 각 실시예 중에서 기술한 임의의 한가지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S62)은 N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S61)가 생성한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한 갈래 베이스밴드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 하여 송신한다.
언급해야 할 것은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S62)은 인접한 두개 주파수 포인트의 간격이 1.544MHz인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N개 주파수 포인트(frequency point) 상에 옮긴다. 어떤 응용 상황에서, 예를 들면 8MHz 대역폭을 제공하는 상황에서, 5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 즉 N=5에 대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진행하고 송신함으로써 스펙트럼 이용율을 최대한 제고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실시예 중에서, 상기 각 실시예 중에서 기술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이용하여 N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그후, 상기 N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한 갈래 베이스밴드 전송 프레임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선택 가능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N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인접한 두개 주파수 포인트의 간격이 1.544MHz 인 N개 주파수 지점 상에 옮긴다. 어떤 응용 상황에서, 예를 들면 8MHz 대역폭을 제공하는 상황에서 5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 즉 N=5에 대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진행하고 송신함으로써, 스펙트럼 이용율을 최대한 제고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 장치 혹은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한가지 집적 회로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한가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더 언급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 관련한 방법 혹은 장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비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실시예를 적용하여 생성한 베이스밴드 신호 전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신호일 수 있고 비 베이스밴드 신호일 수도 있다.
이상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동등 교체, 개선 등은 응당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 혹은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한가지 집적 회로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한가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더 언급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 관련한 방법 혹은 장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비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실시예를 적용하여 생성한 베이스밴드 신호 전송 프레임은 베이스밴드 신호일 수 있고 비 베이스밴드 신호일 수도 있다.
여기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기술한 여러가지 사례적인 방법 스텝과 장치 유닛들은 모두 전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결합을 통해 실현할수 있으며 이는 본 영역 기술자들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을 뚜렷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위에서 여러가지 예시적인 스텝과 유닛들에 대해 모두 총체적인 기술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실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지는 특정된 응용과 전체 시스템이 실현하는 설계의 제한에 따른다.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매개 특정된 응용에 따라 상기 기술한 기능성에 대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실현 결과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수 있다고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전용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혹은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 분산형 게이트, 혹은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형 하드웨어 컴포넌트 혹은 그들 중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면 여기서 공개된 실시예들을 결합하여 기술한 여러가지 예시적인 유닛들을 실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 수 있으나 다른 한가지 상황에서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용적인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혹은 상태 기계 (state machine) 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계산 설비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 여러 개 마이크로 프로세서, 한 개 혹은 더 많은 DSP 코어를 결합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임의의 기타 이러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공개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방법의 스텝을 결합하면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혹은 양자의 조합을 직접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혹은 본 기술영역에서 자명한 임의의 기타 형식의 저장 매체 중에 존재할 수 있다. 한가지 전형적인 저장 매체와 프로세서가 커플링 됨으로써 프로세서가 해당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고 또한 해당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대체 실시예 중에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한 개 ASIC 중에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ASIC는 한 개 사용자 단말 (Subscriber Station) 중에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대체 실시예 중에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중의 개별형 컴포넌트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공개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영역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실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기초하에서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여러가지로 용이하게 변경 수정할 수 있으며 기타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동등 교체, 개선 등은 응당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 되어야 한다.

Claims (32)

  1. 매개 서브 채널 중의 데이터에 대해 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 부호화 유닛과,
    매개 제1부호화 유닛이 출력한 부호화 후의 데이터를 각기 수신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에 대해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적어도 한 개의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과,
    각 시간 영역 인터리브 유닛이 출력한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메인 서비스 채널 MSC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제1다중화 유닛과,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고속 정보 채널 FIC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부호화 유닛과,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같은차분 변조 유닛과,
    차분 변조 유닛이 생성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프레임 생성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분 변조 유닛이 차분 4위상 편이 변조 DQPSK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분 변조 유닛이 DQPSK 방식과 차분 8위상 편이 변조 8D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차분 변조 유닛이 DQPSK 방식과 차분16진폭/위상 편이 변조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차분 변조 유닛이 8DPSK 방식과 16DAPSK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차분 변조 유닛이 DQPSK 방식과 8DPSK 방식과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생성-송신 유닛이 상기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 및 널 심볼과 함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며,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프
    레임 생성-송신 유닛이 상기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널 심볼과 함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부호화 유닛이 제2조 데이터에 대해 펑쳐드 길쌈 부호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부호화 유닛이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부호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서브 채널의 제1부호화 유닛에 출력하는 복수의 제1에너지 확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제2부호화 유닛에 출력하는 제2에너지 확산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조 데이터는 배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14.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와 시간 영역 인터리빙을 진행하는 스텝과,
    각 서브 채널의 시간 영역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를 메인 서비스 채널 MSC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스텝과,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여 고속 정보 채널 FIC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텝과,
    제1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고, 변조 레벨이 제1변조 방식의 변조 레벨보다 높거나 같은 적어도 두가지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같은스텝을 포함하며,
    차분 변조를 통해 생성된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차분 4위상 편이 변조 DQPSK 방식을 사용하여 FI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DQPSK 방식과 차분 8위상 편이 변조 8D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DQPSK 방식과 차분16진폭/위상 편이 변조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8DPSK 방식과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DQPSK 방식과 8DPSK 방식과 16DAPSK 방식을 사용하여 MSC 데이터에 대해 차분 변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 및 널 심볼과 함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며,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변조 심볼 시퀀스를 위상 기준 심볼과 함께 OFDM 변조를 진행하여 각자의 OFDM 심볼을 각기 생성하고, 생성된 연속 OFDM 심볼을 널 심볼과 함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펑쳐드 길쌈 부호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3.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부호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4.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기 전에, 매개 서브 채널의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에너지 확산을 진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순방향 오류 정정 부호화를 진행하기 전에, 제2조 데이터에 대해 에너지 확산을 진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제2조 데이터는 배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신호 송신 방법.
  27. N (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기술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와,
    N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가 생성한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한 갈래 베이스밴드 전송 프레임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화 유닛이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인접한 두개 주파수 포인트의 간격이 1.544MHz 인 N개 주파수 포인트 상에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N=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
  30.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한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이용하여 N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생성하는 스텝과,
    상기 N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한 갈래 베이스밴드 전송 프레임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화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N 갈래 신호 유닛 전송 프레임을, 인접한 두개 주파수 포인트의 간격이 1.544MHz 인 N개 주파수 포인트 상에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N=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KR1020117002020A 2008-06-27 2009-06-26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KR201100256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26460.3 2008-06-27
CNA2008101264603A CN101582740A (zh) 2008-06-27 2008-06-27 数字广播信号的发送装置、发送方法和发送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695A true KR20110025695A (ko) 2011-03-10

Family

ID=4136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020A KR20110025695A (ko) 2008-06-27 2009-06-26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47903A1 (ko)
EP (1) EP2306724A4 (ko)
KR (1) KR20110025695A (ko)
CN (1) CN101582740A (ko)
AU (1) AU2009264458A1 (ko)
WO (1) WO20091558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34B1 (ko) * 2008-05-21 2012-03-21 베이징 뉴프론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테크 씨오., 엘티디. 공통 인터리브 프레임의 프레이밍 방법 및 프레이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0811B2 (en) * 2012-12-14 2015-09-08 Broadcom Corporati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nterleaving
KR101871730B1 (ko) 2013-09-27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11224913B (zh) 2013-11-11 2022-07-15 Lg 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设备和方法及处理广播信号的设备和方法
US9379928B2 (en) * 2013-11-17 2016-06-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378B1 (ko) * 2003-07-25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KR100539925B1 (ko) * 2003-08-22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할당 장치 및 방법
CN101022440B (zh) * 2006-03-30 2010-12-08 北京新岸线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兼容dab的地面移动多媒体广播收发方法及系统
CN101022445A (zh) * 2006-10-11 2007-08-22 鲍东山 在兼容dab的t-mmb系统中使用多种调制方式的方法和系统
CN101094025B (zh) * 2006-12-08 2011-06-15 北京新岸线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T-mmb系统接收端实现多种解调方式的方法
CN100525272C (zh) * 2006-12-08 2009-08-05 北京新岸线移动多媒体技术有限公司 基于免费dab的地面移动多媒体广播收发方法与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34B1 (ko) * 2008-05-21 2012-03-21 베이징 뉴프론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테크 씨오., 엘티디. 공통 인터리브 프레임의 프레이밍 방법 및 프레이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6724A4 (en) 2011-11-09
WO2009155876A1 (zh) 2009-12-30
US20120147903A1 (en) 2012-06-14
CN101582740A (zh) 2009-11-18
EP2306724A1 (en) 2011-04-06
AU2009264458A1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2703A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TWI581578B (zh) 編碼器及提供遞增冗餘之編碼方法
CN107113094B (zh) 广播信号发送装置和广播信号发送方法
KR102004274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024610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50078477A1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r/receiver and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US20160241890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data via streaming service, apparatus for receiving media data via streaming service, method for transmitting media data via streaming ser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media data via streaming service
EP3033879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101889796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S2599616T3 (es) Aparato de transmisión de señal de difusión, aparato de recepción de señal de difusión y métodos correspondiente
JP2013179718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を符号化する方法とその制御情報を送信及び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052378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20089297A (ko) 송수신 장치 및 방법
TWI678075B (zh) 發送及接收廣播信號的裝置及方法
US9860021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KR20110036921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20110025695A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송신 시스템
KR20180005757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10056300A (ko) 지상파 모바일 멀티미디어 방송에 사용되는 수신기,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WO2010091622A1 (zh) 移动多媒体广播发送系统
US20110188605A1 (en) Framing method and a framing device of the common interleaved frame
Agarwal Digital Audio Broadcast: Modulation, Transmission & Performance Analysis
KR2014010623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시간 인터리빙 장치 및 방법
Llorca Beltrán Physical Layer Signaling for the Next Generation Mobile TV Standard DVB-NG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