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682A - Apparatus for raising fla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aising fl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682A
KR20110025682A KR1020110008945A KR20110008945A KR20110025682A KR 20110025682 A KR20110025682 A KR 20110025682A KR 1020110008945 A KR1020110008945 A KR 1020110008945A KR 20110008945 A KR20110008945 A KR 20110008945A KR 20110025682 A KR20110025682 A KR 2011002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hoisting
flagpole
whe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55452B1 (en
Inventor
최장수
Original Assignee
최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수 filed Critical 최장수
Priority to KR102011000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52B1/en
Publication of KR2011002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17/0091Anti-foiling flagpoles; Sliding means to avoid foiling of flags on the 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08Devices for avoiding twisting of the fla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41Suspended ban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PURPOSE: A flag hoisting device is provided to increase convenience in hoisting a flag. CONSTITUTION: A flag pole(11) is vertically installed. A bracket(12) can move by a length direction of the flag pole. A flag fixing bar(13) is horizontally formed in the bracket to fix the top of the flag. A guide roller(14) is installed in an upper part of the flag pole. A hoisting wheel(15) i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flag pole. One end of a hoisting rope(16) is wound on the hoisting wheel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Description

국기 게양장치{Apparatus for Raising Flag}Apparatus for Raising Flag

본 발명은 국기를 펼진 상태로 게양할 수 있고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어도 게양된 국기가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국기 게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g hoisting device that can be hoisted in an unfolded state of the flag and can keep the hoisted flag always unfolded even if the wind does not blow or blows lightly.

일반적으로 운동장, 사열대, 관공서, 빌딩 등에 설치되는 국기 게양대는, 수직으로 높게 설치한 깃대와, 이 깃대의 상단 근처에 설치한 안내롤러와, 깃대의 하부에서 상기 안내롤러에 안내시킨 후 다시 깃대의 하부까지 연결한 게양로프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flag poles installed in sports grounds, quadruple zones, government offices, buildings, and the like, include a flag pole installed vertically high, a guide roller installed near the top of the flag pole, and guided to the guide roller from the bottom of the flagpole and then again. It is composed of hoisting rop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따라서, 깃대 하부에서 국기의 좌측 상,하단을 게양로프에 묶어 고정한 후, 게양로프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국기가 깃대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fixing the upper left and lower ends of the flag at the bottom of the flagpole to the hoisting rope, and pulling the hoisting rope downward, the flag is moved to the top of the flagpole, so that the flag can be hoisted.

이러한 국기 게양장치는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고정되지 않은 국기의 우측부분이 전체적으로 펼쳐져 펄럭이므로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볼 수 있지만,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 경우에는 국기가 펄럭이지 않거나 약하게 펄럭이므로 고정되지 않은 우측부분이 아래로 처지게 되어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볼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이로써 국기게양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문제가 있다. This flag hoisting device can see the entire flag's glyphs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because the right part of the flag that is not fixed is fully spread and flutters.However, if the wind does not blow or weakly, the flag does not flutter or flutter weak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ight part is not sag down to see the whole pattern of the flag, thereby fading the meaning of the flag hoisting.

또한, 국기 게양시 또는 행사시에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게 된다. 이때 게양된 국기가 아래로 처진 상태에 있게 되면, 국기를 볼 때 느껴지는 국기에 대한 예의는 물론, 국가에 대한 충성심 및 애국심을 반감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 national flag will be salute at the time of hoisting or event. At this time, if the hoisted flag sag down, there is a problem of reducing the loyalty and patriotism of the country as well as courtesy of the flag felt when viewing the fla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부는 경우에도 국기가 전체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기를 게양하는 의미와 목적에 부합할 수 있고, 국기 게양시 또는 행사시에 행하여지는 국기에 대한 경례 의식에서도 게양된 국기의 문양 전체를 보면서 의식을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기에 대한 예의를 갖출 수 있음은 물론, 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애국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국기 게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which is to hoist the national flag by keeping the national flag unfolded as a whole, even if the wind does not blow or weakly so that you can always see the whole pattern of the flag. It is possible to meet the purpose of the national flag, and to be courteous to the national flag by allowing the ceremonies to be performed while watching the whole pattern of the raised flag at the salute of the national flag or at the event. It is to provide a flag hoisting device that can inspire loyalty and patriotis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수직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와, 상기 깃대에 설치되어 깃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국기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국기고정바와, 상기 깃대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게양휘일과, 일끝단은 게양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깃대 상단부의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국기고정바에 고정한 게양로프로 이루어진 국기 게양장치에 있다.A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lagpole installed vertically high, a bracket installed on the flagpole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and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ong in the bracket And a flag fixing bar which can be fixed to open the upper end of the flag, a guide rolle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a hoisting wheel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flagpole, and one end of the guide roller fixed to the hoisting wheel and the other end of the guide roller at the top of the flagpole. It is in the flag hoisting device which consists of hoisting rope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via.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수직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와, 상기 깃대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양끝단부에 게양안내롤러가 각각 설치된 지지케이스와,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게양휘일과, 국기의 상단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게양휘일 및 지지케이스의 게양안내롤러에 안내되어 순환 가능하게 설치된 게양로프와, 상기 깃대의 하부에 설치된 제1 휘일과, 일끝단은 상기 제1 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의 상단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케이스에 고정한 회전조작로프로 이루어진 국기 게양장치에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pole installed vertically high, the bracket installed on the flagpole, and the bracket is installed to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both inner ends Hoisting ropes installed at the hoisting guide rollers of the support case and the hoisting wheel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flagpole and the national flag unfold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of the flag is unfolded. And a first whee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lagpole and one end of the flag wound around the first wheel, and the other end of the flag formed of a rotary operation rope fixed to the support case via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It is in the hoisting device.

이때,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제2 휘일과, 일끝단은 상기 제2 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의 상단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브라켓에 고정한 견인로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깃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wheel and the one end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one end is wound around the second wheel and fixed to the other end via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to the bracket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towing ro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게양로프에 고정되어 국기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케이스 하부에 지지케이스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국기 게양방향으로 이동할 때 통과하도록 된 가이드통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re fixed to the hoisting rope to expand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flag, and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case at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case, and an opening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uide cylinder to pass through when the fixing member moves in the flag lifting direction.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국기를 펼친 상태로 하여 국기의 상단을 국기고정바에 고정한 후, 게양휘일을 회전시켜 게양로프를 감게 되면, 게양로프의 다른 일끝단이 고정된 국기고정바가 위로 당겨져 브라켓과 함께 깃대를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국기를 펼쳐진 상태로 깃대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게양할 수 있다. 또한 게양휘일을 역회전시켜 게양로프를 풀게 되면, 브라켓과 국기고정바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므로 국기를 내릴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flag to the flag fixing bar in the state of the flag unfolded, and rotates the hoisting wheel to wind the hoisting rope, the other end of the hoisting rope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is pulled up Since it rises along the flagpole with the bracket, it can be hoisted by moving the flag to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in an unfolded state. In addition, when the hoisting rope is reversed to release the hoisting rope, the bracket and the flag fixing bar are lowered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 flag can be lowered.

따라서, 국기를 펼친 상태로 게양할 수 있고 또한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어도 항상 펼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국기 게양작업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lag can be hoisted in an unfolded state and can achieve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unfolded state at all times even if the wind is not blown or blown lightly,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 because the flag hoisting operation is made very conveniently by a simple configuration. It has an economic and practical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국기를 펼친 상태로 하여 국기의 상단을 게양로프에 고정한 후, 게양휘일을 회전시켜 게양로프를 국기게양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되면, 게양로프의 국기고정부분이 깃대 상부에 세워진 지지케이스 내부로 안내되므로 국기의 상단을 지지케이스와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어서 제1 휘일을 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를 풀게 되면, 지지케이스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위치로 회전되므로 국기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국기를 펼친 상태로 게양할 수 있다. 또한 국기를 내릴 때에는 국기 게양시의 역순으로 제1 휘일을 역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를 감게 되면 지지케이스가 세워지게 되고, 이어서 게양휘일을 역회전시켜 게양로프를 국기하강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되면, 게양로프의 국기고정부분이 지지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하강하게 되므로 국기를 내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flag to the hoisting rope in the state of the flag unfolded, rotating the hoisting wheel to circulate the hoisting rope in the direction of the flag hoisting, the flag fixing portion of the hoisting rope is flagpole Since the top of the flag can b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case because it is guided inside the upper support case, and the first operation of the flag is rotated to release the rotation operation rope, the support case is rotated to a horizontal position in the upright position. The flag can be hoisted with the flag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lag is lowered, the support case is erected when the first wheel is revers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flag hoisting and the rotary operation rope is wound. Then, when the hoisting rope is circul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lag descending, the hoisting rope is reversed. Since the flag fixing portion of the rope comes out of the support case and descends, the flag can be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해서도 국기를 펼친 상태로 게양할 수 있고 또한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부는 경우에도 항상 펼친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국기 게양작업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purpose of hoisting the national flag in an unfolded state and also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at all times even when the wind is not blown or weakly blown. Because it is made very convenient by the production cost is cheap and there is an economical and practical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제2 휘일을 정,역회전시켜 견인로프를 풀고 감는 것에 의해 브라켓 및 지지케이스가 깃대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지지케이스로 안내되어 게양된 국기를 평상시에는 깃대의 상단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국기의 조기게양시에는 국기의 게양위치를 깃대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조기위치에 게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acket and the support case are moved along the flag pole by unwinding and winding the towing rope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wheel, the flag that is guided and hoisted by the support case is normally The flag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and during the early hoisting of the flag, the hoisting position of the flag may be lower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to be hoisted at the early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국기의 상단을 게양로프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게양로프가 안내되는 지지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하는 가이드통체를 구비함에 따라, 국기 게양시 고정부재가 가이드통체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해 국기의 상단이 지지케이스와 자동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국기 게양동작이 더욱 원활해지고, 게양된 국기가 바람에 펄럭일 때 국기의 상단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심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flag is fixed u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ixed to the hoisting ro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case in which the hoisting rope is guided is provided with a guide cylinder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passes. As such, when the flag is hoisted, the upper end of the flag is automatically plac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case by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cylinder. Therefore, the flag hoisting operation is more smooth, and when the hoisted flag is fluttering in the wind, there is an effect of firmly supporting the top of the flag to prevent it from flowing too muc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지지케이스를 나타낸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지지케이스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지지케이스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여러 휘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안내롤러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기 게양장치의 안내롤러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d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assembled stat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case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case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case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arious wheels of the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guide roller installation state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uide roller installation state of the national flag ho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국기 게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작동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국기 게양장치는, 구조적 강도가 높은 원형의 금속파이프로 제작하여 수직방향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11)를 구비한다.BEST MOD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ag hoisting device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as shown, the flag hois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circular metal pipe of high structural strength It is provided with a flagpole 11 which is manufactured by standing high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깃대(11)에는 브라켓(12)이 깃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1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깃대(11)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브라켓(12)의 안둘레면에는 도 2a의 상세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볼(12a)을 설치하여 깃대(11)의 바깥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1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racket 12 is installed on the flagpole 11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11, the bracket 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11).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12, as shown in the detailed view of Figure 2a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alls (12a) to mak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gpole 1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bracket 12 It is preferable.

브라켓(12)에는 국기(F)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할 수 있는 국기고정바(13)가 고정된다. 국기고정바(13)는 기다란 막대형상으로 되어 브라켓(12)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기(F)의 상단과 국기고정바(13)에 여러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끈이나 기타 묶는 수단(18)을 이용하여 국기(F)를 국기고정바(13)에 펼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bracket 12 is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13 that can be fixed to expand the top of the flag (F). The flag fixing bar 13 has an elongated bar shape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racket 12. As shown in FIG. 2A,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flag F and the flag fixing bar 13. Through this hole, the flag (F) is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13 in the unfolded state by using a string or other tie means 18.

또한, 상기 깃대(11) 상단부에는 게양로프(16)를 가이드 하기 위한 안내롤러(14)가 설치되고, 깃대(11)의 하부에는 게양로프(16)가 감기는 게양휘일(15)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롤러(14)는 도 2a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대(11)에 형성한 관통구멍(11a)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관통구멍(11a)의 양쪽 입구에 근접한 2곳에 각각 설치하여 게양로프(16)가 깃대(11)의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uide roller 14 for guiding the hoisting rope 16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lagpole 11, and a hoisting wheel 15 for winding the hoisting rope 16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11. . The guide rollers 14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s 11a formed in the flag pole 11, as shown in the detailed view of FIG. 2A, respectively, in two places adjacent to both inlets of the through holes 11a. It is preferable to install so that the hoisting rope 16 may not contact the flagpole 11.

상기 게양휘일(15)은 깃대(1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15a)를 구비한다. 게양로프(16)는 일끝단을 게양휘일(15)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기 안내롤러(14)를 경유하여 국기고정바(13)에 고정하여 설치한다.The hoisting wheel 1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bracket 17 fixed to the flagpole 11, and has a rotation knob 15a that facilitates rotation. The hoisting rope 16 is fixed by winding one end to the hoisting wheel 15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13 via the guide roller 14.

이러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is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 및 국기고정바(13)를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국기(F)를 펼쳐 상단을 끈 등의 묶음 수단(18)으로 국기고정바(13)에 고정한다. 이어서 게양휘일(15)을 회전시켜 게양로프(16)를 감게 되면, 깃대(11)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롤러(14)에 안내되어 국기고정바(13)에 고정된 게양로프(16)가 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로써 브라켓(12)과 국기고정바(13)가 깃대(11)를 따라 위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국기(F)를 펼친 상태로 게양할 수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2A,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12 and the flag fixing bar 13 ar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the flag fixing bar 13 is opened by a bundle means 18 such as a string unfolded at the top of the flag F. Secure in. Subsequently, when the hoisting rope 15 is rotated to wind the hoisting rope 16, the hoisting rope 16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13 is guided to the guide roller 14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11. It is to be pulled by, so that the bracket (12) and the flag fixing bar 13 is raised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flagpole (11) it is possible to hoist in the state (F) unfolded.

이때,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국기(F)의 게양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일반적인 국기게양과 조기게양이 가능하고, 국기(F)가 국기고정바(13)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것이므로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어도 국기(F)는 항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hoisting height of the flag (F) is adjusted as shown in Figures 2b and 2c, general flag hoisting and early hoisting is possible, since the flag (F) is fixed in the unfolded state on the flag fixing bar (13). Even if the wind is not blowing or blowing lightly, the flag (F) can always remain unfolded.

이어서, 국기(F)를 내릴 때에는 게양휘일(15)을 국기 게양시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게양로프(16)가 풀리게 되고, 이로써 브라켓(12)과 국기고정바(13)는 자중에 의해 깃대(11)를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국기(F)를 내릴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lowering the flag F, when the hoisting wheel 15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lag hoisting, the hoisting rope 16 is released, whereby the bracket 12 and the flag fixing bar 13 are driven by their own weight. Since it descends along the flagpole 11, it is possible to lower the flag (F).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국기 게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작동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국기 게양장치는, 구조적 강도가 높은 원형의 금속파이프로 제작하여 수직방향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21)를 구비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ag hoisting device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d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as shown, the flag hois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circular metal pipe of high structural strength It is provided with a flag pole (21) manufactured by standing high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깃대(21) 상부에는 브라켓(22)이 깃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2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깃대(21)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브라켓(22)의 안둘레면에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볼을 설치하여 깃대(21)의 바깥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2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22 is installed on the flagpole 21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21, and the bracket 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gpole 2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moothly move the bracket 22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al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ket 22 so as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gpole 21.

브라켓(22)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케이스(23)가 설치되고, 브라켓(22)과 지지케이스(23)의 연결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2a)에 의하여 지지케이스(23)가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지지케이스(23) 내부에는 게양안내롤러(23a)가 양끝단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The bracket 22 is provided with a support case 23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racket 22 and the support case 23 is supported by the hinge shaft 22a as shown in FIG. 23 is rotatable up and down, and inside the support case 23, the hoisting guide rollers 23a ar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깃대(21)의 하부에는 국기(F)의 상단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게양휘일(24)이 설치된 것으로, 게양휘일(24)은 깃대(2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24a)를 구비한다.At the lower part of the flagpole 21, a hoisting wheel 24 is installed to fix the upper end of the flag F in an extended state, and the hoisting wheel 24 is rotatable to a fixing bracket 25 fixed to the flagpole 21. It is installed so that it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24a) to facilitate the rotation.

또한 상기 게양휘일(24)과 지지케이스(23)의 게양안내롤러(23a)에는 게양로프(26)가 안내되어 순환하도록 설치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양휘일(24)에는 게양로프(26)를 2~3바퀴 감게 되면, 게양휘일(24)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게양로프(26)의 한쪽은 풀리고 한쪽은 감기게 되므로 게양로프(26)의 순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oisting wheels 24 and the hoisting guide roller 23a of the support case 23 are installed to guide and circulate the hoisting ropes 26, and as shown in FIG. When 26) is wound 2-3 times, one side of the hoisting rope 26 is unwinded and one side is wou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isting wheel 24 is rotated, so that the hoisting rope 26 can be cyclically moved.

상기 지지케이스(23) 하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23)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통체(27)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통체(27)의 내부로는 게양로프(26)가 국기게양방향으로 순환 이동할 때 게양로프(26)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case 23 is provided with a guide cylinder 27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case 23,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side of the guide cylinder 27 is a hoisting rope 26 The hoisting rope 26 penetrates through when the c) moves circularly in the flag lifting direction.

도 4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양로프(26)에는 국기(F)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재(28)가 고정된다. 국기(F)의 상단과 고정부재(28)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끈이나 기타 묶는 수단(29)을 이용하여 묶음으로써 국기(F)를 고정부재(28)에 펼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4A and 6,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28 are fixed to the hoisting rope 26 to expand and fix the upper end of the flag F. A hol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 F and the fixing member 28, and the flag F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28 by being tied with a string or other tie means 29 through the hole. Do it.

상기 국기(F)를 고정한 고정부재(28)는 게양로프(26)가 국기게양방향으로 순환 이동시 가이드통체(27)에 삽입되어 게양된 국기(F)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28)의 가장 앞쪽에는 고정부재(28)와 동일한 형상의 가이드부재(28a)를 고정설치하여 고정부재(28)가 가이드통체(27)내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통체(27)의 하부에는 개방부(27a)가 형성되어 고정부재(28)와 국기(F)를 고정하는 묶음 수단(29)이 가이드통체(27)의 밖으로 노출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The fixing member 28 fixing the flag F is inserted into the guide cylinder 27 when the hoisting rope 26 is circulated in the flag hoisting direction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hoisted flag 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guide the fixing member 28 is inserted into the guide cylinder 27 by fixing the guide member 28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xing member 28 at the foremost front of the fixing member 28. In addition, an opening portion 27a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cylinder 27 so that the binding means 29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28 and the flag F is exposed out of the guide cylinder 27 and moves therethrough. Will be provided.

다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깃대(21) 하부의 고정브라켓(25)에는 제1 휘일(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휘일(31)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31a)를 구비한다. 제1 휘일(31)에는 회전조작로프(32)의 일끝단이 감겨져 고정되고, 회전조작로프(32)의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21)의 상단에 형성한 관통구멍(21a)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케이스(23)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휘일(31)을 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32)를 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지지케이스(23)가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도록 되어 있다.3 and 8, a first wheel 3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25 below the flagpole 21, and the first wheel 31 is a rotary knob that facilitates rotation. 31a is provided. One end of the rotary operation rope 32 is wound and fixed to the first wheel 31,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operation rope 32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a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 pole 21. It is fixed to the support case (23). Therefore, by rotating or rotating the first wheel 31, the support case 23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2a to b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ai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또한, 상기 깃대(21) 하부 고정브라켓(25)에는 제2 휘일(3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휘일(33)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33a)를 구비한다. 제2 휘일(33)에는 견인로프(34)의 일끝단이 감겨져 고정되고, 견인로프(34)의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21)의 상단부에 형성한 관통구멍(21a)을 경유하여 상기 브라켓(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휘일(33)을 회전시켜 견인로프(34)를 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브라켓(22) 및 지지케이스(23)를 일반 국기게양 위치 또는 조기 게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wheel 3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fixing bracket 25 of the flagpole 21, and the second wheel 33 is provided with a rotation knob 33a to facilitate rotation. One end of the towing rope 34 is wound and fixed to the second wheel 33, and the other end of the towing rope 34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a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 pole 21. 22). Accordingly, the bracket 22 and the support case 23 can be moved to a general flag hoisting position or an early hoisting position by rotating the second wheel 33 to release or pull the towing rope 34.

이때, 상기 깃대(21)의 관통구멍(21a)에는 회전조작로프(32)와 견인로프(34)를 가이드하는 안내롤러(35,36)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안내롤러(35,36)는 양쪽 입구에 근접한 2곳에 각각 설치하여 회전조작로프(32)와 견인로프(34)가 깃대(2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uide rollers 35 and 36 for guiding the rotary operation rope 32 and the traction rope 34 are installed in the through-hole 21a of the flagpole 21,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operation rope 32 and the traction rope 34 are not in contact with the flagpole 21, respectively, in two places adjacent to both inlets.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s follows.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양로프(26)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부재(28)를 이용하여 국기(F)의 상단을 끈 등의 묶음 수단(29)으로 고정하게 되면, 국기(F)를 펼친 상태로 게양로프(26)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upper end of the flag F is fixed by a bundle means 29 such as a string u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28 fixed to the hoisting rope 26, the flag F It can be fixed to the hoisting rope (26) in the unfolded state.

이어서, 게양휘일(24)을 회전시켜 게양로프(26)를 국기게양방향으로 순환 이동시키면, 국기(F)의 상단을 고정한 고정부재(28)가 게양로프(26)과 함께 지지케이스(23)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국기(F)도 게양로프(26)의 순환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깃대(21)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hoisting rope 24 is rotated to circulate the hoisting rope 26 in the flag hoisting direction, the fixing member 28 fixing the upper end of the flag F is supported by the hoisting rope 26 together with the support case 23. Since the national flag (F) is also moved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hoisting rope (26) to rise to the top of the flagpole (21).

이때 제1 휘일(31)을 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32)를 당김으로써 지지케이스(23)를 세워놓게 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8)가 지지케이스(23)의 가이드통체(27)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고, 국기(F)의 상단은 지지케이스(23)와 나란하게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부재(28)의 앞에 설치한 가이드부재(28a)가 먼저 가이드통체(27) 내로 삽입되므로 국기(F)를 고정한 고정부재(28)의 삽입을 가이드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case 23 is erected by rotating the first wheel 31 and pulling the rotation operation rope 32, the fixing member 28 is guide cylinder 27 of the support case 23 as shown in FIG.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flag (F) is in a state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the support case (23).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28a installed in front of the fixing member 28 is first inserted into the guide cylinder 27, thereby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fixing member 28 to which the flag F is fixed.

이어서, 제1 휘일(31)을 역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32)를 풀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케이스(23)는 자중에 의해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고, 이로써 국기(F)는 펼쳐진 상태에서 똑바로 세워지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wheel 31 is rotated in reverse to release the rotation operation rope 32, as shown in FIG. 4C, the support case 23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22a by its own we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Position, whereby the flag F stands upright in an unfolded state.

이어서, 제2 휘일(33)을 회전시켜 견인로프(34)를 당기게 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2)이 깃대(21)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지지케이스(23)를 깃대(21)의 상단부로 이동시켜 국기(F)를 일반적인 게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휘일(33)을 역회전시켜 견인로프(34)를 풀게 되면, 지지케이스(23)를 하강시켜 조기게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깃대(21)의 조기게양위치에는 정지브라켓(37)을 고정설치하여 브라켓(22)의 하강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유지시킴으로써 조기게양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when the pulling wheel 34 is pulled by rotating the second wheel 33, as shown in FIG. 4D, the bracket 22 is raised along the flag pole 21,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case 23. The flag F can be moved to the general hoisting position by moving to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21. When the second wheel 33 is reversed to release the towing rope 34, the support case 23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move to an early hoisting posi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arly hoisting position is always kept constant by fixing the stop bracket 37 at the early hoisting position of the flagpole 21 so as not to fall further when the bracket 22 descends.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도 국기(F)를 펼친 상태로 게양할 수 있고, 국기(F)의 상단이 지지케이스(23)의 가이드통체(27)에 삽입된 고정부재(28)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바람이 불지 않거나 약하게 불어도 국기(F)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g F can be hoisted in the unfolded stat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upper end of the flag F is inserted into the guide cylinder 27 of the support case 23 by the fixing member 28. Since the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the flag (F) can be maintained in the unfolded state even if the wind is not blown or blows lightly.

이어서 국기(F)를 내릴 때에는 제1 휘일(31)을 역회전시켜 회전조작로프(32)를 당기게 되면, 지지케이스(23)가 힌지축(2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게양휘일(24)을 역회전시켜 게양로프(26)를 역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되면, 고정부재(28)가 가이드통체(27)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오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국기(F)를 내릴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national flag F is lowered, when the first wheel 31 is rotated in reverse to pull the rotation operation rope 32, the support case 23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2a to stand. By rotating the hoisting wheel 24 in the reverse direction to circulate the hoisting rope 26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xed member 28 can be easily lowered while falling out of the guide cylinder 27, so that the flag F can be lowered. .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21 : 깃대 12,22 : 브라켓
13 : 국기고정바 14,35,36 : 안내롤러
15,24 : 게양휘일 16,26 : 게양로프
23 : 지지케이스 23a : 게양안내롤러
27 : 가이드통체 28 : 고정부재
31,33 : 제1 및 제2 휘일 32 : 회전조작로프
34 : 견인로프 F : 국기
11,21 Flagpole 12,22 Bracket
13: flag fixing bar 14,35,36: guide roller
15,24: hoisting wheel 16,26: hoisting rope
23: support case 23a: hoisting guide roller
27: guide cylinder 28: fixing member
31,33: 1st and 2nd wheel 32: Rotating rope
34: tow rope F: national flag

Claims (4)

수직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와,
상기 깃대에 설치되어 깃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국기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국기고정바와,
상기 깃대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게양휘일과,
일끝단은 게양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깃대 상단부의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국기고정바에 고정한 게양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장치.
The flagpole which I set up high vertically,
A bracket installed on the flagpole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A flag fixing bar whic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bracket so as to expand and fix the top of the flag;
A guide roll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lagpole,
A hoisting wheel installed under the flagpole,
One end is fixed to the hoisting winding wound and the other end is a flag ho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oisting rope fixed to the flag fixing bar via the guide roller in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수직으로 높게 세워 설치한 깃대와,
상기 깃대 상부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 양끝단부에 게양안내롤러가 각각 설치된 지지케이스와,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게양휘일과,
국기의 상단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게양휘일 및 지지케이스의 게양안내롤러에 안내되어 순환 가능하게 설치된 게양로프와,
상기 깃대의 하부에 설치된 제1 휘일과,
일끝단은 상기 제1 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의 상단부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케이스에 고정한 회전조작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장치.
The flagpole which I set up high vertically,
A bracket installed on the flagpole,
A support case installed on the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 hinge axis, the support case being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hoisting guide rollers at both ends thereof;
A hoisting wheel installed under the flagpole,
A hoisting rope installed to circulate and guided to the hoisting wheel and the hoisting guide roller of the support case to fix the top of the flag in an unfolded state;
A first wheel installed under the flagpole,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wheel wound and the other end is a flag ho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tary operation rope fixed to the support case via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깃대 하부에 설치된 제2 휘일과, 일끝단은 상기 제2 휘일에 감아 고정하고 다른 끝단은 상기 깃대의 상단에 형성한 관통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브라켓에 고정한 견인로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깃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wheel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lagpole, and one end is wound around the second wheel and fixed to the other end via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flagpole further a towing rope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bracket is installed on the flagpol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gpol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양로프에 고정되어 국기의 상단을 펼쳐서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케이스 하부에 지지케이스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국기 게양방향으로 이동할 때 통과하도록 된 가이드통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기 게양장치.According to claim 2 or claim 3,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fixing to the hoisting rope to expand the upper end of the flag, It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case in the lower support case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fixed The flag ho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cylinder to pass when the member moves in the flag hoisting direction.
KR1020110008945A 2011-01-28 2011-01-28 Flag hoisting device KR101055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45A KR101055452B1 (en) 2011-01-28 2011-01-28 Flag hois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45A KR101055452B1 (en) 2011-01-28 2011-01-28 Flag hois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682A true KR20110025682A (en) 2011-03-10
KR101055452B1 KR101055452B1 (en) 2011-08-08

Family

ID=439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945A KR101055452B1 (en) 2011-01-28 2011-01-28 Flag hois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4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8859A (en) * 2012-05-21 2012-09-19 红门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Transmission structure of flagpole movement
CN105421870A (en) * 2015-12-23 2016-03-23 如皋市华阳铝制品有限公司 Novel flagpole
CN106297598A (en) * 2016-09-21 2017-01-04 许旸 Expansion for flag is wav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828U (en) * 1998-12-29 2000-07-15 이동헌 Banner hanger lifting structure of advertising tower
KR200451769Y1 (en) * 2009-03-09 2011-01-10 (주) 동산기획 Banner hanger street ligh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8859A (en) * 2012-05-21 2012-09-19 红门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Transmission structure of flagpole movement
CN105421870A (en) * 2015-12-23 2016-03-23 如皋市华阳铝制品有限公司 Novel flagpole
CN106297598A (en) * 2016-09-21 2017-01-04 许旸 Expansion for flag is wav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452B1 (en) 201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378B1 (en) Combination umbrella and gazebo
KR101055452B1 (en) Flag hoisting device
KR102030061B1 (en) Hanging apparatus for placard
JP5264138B2 (en) Raft flag raising device
KR101033695B1 (en) Flag hoisting unit
CN202544476U (en) Tower crane type holding rod
US20120067388A1 (en) On-shore sail shade
KR20140030888A (en) Bed carrier
KR101600967B1 (en) Ball-chain guiding structure for the laundry hanger
KR101103134B1 (en) Rigging System
KR100869690B1 (en) Device for hanging placard
KR20190011149A (en) The Flag Pole Of The Rotating Type
JP4453109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ving a string-like body such as a wire rope using a winding winch
KR101645986B1 (en) flag hoist with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JP4502149B1 (en) Suspension and movement system for a suspended body such as a net or sheet using a winding winch
KR20080094298A (en) A rise and fall type lighting tower
KR100799726B1 (en) A Placard Bulletin Stand
KR101268891B1 (en) The banners connecting bars
JP3143275U (en) Flagpole
JP4631990B1 (en) Suspension / storage system for suspended objects such as nets or sheets
JP5899586B2 (en) Flag display / storage device
KR101702926B1 (en) flag hoist
JP6268640B2 (en) Installation assistance device
KR101805045B1 (en) Apparatus of putting up a vertical placard on the wall of building
JP2006149717A (en) Stage curtain fold-up li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