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270A -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270A
KR20110025270A KR1020090083257A KR20090083257A KR20110025270A KR 20110025270 A KR20110025270 A KR 20110025270A KR 1020090083257 A KR1020090083257 A KR 1020090083257A KR 20090083257 A KR20090083257 A KR 20090083257A KR 20110025270 A KR20110025270 A KR 2011002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unit
standby power
electronic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814B1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09008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1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파워서플라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교류전압출력부(12);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교류전압입력부(11); 상기 교류전압입력부(11)를 통해 교류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교류전압출력부(12)를 통해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교류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부(10); 상기 파워서플라이(2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직류전압입력부(13); 상기 직류전압입력부(13)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구동부(14); 상기 교류전압입력부(11)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15); 및 상기 변압기(15)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치구동부(14)에 스위치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정류회로부(16)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대기전력, 차단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STANDBY POWER CUTOFF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S}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를 온(ON)으로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전자제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자제품의 시스템 오프(OFF)시에 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뽑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부여하여 대기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모든 전자제품은 그 시스템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라면 대기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제품에 소요되는 대기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으며, 대기전력 차단용 멀티켐과 같은 제품이 등장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멀티켐의 경우에도 전자제품의 구동을 위해 멀티켐 스위치를 켠(ON) 후에, 다시 전자제품의 스위치를 켜야(ON) 하며, 전자제품의 시스템을 오프(OFF)한 상태에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멀티켐의 스위치를 다시금 꺼야(OFF)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전자제품을 이용하는 많은 사용자들은 이러한 대기전력의 존재를 알지 못하 거나, 알더라도 귀찮고 번거롭다는 이유만으로 플러그를 뽑지 않거나 멀티켐의 스위치를 끄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대기전력의 소모를 인한 전력낭비가 국가적으로 매우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면서 한번의 동작에 의해 전자제품을 동작시키고, 전자제품의 스위치를 오프(OFF)한 경우에서도 별도의 동작이 없이도 플러그를 뽑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부여하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위치를 온(ON)으로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전자제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자제품의 시스템 오프(OFF)시에 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뽑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부여하여 대기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전자제품의 파워서플라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교류전압출력부;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교류전압입력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교류전압출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교류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부;
상기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직류전압입력부;
상기 직류전압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구동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치구동부에 스위 치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류회로부와 스위치구동부 사이에 포토커플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구동부는 제1트랜지스터와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류회로부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릴레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를 온(ON)으로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전자제품을 함께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전자제품의 시스템 오프(OFF)시에 플러그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뽑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부여하여 대기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완전 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파워서플라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교류전압출력부;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교류전압입력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교류전압출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교류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부;
상기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직류전압입력부;
상기 직류전압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구동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치구동부에 스위치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의 구성 블록도로서, 스위치(10), 교류전압입력부(11), 교류전압출력부(12), 직류전압입력부(13), 스위치구동부(14), 변압기(15), 정류회로부(16)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전자제품의 동작을 위해 스위치(10)를 푸쉬하면, 순간적으로 외부의 교류전원으로부터 교류전압이 교류전압입력부(11)를 통해 변압기(15)에 인가되고, 동시에 교류전압출력부(12)를 통해 교류전압이 외부 전자장치에 장착된 파워서 플라이(20)에 입력된다.
파워서플라이(20)는 동작시키고자 하는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각종 소자를 구동할 수 있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파워서플라이(2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은 직류전압입력부(13)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소자의 구동전압으로 공급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스위치구동부(14)의 구동전압이 공급되어지며, 변압기(15)를 통해 적정신호의 크기로 변환된 교류전압은 정류회로부(16)을 통해 전파정류된다. 상기 정류회로부(16)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정류된 전기신호는 스위치구동부(14)에 입력되어 스위치(10)를 온(ON) 상태를 유지시켜 전자제품의 시스템이 온(ON) 상태에 놓이도록 한다.
역으로 전자제품의 시스템이 오프(OFF) 상태가 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의 시스템을 오프(OFF)한 경우에는 파워서플라이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차단되고,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전원 및 유도전압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구동부(14)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차단되고, 정류회로부(16)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가 차단되므로 스위치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더 이상 외부 교류전원으로부터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고, 마찬가지로 교류전압출력부에는 교류전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와 함께 전자제품의 시스템은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어 플러그를 콘세트에서 뽑은 것과 동일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류회로부(16)와 스위치구동부(14) 사이에 포토커플러(도 2의 37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포토커플러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며 전기신호를 광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깨끗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는 회로 구성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하 설명하는 전자제품은 컴퓨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출력콘세트에 컴퓨터 전원입력코드를 꼽은 상태에서 스위치(30)를 푸쉬하면(ON), 교류전압이 컴퓨터 전원공급장치인 파워서플라이(미도시)에 전달되고, 파워서플라이에서 나오는 12V의 직류전압은 내핀으로 이루어지는 직류전원입력부(33)에 입력되어 스위치구동부(34)를 구성하는 제1트랜지스터(TR Q1) 및 제2트랜지스터(TR Q2) 및 스위치를 구성하는 릴레이에 인가된다. 상기 스위치구동부(34)를 구성하는 제1트랜지스터(TR Q1)의 컬렉터단자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TR Q2)의 베이스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TR Q2)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스위치(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변압기(35)를 구성하는 2차 코일에서 나오는 전원펄스는 1차 코일의 유도전압로서 정류회로부(36)인 브릿지 정류회로를 거쳐 정류되고, 정류되어 출력되는 전파정류 신호는 포토커플러(37)를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의 깨끗한 전기신호로 전환된다. 상기 포토커플러(37)로부터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1트랜지스터(TR 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고, 컬렉터단자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2트랜지스터(TR Q2)의 베이스단자로 인가된다. 이어 제2트랜지스터(TR Q2)의 이미터단자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30)인 릴레이에 인가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가 붙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컴퓨터는 구동되어진다.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를 시스템 종료 또는 강제 종료시에는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인가되는 전력량이 감소하는 동시에 변압기(35)를 구성하는 1차코일과 2차코일의 전원 및 유도전압이 차단되어진다. 따라서, 컴퓨터의 파워서플라이(미도시)에서 공급되는 12V가 직류전원입력부(33)로부터 차단되어 스위치구동부(34)의 전원을 차단하고, 변압기(35)의 2차코일의 전원펄스 역시 차단되어 스위치구동부(34)를 구성하는 제1트랜지스터(TR Q1) 및 제2트랜지스터(TR Q2)의 신호는 오프(OFF)되고, 더 이상 교류전압입력부(31)와 교류전압출력부(32)에 교류전압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와 컴퓨터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컴퓨터 플러그를 콘세트에서 뽑은 것과 동일한 효과로써 대기전력은 완전하게 차단되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를 단 한번 눌러주는 것(ON)에 의해 컴퓨터가 온(ON) 상태가 되고, 컴퓨터를 종료시에는 자동으로 차단되어 편리하며, 사용자가 차단하지 않더라도 사용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되어 대기전력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종래 A사 제품의 전력차단용 멀티켐을 사용시 램프의 소비전력이 2와트(W) 소모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동일 조건하에 사용할 경우 0.012와트(W) 만이 소모되어 매우 경제적인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는 내부에 전력을 완전히 차단한 후 전력 및 보조배터리가 없는 상태에서 스위치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 온(ON)일 경우 전력사용이 가능하며, 오프(OFF) 상태에서는 주장치인 컴퓨터 및 주변기기 까지 모두 플러그를 뽑은 상태가 되어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는 회로 구성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스위치
11: 교류전압입력부
12: 교류전압출력부
13: 직류전압입력부
14: 스위치구동부
15: 변압기
16: 정류회로부
20: 파워서플라이
100: 대기전력 차단장치

Claims (5)

  1. 전자제품의 파워서플라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교류전압출력부;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압을 입력받는 교류전압입력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교류전압출력부를 통해 교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교류전원을 개폐하는 스위치부;
    상기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입력받는 직류전압입력부;
    상기 직류전압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치구동부;
    상기 교류전압입력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을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스위치구동부에 스위치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류회로부와 스위치구동부 사이에 포토커플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구동부는 제1트랜지스터와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트랜 지스터의 컬렉터단자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가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류회로부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릴레이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20090083257A 2009-09-04 2009-09-04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06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57A KR101066814B1 (ko) 2009-09-04 2009-09-04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257A KR101066814B1 (ko) 2009-09-04 2009-09-04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270A true KR20110025270A (ko) 2011-03-10
KR101066814B1 KR101066814B1 (ko) 2011-09-23

Family

ID=4393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257A KR101066814B1 (ko) 2009-09-04 2009-09-04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6B1 (ko) * 2013-11-12 2014-09-04 주식회사 에프비엘 대기전력 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378A (ja) 1999-06-22 2001-01-1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電気機器の待機電力低減装置
KR200401123Y1 (ko) 2005-08-16 2005-11-15 최병기 반자동 전원제어장치
KR101006818B1 (ko) 2007-12-12 2011-01-10 이근진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6B1 (ko) * 2013-11-12 2014-09-04 주식회사 에프비엘 대기전력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14B1 (ko) 201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9482B2 (en) Power adapter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7839661B2 (en)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having controllable switch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TWI497859B (zh) 電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GB2439003A (en) A power supply
KR101649271B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TWI642250B (zh) 電源控制裝置
TW201122794A (en) Power supply circuit capable of reducing power loss and computer device using the same
KR101530598B1 (ko)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전원 스위치
KR101066814B1 (k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0999344B1 (k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TW201027859A (en) AC adap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511298B (zh) 一种低功耗待机控制电路、开关电源及功率用电器
US8330292B2 (en) Power supply providing an integrated power system
KR101066812B1 (ko)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CN105471247A (zh) 一种低功耗待机控制电路、大功率开关电源及用电设备
CN210183239U (zh) 电源电路及电磁炉
JP5805817B2 (ja) 電源装置、テレビ装置、及び電子機器
CN113839570B (zh) 显示装置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100804742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소모 절감 장치
US20130257162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TWI395097B (zh)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power system
KR101397765B1 (ko) 전원 공급 장치
CN1753258A (zh) 待机不耗电通用电器插座(2)
KR100668110B1 (ko) 자동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