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767A -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767A
KR20110024767A KR1020090082900A KR20090082900A KR20110024767A KR 20110024767 A KR20110024767 A KR 20110024767A KR 1020090082900 A KR1020090082900 A KR 1020090082900A KR 20090082900 A KR20090082900 A KR 20090082900A KR 20110024767 A KR20110024767 A KR 2011002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well segment
pier
well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4623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9008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6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 없이도 수중 교각을 빠른 시간 내에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의 지반에 교각을 시공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에 있어서,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으며,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홀을 구비하는 부상체와; 상기 부상체의 작업홀을 통해 수중의 지반을 향해 순차적으로 연결 조립되어 수중의 지반에 침하되며,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됨에 따라 교각을 시공하는 다수의 우물통 세그먼트들과; 순차적인 조립에 의해 길이가 연장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을 상기 수중의 지반을 향해 점차 하강시킬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견인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DEVICE FOR CONSTRUCTING PIER IN THE WATER AND PIER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 없이도 수중 교각을 빠른 시간 내에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 교각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우물통 공법이 있다. 이 기술은,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로 우물통 본체를 이송시킨 다음, 이송된 우물통 본체를 물속에 빠트려 해저 지반에 가라앉힌다.
그리고, 우물통 본체 내부의 지반을 암반층까지 굴착하여 상기 우물통 본체를 해저 암반층에 침하시킨 후, 우물통 본체의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설치된 거푸집에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교각을 시공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우물통 공법은, 중량체이고 길이가 긴 우물통 본체를 통째로 다루어야 하므로, 대규모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시공하기가 매우 어렵고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많은 시공비용이 소요되고, 긴 시공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우물통 공법은, 중량체이고 길이가 긴 우물통 본체를 해상의 수면위로 통째로 옮겨야 하고, 이를 통째로 들어올려야 하므로, 작업하기가 매우 어렵고 힘들며 안전사고의 우려마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무겁고 긴 길이의 우물통 본체를 다루기 위해 대형의 바지선, 대형의 해상 크레인 등이 필요하고, 이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우물통 공법은, 시공하기가 매우 어렵고 힘들 뿐만 아니라, 많은 시공비용과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며, 시공기간도 연장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 없이도 수중 교각을 빠른 시간 내에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 없이도 수중 교각을 빠른 시간 내에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수중의 지반에 교각을 시공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에 있어서,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으며,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홀을 구비하는 부상체와; 상기 부상체의 작업홀을 통해 수중의 지반을 향해 순차적으로 연결 조립되어 수중의 지반에 침하되며,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됨에 따라 교각을 시공하는 다수의 우물통 세그먼트들과; 순차적인 조립에 의해 길이가 연장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을 상기 수중의 지반을 향해 점차 하강시킬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의 지반에 침하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과 상기 부상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방법은, 수중의 지반에 교각을 시공하는 수중 교각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부상체에 형성된 작업홀 상측의 조립위치로 어느 하나의 우물통 세그먼트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조립위치로 이동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 위에 다른 것의 우물통 세그먼트를 연결 조립하는 단계와; d) 다른 것의 우물통 세그먼트가 상기 조립위치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e) 상기 c) 단계와 d)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을 수중의 지반까지 연장시키는 단계와; f) 상기 지반까지 연장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의 내부 지반을 암반층까지 굴착하여 상기 암반층에 침하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암반층에 침하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의 내부공간 바닥면에 수중 콘크 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면을 밀폐시키는 단계; h)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양수하는 단계와; i)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와; j) 양생된 콘크리트 교각으로부터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과 상기 부상체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 단계 후에,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들과 상기 부상체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은, 우물통 본체를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한 다음, 분할된 우물통 세그먼트를 부상체의 작업홀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수중의 지반까지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우물통 본체의 설치작업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된 우물통 세그먼트들의 조립작업을 통해 우물통 본체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물통 본체를 통째로 다루어야 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없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를 구성하는 우물통 세그먼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는 부상체(10)를 구비한다.
부상체(10)는, 바지(Barge)선으로 구성되며,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부상체(10)는 경우에 따라 자체 동력을 갖춘 선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부상체(10)는 중앙부의 작업홀(12)을 구비한다. 중앙의 작업홀(12)은 부상체(10)의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수직하게 뚫려 있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홀(12)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공하고자 하는 교각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작업홀(12)은, 일측부분이 부상체(10)의 측면을 향해 개방(12a)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일측의 개방부(12a)를 통해 각종 장비 등을 작업홀(12)로 출입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중 교각의 시공 후, 작업홀(12)에 시공된 수중 교각으로부터 부상체(10)가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다수의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구비한다.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내부공간(22)을 갖는 강철재 구조물로서, 서로 수 직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우물통 본체(20a)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특히, 부상체(10)의 작업홀(1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수면위로부터 수중의 지반(E)까지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연장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이 수중의 지반(E)에 침하되면서 하나의 우물통 본체(20a)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우물통 세그먼트(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통(24)과 외측통(26) 및 내,외측통(24, 26)을 간격을 두고 지지시키는 지지바(28)들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이중구조를 이룬다.
이중구조의 우물통 세그먼트(20)는, 내수압성을 갖는다. 따라서, 깊은 수심에 설치되더라도 변형 및 손상되지 않는다. 여기서, 내,외측통(24, 26)을 지지시키는 지지바(28)는 트러스(Truss)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는, 우물통 세그먼트(20)의 내수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용접, 볼트·너트 등과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너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각의 시공 후,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해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상,하부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수단(30)을 구비한다.
견인수단(30)은, 부상체(10)의 작업홀(12) 주변 둘레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견인지지대(32)와, 각 견인지지대(32)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아이들롤러(34)와, 일단(36a)이 우물통 세그먼트(20)의 둘레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36b)이 견인지지대(32)의 아이들롤러(34)에 감아져 걸어지는 복수의 견인케이블(36) 및, 아이 들롤러(34)에 감아 걸어진 견인케이블(36)의 타단(36b)을 감거나 풀어주는 견인롤러(38)와, 견인롤러(38)를 구동시키는 견인모터(39)를 포함한다.
특히, 견인모터(39)와 견인롤러(38)는, 견인케이블(36)의 타단(36b)을 일정길이로 풀어줌으로써, 견인케이블(36)의 일단(36a)에 고정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일정거리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이 수중의 지반(E)을 향해 점차적으로 하강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조립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이 수중의 지반(E)까지 길게 연장되면서 침하될 수 있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견인모터(39)와 견인롤러(38)는, 견인케이블(36)의 타단(36b)을 감아줌으로써, 교각의 시공을 완료한 우물통 본체(20a)를 부상체(10)의 상부로 들어올리는 역할도 한다.
한편, 견인케이블(36)의 일단(36a)은, 수직하게 조립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 중, 최상부의 우물통 세그먼트(2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견인케이블(36)은, 우물통 세그먼트(20)를 지지하되, 적어도 두 군데 이상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우물통 세그먼트(20) 외면 둘레의 세 군데를 지지하는 것이 좋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지반(E)에 침하된 우물통 본체(20a)에 부상체(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구비한다.
고정수단(40)은, 용접, 볼트·너트 등으로 구성되며, 우물통 본체(20a)의 외면 둘레 부분과 조립홀(12)둘레의 부상체(10) 부분을 서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수단(40)은, 지반(E)에 침하된 우물통 본체(20a)에 부상체(10)를 고정시킴으로써, 우물통 본체(20a)와 부상체(10)를 하나의 몸체로 만들어준다. 그 결과, 부상체(10)가 우물통 본체(20a)를 통해 지반(E)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부상체(1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로써, 부상체(10)에서의 교각 시공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고정수단(40)은, 볼트·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각의 시공 후, 우물통 본체(20a)와 부상체(10)를 분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는,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는 내부 거푸집(50)을 더 포함한다.
내부 거푸집(50)은, 철제판 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 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 거푸집(50)은, 우물통 본체(20a)와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우물통 본체(20a)와의 사이에 배근공사를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철근 콘크리트 교각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내부 거푸집(50)은, 경우에 따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에 직접 배근공사를 하고,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한다. 따라서,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 모두가 콘크리트 교각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를 이용한 수중 교각 시공방법을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이 설치될 부분의 수면 위에 부상체(10)를 이동시킨다(S101).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 중 어느 하나를 작업홀(12) 상측의 조립위치("X")로 이동시키고(S103), 조립위치("X")로 이동시킨 우물통 세그먼트(20)를 견인케이블(36)의 일단(36a)에 수직한 상태로 지지시킨다(S105).
그리고, 우물통 세그먼트(20)의 지지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통 세그먼트(20)의 상부에 또 다른 우물통 세그먼트(20)를 연결 조립한다(S107).
그리고 다른 우물통 세그먼트(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롭게 조립된 최상측의 우물통 세그먼트(20)가 조립위치("X")로 하강할 수 있도록, 견인케이블(36)을 풀어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하강시킨다(S109).
그리고 최상측의 우물통 세그먼트(20)가 조립위치("X")로 하강하면, 다시 상기 (S107)단계(도 6참조)와 (S109)단계(도 7참조)를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그러면, 다수의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계속적으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지반(E)까지 길게 연장(S111)되면서 하나의 우물통 본체(20a)를 이룬다.
한편, 우물통 본체(20a)의 연결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 통 본체(20a)의 내부 지반을 암반층(E1)까지 굴착한다(S113). 그러면, 우물통 본체(2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E)의 암반층(E1)에 침하된다(S115).
그리고 우물통 본체(20a)의 침하가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층(E1)에 침하된 우물통 본체(20a)와 부상체(10)를 고정수단(40)으로 고정시킨다(S117). 그러면, 부상체(10)는 우물통 본체(20a)를 통해 지반(E)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로써, 부상체(10)의 유동은 방지된다.
한편, 부상체(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 바닥면에 수중 콘크리트(24)를 타설하여 내부공간(22)의 바닥면을 밀폐시킨다(S119).
그리고 내부공간(22)의 바닥면 밀폐가 완료되면,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양수한 다음(S12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공간(22)에 내부 거푸집(50)을 설치한다(S123).
그리고 내부 거푸집(50)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부 거푸집(50)과 우물통 본체(20a)의 사이에 배근공사를 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S125). 이때,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에 내부 거푸집(50)을 설치하지 않고, 우물통 본체(20a)의 내부에 직접 배근공사를 하고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이 완료된 다음, 일정시간의 경과되어 콘트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S127),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내부 거푸집(50)과 우물통 본체(20a)를 해체한다(S129). 그러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콘트리트로 이루어진 수중 교각(60)이 시공된다(S131).
한편, 우물통 본체(20a)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교각으로부터 분리된 우물통 본체(20a)를 견인수단(30)의 견인케이블(36)을 통해 상부로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우물통 본체(20a)를 다수의 세그먼트(20)로 분할한 다음, 분할된 우물통 세그먼트(20)를 부상체(10)의 작업홀(12)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수중의 지반(E)까지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우물통 본체(20a)의 설치작업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다.
또한, 분할된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조립작업을 통해 우물통 본체(20a)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우물통 본체(20a)를 통째로 다루어야 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대형의 중장비와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없다. 따라서, 안전사고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교각 시공장치를 구성하는 우물통 세그먼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교각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부상체 12: 작업홀
20: 우물통 세그먼트(Segment) 22: 내부공간
24: 내측통 26: 외측통
28: 지지바 30: 견인수단
32: 견인지지대 34: 아이들롤러(Idle Roller)
36: 견인케이블(Cable) 36a: 견인케이블의 일단
36b: 견인케이블의 타단 38: 견인롤러(Roller)
39: 견인모터 40: 고정수단
50: 내부 거푸집 E: 지반

Claims (10)

  1. 수중의 지반에 교각을 시공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에 있어서,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으며, 상,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작업홀(12)을 구비하는 부상체(10)와;
    상기 부상체(10)의 작업홀(12)을 통해 수중의 지반(E)을 향해 순차적으로 연결 조립되어 수중의 지반(E)에 침하되며, 내부공간(22)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됨에 따라 교각을 시공하는 다수의 우물통 세그먼트(20)들과;
    순차적인 조립에 의해 길이가 연장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상기 수중의 지반(E)을 향해 점차 하강시킬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견인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의 지반(E)에 침하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과 상기 부상체(1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는 내부 거푸집(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거푸집(50)과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상기 교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10)는, 바지(Barge)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체(10)의 작업홀(12)은, 일측부분이 상기 부상체(10)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30)은,
    상기 부상체(10)의 작업홀(12) 주변 둘레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견인지지대(32)와;
    상기 각 견인지지대(32)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아이들롤러(34)와;
    일단(36a)이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의 일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36b)이 상기 견인지지대(32)의 아이들롤러(34)에 감아져 걸어지는 복수의 견인케이블(36) 및;
    상기 견인케이블(36)의 일단(36a)에 지지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이 상,하부로 견인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케이블(36)의 타단(36b)을 감거나 풀어주는 견인롤러(38)와 견인모터(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은,
    내측통(24)과 외측통(26) 및 상기 내,외측통(24, 26)을 간격을 두고 지지시키는 지지바(28)들로 구성되어 이중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장치.
  8. 수중의 지반에 교각을 시공하는 수중 교각 시공방법에 있어서,
    a)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면 위에 부상체(10)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b) 상기 부상체(10)에 형성된 작업홀(12) 상측의 조립위치("X")로 어느 하나의 우물통 세그먼트(20)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조립위치("X")로 이동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 위에 다른 것의 우물통 세그먼트(20)를 연결 조립하는 단계와;
    d) 다른 것의 우물통 세그먼트(20)가 상기 조립위치("X")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e) 상기 c) 단계와 d)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을 수중의 지반(E)까지 연장시키는 단계와;
    f) 상기 지반(E)까지 연장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 지반을 암 반층(E1)까지 굴착하여 상기 암반층(E1)에 침하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암반층(E1)에 침하된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공간(22) 바닥면에 수중 콘크리트(24)를 타설하여 내부공간(22)의 바닥면을 밀폐시키는 단계;
    h)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공간(22)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양수하는 단계와;
    i)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공간(22)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와;
    j) 양생된 콘크리트 교각으로부터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과 상기 부상체(10)를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후에,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과 상기 부상체(10)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후에,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내부공간(22)에 내부 거푸집(5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i) 단계에서,
    상기 내부 거푸집(50)과 상기 우물통 세그먼트(20)들의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교각 시공방법.
KR1020090082900A 2009-09-03 2009-09-03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15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00A KR101154623B1 (ko) 2009-09-03 2009-09-03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00A KR101154623B1 (ko) 2009-09-03 2009-09-03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67A true KR20110024767A (ko) 2011-03-09
KR101154623B1 KR101154623B1 (ko) 2012-06-08

Family

ID=4393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00A KR101154623B1 (ko) 2009-09-03 2009-09-03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041A (zh) * 2021-10-27 2021-12-28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分块拼装式水工建筑物动水拼装下沉就位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530A (zh) * 2020-03-25 2020-07-1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斜拉式独柱墩抗倾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30B1 (ko) 2004-11-23 2006-04-11 우경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강재 우물통을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0515388B1 (ko) * 2005-02-03 2005-09-29 (주) 경화엔지니어링 교량 우물통의 수중 콘크리트 타설장비
KR100819624B1 (ko) * 2006-03-03 2008-04-04 정혜진 수밀형 오픈케이슨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기초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041A (zh) * 2021-10-27 2021-12-28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分块拼装式水工建筑物动水拼装下沉就位安装方法
CN113845041B (zh) * 2021-10-27 2024-02-27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分块拼装式水工建筑物动水拼装下沉就位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623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0070B2 (ja) 既設水中構造物の仮締切り工法
CN102720140B (zh) 大跨度预应力砼连续梁深水桥墩施工工艺
JP5057223B2 (ja) 鋼製セグメントを用いた仮締切壁の施工方法
JP6619204B2 (ja) 締切工法および止水壁構造体
CN101575858A (zh) 水下桥墩加固用钢围堰的施工方法
KR100714179B1 (ko) 자중 저감방법에 의한 우물통의 시공방법 및 그 우물통
CN107882055A (zh) 一种风机承台的施工方法
CN107142954B (zh) 一种整体吊装的钢吊箱吊装系统及其吊装方法
CN109707002B (zh) 大型取水头精确定位沉放安装装置及方法
KR101154623B1 (ko)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041361B1 (ko) 부력 통을 이용한 콘크리트 우물통 시공 시스템
CN112538852A (zh) 针对薄覆盖层的深水钻孔灌注桩的施工方法
CN108118728B (zh) 异形深基坑高效挖土装置及挖土方法
KR101066023B1 (ko) 수중 교각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117927B1 (ko) 해상구조물 가설 공법
JP5432814B2 (ja) 浄化槽保護用コンクリート体の構築方法
CN111042173B (zh) 一种流沙层沉井施工方法
JP4947459B2 (ja) 杭芯材施工方法
CN210737452U (zh) 水上装配式靠船墩
KR20110050032A (ko) 기초 우물통 보수용 구조물 및 기초 우물통 보수 방법
CN112227400A (zh) 一种埋置式承台的施工方法
KR200404677Y1 (ko) 자중 저감방법에 의한 우물통의 시공방법 및 그 우물통
CN104047277B (zh) 一种格型钢板桩大圆筒主格板桩组合散打方法
KR101134025B1 (ko) 우물통 기초 공법
KR102535841B1 (ko) 부유식 pc 하우스를 이용한 수상 교각 기초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