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589A - 욕실 난방 구조 - Google Patents

욕실 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589A
KR20110024589A KR1020090082648A KR20090082648A KR20110024589A KR 20110024589 A KR20110024589 A KR 20110024589A KR 1020090082648 A KR1020090082648 A KR 1020090082648A KR 20090082648 A KR20090082648 A KR 20090082648A KR 20110024589 A KR20110024589 A KR 20110024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groove
heating
waterproof plate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846B1 (ko
Inventor
고용근
Original Assignee
재성진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성진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성진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8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의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욕실의 바닥을 난방할 수 있는 욕실 난방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는 욕실의 바닥체 상에 고정되며, 외곽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에 제 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판;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배치되며, 양 종단이 난방수 유입구 및 난방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난방 배관;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난방 배관이 위치하는 무기물층; 및 방수판의 평면부 및 무기물층에 고정된 마감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욕실의 바닥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방수판의 제 1 그루브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난방 배관은 배관 고정체에 의하여 방수판의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되되, 배관 고정체는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수평편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평편 사이에 형성되어 난방 배관에 접촉하는 만곡편을 포함한다.
욕실 난방, 난방 배관, 방수판

Description

욕실 난방 구조{Structure for heating bath room}
본 발명은 욕실 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의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욕실의 바닥에 대한 난방 기능이 우수한 욕실 난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주택 등과 같은 거주 시설의 주요 공간인 욕실은 난방용 배관이 매립된 거실 또는 방과 떨어져 있는 공간으로서, 동절기에는 욕실과 거실/방 간의 온도 차이가 심하여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한기를 느끼게 된다. 특히, 욕실이 건물 외벽과 접해 있거나 또는 욕실에 창호가 설치된 경우는 외부의 한기가 욕실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동절기에 사용자가 느끼는 한기가 더욱 심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반적인 욕실 난방 구조는 욕실의 벽체에 가설된 스팀 라인(steam line) 및 욕실 내에 설치되고 스팀 라인과 연결된 라디에이터(radiator)를 포함한다. 외부에서 공급된 난방수(또는 난방 스팀)은 스팀 라인을 통하여 라디에이터 내로 유입되며, 따라서 라디에이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하여 욕실 내부 공간이 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팀 라인 및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욕실 난방 방법은 욕실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표면이 뜨거운 스팀 라인 또는 라디에이터에 접촉하는 경우 화 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스팀 라인 및 라디에이터가 협소한 욕실 내에 설치됨으로써 욕실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감소되고 욕실의 인테리어가 저하된다. 특히, 스팀 라인 및 라디에이터 설치에 따라 별도의 설치 비용,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스팀 라인 및 라디에이터를 이용한 욕실 난방 구조는 열이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욕실 내의 공간으로 방사되어 실내 온도만을 상승시킬 뿐, 타일로 마감된 욕실 바닥면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는다.
특히, 동절기에 차가운 욕실 바닥은 고령의 노인에게 신체에 큰 무리를 줄 수 있으며, 따라서, 고령의 노인 및 장애인 등이 수용되어 있는 시설물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발바닥이 접촉하는 욕실 바닥면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욕실의 난방 구조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욕실의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욕실의 바닥을 난방할 수 있는 욕실 난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원으로부터 방사된 열을 장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욕실에서 사용된 물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는 욕실 난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는 욕실의 바닥체 상에 고정되며, 외곽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에 제 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판;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배치되며, 양 종단이 난방수 유입구 및 난방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난방 배관;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난방 배관이 위치하는 무기물층; 및 방수판의 평면부 및 무기물층에 고정된 마감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욕실의 바닥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방수판의 제 1 그루브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난방 배관은 배관 고정체에 의하여 방수판의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되되, 배관 고정체는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수평편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평편 사이에 형성되어 난방 배관에 접촉하는 만곡편을 포함한다.
한편, 무기물층은 석분, 수지 그리고 석분과 수지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는, 난방 배관으로부터 방사된 열이 무기물층으로 전달되고, 이 열은 무기물층에 흡수되어 장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난방수가 난방 배관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무기물층에 저장된 열이 마감재에 전달되어 욕실 바닥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욕실 내부 공간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욕실 바닥면으로 전달된 열에 의하여 욕실 사용 후 바닥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빠른 시간 내에 제거되어 물때의 형성 억제 및 바닥면에서의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무기물층이 방수판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그루브 내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재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침투된 수분이 무기물층에 도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물로 인한 무기물층의 변형 및 물리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를 구성하는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부재들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각 구성 부재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 2가 단면도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부재를 단면 처리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는 욕실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바닥체(1; 이하, "바닥체"라 칭함) 상에 고정된 방수판(10), 방수판(10)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난방 배관(20), 난방 배관(20)의 특정 영역에 배치된 무기물층(30) 그리고 방수판(10)과 무기물층(30) 상에 고정된 마감재(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부재의 구성 및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방수판 (10)
욕실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체(1) 상에는 금속 재질의 방수판(10)이 고정되어 있다. 방수판(10)은 공지의 접착 수단을 통하여 바닥체(1) 상에 고정된다.
방수판(10)의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소정 깊이의 제 1 그루브(11)가 형성되며, 이 그루브(11)는 방수판(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방수판(10)의 외곽부에는 소정 깊이의 제 2 그루브(12)가 형성되며, 제 2 그루브(12)의 외측에 위치하는 방수판(10)의 수직 외곽 영역(10A)은 욕실의 벽체(2)에 고정된다.
난방 배관(20)
방수판(10)의 제 1 그루브(11) 내에는 소정 직경의 난방 배관(20)이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난방 배관(20)의 전체적인 형상 및 길이는 제 1 그루브(11)의 형상 및 길이에 대응하며, 양 종단은 도시되지 않은 난방수 유입구 및 난방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된다.
난방 배관(20)은 다수의 배관 고정체(50)에 의하여 방수판(10), 즉 제 1 그루브(11)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각 배관 고정체(50)는 양측의 제 1 및 제 2 수평편(51 및 52) 및 제 1 및 제 2 수평편(51 및 52) 사이에 형성된 만곡편(53)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관 고정체(50)의 만곡편(53) 하부에 난방 배관(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수평편(51 및 52)이 체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 1 그루브(11)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따라서 난방 배관(20)은 배관 고정체(50)에 의하여 방수판(10)에 고정된다.
무기물층(30)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배관(20)이 배치된 방수판(10)의 제 1 그루브(11) 내에는 무기물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그루브(11)의 전체 영역에 무기물층(30)이 형성되며, 이 무기물층(30)의 하부에는 방수판(10)에 고정된 난방 배관(20)이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무기물층(30)은 무기물, 예를 들어 석분, 수지 또는 석분과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물층(30)은 난방 배관(20)에서 발산된 열을 흡수하고 또한 그 열을 장시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마감재(40)
제 1 그루브(11)와 제 2 그루브(12)를 제외한 방수판(10)의 전체 상부면, 즉 방수판(10)의 평면부 그리고 제 1 그루브(11) 내에 형성된 무기물층(30)의 상부면에는 접착제층(41)을 통하여 마감재(40)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감재(40)로서 욕실의 바닥을 장식하는 다양한 마감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욕실의 바닥 마감재의 대표적인 부재인 타일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의 전체적인 기능을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방수 유입구를 통하여 난방 배관(20)으로 유입된 고온의 난방수는 난방 배관(20) 내부를 유동하며, 이후 난방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난방수의 열은 난방 배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며, 이 열은 난방 배관(20) 상부에 위치한 무기물층(30)에 흡수된다.
무기물층(30)에 흡수된 열은 마감재(40)로 전달되며, 따라서 마감재(40)의 온도가 상승된다. 여기서, 마감재(40)로 전달된 열은 마감재(40)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마감재(40)를 통하여 욕실의 내부 공간으로 발산되어 욕실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세부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난방수가 유동하는 난방 배관(20)으로부터 방사된 열은 무기물층(30)으로 전달되며, 이 열은 무기물층(30)에 흡수되어 장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수가 난방 배관(20)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무기물층(30)에 저장된 열이 일정 시간 동안 마감재(40)로 전달됨으로써 욕실 바닥은 따듯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물층(30)은 방수판(10)에 형성된 제 1 그루브(11) 내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재(40)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침투된 수분이 무기물층(30)에 도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무기물층(30)의 변형 및 물 리적 특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욕실에서의 물 사용시 마감재(40) 상으로 떨어진 오수는 방수판(10)의 외곽부, 즉 벽체(2)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 2 그루브(12) 내로 유입되며, 이 오수는 제 2 그루브(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무기물층(30)과 난방 배관(20)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리고 무기물층(30)과 난방 배관(20)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난방 구조를 구성하는 부재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부재들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7)

  1. 욕실의 바닥체 상에 고정되며, 외곽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에 제 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판;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배치되며, 양 종단이 난방수 유입구 및 난방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난방 배관;
    방수판의 제 1 그루브 내에 형성되되, 하부에는 난방 배관이 위치하는 무기물층; 및
    방수판의 평면부 및 무기물층에 고정된 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수판의 제 1 그루브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수판은 그 외곽부에 형성된 제 2 그루브를 포함하며, 제 2 그루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수직 외곽 영역은 욕실의 벽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방수판은 제 2 그루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난방 배관은 배관 고정체에 의하여 방수판의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되되, 배관 고정체는 제 1 그루브의 바닥면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수평편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평편 사이에 형성되어 난방 배관에 접촉하는 만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물층은 석분, 수지 그리고 석분과 수지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마감재는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난방 구조.
KR1020090082648A 2009-09-02 2009-09-02 욕실 난방 구조 KR10124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48A KR101249846B1 (ko) 2009-09-02 2009-09-02 욕실 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648A KR101249846B1 (ko) 2009-09-02 2009-09-02 욕실 난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589A true KR20110024589A (ko) 2011-03-09
KR101249846B1 KR101249846B1 (ko) 2013-04-02

Family

ID=4393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648A KR101249846B1 (ko) 2009-09-02 2009-09-02 욕실 난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8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87B1 (ko) * 2014-03-13 2014-06-12 김용대 공동주택용 방음 및 방수패널
CN108954457A (zh) * 2018-05-30 2018-12-07 崔党营 一种保暖效果好的地暖管安装结构
TWI720629B (zh) * 2018-10-05 2021-03-01 日商積水房屋科技股份有限公司 浴室地板構造
CN112900786A (zh) * 2021-01-21 2021-06-04 成都找个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卫生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10Y1 (ko) * 2001-04-24 2001-10-31 병 균 임 건식 온돌판
KR200288903Y1 (ko) * 2002-06-17 2002-09-11 주식회사 한국에치피티 평판형 히트 파이프
JP2007163116A (ja) 2005-12-16 2007-06-28 Kunikazu Ichizawa 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温水マット及び該温水マットを利用した温水式床暖房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1383351B1 (ko) * 2007-09-17 2014-04-15 재성진흥 주식회사 히트 파이프 안착홈을 구비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욕실바닥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87B1 (ko) * 2014-03-13 2014-06-12 김용대 공동주택용 방음 및 방수패널
CN108954457A (zh) * 2018-05-30 2018-12-07 崔党营 一种保暖效果好的地暖管安装结构
CN108954457B (zh) * 2018-05-30 2020-12-01 苏州创力波科技有限公司 一种保暖效果好的地暖管安装结构
TWI720629B (zh) * 2018-10-05 2021-03-01 日商積水房屋科技股份有限公司 浴室地板構造
CN112900786A (zh) * 2021-01-21 2021-06-04 成都找个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卫生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846B1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846B1 (ko) 욕실 난방 구조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ITMI20101201A1 (it) Modulo di pavimentazione radiante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WO2019075995A1 (zh) 卫生间
Atamov et al. The method of increasing efficiency with changing the cross section of pipes on the installation of a heat exchanger
KR101383351B1 (ko) 히트 파이프 안착홈을 구비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욕실바닥 시공방법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20060121490A (ko) 화장실용 바닥 난방 구조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EA037207B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плитка с уклоном для душевой
JP2004344263A (ja) 組立式サウナ室
KR20140063172A (ko) 바닥 난방 시스템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JP2007236818A (ja) 保温浴槽
CN100537983C (zh) 岩盘健身浴室
KR20100007759U (ko) 바닥 복사구조
KR102193149B1 (ko) 세면대 일체형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JP2010022800A (ja) 業務用ユニット式浴槽における保温性向上に関する発明
CN207392511U (zh) 一种适用于冷热水管道暗装的装配式卫生间墙体
KR200344797Y1 (ko) 난방관 배관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