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521A -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4521A KR20110024521A KR1020090082552A KR20090082552A KR20110024521A KR 20110024521 A KR20110024521 A KR 20110024521A KR 1020090082552 A KR1020090082552 A KR 1020090082552A KR 20090082552 A KR20090082552 A KR 20090082552A KR 20110024521 A KR20110024521 A KR 20110024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water
- unit
- operation unit
- housing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8—Obtaining fluid samples or testing fluids, in boreholes or wells
- E21B49/084—Obtaining fluid samples or testing fluids, in boreholes or wells with means for conveying samples through pipe to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12—Methods o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obtained fluid to or in wel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시추공에서 지하수의 채취를 위한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가 개시된다. 시추공에 삽입되어 지하수의 채취를 위한 관성펌프 형태의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는, 취수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쉘, 상기 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시추공 내의 지하수를 상기 취수관으로 유입시키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작동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유닛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하수 채취, 관성펌프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지하수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의 채취 심도와 시추공의 크기에 무관하게 지하수를 채취할 수 있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공 내 결정질 암반에서 관심이 되는 매질의 수리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현장 수리시험 및 지화학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험 및 분석을 위해 지하수 시료 채취를 위한 지하수 양수용 지하수 채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지하수 채취장치는 채취하고자 하는 위치의 암반에 소정 직경과 깊이의 시추공을 형성하고, 시추공 내부로 취수관을 삽입하여 취수관을 통해 시추공 내의 원하는 심도 구간에서 지하수를 양수하여 채취한다. 여기서, 지하수 채취장치는 취수관을 통해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된다. 일 예로, 시추공 주변의 지상에서 취수관을 통해 지하수를 펌핑하도록 양수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시추공 내부의 지하수 내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 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또 한, 또 다른 펌프의 형태로, 시추공 내의 지하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되 관성볼의 이동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 지하수를 양수하는 형태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양수 펌프는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지하수를 지상에서 흡입하여 양수하는 것인데, 펌프의 흡입력에는 실질적으로 제한이 있어서 펌프가 양수할 수 있는 지하수의 깊이에 제약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하는 심도에서 지하수를 채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수중 펌프의 경우 양수 펌프에 비해 더 깊은 심도에서 지하수를 양수할 수 있으나, 채취 심도가 증가할수록 펌프의 용량과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시추공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펌프의 크기가 시추공의 크기의 의해 제한되어 펌프의 용량 및 채취 심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한계로 인해 작은 크기의 시추공에는 사용이 어려우며 펌프의 용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시추공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역시 실질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관성볼 형태의 관성펌프의 경우 채취 심도나 시추공의 크기에 의한 제약이 다른 펌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하지만, 관성펌프는 관성볼의 이동에 따라 지하수를 채취하므로 지상에서의 상하 운동이 채취 심도에 위치한 관성볼까지 전달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취수관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채취 심도가 깊어질수록 이러한 운동을 전달하기가 어려우며, 운동의 전달을 위해 취수관을 계속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깊은 심도에서는 관성펌프의 상하 운동에 의해 시추공 내벽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추공이 붕괴되는 위험도 존재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하수의 채취를 위한 시추공에서 채취 심도나 시추공의 크기에 무관하게 지하수를 채취할 수 있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추공에 삽입되어 지하수의 채취를 위한 관성펌프 형태의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는, 취수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쉘, 상기 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시추공 내의 지하수를 상기 취수관으로 유입시키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작동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유닛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취수관과 연통되어 상기 지하수의 유출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 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하수의 유동을 위한 취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닛의 밸브 시트 역할을 하는 세퍼레이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지하수의 관성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취수홀을 개폐하는 블레이 드 및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 시 상기 블레이드가 힌지 회동하여 상기 취수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세퍼레이터에 결합시키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 이동 시 상기 취수홀을 개방하고 상기 작동유닛의 하부 이동 시에는 상기 취수홀을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 시 상기 하우징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압 조절홀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석으로,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유닛이 상하 왕복 운동하는 솔레노이드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직선 형태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 이동 시에는 상부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고 하부 이동 시에는 하부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서로 교번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유닛의 왕복 운동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관은 일부 또는 전부가 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하우징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구동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유닛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추공 내에서 채취 심도의 지하수 수중에 지하수 채취장치가 구비되어 지하수를 양수하므로 채취 심도나 시추공의 크기에 무관하게 지하수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석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유닛이 상하 운동하고,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에 의해 지하수가 양수되는 전동식 관성펌프의 형태를 가지므로 지하수 채취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효율적으로 지하수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수중에 지하수 채취장치가 구비되므로 채취된 지하수가 대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채취된 지하수를 시추공 내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패커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심도 구간에서 지하수를 선별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하수 채취장치(20)는 시추공(10)에 삽입되어 지하수(W)를 양수하여 채취하기 위한 장치로, 취수관(11)에 연결되도록 시추공(10) 내의 지하수(W) 내에 삽입 구비되며 상하 운동에 의해 지하수를 양수할 수 있는 관성펌프이다.
지하수 채취장치(20)는 쉘(21)과 작동유닛(22), 구동유닛(23) 및 개폐유닛(230)으로 이루어진다.
쉘(shell)(21)은 지하수 채취장치(20)의 외관을 형성하고, 시추공(10) 내의 지하수(W)를 취수관(11)으로 유입시키는 유로가 되도록 취수관(11)의 일부를 형성한다.
작동유닛(22)은 쉘(21)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작동유닛(22)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시추공(10) 내의 지하수(W)가 취수관(11)으로 유입된다.
상세하게는, 작동유닛(22)은 지하수(W)의 취수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며 내부에 개폐유닛(230)이 구비되는 하우징(211, 221)과 하우징(211, 221)에서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작동유닛(22)의 상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고 지하수(W)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관(212, 222)으로 구성된다.
가이드관(212, 222)은 하우징(211, 221)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작동유닛(22)이 구동유닛(23)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충분한 거리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관(212, 222)은 작동유닛(22)이 쉘(21) 내부에서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관(212, 222)은 시추공(10)과 취수관(11) 및 하우징(211, 221)과 연통되어 가이드관(212, 222)을 통해 시추공(10) 내부의 지하수를 취수관(11)으로 유입시키는 유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작동유닛(22)은 중간의 하우징(211, 221)에서 양측 가이드관(212, 222)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우징(211, 221)과 가이드관(212, 222)의 형태로 인해 작동유닛(22)은 벤투리(Venturi) 효과를 가지므로 시추공(10) 내부에서 지하수(W)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며, 유입된 지하수(W)를 취수관(11)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관(212, 222)과 하우징(211, 221)의 연결부는 비교적 완만하게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1, 221)은 상부 하우징(211)과 하부 하우징(221)으로 형성되어, 결합 플랜지(213, 223)에서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하우징(211, 221) 내부에는 하우징(211, 221) 내부를 상하로 분리시키는 세퍼레이터(separator)(225)가 구비되고, 지하수(W)의 유동을 위한 취수홀(22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225)의 상부에는 취수홀(225a)을 개폐하도록 개폐유닛(230)이 구비되고, 세퍼레이터(225)는 개폐유닛(230)의 밸브시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세퍼레이터(225)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동유닛(22)의 상하 왕복 운동 시 선택적으로 지하수(W)를 유출입시킬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1, 221)의 일측에는 작동유닛(22)의 상하 운동 시 하우징(211, 221) 내부의 수압에 의해 개폐유닛(23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211, 22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압 조절홀(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압 조절홀(221a)은 하부 하우징(221)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수압 조절홀(2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유닛(22)의 하부 이동 시, 즉, 지하수(W)의 흡입 시에는 하부 가이드관(222)뿐만 아니라 수압 조절홀(221a)을 통해 하우징(211, 221) 내부로 지하수(W)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유닛(22)의 상부 이동 시에는 하부 하우징(221) 내부의 지하수(W)가 일부 하우징(221)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우징(211, 221) 내부의 수압에 의해 개폐유닛(23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유닛(23)은 작동유닛(2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작동유닛(22)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이다. 여기서, 구동유닛(23)은 취수관(11)을 통해 도선(미도시)이 시추공(10) 외부의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선은 지하수(W)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유닛(23)은 솔레노이드(solenoid) 형태로 구동유닛(23)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도록, 코일이 다수회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23)은 작동유닛(22)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211, 221) 내부에 직선 형태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가이드관(212, 222) 주변에 원통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유닛(22)은 구동유닛(23)의 자기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자성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구동유닛(23)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유닛(22)은 가이드관(212, 2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구동유닛(23)을 관통하여 구동유닛(23)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관(212, 2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23)은 작동유닛(22)을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단속적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작동유닛(22)은 구동유닛(23)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한다. 한편, 구동유닛(23)은 작동유닛(22)을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이 동시에 작동하거나, 상부와 하부가 교번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전원이 인가되어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 중 하나는 작동유닛(22)에 인력을 작용시키고 다른 하나는 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작동유닛(22)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작동유닛(22)은 구동유닛(23)의 자기장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이 교번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부의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유닛(22)에 인력이 작용하여 작동유닛(22)이 상부로 이동하고, 하부의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유닛(22)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수 채취장치(20)에서 채취되는 지하수(W)의 유량은 작동유닛(22)의 크기와 이동 시간에 영향을 받으므로, 일정한 유량으로 지하수(W)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구동유닛(23)에 전원을 일정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W)의 채취 유량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구동유닛(23)에 인가되는 전원 주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조절 가능하다.
개폐유닛(230)은 세퍼레이터(225)에 구비되어 취수홀(225a)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작동유닛(22)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W)를 취수관(11)으로 유동시키며, 취수홀(225a)을 개폐하는 블레이드(231)와 블레이드(231)의 힌지 회동 및 블레이 드(231)를 세퍼레이터(225)에 결합시키는 힌지(232)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31)는 취수홀(225a)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작동유닛(22)의 상하 운동 시 하우징(211, 221) 내부의 지하수(W)의 관성에 의해 블레이드(231)가 회동할 수 있는 무게를 갖는다.
그러나 개폐유닛(230)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231)의 수와 형상 및 힌지(232)의 위치 등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221)에 다수의 수압 조절홀(22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동유닛(22)이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하우징(211, 221) 내부의 지하수(W) 압력에 의해 개폐유닛(230)이 개방되거나 취수홀(225a)을 통해 상부 하우징(211) 내의 지하수(W)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닛(22)이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부 가이드관(222) 뿐만 아니라 수압 조절홀(221a)을 통해서도 하우징(221) 내부로 지하수(W)가 유입되므로 취수홀(225a)을 통해 유입시킬 수 있는 지하수(W)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작동유닛(22)의 1회 왕복 운동 시 양수할 수 있는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지하수 채취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하수(W)를 채취하고자 하는 시추공(10) 내부에 소정 심도에 취수관(11) 및 지하수 채취장치(20)를 투입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23) 중 하부의 전자석(24)에 전 원이 인가되면(또는,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에 모두 전원이 인가되되 작동유닛(22)이 하부로 이동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면) 작동유닛(22)이 하부로 이동하고, 하우징(221) 내부의 지하수(W)의 관성에 의해 블레이드(231)가 상부로 회전하면서 취수홀(225a)이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취수홀(225a)을 통해 지하수(W)가 상부 하우징(211) 및 가이드관(212)을 통해 취수관(1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23) 중 상부의 전자석(23)에 전원이 인가되면(또는, 상부와 하부의 전자석에 모두 전원이 인가되되 작동유닛(22)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면) 작동유닛(22)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하우징(211) 내부의 지하수(W)의 관성 및 하중에 의해 블레이드(231)가 하부로 회전하면서 취수홀(225a)이 폐쇄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211) 내부의 지하수(W)는 취수홀(225a)을 통해 유출되지 않고 가이드관(212)을 통해 취수관(11)으로 유입된다.
이때, 구동유닛(23)에 의해 작동유닛(22)이 이동하므로 상부 하우징(211)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W)가 취수홀(225a)을 통해 유출되기 전에 블레이드(231)가 먼저 취수홀(225a)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닛(22)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블레이드(231)의 힌지 회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지하수(W)를 양수할 수 있으며, 취수홀(225a)의 폐쇄되는 동안 지하수(W)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양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시추공(10) 내에 패커(미도시)를 구비하여 소정의 관심 구간에서 지하수(W)를 채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패커는 시추 공(10) 내부에 구비되어 패커 사이의 영역을 시추공(10) 내의 다른 영역들로부터 수리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으며, 지하수 채취장치(20)는 이와 같이 패커에 의해 수리적으로 격리된 특정 심도 구간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지하수(W)를 채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지하수 채취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추공 11: 취수관
20: 지하수 채취장치 21: 쉘(shell)
22: 작동유닛 23, 24: 구동유닛
211, 221: 하우징 212, 222: 가이드관
213, 223: 결합 플랜지 221a: 수압 조절홀
225: 세퍼레이터(separator) 225a: 취수홀
230: 개폐유닛 231: 블레이드
232: 힌지 W: 지하수
Claims (9)
- 시추공에 삽입되어 지하수를 채취하기 위한 지하수 채취장치에 있어서,취수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쉘;상기 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하 운동에 의해 상기 시추공 내의 지하수를 상기 취수관으로 유입시키는 작동유닛;상기 작동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상기 작동유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작동유닛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작동유닛은,상기 취수관과 연통되어 상기 지하수의 유출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 및상기 하우징 내부를 상하로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되 상기 지하수의 유동을 위한 취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닛의 밸브 시트 역할을 하는 세퍼레이터;을 포함하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유닛은,상기 취수홀을 개폐하는 블레이드; 및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 시 상기 블레이드가 힌지 회동하여 상기 취수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세퍼레이터에 결합시키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 이동 시 상기 취수홀을 개방하고 상기 작동유닛의 하부 이동 시에는 상기 취수홀을 폐쇄하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유닛의 상하 운동 시 상기 하우징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압 조절홀이 형성된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석으로, 상기 하우징에 직선 형태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원통형으로 권취된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작동유닛의 상부 이동 시에는 상부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고 하부 이동 시에는 하부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서로 교번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관은 일부 또는 전부가 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영구자석이 구비된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하우징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관이 상기 구동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유닛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552A KR101124075B1 (ko) | 2009-09-02 | 2009-09-02 |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552A KR101124075B1 (ko) | 2009-09-02 | 2009-09-02 |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4521A true KR20110024521A (ko) | 2011-03-09 |
KR101124075B1 KR101124075B1 (ko) | 2012-03-20 |
Family
ID=4393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2552A KR101124075B1 (ko) | 2009-09-02 | 2009-09-02 |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407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736Y1 (ko) * | 2013-04-12 | 2014-10-13 |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 채취 효율 개선을 위한 토양 샘플러 |
KR20160000599A (ko) | 2014-06-25 | 2016-01-05 | 한국원자력연구원 | 시추공 깊이별 지하수 시료 채취 장치 |
CN107420100A (zh) * | 2017-09-26 | 2017-12-01 |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 一种分层抽水装置及分层抽水系统 |
CN111351685A (zh) * | 2020-03-13 | 2020-06-30 | 南昌大学 | 一种水质监测取样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8686B1 (ko) | 2013-12-26 | 2016-02-12 | 한국원자력연구원 | 복동전자식 펌프 |
KR101655160B1 (ko) | 2015-09-16 | 2016-09-07 | 한국원자력연구원 | 로터리 피스톤 펌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5092U (ko) * | 1997-12-16 | 1999-07-05 | 이구택 | 물시료 및 연성 저질시료 동시 채취장치 |
KR20000013203U (ko) * | 1998-12-24 | 2000-07-15 | 신현준 | 지하수 시료 채취장치 |
KR100770051B1 (ko) * | 2006-12-26 | 2007-10-26 | 한국원자력연구원 | 지하수 채취장치 |
-
2009
- 2009-09-02 KR KR1020090082552A patent/KR10112407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736Y1 (ko) * | 2013-04-12 | 2014-10-13 | 지오텍컨설탄트 주식회사 | 채취 효율 개선을 위한 토양 샘플러 |
KR20160000599A (ko) | 2014-06-25 | 2016-01-05 | 한국원자력연구원 | 시추공 깊이별 지하수 시료 채취 장치 |
CN107420100A (zh) * | 2017-09-26 | 2017-12-01 |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 一种分层抽水装置及分层抽水系统 |
CN111351685A (zh) * | 2020-03-13 | 2020-06-30 | 南昌大学 | 一种水质监测取样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4075B1 (ko) | 2012-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4075B1 (ko) | 전동식 지하수 채취장치 | |
US9920611B2 (en) | Inverted shroud for submersible well pump | |
US20180340402A1 (en) | Downhole pump with traveling valve and pilot | |
CA2693311C (en) | Double-acting reciprocating downhole pump | |
US10246976B2 (en) | Linear induction motor plunger lift | |
US7316270B2 (en) | Oil pumping unit using an electrical submersible pump driven by a circular linear synchronous three-phase motor with rare earth permanent magnet | |
KR101655160B1 (ko) | 로터리 피스톤 펌프 | |
US8657014B2 (en) | Artificial lift system and method for well | |
US10443370B2 (en) | Horizontal well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101606686B1 (ko) | 시추공 깊이별 지하수 시료 채취 장치 | |
AU2014369986B2 (en) | Downhole motor driven reciprocating well pump | |
US20150053414A1 (en) | Open Ended Inverted Shroud with Dip Tube for Submersible Pump | |
KR20180120944A (ko) | 회전식 왕복 펌프 | |
KR100770051B1 (ko) | 지하수 채취장치 | |
US8226386B2 (en) | Deep force pump for oil wells | |
US10753355B2 (en) | Borehole pum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20160109063A1 (en) | Apparatus and method to flush esp motor oil | |
WO2018020301A1 (ru) | Скважин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 |
CN207905781U (zh) | 抽油装置 | |
JP2018066117A (ja) | 天然ガス採取方法 | |
TW201634807A (zh) | 井中累積之液體之排出裝置與方法 | |
EP4326971B1 (en) | Anti-gas locking pumps and related methods in oil and gas applications | |
CN108049844A (zh) | 抽油装置 | |
CN112647925B (zh) | 一种间歇往复开合排液短节 | |
US7314081B2 (en) | Pumping from two levels of a pool of production fluid, and one way valve theref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