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433A -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 Google Patents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433A
KR20110022433A KR1020090080027A KR20090080027A KR20110022433A KR 20110022433 A KR20110022433 A KR 20110022433A KR 1020090080027 A KR1020090080027 A KR 1020090080027A KR 20090080027 A KR20090080027 A KR 20090080027A KR 20110022433 A KR20110022433 A KR 2011002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gas
mixing tub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634B1 (ko
Inventor
김순임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림
김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림, 김동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림
Priority to KR102009008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6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관과; 상기 가스분사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송풍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분배관이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스분사관의 가스분사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분사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분사공이 각각 분사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혼합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수용부와 상기 혼합관 사이에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를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역화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가스분사관, 공기수용부, 혼합관

Description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COMPULSORY AIR INJECTION TYPE BURNER}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관과; 상기 가스분사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송풍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분배관이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스분사관의 가스분사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분사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분사공이 각각 분사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혼합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수용부와 상기 혼합관 사이에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를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사용되는 연료로써, LNG, LPG등의 가스를 연료로 활용하게 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 일반가정에서는 소형의 가스버너를 사용하게 되고, 야외에서는 휴대하여 사용하게 되는 휴대용 가스버너를 주로 사용하게 되며, 음식점과 같은 업소의 주방에서는 신속한 조리나 대용량의 조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으로 대형의 고화력 가스버너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게 분배관을 지나 상기 가스버너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경우 불꽃이 거꾸로 흐르는 현상, 즉 역화(逆火)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역화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역화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관과; 상기 가스분사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송풍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분배관이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스분사관의 가스분사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분사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분사공이 각각 분사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혼합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수용부와 상기 혼합관 사이에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를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판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좌우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분사공의 노출정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 및 상기 공기수용부의 하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상부경사판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하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하부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기수용부와 혼합관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간을 통해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역화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수용부의 일측면에 분사공의 노출정도를 조절하는 회전판이 좌우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됨으로써, 상기 분사공을 지나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판을 통해 상기 유입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스분사관(10), 공기수용부(30), 혼합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스분사관(10)은 내부로 유입되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흐르는 가스를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써, 일측이 상기 혼합 관(50)의 타측과 인접한 거리에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수용부(30)는 상기 가스분사관(10)의 일측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31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310)으로 유입시키는 분배관(330)의 하측이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310)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스분사관(10)의 가스분사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공(35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관(50)은 상기 공기수용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타측이 상기 가스유입관(10)의 일측방향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내부에 상기 가스분사관(10)과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공(350)이 각각 분사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상부 및 상기 공기수용부(3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하부 사이에는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를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간(90)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분사관(10)을 통해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주변 외부공기는 상기 유입공간(90)을 지나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수용부(30)와 상기 혼합관(5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공간(90)을 통해 상기 혼합관(50)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송풍팬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역화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회전판(100)이 좌우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일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공(350)과 연통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관통구(1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00)이 축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좌우회전되는 상기 회전판(100)의 좌우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분사공(350)의 노출정도가 조절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100)을 좌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판(100)은 상기 분사공(3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분사공(350)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분사공(350)을 완전폐쇄한 상태의 상기 회전판(100)을 사용자가 우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판(100)은 상기 분사공(350)이 상기 관통구(110)와 연통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공(350)을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판(100)의 좌우회전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분사공(350) 외부 노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100)의 좌우회전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분사공(35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일측면에 상기 분사공(350)의 외부 노출정도를 조절하는 상기 회전판(100)이 좌우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됨으로써, 상기 분사공(350)을 지나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상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상부 및 상기 공기수용부(3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공간(9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경사판(51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판(510)은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30)의 상부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상부 경사판(511)과;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하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30)의 하부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하부 경사판(5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판(510)을 통해 상기 유입공간(90)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혼합관(50)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가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130)은 수평상태로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공기유입관(13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하측에는 복수의 상기 분배관(33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상태로 구비되되, 복수의 상기 분배관(330)의 상측은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기밀하게 연결고정된다.
상기 송풍팬(130)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고,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복수의 상기 분배관(330), 상기 공기수용부(30)의 공간(310) 및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공(350)을 각각 지나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분사관(10)은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스분사관(10)을 통해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50)의 타측 주변 외부공기는 상기 유입공간(90)을 지나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혼합관(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팬(130)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배관(330)을 통해 일정량으로 분배된 상태로 상기 공기수용부(30)의 공간(310)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배관(330)을 통한 공기의 분배량은 서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배관(330)을 통한 공기의 분배량은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상기 분배관(330) 및 상기 분배관(330)과 연통되는 상기 공기수용부(30)의 공간(310)내에는 점차 적은 양의 공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공(350)의 분사량이 점차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공(350)의 분사량이 서로 균등해질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회전판(100)의 좌우회전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판(100)의 좌우회전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유입관(131)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수용부(30)의 분사 공(350)의 노출정도가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점차 전체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회전판이 좌우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혼합관의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상태의 가스가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스분사관, 30; 공기수용부,
310; 공간, 330; 분배관,
350; 분사공, 50; 혼합관,
510; 경사판, 511; 상부경사판,
513; 하부경사판, 90; 유입공간,
100; 회전판, 110; 관통구,
130; 송풍팬, 131; 공기유입관.

Claims (3)

  1.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관과;
    상기 가스분사관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송풍팬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분배관이 연결되며, 일측면에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가스분사관의 가스분사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스유입관의 일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분사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분사공이 각각 분사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혼합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가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수용부와 상기 혼합관 사이에 상기 혼합관의 주변 외부공기를 상기 혼합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분사공과 연통되는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판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좌우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분사공의 노출정도가 조절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 및 상기 공기수용부의 하부 일측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하부 사이에 상기 유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혼합관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상부경사판과;
    상기 혼합관의 타측 하부에서 상기 공기수용부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하부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KR1020090080027A 2009-08-27 2009-08-27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KR101164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27A KR101164634B1 (ko) 2009-08-27 2009-08-27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27A KR101164634B1 (ko) 2009-08-27 2009-08-27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433A true KR20110022433A (ko) 2011-03-07
KR101164634B1 KR101164634B1 (ko) 2012-07-11

Family

ID=4393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027A KR101164634B1 (ko) 2009-08-27 2009-08-27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6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84B1 (ko) * 2013-01-15 2013-07-05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음폐수 소각용 분사장치
WO2013162197A1 (ko) * 2012-04-23 2013-10-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턴다운비를 향상시킨 연소장치
KR102369646B1 (ko) * 2020-09-10 2022-03-02 박종단 가스버너용 화력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90B1 (ko) 2003-11-24 2006-02-22 한국코로나 주식회사 버너의 노즐장치
KR100559196B1 (ko) 2004-06-21 2006-03-13 최성환 분젠식 버너
KR100864846B1 (ko) 2007-06-21 2008-10-23 주식회사 파세코 예혼합 연소 버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197A1 (ko) * 2012-04-23 2013-10-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턴다운비를 향상시킨 연소장치
CN104246369A (zh) * 2012-04-23 2014-12-24 庆东纳碧安株式会社 提高调节比的燃烧装置
US9970654B2 (en) 2012-04-23 2018-05-15 Kyungdong Navien Co., Ltd Combustion device for improving turndown ratio
KR101282584B1 (ko) * 2013-01-15 2013-07-05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음폐수 소각용 분사장치
KR102369646B1 (ko) * 2020-09-10 2022-03-02 박종단 가스버너용 화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634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03498A5 (ko)
US8857423B2 (en) Jet type gas cooker
WO2016145746A1 (zh) 燃烧器及燃气用具
KR101164634B1 (ko) 강제 공기 주입식 버너
KR20180011555A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CN102588967A (zh) 部分预混燃烧器
US6688882B1 (en) Gas burner with spaced orifice
CA2517616A1 (en) Flat or planar atmospheric gas burner, especially for mimicking a wood fire
EP3249296B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mbustion device, boiler, tanke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mbustion method
CN112762445B (zh) 预混燃烧器
US8201551B1 (en) Gas forced air heater
KR100729277B1 (ko) 가스혼합기
CN201289083Y (zh) 多引射管、上供氧、三气兼容燃烧器
US20090325114A1 (en) Atmospheric Burner for Gas Log Fireplace Producing Stage Combustion and Yellow Chemiluminescent Flame
CN207247198U (zh) 一种二级预混炉头
KR101302505B1 (ko) 가스버너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KR101680073B1 (ko) 고화력 가스버너용 불탑
CN203744257U (zh) 一种适用于加氢重整装置的燃烧器
KR20050020553A (ko) 가스버너
KR20210043783A (ko) 연소 장치
CN207394842U (zh) 一种燃气灶具的旋浮燃烧系统
KR101711939B1 (ko) 고정팬을 이용한 가스버너의 고효율 가스-공기 혼합장치
KR101601029B1 (ko) 공기 및 가스 연료 혼합기
KR20110106785A (ko) 고화력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