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527A -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527A
KR20110021527A KR1020090079376A KR20090079376A KR20110021527A KR 20110021527 A KR20110021527 A KR 20110021527A KR 1020090079376 A KR1020090079376 A KR 1020090079376A KR 20090079376 A KR20090079376 A KR 20090079376A KR 20110021527 A KR20110021527 A KR 2011002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line
gas
suct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869B1 (ko
Inventor
엄영철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8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가스이송라인과, 가스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일시 저장하는 흡입드럼과, 흡입드럼의 후측에 설치되어 액화천연 가스를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는 부스터 펌프와, 부스터 펌프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저장탱크의 액화천연가스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연료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재기화 운용 초기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도록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흡입드럼에 설치되는 제 1 가압라인과, 기화기 후측의 가스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흡입드럼으로 이어져서 상기 기화기에 의하여 기화된 천연가스의 유입으로 재기화의 운용 중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게 되는 제 2 가압라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재기화 초기에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도록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흡입드럼 내부를 직접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질소공급부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재기화 설비의 설치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화천연가스 내에 질소가 포함되지 않아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P1020090079376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흡입드럼, 부스터 펌프, 기화기, 가압, 질소공급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REGASIFICATION UNIT OF LIQUEFIED NATURAL GAS}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가스운반선과 같은 선박, 또는 해상 위에 부유한 상태로 가스를 채굴, 저장, 액화 및 기화시키는 종합설비를 갖춘 부유식 또는 고정식 가스처리 설비에서 액화천연가스 내에 질소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 천연가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는 청정연료이고 매장량도 석유보다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고, 채광과 이송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탄을 1기압 하에서 섭씨 -163도 이하로 온도를 내리면 생성되는 액체인데,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액화천연가스의 부피의 600분의 1 정도이고, 비중은 0.47 내외로 원유 비중의 약 2분의 1이 된다.
이런 연유로 액화천연가스는 수송 및 저장이 수월한 이점이 있는 반면, 극저온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누출될 경우 매우 위험하므로, 선박 또는 부유식 또는 고정식 가스처리 설비에서 절연체(단열재)로 제작된 별도의 가스저장탱크로 운송 또는 보관을 하게 된다.
통상, 이러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은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액화천연가스는 육상에 설치된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수요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이러한 육상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수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특히, 자연 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이 수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 스('NG'라 함)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해상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선박은,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를 위해 기화기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를 선박에 구비하며, 또한, 재기화된 NG를 육상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의 배관과 육상 수요처의 가스배관을 연결시키는 배관 연결장치, 그리고, NG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선박위치 유지장치 등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액화천연가스가 엔진(10)에 연료로 공급되는 방식으로는, 저장탱크(1)내에서 발생하는 자연기화가스로 엔진의 연료 요구량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 강제로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엔진(10)에 연료가스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저장탱크(1)의 내부에 있는 연료공급펌프(1a)를 구동하여 저장탱크(1)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기화기(2)에 공급한다. 기화기(2)를 거친 가스는 미스트분리기(4)로 유입된다. 미스트분리기(4)는 기화기(2)에서 발생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미스트는 엔진에 유입되는 경우 엔진작동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미스트분리기(4)를 사용하여 미스트를 바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미스트분리기(4)를 거친 가스는 가열부(6)로 유입된다.
가열부(6)는 미스트분리기(4)를 지난 가스의 온도를 엔진의 작동에 요구되는 온도까지 높여주게 되며, 미스트분리기(4)를 지난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은 엔진의 연료로 쓰이기에는 매우 낮기 때문에 가열부(6)와 함께 설치되는 압축기(8)를 통해 엔진(10)에 쓰일 수 있도록 가스를 가열하고 가압하게 된다
한편, 액화천연가스를 육상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송출펌프(1b)와, 가스이송라인(20)상에 설치되는 흡입드럼(30), 부스터 펌프(40) 그리고 기화기(50)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저장탱크(1)의 내부의 송출펌프(1b)로부터 이어져서 수요처로 이르도록 가스이송라인(20)이 설치되고, 가스이송라인(20)상에는 차례로 흡입드럼(30)과 부스터 펌프(40) 그리고 기화기(50)가 설치된다.
흡입드럼(30)은 액화천연가스를 부스터 펌프(40)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 저장하는 탱크이며, 연결되는 질소공급부(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질소로 하여 흡입드럼(30)의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부스터 펌프(40)로의 이송을 돕게 된다.
부스터 펌프(40)는 흡입드럼(30)에서 이송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기(50)에서 요구되는 압력까지 펌핑하는 것으로서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터 펌프(40)로부터 이송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50)는 고압으로 펌핑된 액화가스를 기화시켜서 수요처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이송라인(20)에는 부스터 펌프(40)의 후측으로 분기되어 흡입드럼(30)에 연결되는 순환라인(60)과, 기화기(50)의 후측으로 분기되어 역시 흡입드럼(30)으로 연결되는 가압라인(70)이 설치된다.
순환라인(60)과 부스터 펌프(40)와 기화기(50) 사이의 가스이송라인(20) 상 에는 유량 및 압력조절밸브(62)가 설치되고, 가압라인(70)에는 흡입드럼 압력조절밸브(72)가 설치된다.
따라서 액화천연가스의 이송은, 저장탱크(1)에 저장된 액화처연가스를 송출펌프(1b)를 통해 흡입드럼(30)에 일지 저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질소공급부(32)로부터 공급되는 질소의 도움으로 흡입드럼(30)에서는 액화천연가스를 부스터 펌프(40)측으로 유입시키고, 부스터 펌프(40)에서는 액화천연가스를 일정 압력까지 펌핑하고, 이어서 기화기(50)에서 기화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흡입드럼(30)은 초기에 질소공급부(32)로부터 공급된 질소가 내부를 가압하여 부스터 펌프(40) 측으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운용이 계속되어 재기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면, 질소 공급은 멈추고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가압라인(70)을 통해 흡입드럼(30)으로 유입시켜 흡입드럼(30)의 내부를 질소 대신에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드럼 압력조절밸브(72)는 재기화된 천연가스의 유입량과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흡입드럼(30)의 내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질소공급부(32)로부터 공급된 질소로 인하여 흡입드럼(30)내의 액화천연가스에 질소가 포함되어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더욱이 재기화 운용이 종료된 후에 흡입드럼(30)과 부스터 펌프(40)내 잔존하는 액화천연가스를 드레인라인(42)을 통하여 저장탱크(1)로 재유입시키는 경우에도 액화천연가스에 질소가 포함되어 엔진(10)의 연료로 사용함에 있어 질소의 함유로 엔진(10)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엔진에 연료로 공급되도록 가압되고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재기화 초기에 흡입드럼 내부를 직접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질소공급부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재기화 설치비의 설치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액화천연가스 내에 질소가 포함되지 않아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가스이송라인과, 가스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일시 저장하는 흡입드럼과, 흡입드럼의 후측에 설치되어 액화천연 가스를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는 부스터 펌프와, 부스터 펌프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저장탱크의 액화천연가스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연료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재기화 운용 초기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도록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흡입드럼에 설치되는 제 1 가압라인과, 기화기 후 측의 가스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흡입드럼으로 이어져서 상기 기화기에 의하여 기화된 천연가스의 유입으로 재기화의 운용 중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게 되는 제 2 가압라인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를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가압라인과 제 2 가압라인 각각에는 압력 조절을 위하여 제 1 압력조절밸브와 제 2 압력조절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에 의하면, 재기화 초기에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도록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흡입드럼 내부를 직접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질소공급부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재기화 설비의 설치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화천연가스 내에 질소가 포함되지 않아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는, 저 장탱크(100)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가스이송라인(110)과, 가스이송라인(110)상에 설치되는 흡입드럼(120)과, 액화천연가스를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는 부스터 펌프(130)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40)와, 저장탱크(100)의 액화천연가스를 엔진(200)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연료공급라인(2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기화 운용 초기에 흡입드럼(120)의 내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 1 가압라인(220)과, 재기화 운용 중 흡입드럼(120)의 내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 2 가압라인(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탱크(100)는 선박에서 운반할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구조물이거나, 또는 해상 위에 부유한 상태로 가스를 채굴, 저장, 정화, 액화 및 기화시키는 종합설비를 갖춘 부유식 또는 고정식 가스처리 설비에서 유체를 저장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가스이송라인(110)은 저장탱크(100)내의 송출펌프(102)로부터 송출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까지 송출하는 라인일 수 있다.
가스이송라인(110)에는 차례로 흡입드럼(120)과 부스터 펌프(130) 그리고 기화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드럼(120)은, 액화천연가스의 연료를 연료공급 부스터 펌프(130)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일시 저장하는 탱크이다.
그리고 흡입드럼(120)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부스터 펌프(130)는, 흡입드럼(120)에서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요구되는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하단으로는 저장탱크(100)와 연결되어 재기화 종료 후 흡입드럼(120)과 부스터 펌프(130)에 남은 잔량의 액화천연가스를 재유입시키기 위한 드레인라인(13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터 펌프(130)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40)는, 고압으로 펌핑된 액화가스를 기화시키되, 기화인자(factor)에 해당하는 온도, 압력 및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화기(140)에는 온도와 압력, 유량이 측정된 측정치를 미리 정해진 설계치에 추종시켜, 결과적으로 온도와 압력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부스터 펌프(130)와 기화기(140) 사이의 가스이송라인(110)으로부터 분기되어 흡입드럼(120)으로 연결되는 순환라인(150)이 설치되고, 순환라인(150)상에 제 1 유량조절밸브(152)와 부스터 펌프(130)와 기화기(140) 사이의 가스이송라인(110)상에 제 2 유량조절밸브(154)가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의 송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유량조절밸브(152)와 제 2 유량조절밸브(154)는 요구되는 만큼의 가스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통상적인 밸브제어용 논리회로에 의해서 각각의 밸브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엔진(200)에 연료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료공급라인(210)이 설치되고, 연료공급라인(210)에는 연료공급펌프(104)를 구동하여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212)가 설치되며, 기화기(212)를 거친 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미스트분리기(21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미스트분리기(214)를 거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부(216)가 설치되며, 가열부(216)에서는 미스트분리기(214)를 지난 가스의 온도를 엔진의 작동에 요구되는 온도까지 높여주게 되며, 미스트분리기(214)를 지난 가스의 온도 및 압력은 엔진의 연료로 쓰이기에는 매우 낮기 때문에 가열부(216)와 함께 설치되는 압축기(218)를 통해 엔진(200)에 쓰일 수 있도록 가스를 가열하고 가압하게 된다
한편, 재기화의 운용 초기에 흡입드럼(120) 내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가압라인(220)은, 연료공급라인(210)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가압하도록 연료공급라인(210)으로부터 흡입드럼(120)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제 2 가압라인(160)은, 재기화의 운용 중에 흡입드럼(120) 내부를 가압하도록 기화기(140) 후측의 가스이송라인(110)으로부터 분기되어 흡입드럼(120)에 연결되어 기화기(140)에 의하여 기화된 천연가스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가압라인(220)에는 제 1 압력조절밸브(222)가 제 2 가압라인(160)에는 제 2 압력조절밸브(162)가 각각 설치되어 흡입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제 1 압력조절밸브(222) 및 제 2 압력조절밸브(162) 그리고 제 1 유량조절밸브(152)와 제 2 유량조절밸브(154)에는 전자적 계통제어회로에서 미리 정해진 설계치를 추종하여 수요처측으로 천연가스의 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입력 유량과 출력 유량 각각의 온도, 압력, 유량의 정밀 측정값을 입력 받아 온도 제어, 압력 제어,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인 전자적 계통제어회로(도시 안됨)에 미리 저장된 소정 조건값, 예컨 대 선박의 계류 또는 정박 유무, 가스처리 설비의 비정상 운전 유무, 증발가스 과다 발생 유무 등을 기준으로 밸브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거나, 또는 밸브 개폐 크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스이송라인(110)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압력계, 유량계가 설치되어 전자적 계통제어회로의 신호입력단(도시 안됨)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저장탱크(100)로부터 액화처연가스의 수요처로의 송출은,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송출펌프(102)를 통해 흡입드럼(120)에 일시 저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흡입드럼(120)에서는 액화천연가스를 부스터 펌프(130)로 이송하기 위하여 내부를 가압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200)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를 연료공급라인(210)으로부터 이어지는 제 1 가압라인(220) 통해 이송하여 흡입드럼(120) 내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 1 압력조절밸브(222)는 개방 및 개도가 조절되어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흡입드럼(120)으로부터 이송된 액화천연가스를 부스터 펌프(130)에서는 요구되는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고, 펌핑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기(140)에서 기화시킨 천연가스를 수요처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부스터 펌프(130)로부터 기화기(140)로 이어지는 액화천연가스의 송 출량 제어가 필요할 경우 제 2 유량조절밸브(154)가 닫히고, 제 1 유량조절밸브(152)를 통하여 흡입드럼(120)에 재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재기화 과정이 계속하여 실시되면, 제 1 가압라인(220)상의 제 1 압력조절밸브(222)가 닫혀서 흡입드럼(120) 측으로의 액화천연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고, 제 2 압력조절밸브(162)가 개방되어 기화된 천연가스의 일부가 제 2 가압라인(160)으로 유입되어 재기화 과정 중 흡입드럼(120)에서 요구되는 내부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재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흡입드럼(120)과 부스터 펌프(130)에 잔존하는 액화천연가스를 드레인라인(132)을 통해 저장탱크(100)내로 재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종래에 흡입드럼의 내부를 질소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액화천연가스에 질소가 포함되어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재기화 초기에 제 1 가압라인(220)의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흡입드럼(120) 내부를 직접 가압하고, 재기화중에는 기화된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흡입드럼(120) 내부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질소공급부의 설치가 필요치 않아 재기화 설비의 설치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화천연가스 내에 질소가 포함되지 않아 재기화되는 천연가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 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도 1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장탱크 110 : 가스이송라인
120 : 흡입드럼 130 : 부스터 펌프
132 : 드레인라인 140, 212 : 기화기
150 : 순환라인 152, 154 : 제 1, 2 유량조절밸브
160 : 제 2 가압라인 162 : 제 2 압력조절밸브
200 : 엔진 210 : 연료공급라인
214 : 미스트분리기 216 : 가열부
218 : 압축부 220 : 제 1 가압라인
222 : 제 1 압력조절밸브

Claims (2)

  1. 저장탱크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로 송출하기 위한 가스이송라인과,
    상기 가스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일시 저장하는 흡입드럼과,
    상기 흡입드럼의 후측에 설치되어 액화천연가스를 기설정 압력까지 펌핑하는 부스터 펌프와,
    상기 부스터 펌프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저장탱크의 액화천연가스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압과 가열된 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재기화 운용 초기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연료공급라인으로부터 상기 흡입드럼에 설치되는 제 1 가압라인과,
    상기 기화기 후측의 상기 가스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흡입드럼으로이어져서 상기 기화기에 의하여 기화된 천연가스의 유입으로 재기화의 운용 중에 상기 흡입드럼 내부를 가압하게 되는 제 2 가압라인
    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라인과 상기 제 2 가압라인 각각에는 압력 조절을 위하여 제 1 압력조절밸브와 제 2 압력조절밸브가 더 설치되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KR1020090079376A 2009-08-26 2009-08-26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KR10105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76A KR101059869B1 (ko) 2009-08-26 2009-08-26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76A KR101059869B1 (ko) 2009-08-26 2009-08-26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27A true KR20110021527A (ko) 2011-03-04
KR101059869B1 KR101059869B1 (ko) 2011-08-29

Family

ID=4393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76A KR101059869B1 (ko) 2009-08-26 2009-08-26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8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11B1 (ko) * 2013-03-20 2013-06-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277986B1 (ko) * 2013-03-20 2013-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40066348A (ko) * 2012-11-23 2014-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101526771B1 (ko) * 2013-12-30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5126119A1 (ko) * 2014-02-24 2015-08-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5360A (ko) * 2016-12-26 2018-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12027A (ko) * 2017-07-26 2019-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160B2 (ja) 1997-03-17 2005-11-24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低温液化ガスの気化方法及び設備
JP2001182894A (ja) 1999-12-24 2001-07-06 Seibu Gas Co Ltd 強制循環型空温式液化ガス気化装置及び液化ガスの気化方法
KR100808777B1 (ko) 2007-02-09 2008-03-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재 기화 설비의 배출 가스 처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348A (ko) * 2012-11-23 2014-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101277811B1 (ko) * 2013-03-20 2013-06-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277986B1 (ko) * 2013-03-20 2013-06-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526771B1 (ko) * 2013-12-30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5126119A1 (ko) * 2014-02-24 2015-08-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029490A (zh) * 2014-02-24 2016-10-12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用于处理蒸发气体的系统和方法
KR20180075360A (ko) * 2016-12-26 2018-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12027A (ko) * 2017-07-26 2019-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869B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869B1 (ko)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CN102656084B (zh) 用于船舶推进用的至少一个燃气发动机的液化天然气燃料罐系统
KR101246063B1 (ko) 재기화 시스템
KR101059870B1 (ko)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설비
KR20070004955A (ko) 신속한 lng 하역을 위한 해상 시스템 및 하역 방법
JP2017507079A (ja) 蒸発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10058A (ja) 天然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788744B1 (ko) 저온 가스 액화물 운반선의 기화식 하역장치 및 방법
KR101599312B1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20140086204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KR102233969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56296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연료 공급 방법
KR102276359B1 (ko) Lngc 언로딩 시스템의 안전 장치
KR102295010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JP2007009981A (ja) 液化ガス供給設備及び液化ガス供給方法
JP2009092163A (ja) 液化天然ガスの受入設備及びその受入方法
KR20180046102A (ko) Lng 재기화 시스템 및 lng 재기화 방법
KR200488325Y1 (ko) Lng 재기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90060743A (ko) 가압식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2387174B1 (ko) 익스펜더를 활용한 bog 관리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49829A1 (en) Liquefied gas regasific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296697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20180020447A (ko) Lng 재기화 시스템의 고압펌프 가압 장치
KR10252854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