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353A -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 Google Patents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353A
KR20110021353A KR1020090079088A KR20090079088A KR20110021353A KR 20110021353 A KR20110021353 A KR 20110021353A KR 1020090079088 A KR1020090079088 A KR 1020090079088A KR 20090079088 A KR20090079088 A KR 20090079088A KR 20110021353 A KR20110021353 A KR 2011002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door
doorway
tent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승재
Original Assignee
방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승재 filed Critical 방승재
Priority to KR102009007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1353A/ko
Publication of KR2011002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 문막의 전방 또는 양측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구가 형성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면에 봉제되어 연결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출입구 문막과, 상기 출입구 문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 및 상기 출입구 문막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부에 부착하거나 펼쳐지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텐트, 출입구 문막, 접착부, 차양막, 보조 차양막

Description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Tent having sunshade}
본 발명은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 문막의 전방 또는 양측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생활하고 있는 일반인이 자신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여름철의 해수욕장에서 온몸에 햇볕을 쬐어 피부를 그을리는 일광욕이나 선탠, 또는 가족 단위로 일박이나 이틀 정도 숲속의 맑고 깨끗한 공기를 마시한 위한 산림욕 등을 하고 있다.
숲속에서 가족 단위로 산림욕을 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텐트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텐트는 야외에서 야영 등을 하기 위한 필요한 물품으로써, 종류로는 폴대를 하나씩 결합시켜 완성하는 수동식 텐트, 우산과 유사한 작동 원리로 설치 및 해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텐트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텐트는 텐트본체(1)의 출입구(2) 상측에 일단이 봉제되어 연결되는 차양막(3)과, 상기 차양막(3) 끝단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 내주면에 고정되는 폴대(4)와, 상기 폴대(4)의 상측에 연결되는 고정끈(5)이 팽팽한 상태로 지면에 밀착하여 피스(미도시) 등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트는, 텐트본체의 출입구 상측에 봉제되어 연결되는 차양막을 전방으로 펼친 상태에서 차양막의 고정홀에 폴대를 1차적으로 지면에 고정한 후에, 폴대의 상측에 고정끈을 연결하여 팽팽한 상태에서 지면으로 밀착하여 피스 등으로 2차적으로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텐트는 출입구 상측에 봉제되어 연결된 차양막의 크기가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취사도구(버너, 코펠 등)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경우에 사용자의 움직이는 공간이 좁아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일례로, 텐트본체 상측 또는 양측으로 별도의 차양막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양막을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양막을 출입구 문막의 양측 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차양막의 크기가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보조 차양막이 출입구 문막 및 차양막 전방으로 연결되어 펼쳐짐으로 써,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출입구가 형성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출입구 문막과, 상기 출입구 문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와, 상기 출입구 문막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부에 부착하거나 펼쳐지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입구 문막과 차양막 전방으로 펼쳐지는 보조 차양막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는 차양막을 출입구 문막의 양측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차양막의 크기가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차양막이 출입구 문막 및 차양막 전방으로 연결되어 펼쳐짐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때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 또는 형상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인 출입구 문막에 연결된 차양막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입구(11)가 형성된 텐트(10)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1)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구(11)를 개폐 가능한 출입구 문막(20)과,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30)와,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부(30)에 부착하거나 펼쳐지는 차양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 문막(20)에 접힌 상태에서 양측으로 차양막(40)을 펼쳐 폴대(60) 및 고정끈(70)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은, 출입구(11)에 구비된 지퍼(미도시)를 열면 출입구 문막(20)의 상면에 연결된 출입구 문막(20)을 개폐시키고, 출입구 문막(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부(30)에서 차양막(40)을 띄어낸다.
그리고, 출입구 문막(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차양막(40)을 양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펼친 상태에서, 차양막(40) 끝단에 폴대(60)로 1차적으로 지면에 고정하고, 폴대(60)에 고정끈(70)을 연결하여 피스(미도시)를 장착하여 지면에 2차적으로 고정한다.
반대로, 출입구 문막(20)에 구비된 접착부(30)에 차양막(4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차양막(40) 끝단에 연결된 폴대(60) 및 고정끈(70)을 분리하고, 차양막(40)을 양측에서 출입구 문막(20)의 하면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접착부(30)에 차양막(40)을 부착한다.
따라서, 출입구 문막(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착부(30)가 구비됨으로써, 접착부(30)에 탈부착되는 차양막(40)이 출입구 문막(20) 하면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출입구 문막(20) 양측으로 펼쳐 폴대(60) 및 고정끈(70)으로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차양막(40)에 의해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상기 출입구 문막(20)과 차양막(40) 전방으로 펼쳐지는 보조 차양막(50)이 구비된다.
상기 출입구 문막(20) 양단에 연결된 차양막(40)이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활동 공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출입구 문막(20)과 차양막(40) 전방으로 보조 차양막(50)이 더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취사도구(버너, 코펠 등)를 이용하여 음식을 만드는 경우에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햇빛에 의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30)는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차양막(40)에 접착부(30)가 구비됨으로써, 출입구 문막(20)의 접착부(30)에서 차양막(40)을 띄어낸 후 출입구 문막(20)의 양측 방향으로 펼쳐 폴대(60) 및 고정끈(70)으로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차양막(40)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출입구 문막(20)에 구비되는 접착부(30)로 차양막(40)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 문막(20)에 구비되는 접착부(30)에서 차양막(40)을 쉽게 띄어낸 후 출입구 문막(20) 양측으로 차양막(40)을 펼쳐 폴대(60) 및 고정끈(70)으로 지면에 고정시키고, 차양막(4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어 출입구 문막(20)에 구비된 접착부(30)에 부착 가능함에 따라 야외 공간에서 텐트(1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출입구 문막(20)의 접착부(30)에 차양막(40)을 부착하는 과정이 간단함으로 초보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출입구 문막(20)에 부착된 차양막(40)의 제작 과정이 간단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입구 문막(20)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30)에 차양막(40)을 부착하거나 띄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한정하고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양단에 연결된 차양막(40)을 접어 연결되도록 출입구 문막(20) 상면 또는 하면에 지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된 지퍼로 인해 차양막(40)을 양측으로 펼치는 과정은, 텐트(10)의 출입구(11) 상면에 연결된 출입구 문막(20)을 전방으로 펼치고, 출입구 문막(20)에 구비된 지퍼의 슬라이드(미도시)에 형성된 이(teeth)(미도시) 부분에 치합된 차양막(40)의 이(teeth)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퍼를 이동시키면, 지퍼에 맞물린 차양막(40)의 타측 부분이 분리된다.
그리고, 차양막(40)에 연결된 출입구 문막(20) 양단에서 양측으로 잡아당긴 후에, 출입구 문막(20)과 차양막(40) 전방에 연결된 보조 차양막(50)을 잡아당겨 폴대(60) 및 고정끈(70)으로 지면에 고정한다.
반대로, 출입구 문막(20)의 지퍼에 차양막(40)을 접기 위해서는, 보조 차양막(50) 끝단에 연결된 폴대(60) 및 고정끈(70)을 분리하고, 출입구 문막(20) 양단에 연결된 차양막(40)을 양측 방향에서 출입구 문막(20) 일측 방향으로 접은 후, 출입구 문막(20)과 차양막(40) 전방에 연결된 보조 차양막(5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접는다.
그리고, 차양막(40)에 구비된 이(teeth)를 출입구 문막(20)의 지퍼에 구비된 이(teeth) 부분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출입구 문막(20)의 지퍼에 차양막(40)을 일체로 연결하거나 분리 가능함으로써, 출입구 문막(20) 양단 및 출입구 문막(20), 차양막(40)에 연결된 차양막(40) 및 보조 차양막(50)을 손쉽게 접거나 펼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 범위가 넓어져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퍼(미도시)는 슬라이더, 이(teeth) 및 테이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퍼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텐트(10)의 출입구(11) 상면에 연결된 출입구 문막(20)의 형태가 고정식으로 할 수 있으나, 출입구(11) 상면에 출입구 문막(20)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부재, 지퍼 및 벨크로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양막(40)을 출입구 문막(20)의 양측 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차양막(40)의 크기가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차양막(50)이 출입구 문막(20) 및 차양막(40) 전방으로 연결되어 펼쳐짐으로써, 사용자의 활용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유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인 출입구 문막에 연결된 차양막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텐트 11 : 출입구
20 : 출입구 문막 30 : 접착부
40 : 차양막 50 : 보조 차양막
60 : 폴대 70 : 고정끈

Claims (3)

  1. 출입구가 형성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 가능한 출입구 문막;
    상기 출입구 문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비되는 접착부; 및
    상기 출입구 문막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부에 부착하거나 펼쳐지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문막과 차양막 전방으로 펼쳐지는 보조 차양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1020090079088A 2009-08-26 2009-08-26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20110021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8A KR20110021353A (ko) 2009-08-26 2009-08-26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8A KR20110021353A (ko) 2009-08-26 2009-08-26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53A true KR20110021353A (ko) 2011-03-04

Family

ID=4393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088A KR20110021353A (ko) 2009-08-26 2009-08-26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1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7U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마이랜드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027U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마이랜드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2222A1 (en) Rain protection device including umbrella, curtain, stand, and carrying case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1168239B1 (ko) 낚시텐트의 플라이
KR20110021353A (ko)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090003664U (ko) 캐빈텐트의 확장용 보조텐트
CN203634074U (zh) 一种组合式便携马桶
WO2013102313A1 (zh) 一种两用帐篷
KR101660338B1 (ko) 캠핑 쉘터용 탈부착형 투명창 타프
KR102345521B1 (ko) 파라솔텐트
KR20140096884A (ko) 접철장치를 갖춘 낚시 의자용 가리개
KR20180044730A (ko) 신속하고 조용한 개폐가 가능한 실내용 텐트
CN201025944Y (zh) 可对比显示紫外线强度的伞
KR100705712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200213654Y1 (ko) 파라솔겸용 텐트
CN219491899U (zh) 一种具有外帐的帐篷
CN205777704U (zh) 一种暖房装置
CN201630404U (zh) 一种雨伞
KR20020020484A (ko) 파라솔겸용 텐트
CN220081008U (zh) 一种天幕帐篷及帐篷门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CN203175150U (zh) 一种帐篷结构
CN213115781U (zh) 一种具有保温效果的拼接式帐篷
CN210598385U (zh) 一种单人帐篷
CN209202498U (zh) 软面壁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