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349A -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349A
KR20110021349A KR1020090079082A KR20090079082A KR20110021349A KR 20110021349 A KR20110021349 A KR 20110021349A KR 1020090079082 A KR1020090079082 A KR 1020090079082A KR 20090079082 A KR20090079082 A KR 20090079082A KR 20110021349 A KR20110021349 A KR 2011002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source
audio mixer
speaker
senso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32521B1 (en
Inventor
박귀태
임재훈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52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Abstract

PURPOSE: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provided to sense sounds through a sensor node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pectators. CONSTITUTION: A speaker(10) is installed in a performance place. An audio mixer(30) processes a sound signal from a sound source and outputs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A sensor node senses sound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and generates a sound sensing signal. The generated sound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sensor network. A sound control device(40) controls the audio mixer.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공연장 곳곳에 설치된 센서 노드를 통해 감지하고, 각 센서 노드에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sound output from a speaker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rough sensor node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f a performance hall, and based on a detection result at each sensor node. It relates to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can control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일반적으로 극장, 문화회관 등과 같이 음악을 공연하는 공연장에서는 여러 곳에 스피커를 설치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무대 등에서 연주되는 기타, 드럼, 피아노 등과 같은 악기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보컬(Vocal) 등의 여러 음향 소스, 즉 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음향 시스템이 설치된다.In general, in a performance hall that performs music such as a theater or a cultural hall, speaker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and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s. In addition, an acoustic system is installed to process and output sound signals from various sound sources, such as a voc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such as a guitar, a drum, a piano, and the like, which are played on a stage, and a sound source. do.

넓은 공연장에서는 많은 객석이 구비되어 있어, 객석의 어느 위치에서도 무 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고루 들을 수 있도록, 공연장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공연장 벽면의 구조의 설계 및 재질의 선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In the spacious performance hall, many seats are available, and much effort has been made in designing the structure of the walls of the venue and selecting materials from the stage of the stage so that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tage can be heard evenly in any position of the seat.

그러나, 공연장에서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 스피커의 위치나 스피커 자체의 특성에 따라 객석에서 느끼는 음향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음향 시스템을 조절하는 엔지니어가 객석의 위치에 무관하게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사전에 음향 시스템 전체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However, when the sou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t the venue, the sound felt by the sea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peaker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itself, so that the engineer who controls the sound system may enjoy the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seat position. The entire sound system is adjusted beforehand.

그런데, 음향 시스템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믹서 등은 통상 공연장의 뒤편에 설치되어 있어서, 엔지니어가 각 객석에서 느껴지는 음향의 정도를 파악하거나,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 등을 파악하고자 할 때 불편함이 있다. 즉, 엔지니어가 직접 스피커나 객석의 여러 위치로 이동하고, 오디오 믹서 측에 다른 사람을 배치시켜 무전기 등으로 오디오 믹서를 조절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By the way, the audio mixer for controlling the sound system is usually installed at the back of the performance hall, and it is inconvenient for the engineer to grasp the level of sound felt in each seat, or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There is a ham. In other words, it is inconvenient for the engineer to move directly to various locations in the speaker or the auditorium, and place another person on the side of the audio mixer to control the audio mixer with a radio or the like.

또한, 오디오 믹서에는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가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되기는 하나, 이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가 아닌 스피커에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세기이므로 실제 스피커의 출력 자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는 못하며, 특히 객석에서 실제 사람이 느끼는 음향의 특성은 반영하지 못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is displayed in decibels (dB) in the audio mixer, since the intensity of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peaker is not the intensity of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actual speaker output itself. It is not a criterion for judging, and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that a real person feels, especially in an auditorium.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공연장 곳곳에 설치된 센서 노드를 통해 감지하고, 각 센서 노드에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o detect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through the sensor node installed around the venue,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in each sensor no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can control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있어서, 공연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피커와; 복수의 음향 소스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와; 상기 공연장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음향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 상기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조절되도록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는 음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 plurality of speakers installed in the venue; An audio mixer which processes sound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nd outputs them through the plurality of speaker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performance hall, respectively, generating sound detection signals by detecting sound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und detection signals through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sound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udio mixer so that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is adjusted for each preset frequency band based on the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It is achieved by a sound system using.

여기서, 상기 음향 제어장치는,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향 감지신호를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복수의 분리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분리부와; 상기 각 주파수 대역별로 설정된 기준 세기와 상기 각 분리 음원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각 센서 노드에 대한 음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음원 분석부와; 상기 음원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a wireless recei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o receive the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A sound sourc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ound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for each frequency band to generate a plurality of separate sound sources; A sound sourc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by comparing the reference intensity set for each frequency band with the intensity of each separated sound source; It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audio mixer based on the sound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analyzer.

그리고,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분리 음원은 보컬(Vocal) 음원과 반주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ed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separator may include a vocal sound source and an accompaniment sound source.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각 센서 노드에 대한 상기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rocessor may control the audio mixer to adjust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장의 음향 시스템을 세팅하는데 있어, 음향 엔지니어가 직접 공연장의 각 위치에서 음향을 청취하여 음향 시스템을 조절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tting the acoustic system of the performance hall, the inconvenience of adjusting the acoustic system by directly listening to the sound at each position of the performance hall can be eliminated.

또한, 음향 엔지니어 개인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데이터화된 수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음향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관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and accurately adjust the sound by using the quantitative data numerically withou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coustic engineer can improve the audience satisfac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스템은 복수의 스피커(10)와, 오디오 믹서(30)와,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와, 음향 제어장치(40)를 포함한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 sou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peakers 10, an audio mixer 30, a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nd sound control. Device 40.

복수의 스피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장의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데, 도 1에서는 무대의 정면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여기소, 본 발명에 따른 공연장은 극장, 문화회관 등과 같이 객석이 마련되고 스피커(1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실내 및 실외 공연장 모두가 해당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plurality of speakers 10 are disposed at specific positions of a performance hall, but in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speakers 1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front of a stage. Here, the performance h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lace where an auditorium is provided and outputs sound through the speaker 10, such as a theater and a cultural hall, and both indoor and outdoor performance halls may be applicable.

오디오 믹서(30)는 복수의 음향 소스(5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의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 믹서(30)는 각 스피커(10)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퀄라이저 기능과 같이 스피커(1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특성을 조절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audio mixer 30 processes a sound signal input from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50 and outputs the same through the plurality of speakers 10. Here, the audio mixer 30 may be provided to distinguish and output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through each speaker 10, and various forms of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 such as an equalizer function. It can be prepared as.

그리고, 음향 소스(50)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믹서(30)로 출력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음악 공연을 위한 악기, 예를 들어, 기타, 키보드 및 드럼 등과, 가수 등의 음성을 오디오 믹서(30)로 전달하기 위한 보컬(Vocal) 마이크를 예로 도시하고 있다.The sound source 5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to generate an audio signal and output the sound signal to the audio mixer 30. In FIG. 2, a mus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a music performance, for example, a guitar, a keyboard and a drum, and a singer An example of a vocal (Vocal) microphone for transmitting the voice of the back to the audio mixer 30 is shown.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는 공연장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의 스피커(1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음향에 따른 음향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는 음향을 데시벨(dB) 단위로 측정하는 콘덴서 마이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performance hall to detect sound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10 and generate sound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detected sounds. Here, the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denser microphone for measuring sound in decibels (dB).

그리고,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와 음향 제어장치(40)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를 구성함으로써,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의해 생성된 음향 감지신호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향 제어장치(40)로 전송될 수 있다.Th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nd the sound control device 40 form a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by generating by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and 20d. The detected sound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ound control device 4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제어장치(40)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의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의 싱크 노드(Sync node, 21)가 공연장에 설치되어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와 음향 제어장치(4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control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a base station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In FIGS. 1 and 2, a sync node 21 on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performed in a performance hall. For example, it is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relaying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20c, 20d) and the sound control device 40.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싱크 노드(Sync node, 21)가 공연장에 하나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공연장의 크기에 따라 2 이상의 싱크 노드(Sync node, 21)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싱크 노드(Sync node, 21)의 기능이 음향 제어장치(40)의 후술할 무선 수신부(41)의 기능에 부가되어 마 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스템에서의 싱크 노드(Sync node, 21)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라우터(Router)의 기능이나 데이터의 릴레이(Relay) 기능 등을 수행하며,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와 음향 제어장치(4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경우 그 명칭과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싱크 노드(Sync node, 21)에 해당할 수 있다.1 and 2 illustrate that one sync node 21 is installed in a concert hall, but two or more sync nodes 21 may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cert hall. Of course.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sync node 21 may be added to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receiver 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sound control device 40. In addition, the sync node 21 in the acoust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a router or a relay of data on a wireless network,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In the case of relaying data exchange between the 20c and 20d and the sound control device 40, it may correspond to the sync node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its name.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센서 노드(20a,20b,20c,20d)와 음향 제어장치(40)가 IEEE802.15.4 기반의 지그비 프로토콜(ZigBee protocol)을 이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외에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plurality of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nd the acoustic control device 40 configure a wireless sensor network using a ZigBee protocol based on IEEE802.15.4. . In addition,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protocols that may constitute a wireless sensor network may be applied.

한편, 음향 제어장치(40)는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각 스피커(1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조절되도록 오디오 믹서(30)를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control device 40 is based on the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20d), so that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10 is adjusted for each preset frequency band The mixer 30 is controlled.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제어장치(40)는 무선 수신부(41), 음원 분리부(42), 음원 분석부(43) 및 메인 프로세서(4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ound control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41, a sound source separator 42, a sound source analyzer 43, and a main processor 44. Can be.

무선 수신부(41)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수신부(41)는 상술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상의 싱크 노드(Sync node, 21)를 통해 음향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부(41)에 싱크 노드(Sync node, 21)의 기능이 부가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wireless receiver 41 is connected to a wireless sensor network to receive a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20d. Here, the wireless receiver 41 may receive a sound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sync node 21 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described above, and the function of the sync node 21 is provided in the wireless receiver 41. It may be added as described above.

음원 분리부(42)는 무선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대한 음향 감지신호 각각을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분리 음원을 생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분리부(42)는 음향 감지신호를 보컬(Vocal) 음원과 반주 음원으로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음원 분리부(42)는 반주 음원을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복수의 분리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separator 42 separates each sound detection signal for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and 20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41 to generate a separate sound source. Here, the sound source separator 4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separate the sound detection signal into a vocal sound and an accompaniment sound.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separator 42 may generate a plurality of separate sound sources by separating the accompaniment sound source for each preset frequency band.

그리고, 음원 분석부(43)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분리 음원의 세기와, 각 주파수 대역별로 설정된 기준 세기와 비교하여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대한 음향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즉, 음원 분석부(43)는 분리 음원 중 보컬 음원의 세기와, 보컬 음원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 음원을 비교하여 보컬에 대한 음향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머지 분리 음원의 세기와,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설정된 기준 음원의 세기를 비교하여 각 주파수 대역별로 음향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The sound source analyzer 43 generates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and 20d by comparing the intensity of the separated sound source sepa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with a reference intensity set for each frequency band. do. That is, the sound source analyzer 43 compares the intensity of the vocal sound source among the separated sound sources with a reference sound source preset for the vocal sound source to generate sound analysis information about the vocal. The sound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by comparing the strength of the remaining separated sound sources with the intensity of the reference sound source set according to each frequency band.

메인 프로세서(44)는 음원 분석부(43)에 의해 생성된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믹서(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44)는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의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센서 노드(20a,20b,20c,20d)에서 보컬 음원의 세기가 기준 음원의 세기보다 작은 경우 스피커(10)를 통해 출력되는 보컬의 세기가 커지도록 오디오 믹서(30)를 제어한다.The main processor 44 controls the audio mixer 30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analyzer 43. For example, the main processor 44 is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of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20d), the intensity of the vocal sound source in all the sensor nodes (20a, 20b, 20c, 20d) reference sound source If the intensity is smaller than the audio mixer 30 is controlled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voc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

동일한 방법으로, 각 주파수 대역별로, 예를 들어 낮은 주파수 대역의 분리 음원의 세기가 기준 음원의 세기보다 작은 경우, 메인 프로세서(44)는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향 소스(50), 예를 들어 베이스 기타로부터 오디오 믹서(30)로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same way, for each frequency band, for example, if the intensity of the separated sound source in the low frequency band is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reference sound source, the main processor 44 may perform the sound source 50 of the low frequency band, for example, bass guita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audio mixer 30 from the.

또한, 메인 프로세서(44)는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대한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스피커(1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의해 감지된 음향의 세기가 전체적으로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인접한 스피커(10)나 해당 센서 노드(20a,20b,20c,20d) 방향을 지향하는 스피커(10)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rocessor 44 may adjust the output of the specific speaker 10 based on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20a, 20b, 20c, 20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sity of the sound sensed by the specific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is generally small, the speaker 10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or The output of the speaker 10 in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may be increased.

여기서, 메신 프로세서는 각 센서 노드(20a,20b,20c,20d)에 대해 할당된 ID를 통해 해당 센서 노드(20a,20b,20c,20d)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스피커(10)에 대해 부여된 ID를 통해 스피커(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messenger processor may check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through IDs assign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20a, 20b, 20c, and 20d, and for each speaker 10, respectively. It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peaker 10 through the ID assign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공연장의 음향 시스템을 세팅하는데 있어, 음향 엔지니어가 직접 공연장의 각 위치에서 음향을 청취하여 음향 시스템을 조절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setting the acoustic system of the venue, the inconvenience of adjusting the acoustic system by directly listening to the sound at each position of the venue can be eliminated.

그리고, 음향 엔지니어 개인의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데이터화된 수치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음향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관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and accurately adjust the sound by using quantitatively data values withou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engineer individual, thereby improving audience satisfaction.

도 3의 미설명 참조번호 45는 음향 제어장치(40)와 오디오 믹서(30) 간의 통신을 위한 믹서 연결부(45)로 음향 제어장치(40)의 메인 프로세서(44)는 믹서 연결 부(45)를 통해 오디오 믹서(3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Reference numeral 45 in FIG. 3 denotes a mixer connection part 45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nd control device 40 and the audio mixer 30, and the main processor 44 of the sound control device 40 is a mixer connection part 45.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udio mixer 30 through.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oustic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음향 시스템의 음향 제어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n acoustic control apparatus of the acoustic system of FIG. 2.

<도면의 주요 번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Numbers in Drawing>

10 : 스피커10: speaker

20a,20b,20c,20d : 센서 노드20a, 20b, 20c, 20d: sensor node

21 : 싱크 노드 30 : 오디오 믹서21: Sink Node 30: Audio Mixer

40 : 음향 제어장치 41 : 무선 수신부40: sound control device 41: wireless receiver

42 : 음원 분리부 43 : 음원 분석부42: sound source separation unit 43: sound source analysis unit

44 : 메인 프로세서44: main processor

45 : 믹서 연결부45: mixer connection

50 : 음향 소스50: sound source

Claims (4)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있어서,In a sound system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공연장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피커와;A plurality of speakers installed in the performance hall; 복수의 음향 소스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믹서와;An audio mixer which processes sound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nd outputs them through the plurality of speakers; 상기 공연장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음향 감지신호를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와;A plurality of sensor nod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performance hall, respectively, generating sound detection signals by detecting sound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und detection signals through the wireless sensor network; 상기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별로 조절되도록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는 음향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And a sound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udio mixer so that the sound output through each speaker is adjusted for each preset frequency band based on the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Sound system 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 제어장치는,The sound control device,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각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향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와;A wireless recei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o receive the sound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sensor node;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향 감지신호를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여 복수의 분리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분리부와;A sound source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ound detec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for each frequency band to generate a plurality of separate sound sources; 상기 각 주파수 대역별로 설정된 기준 세기와 상기 각 분리 음원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각 센서 노드에 대한 음향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음원 분석부와;A sound source analyzer configured to generat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by comparing the reference intensity set for each frequency band with the intensity of each separated sound source; 상기 음원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And a main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audio mixer based on the sound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analyz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원 분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분리 음원은 보컬(Vocal) 음원과 반주 음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The separation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separation unit includes a vocal sound and an accompaniment sound sour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각 센서 노드에 대한 상기 음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The main processor controls the audio mixer to adjust the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sensor node.
KR1020090079082A 2009-08-26 2009-08-26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032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2A KR101032521B1 (en) 2009-08-26 2009-08-26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82A KR101032521B1 (en) 2009-08-26 2009-08-26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49A true KR20110021349A (en) 2011-03-04
KR101032521B1 KR101032521B1 (en) 2011-05-06

Family

ID=4393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082A KR101032521B1 (en) 2009-08-26 2009-08-26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52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7562A (en) * 2015-01-16 2015-10-14 上海大学 Fully distributed wireless sensor network robustness multi-sound-source positioning method
KR101627701B1 (en) * 2015-01-06 2016-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546B1 (en) * 2015-08-10 2016-03-25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Remote sound tu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microphone
KR102551012B1 (en) 2017-02-06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Audio output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35368B1 (en) * 2017-12-28 2018-04-19 (주)청음미디어 Monitoring system of Audio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59B1 (en) * 2001-05-26 2005-03-08 전환표 An Audio Apparatus Linked With Circumference Noise
KR100937525B1 (en) * 2007-10-26 2010-01-19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The USN system for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using acoustic sensors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701B1 (en) * 2015-01-06 2016-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CN104977562A (en) * 2015-01-16 2015-10-14 上海大学 Fully distributed wireless sensor network robustness multi-sound-source positio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521B1 (en)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4254B2 (en) Concert audio system
US20030119523A1 (en) Peer-based location determination
US5822440A (en) Enhanced concert audio process utilizing a synchronized headgear system
JP5654513B2 (en) Sound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A2011674C (en) Electro-acoustic system
KR101032521B1 (en)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Griesinger Spaciousness and envelopment in musical acoustics
JP2017143506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sound image in audio zone
JP2006287606A (en) Audio device
KR1015512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alance of audio lighting equipment
KR20210030684A (en) Apparatus for multichannel audio mixing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32712B1 (en) Auditor suitability Sound System for Mass Public Facilities
US11659330B2 (en) Adaptive structured rendering of audio channels
JP2002328682A (en) Acoustic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ound quality and volu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quality and volume
US11895485B2 (en)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EP3869500B1 (en)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JP3928570B2 (en) Acoustic control system
EP3869501B1 (en)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JP7408955B2 (en)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200316692Y1 (en) Speaker device for reverberation addition
JP2007281789A (en) Sound analyzer
EP3920176A2 (en)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oun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ound signal processing program
JPH06266377A (en) Sound field correcting device
Leembruggen et al. Design and Commissioning of sound reinforcement systems for the Australian Parliament-A Holistic Approach
JPH0819086A (en) Acoustic reprod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