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70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701B1
KR101627701B1 KR1020150001269A KR20150001269A KR101627701B1 KR 101627701 B1 KR101627701 B1 KR 101627701B1 KR 1020150001269 A KR1020150001269 A KR 1020150001269A KR 20150001269 A KR20150001269 A KR 20150001269A KR 101627701 B1 KR101627701 B1 KR 10162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ace
sound source
modul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영
손웅희
김민선
이범수
이인수
유제민
황정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7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3/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th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pace dir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sound sensing sensor, which is placed close to a directing space, for sensing sound generated near the directing space; a sound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the sensitivity of the sound and phase information sensed by the sound sensing sensor; a sound wave producing module for producing sound waves a user desires by combining the sensed sound to control sound sources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und analysis module; and an outputting module for outputting holography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s produced by the sound wave producing module, to the directing space.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arranged to face the directing space, for photographing the holography images. The camera module focuses on the directing spac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iving feedbacks of the location where the holography images are outputted and compensating the location of the outputting module. The sound waves sensed by the sound sensing sensor are small sound waves, and the control sound sources are sound waves which can compensate the small sound waves with an active sound removing method in the sound space direction apparatus.

Description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방법과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0002]

본 발명은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연출 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분석하여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운드 공간을 홀로그램으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장소에서 공연을 시청하는 느낌을 제공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a sound source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pace, thereby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a user, and providing a desired sound space as a hologram to provide a feeling of watching a performance at a desired place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system.

공연장이나 각종 무대 공간에는 공연으로 인한 음원 등 사용자들이 원하는 음원 뿐만 아니라 청중들의 소음으로 인하여 공연에 집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There may be a difficulty in concentrating on performances due to the noise of the audience as well as the sound sources desired by the users such as the sound sources due to performances in the performance venues and various stage spaces.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감지된 음원에서 소음을 제거하거나, 현재의 위치 공간에서 보다 적절한 음원으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곳에 무대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홀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공연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user with a desired sound source, it is necessary to remove noise from the detected sound source, or to process the sound source into a more suitable sound source in the current location space.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tage environment at the current location, it is necessary to give the effect of viewing the performance at a plac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hologram.

홀로그램의 정의와 관련하여, 홀로그램(hologram)에서 홀로(holo)는 "완전한" 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램(gram)은 "메시지, 정보" 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듯이 홀로그램은 실물처럼 보이는 입체사진으로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프린지 패턴)를 기록한 매체이다.In relation to the definition of a hologram, in the hologram, holo means "complete," and "gram" means "message, information." As the hologram means a stereoscopic photograph (Fringe pattern) that reproduces a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공연을 시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감지된 음원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12-0006326호가 존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logram is used to give a user the same effect as watching a performance at a desired place, and also a technique for analyzing a detected sound source and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a user's desir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06326 exists as a related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출 공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운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 space desired by a user and provide a desired sound space to a user in a directing spa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출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감지하는 음원 감지 센서; 상기 음원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원의 감도 및 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음원 분석 모듈; 상기 음원 분석 모듈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된 음원에 제어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음파 생성 모듈; 및 상기 음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출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출 공간에 초점을 맞추며,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위치 설정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은 소음파이고, 상기 제어 음원은 상기 소음파를 능동 소음 제거 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ound space, the apparatus comprising: a sound source sensor for sensing a sound source occurring in the periphery of the direction space, A sound source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the sensitivity and phas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ing sensor;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a user by merging a control sound source into the sense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to the directing space, wherein the camera module is disposed to face the directing space and photographs a holographic image, And a control unit focusing on the directing space and correcting the position setting of the output module by feeding back the output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wherein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source detecting sensor is a sound wave, And the sound wave is a waveform that can cancel out the noise by the active noise cancel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 때, 상기 음원 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복수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s may be plural ones located at different places.

삭제delete

이 때, 상기 출력 모듈은, 빛의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도록 형성되는 홀로그래피 저장부; 및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을 일으켜 생성된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되게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홀로그래피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may include a holography storage unit configured to record an interference fringe generated by interference of light; And a holographic output unit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holographic storage unit such that the holographic image generated by causing the interference fringes and diffraction is outputted to the directing space.

이 때, 이미지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출 공간에 마련된 소정의 구조물에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ject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or module that outputs an image different from the holographic image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provided in the directing space by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이 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부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jector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 im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 감지 센서에 의하여,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감지하는 단계; 음원 분석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의 감도 및 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음파 생성 모듈에 의하여, 상기 분석 모듈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된 음원에 제어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출력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위치 설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은 소음파이고, 상기 제어 음원은 상기 소음파를 능동 소음 제거 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ducing a sound space, including the steps of: sensing a sound source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a directing space by a sound source detecting sensor; Analyzing sensitivity and phase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or by a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a user by merging a control sound source into the sensed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module by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And outputting, by the output module,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to the directing space, wherein after the outputting, the controller outputs a position at which the holographic image is output Wherein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source sensor is a sound wave and the control sound source is a waveform capable of canceling the sound wave by the active noise canceling method And provides a sound space rendering method.

삭제delete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이미지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출 공간에 마련된 소정의 구조물에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ducing a sound space, the system comprising: the sound space directing device; And a projector for outputting an image different from the holographic image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provided in the directing space by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이 때, 상기 프로젝터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부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jector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 im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 lens unit for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본 발명에 의하면, 연출 공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운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과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und source desired by a user in a directing space and provide a desired sound space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프로젝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음원 분석 모듈 및 음파 생성 모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unit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jector module of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and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holography.
7 is a flowchart of a sound space ren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프로젝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의 음원 분석 모듈 및 음파 생성 모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utput unit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jector module of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and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100)는, 음원 감지 센서(110), 음원 분석 모듈(120), 음파 생성 모듈(130), 출력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제어부(160), 프로젝터 모듈(170), 사용자 입력부, 전원 공급부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1,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source detecting sensor 110, a sound source analyzing module 120, a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130, an output module 140, A controller 150, a controller 160, a projector module 170, a user input unit, a power supply unit, a memory,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음원 감지 센서(110)는 연출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은원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출 공간이라 함은, 음성 및 홀로그램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대상 공간을 의미한다.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110 is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directing space and senses a silver circle occurring in the periphery of the directing space. In some embodiments, the sound source sensing sensor 110 may be locat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locations. Here, the directed space means a target space for outputting audio and hologram images.

상기 음원 분석 모듈(120)은, 상기 음원 감지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음원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음원 감지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음원의 강도 및 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120 performs a function of analyzing a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110 and specifically analyzing the intensity and phas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110 Function.

상기 음파 생성 모듈(130)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분석 모듈(120)에 의하여 분석된 음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원 감지 센서(110)에 의하여 센싱된 음원(1)과, 상기 센싱된 음원(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음원(2)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센싱된 음원(1)은 소음파가 될 수 있고, 상기 제어 음원(2)은 소음파의 역파형으로서 상기 소음파를 능동소음 제거 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파형이 될 수 있다.The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130 controls the sound source analyzed by the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120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hereby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the user. 4, a sound source 1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ing sensor 110 and a control sound source 2 for controlling the sensed sound source 1 are merged to generate a sound wave desired by the user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ed sound source 1 may be a sound wave, and the control sound source 2 may be a waveform that can cancel out the sound wave by the active noise canceling method as a reverse waveform of the sound wave. have.

상기 출력 모듈(140)은 상기 음파 생성 모듈(130)에 의하여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연출 공간은 공연장, 교회 공간, 오페라 하우스 등이 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140 outputs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130 to the directing spac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the directing space may be a theater, a church space, an opera house,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 모듈(140)은 홀로그래피 저장부(141) 및 홀로그래피 출력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연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음파 생성 모듈에 의하여 생성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와, 사용자가 원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이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고, 이시에 출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output module 140 may include a holographic storage unit 141 and a holographic output unit 142, and outputs a holographic image to the direct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utputting the holographic image to the directing space, a desired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by the user and a desired holographic image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or output at the same time. Alternatively, the user may output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a desired sound wave.

상기 출력 모듈(140)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피 영상의 투사 방식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structure of the output module 140 and the projection method of the holographic imag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o FIG.

상기 카메라 모듈(150)은, 상기 연출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출 공간에 초점을 맞추도록 이루어진다.The camera module 15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directing space, and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holographic image, and focuses on the directing space.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과 관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한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부(142)의 설정을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alyzes the holographic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00 with respect to the camera module 1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rrecting the setting of the holographic output unit 142.

상기 프로젝터 모듈(170)은,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연출 공간에 상기 홀로그래피 출력부(142)가 출력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71), 영상 생성부(172) 및 렌즈부(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원부(171)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예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172)는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렌즈부(173)는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 모듈(170)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ojector module 170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by using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100. The projector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holographic output unit 170 in the directing spa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60. [ And displays an image that is the same as or at least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image output by the image output unit 142. More specifically, the projector module 170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171, an image generation unit 172, and a lens unit 173,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unit 171 functions to generate light (for example, laser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d the image generation unit 172 outputs ligh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the lens unit 173 performs a function of enlarg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projector module 170 may include a device (not shown) capable of mechanically moving the lens or the entire module to adjust the image projection direction.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출력 모듈(140)의 홀로그래피 영상 투사를 지원하기 위해, 홀로그래피 간섭무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등을 출력 모듈(140)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emory unit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6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In addition, the memory unit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holographic interference fringe in order to support projec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of the output module 140. That is,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oice of the user, the execution result of the application, etc.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put module 140 throug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가 방음 홀로그램 발생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는 키 패드(ket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proof hologram generating apparatus by a user.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t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6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6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a memory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60. [

도 5 및 도 6은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 and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holography.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201)에서 나온 간섭성 빛은 스플리터(202)를 통해 둘로 나누어진다. 이 중 하나의 광선은 피사체(207)을 비추고, 피사체(207)의 표면에서 난반사된 빛이 홀로그래피 감광재료(205)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광선을 물체파라고 정의한다. 한편, 광선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거울(203,204)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herent light from the laser light source 201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the splitter 202. One of the light beams illuminates the object 207, and the diffused light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207 reaches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205. These rays are defined as object waves. On the other hand, mirrors 203 and 204 can be used to switch the path of light rays.

상기 스플리터(202)에서 나누어진 또 하나의 광선은 거울(208)을 통하여 경로가 전환되며, 렌즈(206)를 통하여 확산되어 피사체(207)를 비추지 않고 직접 홀로그래피 감광재료(205) 전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사체(20)를 비추지 않고 직접 홀로그래피 감광재료(205)의 전면에 도달하게 되는 광선을 기준파라고 정의한다. 즉, 상기 레이저 광원(201)에서 나온 빛은 물체파와 기준파로 분리되어 정의될 수 있다.Another light beam divided by the splitter 202 is switched through the mirror 208 and diffused through the lens 206 to reach the front of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205 directly without illuminating the object 207. [ . As described above, a light ray that rea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hol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205 directly without illuminating the subject 20 is defined as a reference wave.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light source 201 can be defined as being separated into an object wave and a reference wave.

홀로그래피 감광재료(205) 상에 물체파와 기준파가 서로 간섭(interference) 현상을 일으켜 1mm당 500~1,500개 정도의 매우 섬세하고 복잡한 간섭무늬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간섭무늬를 기록한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를 홀로그램이라고 한다.The object wave and the reference wave interfere with each other on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205, resulting in an extremely delicate and complicated interference pattern of about 500 to 1,500 per 1 mm. The holographic storage medium on which such interference fringes are recorded is called a hologram.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기준파와 같은 광선, 즉 재생파를 홀로그래피 감광재료(205)에 투사하면 간섭무늬가 회절결자의 역할을 해서 기준파가 입사한 방향과 다른 위치에서 빛이 회절(diffraction)되고, 회절된 빛이 모여 처음 물체에서 반사해서 생긴 빛과 같이 형성됨으로써 홀로그래피 영상(209)을 투사하게 된다. 즉, 홀로그램을 통해 처음의 물체광이 재생되어 홀로그래피 영상(209)으로 표현될 수 있다.6, when a light ray such as a reference wave generated, that is, a reproduction wave, is projected onto the hol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205, the interference fringe acts as a diffracted light, Is diffracted, and diffracted light is collected and formed as light generated by reflection from the first object, thereby projecting the holographic image 209. That is, the first object light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hologram and can be expressed by the holographic image 209.

이 때, 재생된 파면 안에서 들여다보면 처음 물체가 보이기는 하나 마치 물체가 안쪽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보는 지점을 이동하면 물체가 보이는 위치도 변하여 마치 입체사진을 보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원래 물체의 파면이 재생되기 때문에 아주 약간 변형한 물체에서 나오는 파면과도 간섭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you look inside the reproduced wavefront, the object appears to be inside, though it is the first object to be seen. When you move the viewing point, the position of the object changes and it looks as though you are viewing a stereoscopic image. In addition, since the original wavefront of the object is reproduced, it can also interfere with the wavefront from an object that is slightly deformed.

홀로그래피 영상(209)의 표현 방식은 재생 방식에 따라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과 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holographic image 209 can be classified into a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image expression system and a reflection type holographic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 reproduction system.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은 홀로그램의 뒤에서 빛을 비추어 투과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투과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현 방식에서는 제작 시에 물체파와 기준파를 같은 방향으로 홀로그래피 감광재료에 노출시키게 되고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색이 선명하고 밝은 것이 특징이다.In the transmissive holography image expression system, the object wave and the reference wave are exposed to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e in the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image representation system, in which the image emerging from the back of the hologram is viewed in front of the hologram The generated holographic image is characterized by a clear and bright color.

다음으로, 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은 홀로그램의 앞에서 빛을 비추어 반사하여 나온 상을 홀로그램의 앞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물체파와 기준파를 홀로그래피 감광재료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입사하도록 제작된다. 반사형 홀로그래피 영상 표시 방식으로 생성된 홀로그래피 영상은 입체감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Next, in the reflection type holographic image display system, the image reflected by the light in front of the hologram is made to be viewed in front of the hologram, and the object wave and the reference wave are made to enter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e holographic image generated by the reflection type holographic image display system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stereoscopic effect.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홀로그래피 감광재료(307, 407)는 홀로그래피 저장부(141)에 구비되는 홀로그래피 저장매체로 표현되고, 상기 홀로그래피 감광재료(307, 407)에 빛을 투사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는 홀로그래피 출력부(142)로 표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홀로그래피 저장부(141)와 홀로그래피 출력부(142)가 출력 모듈(140)에 포함되어 함께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단순한 일례에 불과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hol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s 307 and 407 are represented by a holographic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holographic storage unit 141, and a holographic image can be generated by projecting light onto the hol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s 307 and 407 And the other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the holographic output section 142. The holographic storage unit 141 and the holographic output unit 142 are included in the output module 140 and are implemented together. However, the holographic storage unit 141 and the holographic output unit 142 are merely examples, Or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10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중복되는 기술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sound space di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7 is a flowchart of a sound space ren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은,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 감지 센서에 의하여,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감지하는 단계(S100), 음원 분석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원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감지된 음원을 분석하는 단계(S110), 음파 생성 모듈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분석된 음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출력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sound space rend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ndering a sound spa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 sound source occurring in the periphery of a presentation space by a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S100) Analyzing the sound source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sound source by the analysis module (S110), controlling the analyzed sound source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a user's input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S120) generating a desired sound wave by the output module, and outputting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generated in the generating the sound wave to the directed space by the output module (S130).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하는 단계(S130) 이후에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설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연출 공간의 적절한 위치에 출력되는지를 피드백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설정을 적합하게 보정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nalyzing the holographic image and correcting the setting of the output module by the control unit after the outputting step (S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it means that the setting of the output module is appropriately corrected by feeding back whether the holographic image is output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directing spa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중복되는 기술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ound space dir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이미지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출 공간에 마련된 소정의 구조물에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한다.The sound space dir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jector for outputting a holographic image different from the holographic image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provided in the directing space by performing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jec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와, 프로젝터가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프로젝터를 통하여 상기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 및 영상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nd the projec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unction of supplementing the sound and image output from the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through the projector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대여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While this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It is to be noted that not all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re included or should be separately included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claims.

100: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110: 음원 감지 센서
120: 음원 분석 모듈
130: 음파 생성 모듈
140: 출력 모듈
141: 홀로그래피 저장부
142: 홀로그래피 출력부
150: 카메라 모듈
160: 제어부
170: 프로젝터 모듈
171: 광원부
172: 영상 생성부
173: 렌즈부
100: sound space directing device
110: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120: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130: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140: Output module
141: holography storage unit
142: holography output section
150: Camera module
160:
170: Projector module
171:
172:
173:

Claims (13)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출 공간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감지하는 음원 감지 센서;
상기 음원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음원의 감도 및 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음원 분석 모듈;
상기 음원 분석 모듈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된 음원에 제어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음파 생성 모듈; 및
상기 음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연출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연출 공간에 초점을 맞추며,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위치 설정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은 소음파이고, 상기 제어 음원은 상기 소음파를 능동 소음 제거 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sound space,
A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located around the directing space and sensing a sound source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directing space;
A sound source analyzing module for analyzing the sensitivity and phas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ing sensor;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a user by merging a control sound source into the sensed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And
And an output module outputting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to the presentation space,
And a camera module arranged to face the director space to photograph a holographic image,
Wherein the camera module focuses on the directing spac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feeding back the output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to correct the position setting of the output module,
Wherein the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or is a sound wave, and the control sound source is a waveform capable of canceling the sound wave by the active noise cancel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감지 센서는,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comprises:
Wherein the plurality of sound space directing devices are located in different plac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빛의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생성된 간섭무늬를 기록하도록 형성되는 홀로그래피 저장부; 및
상기 간섭무늬와 회절(diffraction)을 일으켜 생성된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되게 상기 홀로그래피 저장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홀로그래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module includes:
A holography storage unit configured to record an interference fringe generated by interference of light; And
And a holography output unit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holography storage unit such that the holography image generated by causing the interference fringes and diffraction is output to the direct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미지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출 공간에 마련된 소정의 구조물에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jector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different from the holographic image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provided in the directing space by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부;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jector module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nd a lens unit for magnifying and outputting an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원 감지 센서에 의하여, 연출 공간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감지하는 단계;
음원 분석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의 감도 및 위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음파 생성 모듈에 의하여, 상기 분석 모듈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된 음원에 제어 음원을 병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출력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파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음파에 대응하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연출 공간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출력 모듈의 위치 설정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음원은 소음파이고, 상기 제어 음원은 상기 소음파를 능동 소음 제거 방법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방법.
A method of directing a sound space,
Detecting a sound source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directing space by the sound source detecting sensor;
Analyzing sensitivity and phase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sensed by the sound source sensor by a sound source analysis module;
Generating a sound wave desired by a user by merging a control sound source into the sensed sound source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module by a sound wave generation module; And
Outputting a holographic image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generated by the sound wave generating module to the directing space by an output modu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rrecting the position setting of the output module by feeding back the output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by the control unit after the outputting step,
Wherein the sound source detected by the sound source detection sensor is a sound wave and the control sound source is a waveform capable of canceling the sound wave by an active noise canceling method.
삭제delete 사운드 공간을 연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운드 공간 연출 장치; 및
이미지 프로젝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출 공간에 마련된 소정의 구조물에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과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시스템.
A system for producing a sound space,
A sound space di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7; And
And a projector for outputting an image different from the holographic image to a predetermined structure provided in the directing space by performing an image project function.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부;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공간 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jector includes: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for outputting an image to the outside;
An imag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side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And
And a lens unit for magnifying and outputting an image at a predetermined focal distance to the outside.
KR1020150001269A 2015-01-06 2015-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KR101627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69A KR101627701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69A KR101627701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701B1 true KR101627701B1 (en) 2016-06-08

Family

ID=5619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69A KR101627701B1 (en) 2015-01-06 2015-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70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064A (en) * 2005-07-07 2005-08-11 주식회사 스타제국 The public performance which uses the stage vehicle which is produced specially and cable broadcasting treatability
KR20110021349A (en) * 2009-08-26 2011-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30075343A (en) * 2011-12-27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holography controll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40010871A (en) * 2012-07-12 2014-01-27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erformance system with multi-projection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064A (en) * 2005-07-07 2005-08-11 주식회사 스타제국 The public performance which uses the stage vehicle which is produced specially and cable broadcasting treatability
KR20110021349A (en) * 2009-08-26 2011-03-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ound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30075343A (en) * 2011-12-27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holography controll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40010871A (en) * 2012-07-12 2014-01-27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erformance system with multi-projection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6982B1 (en) System for making a hologram of an image by manipulating object beam characteristics to reflect image data
JP5384327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7099058B2 (en) Hologram preparing method
KR101665238B1 (en) Apparatus and mehtod for forming 3 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using scattering layer
JPH10268740A (en) Phase shift digital holography device
JP6881600B2 (en) Projection device, interface device and projection method
KR20200044541A (en) Hologram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of hogel size
US6747770B2 (en) Holographic stereogram exposure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holographic stereogram generation system
JP2001034148A (en) Method and device for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16277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pace production, system for sound space production
US8690339B2 (en) Complete digital holographic image sensor-projector computing unit having a modulator for receiving a fourier image
CN110874047A (en) Method and device for holographing image under endoscope
JP200618982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916369B2 (en) Holograph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16289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with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logram image with tracking
US8089456B2 (en) Inputting information using holographic techniques
KR101526057B1 (en)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JP2002049293A (en) Method for forming hologram
JP5099825B2 (en) Interference fringe data generation apparatus, interference fringe data generation method, and interference fringe data generation program
JP7037797B2 (en) Hologram recording device and hologram manufacturing method
JP6607491B2 (en) Hologram data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thereof
JP4718223B2 (en) Light wavefront control pattern generation apparatus and light wavefront control pattern generation method
KR201600849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onud proof hologram, noise barrier and system for generating sonud proof hologram
JP2007178458A (en) Hologram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4449592B2 (en) Holographic recor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