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988A -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988A
KR20110020988A KR1020090078499A KR20090078499A KR20110020988A KR 20110020988 A KR20110020988 A KR 20110020988A KR 1020090078499 A KR1020090078499 A KR 1020090078499A KR 20090078499 A KR20090078499 A KR 20090078499A KR 20110020988 A KR20110020988 A KR 2011002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oven
vehicle
pow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641B1 (ko
Inventor
유상신
Original Assignee
유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신 filed Critical 유상신
Priority to KR102009007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6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를 각각 포함하는 바닥부와 등받이부; 및 상기 직조발열체a로 차량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체 전원을 공급한 이후 상기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온도조절부;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낮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직조발열체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통해 효과적인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카시트, 난방, 직조발열체, 탄소사, 복사열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Heating Apparatus for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의 제한적인 전력 공급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난방을 제공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겨울철 차량의 실내 공기를 덥혀주어 따뜻한 환경에서 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히터는 가열된 엔진의 열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차량 탑승 후 엔진이 가열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며, 또한 장시간 가동시 차내 공기를 탁하게 하고, 졸음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차량의 히터와 같은 난방 장치에 보조하고자, 시트 내에 열선을 구비하고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선을 이용한 온열 시트도 이미 상용화 되고 있으며, 열선을 이용한 온열 시트에 앉은 사용자는 시트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아(전도열에 의함) 따뜻함을 보다 빠르게 느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열선을 이용한 온열 시트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이더라도, 열선이 내장된 온열 시트 커버를 따로 구비하여 차량의 시트에 씌운 후, 시거잭 소켓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받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열선을 이용한 온열 시트와 같은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선을 이용한 온열 시트 또는 온열 시트 커버는 모두 발열체로서 열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급속한 온도상승을 위해 순간적으로 너무 많은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여러 부분에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과전류가 흘러 휴즈가 나가거나 녹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더군다나 자동차와 같은 전력 사용량이 극히 제한되는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온열 시트(또는 온열 시트 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열선을 이용한 발열 방식은, 열의 전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열을 전달해주기 때문에, 시트(또는 시트 커버)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허벅지 내지 등)에만 따뜻함을 느낄 수 있게 할 뿐, 차량 실내 공기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작동 초기에는 시트의 바닥 부분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여 초기 난방을 집중 시킨 후, 바닥 부분과 등받이 부분에 전원을 분배 공급하여 미열을 이용한 지속적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 사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탄소섬유사로 직조된 직조발열체를 사용하여 전도열뿐만 아니라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기 온도까지 높여줄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를 각각 포함하는 바닥부와 등받이부; 및 상기 직조발열체a로 차량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체 전원을 공급한 이후 상기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온도조절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직조발열체a와 직조발열체b는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조절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는 각각 복수의 탄소섬유사와 상기 탄소섬유사에 병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동선밴드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상기 온도조절부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 중 일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키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 중 타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직조발열체a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직조발열체b의 동선밴드부 중 어느 하나의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조발열체a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 및 (-)극을 각각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의 일 동선밴드부 및 타 동선밴드부에 연결시켜 상기 직조발열체a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상기 직조발열체a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직조발열체b의 동선밴드부 중 어느 하나의 동선밴드부로 전환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동 초기에는 시트의 바닥 부분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여 초기 난방을 집중 시킨 후, 바닥 부분과 등받이 부분에 전원을 분배 공급하여 미열을 지속적으로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사용을 대폭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인 난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과 같이 전력 사용이 제한되는 곳에서 다수의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전력 사용에 무리가 없다.
둘째, 탄소섬유사로 제조된 직조발열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도열로 인한 접촉한 신체에 직접적인 보온 효과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기 온도까지 높여줄 수 있고,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해 살균, 탈취, 항균 작용으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강모드(바닥부에 전체 전원을 공급)와 약모드(바닥부와 등받이부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의 전환을 직접 조절할 수도 있지만, 온도센서 또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 절감 효과를 볼 수 있고, 특히 운전자의 경우 기능 전환을 위해 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과열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넷째, 차량의 히터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히터로 인해 탁해진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히터를 가동하지 않더라도 탄소섬유사의 발열로 인한 복사열을 이용해 충분히 실내 공기를 덥혀줄 수 있고, 히터의 가동을 위해 엔진이 가열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는 차량 시트(1)에 씌우거나 시트 전면에 덧 댄 후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바닥부(110)와 등받이부(120)로 구분되는 시트 커버 형태의 본체와 온도조절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부(110) 및 등받이부(120)에는 각각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직조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다.
직조발열체는 다수의 탄소섬유사(R)와 탄소섬유사(R)에 병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동선밴드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실시하기에 따라 탄소섬유사(R)와 일반섬유사가 각각 위사와 경사로 하여 망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탄소섬유사(R)는 기존에 발열체로 널리 사용되는 열선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으며, 원적외선의 방사를 통해 난방기능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 항균작용, 탈취작용으로 인체에 유익하다. 또한 기존의 열선은 열의 전도를 통해 시트에 앉은 사람의 신체에 열을 직접 전달하여 따뜻함을 느끼게 하지만, 탄소섬유사(R)로 제조된 직조발열체는 전도열 뿐만 아니라 복사열을 방출하여 차량 실내 공기의 난방도 가능하기 때문에 난방 효과가 탁월하며,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직조발열체는 실시하기에 따라 절연체로 코팅이 되어 바닥부(110) 및 등받이부(120)에 내장되거나, 바닥부(110) 및 등받이부(120) 자체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바닥부(110)와 등받이부(120)에 내장된 탄소섬유사(R)로 제조된 직조발열체를 각각 '직조발열체a', '직조발열체b'라고 하여 상호 구분하도록 한다.
온도조절부(130)는 시거잭(150)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바닥 부(110) 및 등받이부(120)의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로 공급한다. 또한 작동이 시작되면, 온도조절부(130)는 직조발열체a(111)로 차량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체 전원을 공급한 이후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조절부(130)의 작동에 대해서는 이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는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어 온도조절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의 탄소섬유사(R)가 전기적 병렬로 연결되고,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어 온도조절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는 도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2에서의 직조발열체는 동선밴드부(L1, L2, L3, L4)와 탄소섬유사(R)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2에서 직조발열체a(111)를 참조하면,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탄소섬유사(R)의 양단과 그 사이에 다수의 동선밴드부(L1, L2)가 연결되어, 각 탄소섬유사(R)는 전기적 병렬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동선밴드부는 최소 2개만 구비되어도 되며, 다수의 동선밴드부일 경우 징검다리 형태로 전기적인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탄소섬유사(R)에 병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조절부(130)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직조발열체a(111)의 동선밴드부 중 일 동선밴드부(L1)와 연결시킨다. 물론 징검다리 형태로 전기적인 배선이 이루어진 동선밴드부들은 전기적으로 일체형으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직조발열체a(111)의 타 동선밴드부(L2)(온도조절부로부터 (+)극이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된 동선밴드부와 전기적인 배선이 이루어진 동선밴드부가 아닌 동선밴드부)를 직조발열체b(121)의 일 동선밴드부(L3)와 연결하고, 직조발열체b(121)의 타 동선밴드부(L4)(직조발열체a(111)의 타 동선밴드부(L2)와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된 동선밴드부와 전기적인 배선이 이루어진 동선밴드부가 아닌 동선밴드부)를 직류전원의 (-)극과 연결하면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는 전기적인 직렬 연결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온도조절부(130)는 시거잭(150)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직조발열체a(111)의 타 동선밴드부(L2) 또는 직조발열체b(121)의 타 동선밴드부(L4)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온도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사용자가 온도조절부(130)의 조작 스위치를 작동)에 따라 직조발열체a(111)에만 전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직조발열체a(111) 및 직조발열체b(121)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온도센서(140) 또는 타이머에 의해 온도조절부(130)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는 직조발열체a(111)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40)를 더 포함하고, 온도조절부(130)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 및 (-)극을 직조발열체a(111)의 일 동선밴드부(L1) 및 타 동선밴드부(L2)에 연결시켜 직조발열체a(111)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센서(140)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조절부(130)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의 연결을 직조발열체a(111)의 타 동선밴드부(L2)에서 직조발열체b(121)의 타 동선밴드부(L4)로 전환함으로써,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의 작동을 회로적인 관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를 부하라고 보고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온도조절부(130)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극을 직조발열체a(111)의 일 동선밴드부(L1)와 연결시키며, (-)극을 직조발열체a(111)의 타 동선밴드부(L2) 또는 직조발열체b(121)의 타 동선밴드부(L4)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스위치(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온도센서(140)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는지 확인하여 스위치(13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가 작동 되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 및 (-)극이 각각 직조발열체a(111)의 일 동선밴드부(L1) 및 타 동선밴드부(L2)와 연결되도록 스위치(131)가 위치한다. 따라서 직조발열체a(111)에 전체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과 함께 급속한 온도 상승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거잭(15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12V의 직류전원이며, 직조발열체a(111)의 저항이 8Ω이라고 할 경우, 직조발열체a(111)는 대략 18W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후, 온도조절부(130)의 제어부(132)는 온도센서(140)에서 측정한 온도를 확인하며, 온도센서(140)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1)를 제어하여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직조발열체b(121)의 타 동선밴드부(L4)와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고,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분배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의 저항이 각각 8Ω이라고 할 경우, 전체 소모 전력은 대략 9W로 직조발열체a(111)에 전원을 집중 공급하였을 때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
물론, 이로 인해 직조발열체a(111)의 발열 온도는 저하 되지만, 직조발열체a(111)의 탄소섬유사(R)에서 방출하는 복사열로 인해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도 상승한 상태이고, 사용자가 열의 방출을 막는 구조로 앉아 있기 때문에 낮은 전력 공급만으로도 바닥부(110)의 가열된 온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바닥과 등에서 모두 보온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여기서, 직조발열체a(111), 즉 바닥부(110)을 먼저 덥혀주는 것은 탄소섬유사(R)에서 방출되는 복사열 때문이다. 즉 더운 공기는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바닥부(110)를 먼저 발열 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도조절부(130)가 별도의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거나, 온도조절부(130)의 제어부(132)가 타이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직조발열체a(111)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직조발열체a(111)와 직조발열체b(121)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스위치(131)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의 오작동시 과열을 막기 위하여,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극이 직조발열체a(111)의 일 동선밴드부(L1)와 연결 되는 중간에 바이메탈(또는 퓨즈)을 설치하여 고온에서는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100)가 차량의 시트에 씌우거나 덧대는 형태의 시트 커버 형태로 이루어졌을 시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차량 시트의 바닥부(210)에 직조발열체a(211)가 내장되어 있고, 등받이부(220)에 직조발열체b(221)가 내장되어 있으며,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직조발열체a(211)에 공급하거나, 직조발열체a(211)와 직조발열체b(221)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200)에서 직조발열체a(211), 직조발열체b(221) 및 온도조절부(230)의 전기적인 연결 구조와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1 내지 도4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200)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계하여 직접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시거잭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앉은 사용자(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 누구나 될 수 있음)의 바닥과 등에 열을 제공하여 난방 효과를 주기 위해, 발열체로써 기존의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탄소섬유사로 직조된 직조발열체를 사용한다는 것과 초기에는 바닥부에 전원을 집중시킨 이후, 바닥부와 등받이에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시트에 씌우는 커버형, 시트에 붙이는 부착형, 시트의 공장 출하시 제작되어 나오는 시트 일체형 등 어느 형태로든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경우에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을 강조하는 바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의 전기적인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 및 도4는 도1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회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110 : 바닥부
111 : 직조발열체a
L1, L2 : 동선밴드부
R : 탄소섬유사
120 : 등받이부
121 : 직조발열체b
L3, L4 : 동선밴드부
130 : 온도조절부
131 : 스위치 132 : 제어부
140 : 온도센서
150 : 시거잭

Claims (5)

  1.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를 각각 포함하는 바닥부와 등받이부; 및
    상기 직조발열체a로 차량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체 전원을 공급한 이후 상기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발열체a와 직조발열체b는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조절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발열체a 및 직조발열체b는 각각 복수의 탄소섬유사와 상기 탄소섬유사에 병렬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의 동선밴드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 중 일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키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 중 타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직조발열체a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직조발열체b의 동선밴드부 중 어느 하나의 동선밴드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발열체a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 및 (-)극을 각각 상기 직조발열체a의 동선밴드부의 일 동선밴드부 및 타 동선밴드부에 연결시켜 상기 직조발열체a에 전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을 상기 직조발열체a와 전기적 직렬로 연결되도록 상기 직조발열체b의 동선밴드부 중 어느 하나의 동선밴드부로 전환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KR1020090078499A 2009-08-25 2009-08-25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KR10115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99A KR101156641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99A KR101156641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988A true KR20110020988A (ko) 2011-03-04
KR101156641B1 KR101156641B1 (ko) 2012-06-14

Family

ID=4392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499A KR101156641B1 (ko) 2009-08-25 2009-08-25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2006A1 (en) * 2014-02-20 2015-08-20 Hyundai Motor Company Hea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41558A (ko) * 2021-04-13 2022-10-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자동차용 시트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154B1 (ko) 2012-11-30 2013-04-24 (주)이엠에스 탄소 섬유 히팅 패브릭을 이용한 자동차용 히팅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15A (ko) * 2002-03-23 2003-09-29 이건국 발열 매트
KR20070112903A (ko) * 2006-05-23 2007-11-28 이기범 차량시트 맞춤형 원적외선 방사 면상발열시트
KR20080060592A (ko) * 2006-12-27 2008-07-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발열 시트
KR20080063972A (ko) * 2007-01-03 2008-07-0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발열 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2006A1 (en) * 2014-02-20 2015-08-20 Hyundai Motor Company Hea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859501A (zh) * 2014-02-20 2015-08-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汽车座椅的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20141558A (ko) * 2021-04-13 2022-10-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자동차용 시트히터
CN115257484A (zh) * 2021-04-13 2022-11-01 现代坦迪斯株式会社 具有提高的能量效率的车辆座椅加热器
US11752908B2 (en) 2021-04-13 2023-09-12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Car seat heater having improved energy efficiency
CN115257484B (zh) * 2021-04-13 2024-04-26 现代坦迪斯株式会社 具有提高的能量效率的车辆座椅加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641B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324B2 (en) Reduced power heat mat
EP2156971B1 (en) Vehicular heating system
JP2009178247A (ja) 車両用座席加熱装置
WO2011074184A1 (ja) 座席用ヒータ
US20080084096A1 (en) Heating apparatus for seat cushion of car
JP4902283B2 (ja) シートヒータ
US8926010B2 (en) Vehicle seat
US20190389346A1 (en) Seat heater
KR101156641B1 (ko) 차량 시트용 발열 장치
CN206537104U (zh) 一种汽车脚部供暖装置
KR20150098315A (ko) 차량용 시트 가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3869A (ko) 유연성 발열체에 의한 발열패드를 갖는 유아용 카시트
KR101804982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101659688B1 (ko) 온열매트
KR20070112903A (ko) 차량시트 맞춤형 원적외선 방사 면상발열시트
ES2223783T3 (es) Dispositivo para calentar un componente de un vehiculo.
JP6578893B2 (ja) ヒータ装置
EP2703212A1 (en) Seat heater
KR20080063972A (ko) 자동차용 발열 시트
CN200994614Y (zh) 一种分区控温式电热毯
KR100761783B1 (ko) 4난방을 이용한 온열 매트
JP2010089628A (ja) 暖房装置
KR10180498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200339069Y1 (ko) 전기매트
JP3122911U (ja) 携帯加温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