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658A - Hanok monolayer for Hanok and method of constructing monolay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anok monolayer for Hanok and method of constructing monolay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658A
KR20110020658A KR1020090078383A KR20090078383A KR20110020658A KR 20110020658 A KR20110020658 A KR 20110020658A KR 1020090078383 A KR1020090078383 A KR 1020090078383A KR 20090078383 A KR20090078383 A KR 20090078383A KR 20110020658 A KR20110020658 A KR 2011002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s
monolayer
rafter
hanok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1804B1 (en
Inventor
한진
Original Assignee
화천군
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천군, 한진 filed Critical 화천군
Priority to KR102009007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804B1/en
Publication of KR2011002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external cold air from flowing inside, since a gap between a half-sized tile wall and a rafter is removed. CONSTITUTION: A fetter(50)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comprises a half-sized tile stopper body(51), and a rafter joint(53), and a coupling bar(55). The half-sized tile stopper body is coupled with a half-sized tile on a beam on which rafters hang at regular intervals. The rafter joint is formed on a curved incline(54) formed in the half-sized tile stopper body and is projected upward. The coupling bar is projected upward on the upper part of the half-sized tile stopper body at regular intervals.

Description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omitted}Hanok monolayer for Hano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nolay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옥(Korean-style house)의 단골막이(당골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리에 걸어진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의 단골을 막은 단골벽이 건조되었을 때 서까래와 단골벽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전통가옥용 단골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layer structure of a Korean-style house and a monolithic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taple wall blocking the classic between the rafter and the rafter hanged on a torii is dr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lithic structure for traditional houses and a monolithic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prevent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rafters and the regular wall so that external cold air does not enter the room.

통상적으로 전통가옥인 한옥은 양옥과는 달리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건축한 목조 건축물이다. 즉, 초석(주춧돌)위에 나무로 기본골격을 만든 후 그 기본골격 위에 지붕을 씌우고 벽체와 창호 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기본골격이 되는 목조구조의 원리를 살펴보는 것은 한옥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Unlik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nok, a traditional house, is a wooden building built using wood as the main material. In other words, the basic skeleton is made of wood on the cornerstone, and the roof and the windows and the windows are installed on the basic skelet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anok to examine the principle of the wooden structure that is the basic skeleton.

기본골격의 중심이 되는 부재는 기둥, 보, 도리, 서까래 등이다. 부재의 크기는 보통 집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기둥 상부로는 집의 평면과 규모에 따라 결구방식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부분의 목재 엮기 방식을 가구(架構)라고 하 는데 바로 이 부분이 한옥구조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는 현대건축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지붕구조가 구조적으로 특수한 건물이 아니면 크게 드러나지 않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The main members of the basic skeleton are pillars, beams, purlins, and rafters. The size of the member usually depends on the size of the house. There are various ways of joining the roof, depending on the plane and size of the house. This method of weaving wood is called furniture, and this is the core of the hanok structure. This is in contrast to the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 of modern architecture, where the roof structure does not appear much unless it is a structurally special building.

또한, 한옥에서 벽체는 주로 기둥사이에 만들어져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고 내부 칸막이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러한 벽체의 주재료는 진흙과 볏짚 등을 섞어 반죽한 진흙반죽을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넓은 벽면을 모두 진흙반죽과 회반죽으로 미장하여 채우기는 구조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기둥과 기둥사이에 인방 같은 수평부재를 걸고 벽체를 만들고 있다. In addition, in Hanok, the walls are made mainly between the pillars to distinguish indoor and outdoor and also serve as interior partitions. Since the main material of the wall mainly uses mud dough kneaded with mud and rice straw,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fill all the wide walls with mud and plaster. Therefore, the wall is made by hanging a horizontal member such as a lint between the pillar and the pillar.

도 1은 일반적인 한옥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 목조 건축물인 한옥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주춧돌(12)의 상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12)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12)의 위에는 대들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대들보 위에는 대공이 세워지고, 상기 대공과 상기 대들보의 위에는 중도리(16)가 안치된다. 상기 중도리(16)의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20)들이 안치되며, 지붕의 네 모서리를 이루도록 중도리의 모서리에는 추녀(19)가 설치되며, 추녀(19)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처마도리(2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서까래(20)는 처마도리(18)의 밑 부분에 추가로 외목도리(22)를 설치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중도리(16), 처마도리(18) 및 외목도리(22)를 총칭하여 이 기술 분야에서는 도리라 칭한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hanok. Referring to FIG. 1, the hanok, which is a general wooden build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2 partitioning an inner space at an upper portion of the headstone 1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girder (not shown) on the pillar 12. Is installed). A large hole is erected on the girder, and a middle hammer 16 is placed on the large hole and the girder. A plurality of rafters 20 are placed on the middle of the middle purlin 16, ugyeo 19 is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middle dori to form four corners of the roof, eaves 22 to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gyeo 19 It includes. And if necessary, the rafters 20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eaves (18) additionally the external purlin (22).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iddle purlin 16, the eaves purlin 18, and the external purlin 2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urlin in this technical fiel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통가옥인 한옥에서 벽체는 주로 기둥(12)의 사이에 만들어서 실내외를 구분하고, 내부 칸막이 역할도 한다. 벽체의 주재료는 진흙, 볏짚 등을 반죽한 진흙반죽을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벽면을 모두 진흙반죽으로 채우기는 구조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기둥(12)의 사이에 인방 같은 수평부재를 걸고 벽체를 만들고 있다.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with a structure like this, the wall is mainly made between the pillars 12 to distinguish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also serves as an interior partition. Since the main material of the wall is mud dough kneaded with mud and rice straw,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fill all the wide walls with mud dough. Therefore, the wall 12 is made by hanging a horizontal member like a rib between the pillars 12.

상기와 같이 기둥(12)의 사이에 벽체를 만들어 실내외를 구분하는 한옥은 도 1에 도시된 중도리(16), 처마도리(18) 및 외목도리(22)의 상부에 서까래(20)를 안착시킨 후 그 상부에 개판(蓋板)(32)을 설치하여 기와를 얻어 지붕을 만들음으로써 필연적으로 중도리(16)의 위에 설치된 서까래(20)와 서까래(20)의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anok that separates the interior and exterior by making a wall between the pillars 12 as described above seated the rafters 2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jungdori 16, eaves 18 and external wood 22 shown in FIG. Thereafter,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rafters 20 installed on the middle purlin 16 by forming a roof by installing the open plate 32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form a ro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도리 위에 안착된 서까래의 결합 상태와 단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내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까래(2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도리(16)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지게 안착되며, 상기 서까래(20)의 상부는 개판(32)이 깔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중도리(16)의 위에 안착된 서까래(20)와 서까래(20)의 사이에는 도 2와 같이 틈(gap)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도리(16)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서까래(20)들의 사이와 그 상부에 깔려진 개판(32)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이 틈을 전통가옥 건축분야에서는 단골(또는 당골)(24)이라 하며, 단골(24)을 막는 것을 "단골막이"라 한다.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and regularity of the rafter seated on the purlin by the prior art, it is viewed from the inside. Referring to FIG. 2, the rafters 20 are inclin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purlin 16 as described in FIG. 1, and the upper part of the rafters 20 is laid with the open plate 32. Therefore,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rafters 20 seated on the middle of the purlin 16 has a structure inevitably a gap (gap) as shown in FIG. More specifically,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afters 20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purlin 16 and between the plate 32 laid on the upper part thereof. This gap is called a regular (or tang) 24 in the field of traditional house building, and blocking the regular 24 is called a "mongol".

단골막이는 통상 진흙과 볏짚 및 물 등이 적당히 혼합된 진흙반죽(40)과 횟가루와 물이 적당히 혼합된 회반죽을 이용하여 미장 시공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골(24)을 막지 아니하는 경우, 실내외간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실내와 실외간의 공기흐름이 자유롭게 되어 단열 및 소음차단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The monolayer is usually made by plastering using mud dough (40) in which mud, rice straw and water are properly mixed, and plaster in which ash powder and water are properly mixed. If the regular 24 is not blocked,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indoor and outdoor air flow is not blocked because it does not block the interior and the adverse effects on the insulation and noise blocking.

이때, 서까래(20)와 서까래(20)의 사이의 간격인 단골(24)의 폭은 약 300밀리미터(mm) 내외로 비교적 넓기 때문에 진흙반죽(40)으로 상기 단골(24)을 막기 위해서는 위 진흙반죽(40)을 단골(24)에 부착하기 위한 힘살(34)이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골(24)이 형성된 중도리(16)의 대응 위치에 대못(34a, 34b)을 박아 힘살(34)을 형성한 후 진흙반죽(40)을 단골(24)에 채운 넣은 후 회반죽으로 미장하여 도 3과 같이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단골벽(42)을 형성하였다. At this time, since the width of the staple 24,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after 20 and the rafter 20, is relatively wide in about 300 millimeters (mm), in order to prevent the staple 24 with the mud dough 40, There must be force 34 for attaching the dough 40 to the staple 24.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2, after the nails 34a and 34b ar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middle purlin 16 on which the staple 24 is formed, the mud dough 40 is formed on the staple 24. Plastered and then plastered with plaster to form a regular wall 42 to block the indoor and outdoor as shown in FIG.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진흙반죽(40)을 이용하여 단골(24)을 채워한 종래의 단골막이의 구조 및 그 시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wever,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nolithic membrane filled with the staples 24 using the mud dough 40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re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and 4b as follows. same.

도 2에 도시된 서까래(20)와 서까래(20) 사이의 단골(24)을 진흙반죽(40)으로 채워 단골막이를 시공한 후의 단골벽(42)은 도 3과 같다. 이때 도 3의 A-A선단면도를 살피면 도 4a와 같이 서까래(20)와 단골벽(42)간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흙반죽(40)으로 된 단골벽(42)과 목재인 서까래(20)의 수분이 증발되면, 단골벽(42)과 서까래(20)의 수측에 의해 단골벽(42)과 서까래(20)의 사이에는 도 4b와 같은 틈새(gap)(40)가 형성된다. The regular wall 42 after filling the staple 24 between the rafter 20 and the rafter 20 shown in FIG. 2 with the mud dough 40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if you look at the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as shown in Figure 4a there is no gap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classic wall 42. As time elapses, the moisture of the regular wall 42 made of the mud dough 40 and the rafter 20, which is wood, evaporates, and the regular wall 42 is formed by the water sides of the regular wall 42 and the rafter 20. Between the rafter 20, a gap 40 as shown in Figure 4b is formed.

위와 같은 수분증발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20)와 단골벽(42)간에 틈새(44)가 형성되면, 실외 또는 실내의 공기가 서까래(20)와 단골 벽(42)간에 형성된 틈새(44)를 통해 이동됨으로써 단열에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겨울에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소음의 유입통로가 되는 문제 발생한다. When the gap 44 is formed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classic wall 42 as shown in FIG. 4B by moisture evaporation as described above, air in the outdoor or indoor area is formed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classic wall 42. By moving through the gap 44, many problems occur in the insulation. That is, in winter, the cold air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e heat insulation effect is reduced and the noise flow pat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는 도리위에 경사지게 올려져 결합된 서까래들 사이에 형성된 단골을 최적상태로 채워 단골막이 시공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단골막이 착고(着高)와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structing a monolayer film optimally by filling the classic formed between the rafters coupled to the rafter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illars at regular intervals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to the optimum state Monolayer fixation (着 高) and to provide a monolay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통가옥의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에 형성된 단골을 최적의 상태로 막아 진흙반죽 및 목재가 건조되더라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단골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monolithic membrane which prevents cracks from occurring even when the mud dough and wood are dried by optimally blocking the classics formed between the rafters and the rafters of the traditional ho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골막이 착고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까래들이 걸어지는 도리 위의 단골에 안착되는 단골막이 몸체와;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서까래들의 외주면의 형상으로 만곡된 측면을 가지고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로 돌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와, 상기 서까래 결합부의 사이에서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상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된 결착봉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nokerat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onokernel body seated on the staple on the purlin to walk the rafters at regular intervals; The monolayer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and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having a curved side in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afters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rods protruding upward.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에서 상부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의 대향 내측면에는 결착봉을 이격 돌출 형성하여 진흙반죽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onolayer film is form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to protrude the binding rod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the mud dough.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와 그 그 사이에 형성된 결착봉의 상부면은 물매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서까래와 서까래의 사이인 단골에 놓아졌을 때 상기 서까래의 상부에 결합된 개판과 충돌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surface of the rafte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and the binding rod formed therebetween is formed inclined at a water inclination angl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rafter when placed on a regular between the rafter and the rafter. It is desirable to avoid collisions with open circuits.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중앙부분에는 수직으로 파여진 절단홈을 형성하여 단골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지지몸체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o form a cutting groove vertically dug in the central part of the monolayer body so that the support body can be separat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regular body.

상기 단골막이 착고는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면에서 하부면으로는 돌출된 밀착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밀착가이드의 하부에는 도리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구멍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nolayer is fixed, the adhesion guide is forme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onolayer body to the low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crew hole screwed to the purli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on guide.

상기 밀착가이드는 상기 단골막이 몰체의 양측면에서 하부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의 폭이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The adhesion guide may be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molten bod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nolayer to form a wider width of the lower portion.

상기 단골막이 착고는 목재, 금속,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제조가 간단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nolayer is fixed, bu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wood, metal, synthetic resins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ynthetic resin, PVC (polyvinyl chloride),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simple to manufacture.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 따른 전통가옥의 단골막이 방법은 기둥의 상부에 도리를 설치하고, 상기 도리에 서까래를 물매의 경사로 걸어 설치한 후 서까 래 위에 개판을 설치하는 서까래 설치과정과; 상부는 물매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착봉들이 형성된 단골막이 착고를 설치한 후 상기 서까래와 단골막이 착고의 접촉부에 합성수지의 충전제를 발포하여 충전하는 충전과정과; 상기 진흙 반죽물을 상기 서까래들 사이의 앞뒤로 채워 넣은 후 미장하여 단골벽을 형성하는 단골벽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pect) is a monolithic method of the traditional house is installed rafters on the top of the pillar, and install the rafters on the rafters after installing the rafters on the rafters inclined to the sling; Filling process of filling the filling of the synthetic resin filler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rafters and monocolumn fixation after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ter plume, the monocolum formed with binding ro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 The mud dough is filled with the back and forth between the rafters and then plastered to form a classic wall forming process to form a classic wall.

상기 충전과정에서 사용된 충전제는 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ler used in the filling process is preferably using a urethane foam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에 따른 단골막이 착고는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의 단골의 몰매 경사각에 알맞게 상부가 경사져 있고, 양측에는 서까래의 외주연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도록 서까래 결합부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진흙반죽이 잘 부착되도록 결착봉들이 이격 형성되어 있어 진흙반죽으로 단골을 막는 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우레탄폼으로 서까래와 단골막이 착고의 서까래 결합부의 사이를 충전한 후 진흙반죽을 이용하여 단골막이를 시공함으로써 서까래의 건조에 의하여 그 지름이 수축되거나 진흙반죽이 수축되더라도 서까래와 단골벽간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한옥의 단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layer is fixed, the upper part is inclin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lination between the rafters and the rafters,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fters, and the binding rod is attached to the mud dough well in the middle part Because they are formed spaced apart, it is possible to smooth the construction to prevent staples with mud dough. In addition, after filling the rafters with the urethane foam and filling the rafters joints with urethane foam, construct the monolith using mud dough, so that the gap between the rafters and the regular walls is reduced even if the diameter of the rafters shrinks or the mud dough shrinks. It does not occur, and the heat insulation of a hanok can be made more effici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골막이 착고의 정면사시도, 배면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골막이 착고(50)는 중심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절단홈(52)이 형성되어 일정한 크기의 단골막이 몸체(51)를 갖는다. 상기 단골막이 몸체(51)는 양측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측면, 즉, 만곡경사면(54)이 형성되어 상부로 돌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서까래 결합부(53)의 사이에서 상기 단골막이 몸체(51)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착봉(55)들이 형성되어 있다. 5A to 5D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 rear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onolayer detach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the monolayer monolay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52 which is dug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center to have a monolayer body 51 of a constant size. . The monolayer body 51 has a side that is curved outwardly on both sides, that is, a curved inclined surface 54 is formed to form a rafters engaging portion 53 protruding upwards, between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53 At least one binder rod 55 is formed at the top of the monolayer body 51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protrude upward.

이때, 상기 결착봉(55)은 사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다각형 일수록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골막이 몸체(51)의 양측에서 상부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53)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결착봉(55)들의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서까래 결합부(53)의 가로와 세로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진흙 반죽물의 부착력이 양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rod 55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more preferable the polygon is. In addi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the binding rods 55 formed on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53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51 is the width and width of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53 It is preferable to form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so that the adhesion of the mud dough is good.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단골막이 착고(50)의 서까래 결합부(53)의 상부, 결착봉(55)들의 상부는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56)은 물매의 경사각과 유사한 각도의 물매 경사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골막이 착 고(50)는 도 5a, 도 5b 및 도 5d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골막이 몸체(51)의 양측면 및 하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밀착가이드(57)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가이드(57)의 아래 부분은 도 5d의 59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골막이 몸체(51)의 저면의 면적을 넓힌다. 상기 밀착가이드(57)의 하부에는 나사 또는 못 등이 끼워지는 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53 of the monolayer membranes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binding rods 55, the inclined surface 56 is formed.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56 is a water inclination at an angle similar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ter. In addition, the monokeratosis graf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s 5a, 5b and 5d is the adhesion guide 57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nolayer body 51 )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on guide 57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59 of FIG. 5D to widen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nolayer body 5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guide 57, a hole 58 into which a screw or a nail is fitted is formed.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단골막이 착고(50)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사출형성이 용이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제,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5a to 5d is a monolayer coating 50 may be made of wood, metal, synthetic resin, etc., but is easy to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ynthetic resin, PVC (polyvinyl chloride), etc. It is better to use any one selected.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은 단골막이 착고(50)를 이용하여 한옥의 단골을 막아 단골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5A to 5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e process of forming a classic wall by blocking the dangol of hanok by using the solidified 50 (5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골막이 착고(50)를 처마도리(18) 위에 설치된 서까래(20)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골(24)을 진흙반죽(40)으로 막아 미장 시공한 단골벽(42)이 형성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7의 B-B선단면도로서 단골벽(42)의 진흙반죽(40)과 서까래(20)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a, 도 8b에서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였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nolayer membrane shown in FIG. 5 is installed between the rafters 20 installed on the cornice 18, and FIG. Fig. 8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regular wall 42 formed by plastering with a dough 40 is formed,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to explain a bonding state between the mud dough 40 and the rafter 20 of the classic wall 42. It is a figure for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A and 8B.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이 구성된 단골막이 착고(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의 상부에 올려 설치된 처마도리(18)의 상부에서 서까래(20)와 서까래(2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처마도리(18)의 상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 와 같이 다수의 서까래(20)를 물매의 경사로 걸어 설치한 후, 서까래(20) 위에 개판(32)이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monococcal graft 50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A to 5D is formed of the rafter 20 and the rafter 20 at the top of the eaves 18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illar 12. Is installed betwee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rafters 20 are installed at an inclination of the water, and the open plate 32 is installed on the rafters 20.

따라서 상기 서까래(20)와 서까래(20) 사이의 단골(24)에 설치된 단골막이 착고(50)의 서까래 결합부(53)의 일측에 형성된 만곡경사면(54)은 서까래(20)의 외주연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단골막이 착고(50)에 형성된 서까래 결합부(53), 결착봉(55)의 상부에는 서까래(20)의 상부에 결합된 개판(32)의 물매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56)이 형성되어 있어 서까래(20)들 사이인 단골(24)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curved slope 54 formed on one side of the rafter coupling portion 53 of the monolayer installed on the staple 24 between the rafter 20 and the rafter 20 i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after 20. Contact. At this time, the inclined surface 56 corresponding to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open plate 32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rafter 20 is formed on the rafter coupling part 53 and the binding rod 55 formed in the monolayer 50.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located in the staple 24 between the rafters 2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20)와 서까래(20) 사이의 단골(24)들에 도 5a와 같이 구성된 단골막이 착고(50)를 밀어 넣어 결합한 후, 단골막이 몸체(51)에 형성된 말착가이드(57)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59)에 못 또는 나사 등을 박아 넣어 처마도리(18)에 단단히 고정한다. 이후, 처마도리(18)의 상부에 걸쳐진 서까래(20)와 단골막이 몸체(51)의 양측에 형성된 서까래 결합부(53)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과 결착봉(55)의 사이에 도 8a와 같이 충전제를 발포하여 채운다. As shown in FIG. 6, after the monolayer configured as shown in FIG. 5A is pushed into the regulars 24 between the rafters 20 and the rafters 20, the monolayer is formed on the body 51. Nails or screws are inserted into the holes 59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57 to be firmly fixed to the cornice 18.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A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rafters 20 and the rafters engaging portion 5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nolithic body 51 are in contact with the rafters 20 extending over the eaves 18. Fill the foam with foam.

이때, 상기 단골막이 몸체(51)의 양측 상부에 돌출 형성된 서까래 결합봉(53)으로부터 그 사이에 형성된 결착봉(55)의 부분까지 충전제(filler)(FM)로 채우는 것이 좋다. 상기 충전제(FM)로서는 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onolayer may be filled with a filler (FM) from the rafter coupling rods 53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body 51 to a portion of the binding rod 55 formed therebetween. It is preferable to use urethane foam as said filler (FM).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흙과 볏짚, 물 등이 적절하게 혼합된 진흙반죽(40)을 상기 단골막이 착고(50)가 위치한 단골(24)에 채워 넣은 후 도 7과 같이 미장하여 단골벽(42)을 형성한다. 즉, 단골막이 시공을 완료한다. In such a state, mud, rice straw, water and the like mud dough (40) is properly mixed in the staples 24 where the monolithic graft 50 is located and then plastered as shown in FIG. Form. That is, the monolayer completes the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단골막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 서까래(20)가 함유한 습기와 진흙반죽(40)의 물기가 건조되면, 상기 단골벽(42)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틈새(44b)가 발생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단골막이 착고(50)의 서까래 결합부(53)과 서까래(20)의 사이에 충전된 충전제(FM)가 목재인 서까래(20)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서까래(20)의 수축에 따라 상기nd전제(FM)가 도 8b와 같이 늘어나게 됨으로 단골막이 착고(50)와 서까래(20)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monolayer is comple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time elapses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rafter 20 and the moisture of the mud dough 40 are dried, the regular wall 42 is shown in FIG. 8B. A gap 44b occurs as well. At this time, since the filler (FM) filled between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53 and the rafters 20 of the fixing graft 50 is strongly attached to the rafters 20 which are wood, the contraction of the rafters 20 is performed. As the nd premise (FM) is increased as shown in Figure 8b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nolayer membrane 50 and the rafter 20 does not occur.

따라서, 덜 건조된 목재를 가공하여 서까래(20)로서 사용하여 한옥을 건축한 경우에도 단골벽(42)에는 실외내간의 공기통로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매우 양호한 단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소음을 차단하는 이점이 있게 된다.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building a hanok using the less dried wood as a rafter 20, since the air passage between the outside is not formed in the classic wall 42, a very good heat insulation effect can be achieved, and the noise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o blocking.

도 1은 일반적인 한옥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hanok.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도리의 위에 안착된 서까래의 결합 상태와 단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and regularity of the rafter seated on the purlin by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골을 진흙반죽으로 막아 미장 시공한 단골벽의 상태도.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classic wall made by plastering the classic shown in Figure 2 with mud dough.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A-A선단면도로서, 단골벽의 진흙반죽과 서까래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llustrating a bonding state between mud dough and rafters on the regular wall.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골막이 착고의 정면사시도, 배면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5a to 5d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 rear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onolayer detach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골막이 착고를 처마도리 위에 설치된 서까래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nococcal colony shown in FIG. 5 is installed between rafters installed on a cornice. FIG.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단골을 진흙반죽으로 막아 미장 시공한 단골벽의 상태도. FIG. 7 is a state diagram of a classic wall in which plastering is performed by blocking the classic shown in FIG. 2 with mud dough. FIG.

도 8은 도 7의 B-B선단면도로서 단골벽의 진흙반죽과 서까래간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for explaining a bonding state between mud dough and rafters on the classic wall; FIG.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code about part of drawing >>

10 : 한옥, 12 : 주춧돌, 14 : 기둥,10: Hanok, 12: Headstone, 14: Pillar,

16 : 중도리, 18 : 처마도리, 19 : 추녀, 16: middle way, 18: eaves, 19: ugly,

20 : 서까래, 22 : 외목도리, 24 : 단골,20: rafters, 22: claw hammer, 24: regular,

30 : 툇보, 32 : 개판, 34 : 대못, 30: Janbo, 32: Opening, 34: Nail,

40 : 진흙반죽, 42 : 단골벽, 44 : 틈새(gap),40: mud dough, 42: regular wall, 44: gap,

50 : 단골막이 착고, 51 : 단골막이 몸체, 52 : 절단홈, 50: fixed monolayer, 51: monolayer body, 52: cutting groove,

53 : 서까래 결합부, 54 : 만곡경사면, 55 : 결착봉, 53: rafters coupling portion, 54: curved slope, 55: binding rod,

56 : 물매경사, 57 : 밀착가이드, 58 : 결합구멍, 56: water inclination, 57: adhesion guide, 58: coupling hole,

FM : 충전제 FM: Filler

Claims (7)

도리의 상부에 걸어 설치되는 서까래 사이의 단골에 부착 설치되는 단골막이 착고에 있어서, In the solidification of the monolayer attached to the staple between the rafter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rlin, 일정한 간격으로 서까래들이 걸어지는 도리 위의 단골에 안착되는 단골막이 몸체와, A monocot body seated on a regular on the purlin where the rafters are walk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에서 상기 서까래들의 외주면의 형상으로 만곡된 측면을 가지고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상부로 돌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와, Rafte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s of the monolayer body in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fters, the monolayer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상기 서까래 결합부들의 사이에서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상부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결착봉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단골막이 착고. The monokeratosi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rod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monolay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between the rafters coupling portion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양측에서 상부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의 대향 내측면에는 결착봉을 이격 돌출 형성하여 진흙반죽의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골막이 착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olayer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layer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inner surface of the rafter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h sides of the body to form a binding rod spaced apart protruding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of mud d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골막이 몸체의 상부로 돌출 신장된 서까래 결합부, 결착봉들의 상부면은 물매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골막이 착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olayer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rafter coupling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inding rod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at a water inclination ang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부분에는 수직으로 파여진 절단홈을 형성하여 단골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지지몸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골막이 착고.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ody is formed by cutting the vertical grooves so that the mono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dy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egular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골막이 합성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골막이 착고.The monolayer fil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onolayer film is a synthetic resin. 한옥의 단골을 막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preventing regulars of hanok, 기둥의 상부에 도리를 설치하고, 상기 도리에 서까래를 물매의 경사로 걸어 설치한 후 서까래 위에 개판을 설치하는 서까래 설치과정과; A rafters installation process of installing a claw hammer on the top of the pillar, and installing the rafters on the claw beams after installing the rafters on the slope of the falcon; 상부는 물매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결착봉들이 형성된 단골막이 착고를 설치한 후 상기 서까래와 단골막이 착고의 접촉부에 합성수지의 충전제를 발포하여 충전하는 충전 과정과; Filling process of filling the filling of the synthetic resin filler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rafters and monococcus solidarity after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ater plume, and the monocolum formed with the binding ro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s fixed. ; 상기 진흙 반죽물을 상기 서까래들 사이의 앞뒤로 채워 넣은 후 미장하여 단골벽을 형성하는 단골벽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옥의 단골막이 시공방법. The mud-kneading method of filling the mud kneading between the back and forth between the rafter and the plastering to form a classic wall to form a classic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ok monolithic construction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과정은 우레탄폼을 발포하여 상기 단골막이 착고와 상기 서까래 사이를 충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단골막이 시공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lling step is to foam the urethane foam to fill the monolayer between the solidified and the rafters.
KR1020090078383A 2009-08-24 2009-08-24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KR101141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83A KR101141804B1 (en) 2009-08-24 2009-08-24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383A KR101141804B1 (en) 2009-08-24 2009-08-24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658A true KR20110020658A (en) 2011-03-03
KR101141804B1 KR101141804B1 (en) 2012-05-04

Family

ID=4392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383A KR101141804B1 (en) 2009-08-24 2009-08-24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8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11B1 (en) * 2011-07-07 2013-06-28 유한회사 에스와이 Wooden Ho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94357B1 (en) * 2013-03-19 2013-08-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Korean-style house danggol membra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5188A (en) * 2012-05-10 2012-08-15 郑州大学 Cliff protection eaves of ground pit kiln yard and construction process of cliff protection eaves
KR101639132B1 (en) 2014-11-19 2016-07-12 이병문 Korean-style house Danggol membrane
KR102618834B1 (en) * 2022-05-23 2023-12-27 정강인 Modular danggol membrane and raf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82A (en) * 2001-10-31 2003-05-09 한재수 Standardization method of Protruding corners and Curve for the Korean traditional eaves and it's modulization method
KR100494263B1 (en) 2003-03-17 2005-06-13 홍용환 Process for carrying out rafters and tilted eaves attached thereto of Korean style houses
KR20050034222A (en) * 2003-10-08 2005-04-14 (주) 구구 Bun-cheong side t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611B1 (en) * 2011-07-07 2013-06-28 유한회사 에스와이 Wooden Ho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94357B1 (en) * 2013-03-19 2013-08-0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Korean-style house danggol memb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804B1 (en)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674A (en) Apparatus for dimensionally uniform building construction using interlocking connectors
US8631617B2 (en) Wall panel system
US20130042556A1 (en) Rapid Deployment Building System
CA2988652C (en) Construction block
KR101141804B1 (en) Fetter for a half-sized tile stopper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half-sized tile stopper using the same
AU783959B2 (en) Building using external fac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KR101709253B1 (en) 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41582B1 (en) Prefabricated partition wall for apartment house has a lot of potential for recycling
KR20210115404A (en) Slim brick rail system
KR20090046140A (en) Prefabricated korean-style house made of unit structure
KR20130012422A (en) A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JP2001027038A (en) Deck member and deck member having groove-covering member
KR100650500B1 (en) Structure of outer insulate panel for joint house
JP3627927B2 (en)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insulation building
CN106376238A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houses and buildings
KR102618834B1 (en) Modular danggol membrane and rafter assembly
KR102360835B1 (en) Precast double pannel for underground outer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US20190249407A1 (en) Cementitious building panel
KR100973584B1 (en) Drainage plate assembly for wall
US20130174505A1 (en) Interlocking Building System
JP3119772B2 (en) Ventilation structure inside the wall
RU2660690C1 (en) Building block
JPH0128184Y2 (en)
KR101851445B1 (e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for complex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