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384A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384A
KR20110020384A KR1020090077975A KR20090077975A KR20110020384A KR 20110020384 A KR20110020384 A KR 20110020384A KR 1020090077975 A KR1020090077975 A KR 1020090077975A KR 20090077975 A KR20090077975 A KR 20090077975A KR 20110020384 A KR20110020384 A KR 2011002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parked
parking management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5231B1 (ko
Inventor
이학남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오토링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링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링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2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주차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차, 관리, 카메라, 영상, 촬영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managemen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주차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차량의 증가추세에 따라 주차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할인점과 백화점이나 공연장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특히 그 문제성이 심각하다. 이에 주차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주차 관리는 주차 영역의 실시간 확인, 차량 정보의 기록, 주차 시간 계산, 차량 소유자의 확인, 요금정산, 불법 주차 단속, 조명 시설 관리 등 관리 항목이 상당히 많으며, 이를 인적 자원만으로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주차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차량을 주차 후 용무가 끝난 후에는 주차장에서 차량을 빼내기 위하여 차량의 주차위치로 돌아오는데 대규모의 차량이 주차 되어 있는 곳에서는 유사한 차종의 차들이 인접하여 주차될 뿐만 아니라 주차구역도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어 형성된 주차공간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본인의 차량을 찾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에 네트워크 기술을 주차 관리 시스템에 접목하여 보다 많은 관리 기능을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주차 관리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주차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주차장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 관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주차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차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의 효율성 증가, 주차 관리 비용 감소, 및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 관리용 카메라는 촬영 모듈, 영상 처리 모듈,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 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더 발생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용 카메라는 외부 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용 카메라는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압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압축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용 카메라는 상기 디지털 영상, 상기 압축 데이터,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영상 처리 모듈 및 외부 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은 다수의 주차 영역들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제어부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압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압축 데이터, 상기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더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방법은 외부 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 관리 방법은 다수의 주차 영역들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 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용 카메라,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은 주차 관리의 효율성 증가시키고, 주차 관리 비용 감소시키며,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카메라(100), 서버(200), 데이터 베이스(250),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음향 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카메라(100)를 통하여 촬영된 주차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를 카메라(100) 내부에서 분석하여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거나, 상기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서버(200)에서 분석하여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정보는 카메라 내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을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유선 인터넷 등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은 WiFi, 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무선 인터넷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차 관리 정보는 주차장의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주차 관리 정보에는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시작 시간, 총 주차 시간, 주차 요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정보는 상기 카메라(100), 상기 서버(200), 또는 별도의 주차 관 리 장치(미도시)의 제어에 기초하여 인간의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녀, 주차 관리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음향 장치(400)에 의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주차장에 입장하는 경우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고, 나아가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이 주차장에 입장하는 경우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음향 장치(400)를 이용하여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을 음성 신호로 고객에게 알려주고, 나아가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음성 신호로 고객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반대로, 고객이 주차된 차를 찾아서 주차장에서 나가는 경우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용하여 각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 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고객은 복잡한 주차장 내부에서도 자신의 차량이 위치한 주차 영역을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을 선택할 경우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에 그 주차 영역에 이르는 경로를 표시하거나, 음향 장치(400)를 이용하여 그 주차 영역에 이르는 경로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용 카메라(100)의 블락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카메라(100)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등 별도의 주차 관리 기능을 수행 하는 장치 없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 음향 장치(400) 등의 외부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100)는 중앙 처리 장치(110), 메모리(120), 촬영 모듈(130), 영상 처리 모듈(140), 인터페이스(150), 외부 장치 제어부(160),압축 모듈(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0)는 상기 카메라(100)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거나, 상기 카메라(100)의 동작 및 외부 장치(300 및 400)의 동작을 포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는 상기 카메라(10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시스템(Operating System),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130)은 주차장의 다수의 주차 영역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촬영 모듈(130)은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주차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140)은 상기 촬영 모듈(1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모듈(140)은 상기 제1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더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50)는 상기 카메라(100)의 외부와의 각종 데이터 송수신 및 각종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150)는 이더넷(ethernet) 등의 유선 네트워크, 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50)는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음향 장치(40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주차장의 주차 상태에 대한 각종 주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음향 장치(400)는 상기 각종 주차 정보를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제어부(160)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110)에서 발생하는 외부 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300 및 4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300 및 4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300 및 40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압축 모듈(170)은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 모듈(170)은 상기 카메라(100)에 저장될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 등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카메라(100)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 모듈(170)은 JPEG, MPEG4, H.264 등의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디지털 영상, 상기 압축 데이터,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저장부(180)에 포함된 저장 공간에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착탈이 가능한 USB 메모리, SD 메모리, CF 카드 등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모든 주차 관리 과정들이 상기 카메라(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주차 영역의 촬영 과정을 제외한 나머지 과정들은 도 1에 도시된 서버(200) 또는 별도의 주차 관리 장치(예컨대, 주차 관리 프로그램을 내장한 컴퓨터 시스템, 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모듈(140), 압축 모듈(170), 외부 장치 제어부(160) 등은 상기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저장부(180)는 상기 서버(200)에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250)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 모듈(140), 압축 모듈(170), 외부 장치 제어부(160) 등은 별도의 컴퓨터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저장부(18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주차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100), 서버(200), 및 컴퓨터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은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용 카메라(100)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관리용 카메라(100)는 메인 보드(main board)와 서브 보드(sub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와 서브 보드는 연결 커넥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메인 보드에는 중앙 처리 장치(110), 메모리(120), 촬영 모듈(130), 및 영상 처리 모듈(140) 등이 실장된다. 서브 보드에는 인터페이스(150)에 포함된 무선 인터페이스 안테나, 외부 장치 제어부(160)에 포함된 외부 장치 제어 커넥터, 저장부(180)에 포함된 SD 카드 용 저장 장치 커넥터, 전원 공급 커넥터 등이 실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카메라 중심의 주차 관리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살펴본다.
촬영 모듈(130)은 주차장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한다(S40). 영상 처리 모듈(140)은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촬영된 주차 영역에 대한 차량 주차 유무 및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한다(S41). 이때, 상기 영상 처리 모듈(140)은 영상 신호 분석에 앞서 외부 조명, 렌즈의 불투명 등에 의한 노이즈를 먼저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모듈(140)은 차량이 주차된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에서 번호판 부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번호판 부분의 영상에서 문자와 숫자를 분리하고, 분리된 문자와 숫자 영상을 분석하여 주차된 차량의 번호를 최종적으로 인식할 수 있 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 모듈(140)은 문자와 숫자 영상에 대한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00)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발생된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42). 그러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영역들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발생된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음향 장치(40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0)는 자체적으로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영역들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도 있다(S43).
그러면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거나(S44),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음향 장치(400)로 출력할 수 있다(S4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카메라(100)에서 영상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살펴본다.
촬영 모듈(130)에서 주차장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하면(S50), 압축 모듈(170)은 MPEG 등의 데이터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압 축 데이터로 변환한다(S51). 이때, 상기 압축 모듈(170)은 영상 신호와 함께 상술한 주차 관리 정보를 함께 압축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압축된 영상 신호는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S52). 그러면, 상기 카메라(100)는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180)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3). 상기 서버(200)는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영상 신호로부터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주차 관리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음향 장치(4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참고로,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서버 중심의 주차 관리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그 과정을 살펴본다.
카메라(100)는 주차장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하여(S60),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할 수 있으며(S61), 발생된 주차 관리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음향 장치(400) 등의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 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용 카메라의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용 카메라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0)

  1. 다수의 주차 영역들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영상 처리 모듈;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압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제1 주차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압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압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압축 데이터, 상기 주차 관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제1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유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 중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더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방법은
    외부 장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9. 다수의 주차 영역들을 촬영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 각각에 대한 주차 유무, 상기 다수의 주차 영역들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주차 관리 정보를 감각 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기재된 주차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90077975A 2009-08-24 2009-08-24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152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975A KR101525231B1 (ko) 2009-08-24 2009-08-24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975A KR101525231B1 (ko) 2009-08-24 2009-08-24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384A true KR20110020384A (ko) 2011-03-03
KR101525231B1 KR101525231B1 (ko) 2015-06-11

Family

ID=4392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975A KR101525231B1 (ko) 2009-08-24 2009-08-24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2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755B1 (ko) * 2011-06-20 2013-04-12 윤형관 레이져 홀로그램을 이용한 주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방법
KR20180025119A (ko) * 2016-08-31 2018-03-08 셀로코주식회사 영상복합 센서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주차인식 장치
KR20180062491A (ko) * 2016-11-30 2018-06-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Cctv를 이용한 원룸의 주차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341B1 (ko) * 2005-11-18 2009-03-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주차 공간의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96266B1 (ko) * 2005-12-02 2008-01-21 주식회사 비전라이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80054623A (ko) * 2006-12-13 2008-06-18 김정구 주차상태 감지 및 차량번호판 인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755B1 (ko) * 2011-06-20 2013-04-12 윤형관 레이져 홀로그램을 이용한 주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방법
KR20180025119A (ko) * 2016-08-31 2018-03-08 셀로코주식회사 영상복합 센서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주차인식 장치
KR20180062491A (ko) * 2016-11-30 2018-06-1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Cctv를 이용한 원룸의 주차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231B1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0177B (zh) 电子设备与远程显示器之间的姿势可视化和共享
US10319035B2 (en) Image capturing and automatic labeling system
US962887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summary
US11538276B2 (en) Communication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4809771A (zh) 寻车方法及系统
US20120154606A1 (en) Cloud server, mobile terminal and real-time communication method
KR101562005B1 (ko) 방범시스템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승강장 및 그 방법
US20160353064A1 (en) Video monitoring system and video monitoring method
CN109785229B (zh) 基于区块链实现的智能合影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16092531A (ja) 画像送信装置、画像取得方法、および画像取得プログラム
US2012024286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relating to audio recognition
JP72558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20384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CN107038024B (zh) 一种操控配置方法及其设备
CN110751767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装置
KR20110020385A (ko) 주차 관리용 카메라 및 그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CN103854349B (zh) 基于文字识别与无线通信技术的移动式智能来访登记系统
CN102521562A (zh) 一种智能拼接墙的视频分析统计方法及其装置
CN210534865U (zh) 签到系统
US20180114367A1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maging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1104080B (zh) 一种文本远程预览方法及装置
JP2011151732A (ja) 映像処理装置
CN114742561A (zh) 人脸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05471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
US2023010373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ducing learning time for a newly installed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