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109A -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109A
KR20110020109A KR1020090077836A KR20090077836A KR20110020109A KR 20110020109 A KR20110020109 A KR 20110020109A KR 1020090077836 A KR1020090077836 A KR 1020090077836A KR 20090077836 A KR20090077836 A KR 20090077836A KR 20110020109 A KR20110020109 A KR 2011002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lassification
item
expression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773B1 (ko
Inventor
김일동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09007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7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은,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단계;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추출된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또는/및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분류, 분석, 특허

Description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f search formula using patent documents}
본 발명은 검색식 생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에 의해 선택 분류 또는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서는 특허청을 통해 출원 공개 또는 등록 공개되는 문서들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특허 문서들은 인터넷을 통해 난립하는 일반적인 정보들과는 달리 특정한 기술적 흐름 또는 특정한 출원인의 연구 개발 방향 등과 같은 동향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특허 문서들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작성하지 못하는 경우 불필요한 특허 문서들이 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또는/및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장된 검색식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또는/및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확장할 수 있는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에 따라 재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에 따른 대상 특허 문서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여 재검색할 수 있는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 및 결과내 재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a2)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동일한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추출된 검색 키워드를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서브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서브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날짜 항목이면,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생성하여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기간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기저장된 검색식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기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면, 상기 지저장된 검색식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에, (f)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를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g) 정해진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연결하여 확장하는 단계; 및 (h) 상기 확장된 검색식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d) 단계 이전 또는 상기 (d) 단계와 병렬로, 사용자 단말기로 일괄 보기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상기 일괄 보기 요청은 출력 타입을 포함함; 및 상기 일괄 보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에 대해 상기 출력 타입에 따른 출력 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타입은 요약 보기 및 전문 보기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를 분류하여 재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b) 키 워드 및 검색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c) 상기 키워드 및 상기 검색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설정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검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a1)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a2)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대한 검색식을 자동 생성해주거나 검색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내에서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대한 검색식을 생성해주는 분석 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설정부;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고,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검색식 생성부를 포함하는 분석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고, 상기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정부는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를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지정된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확장된 검색식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부는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동일한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추출된 검색 키워드를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서브 검색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브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날짜 항목이 면,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생성하여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기간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특허 문서들에 상응하여 기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면, 상기 기저장된 검색식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를 분류하여 재검색하는 분석 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설정부;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검색식을 이용하여 재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분석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류부는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분 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되,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다.
상기 설정된 분류 항목은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또는/및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식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저장된 검색식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또는/및 입력된 키워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에 따라 재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에 따른 대상 특허 문서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여 재검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 생성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정해 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 생성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검색 서버(130), 분석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다양한 특허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장치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분석 서버(120)와 연결되고, 분석 서버(1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대한 다양한 특허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분석 서버(120)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면,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MP, PDA, 휴대용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고,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한 분류 객체를 각각 생성한다. 분석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생성된 분류 객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고, 선택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류 항목은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의 분석을 위해 설정된 다양한 기준 정보이며, 분류 객체는 각 분류 항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서 획득할 수 있는 특허 정보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분류 항목에 대 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분류 항목의 이해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예시된 분류 항목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류 항목은 각 분류 항목의 유형에 따라 크게 문서 종류 항목, 분류 기준 항목, 패밀리 항목, 날짜 항목, 인용항목 및 기타 항목으로 구분된다. 또한, 문서 종류 항목은 공보 유형, 특허 문서 유형 및 국가 구분에 따르는 서브 분류 항목을 포함한다. 공보 유형은 검색된 특허 문서의 공보 유형을 나타내며, 이는 각각 공개 또는 등록을 항목 값으로 포함한다. 또한, 특허 문서 유형은 검색된 특허 문서의 종류를 나타내며, 특허 또는 실용 신안을 항목 값으로 각각 포함한다. 또한, 국가 구분은 검색된 특허 문서가 출원된 국가를 나타내며, 한국, 일본, 유럽, 미국 및 PCT를 항목 값으로 각각 포함한다.
분류 기준 항목은 특허 문서를 분류하기 위한 기술 분류로써, 예를 들어, IPC, UPC, ECLA, F-Term, FI 등이 각각의 항목 값으로 포함된다. 분류 기준 항목은 계층적 분류를 가지고 있다.
패밀리 항목은 우선권 주장 출원, 분할 출원 등에 따라 서로 관련이 있는 특허 문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이며, 예를 들어, 패밀리 유무, 패밀리 건수, 패밀리 진출 국가 수, 우선권 국가 등을 서브 분류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짜 항목은 특허 문서에 상응하는 출원일, 공개일, 등록일 및 국제 출원일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여 나타낼 수 있는 항목들이며, 예를 들어, 출원연도별 건수, 출원일 월별 건수, 공개연도별 건수, 공개일 월별 건수, 등록연도별 건수, 등록일 월별건수, 국제출원연도별 건수, 국제출월일 월별 건수 등을 서브 분류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인적 항목은 특허 문서에 포함된 발명자, 출원인, 대리인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항목들로써, 예를 들어, 출원인, 출원인 국적, 발명자, 발명자 국적, 공동 출원여부 등과 같은 서브 분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용 항목은 특허 문서를 인용하고 있는 다른 특허 문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항목으로, 예를 들어, 피인용 여부, 피인용 건수, 인용 여부, 인용 건수 등을 서브 분류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허 문서에서 획득할 수 있는 청구항 개수, 대표도 유무, 도면 개수 등과 같은 분류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분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에서 획득된 각각의 특허 정보가 분류 객체의 생성을 위해 이용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류 항목이 출원인 항목이라고 가정하자. 각 특허 문서에 포함된 출원인이 각 분류 객체가 된다. 즉, 분류 객체는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특허 문서에 포함된 특허 정보로써, 중복되지 않은 유니크(unique)한 각각의 특허 정보가 각각의 분류 객체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출원인 항목에 대응하여 매핑된 출원인 필드에 저장된 출원인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출원인 정보들에 중복을 제거하여 유니크한 출원인 정보들을 추출하며, 유니크한 각각의 출원인 정보를 각 분류 객체로써 생성할 수 있다.
즉, 분류 객체는 각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에서 획득된 특허 정보로써 중복이 제거된 유니크한 각각의 특허 정보가 각 분류 객체로써 생성된다.
도 3에 설정된 분류 항목 및 분류 객체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된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설정된 분류 항목은 3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되어 출력된다.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는다. 도 3의 (a)의 340은 선택된 분류 항목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항목들은 하나의 분석 그룹으로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 및 분석 그룹은 동일한 용어를 지칭하는 것이며,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는 문구에 따라 선택된 분류 항목 또는 분석 그룹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선택된 분류 항목이 출원인 국적 분류 항목이라고 가정하며, 이에 대한 분류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자. 우선, 특허 문서들 중에서 출원인 국적이 한국인 특허 문서의 건수가 2000건이고, 출원인 국적이 미국인 특허 문서의 건수가 4000건이고, 출원인 국적이 일본인 특허 문서의 건수가 900건이며, 출원인 국적이 유럽인 특허 문서의 건수가 500건수이고, 출원인 국적이 미기재된 특허 문서의 건수가 200건이라고 가정하자. 출원인 국적 분류 항목의 분류 객체는 출원인 국적에 상응하여 한국 분류 객체, 미국 분류 객체, 일본 분류 객체, 유럽 분류 객체 및 기타 분류 객체가 생성된다.
다른 예를 들어, 공보 유형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분류 객체는 특허 공개, 특허 등록, 실용 공개 및 실용 등록 분류 객체가 각각 생성된다.
이와 같이,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특허 문서를 분석하여 각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a)의 330은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한 것이다. 도 3의 320은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를 예시한 것이다. 이외에도 도 3의 (b)와 같이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이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선택되면, 선택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이용하여 재검색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선택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분류할 수 있다.
검색 서버(130)는 분석 서버(120)를 통해 수신되는 검색식에 상응하는 특허 문서들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분석 서버(120)로 제공한다. 검색 서버(130)는 각 키워드에 상응하는 색인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색인 정보들을 이용하여 요청된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검색 서버(130)에서 각 키워드에 대한 색인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각국의 특허 문서들이 정해진 테이블 구조에 따라 저장된다. 각각의 특허 문서들은 각 특허 문서들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유 식별 정보는 모든 테이블을 통합하여 유니크한 정보로 설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140)에 각 특허 문서들이 검색 및/또는 통계 분석이 용이하도록 정해진 형식에 따라 표준화되어 저장된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을 자동 생성하는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괄 보기 요청에 따른 출력 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을 시각화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검색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을 자동 생성하는 분석 서버(120)는 송수신부(410), 분류부(420), 설정부(430), 추출부(440), 검색식 생성 부(450), 뷰 생성부(460) 및 검색식 시각화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41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검색 서버(130) 등)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41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다른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분류부(4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 객체를 생성하며, 선택된 분류 객체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를 분류한다. 선택된 분류 객체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가 분류되어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분류 항목 및 분류 객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류 객체는 사용자의 분류 항목 선택 또는 분류 객체 선택에 따라 각각 생성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분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분류 객체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의 범위가 상이해지므로 분류 객체 또한 상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분류부(4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에 대한 통계치를 산출하고, 이를 분류 객체에 매핑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분류 항목이 출원연도라고 가정하자. 이때, 분류부(420)는 선택된 분류 항목에 상응하여 각 분류 객체의 대상 범위가 3년으로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분류부(420)는 검색된 특허 문서들의 출원 연도를 정해진 정렬 기준 (내림 차순 또는 오름 차순)에 따라 정렬한 후 3년 단위로 각 분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출원연도가 1997년이고, 가장 마지막 출원 연도가 2008년이라고 가정하자. 제1 분류 객체는 1997~1999년으로 생성되며, 제2 분류 객체는 2000~ 2002년으로 생성되고, 제2 분류 객체는 2003~2005년으로 생성되며, 제4 분류 객체는 2006~2008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원연도에 따라 3년 단위로 각 분류 객체를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자. 분류부(420)는 선택된 각 분류 항목에 따른 분류 객체가 생성되면, 각 분류 객체에 따라 각 특허 문서의 통계치를 산출하고, 이를 각 분류 객체에 매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 분류 객체에 매핑되어 설정되는 통계치를 매핑값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제1 분류 객체가 1997~ 1999년이므로, 분류부(420)는 출원연도가 1997년에서 1999년 사이인 특허 문서의 수를 산출하여 제1 분류 객체에 대한 매핑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분류부(420)는 제2 분류 객체가 2000~2002년이므로 출원연도가 2000년에서 2002년 사이인 특허 문서의 수를 산출하여 제2 분류 객체에 대한 매핑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부(4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 각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석하여 통계치를 각각 산출하며, 산출된 통계치를 각 분류 객체에 매핑하여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생성된 분류 객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선택받고,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재분류를 위한 대상으로 설정한다.
추출부(440)는 설정부(430)를 통해 선택받은 분류 객체(이하, 선택된 분류 객체라 칭함)를 검색 키워드로써 각각 추출한다. 또한, 추출부(440)는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검색 키워드는 특허 문서의 검색을 위해 이용되는 키워드로써, 검색 키워드가 선택된 분류 객체이므로, 결과적으로 검색 키워드는 특정한 특허 정보이다.
검색 항목은 특허 문서의 검색을 위해 설정된 한정 조건으로, 검색 항목에 따라 특허 문서에서의 검색 범위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검색 항목은 각 특허 문서에 공동적으로 포함되는 출원인, 발명의 명칭, 청구항, 출원연도, 요약 등이 된다. 물론, 이외에도 검색 항목은 각 특허 문서에 포함되는 공동 서식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선택된 분류 객체가 IPC 분류 항목의 B 분류 객체와 출원연도 분류 항목의 2000년 분류 객체라고 가정하자. 추출부(430)는 "B"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고, B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즉, IPC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한다.
추출부(430)는 선택된 분류 객체가 날짜인 경우, 해당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생성하고, 이를 각각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할 수 있다. 즉, 추출부(430)는 2000년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2000년의 시작일, 즉 20000101,을 검색 시작일로써 생성한다. 또한, 추출부(430)는 2000년의 종료일, 즉 20001231,을 검색 종료일로써 생성한다. 그리고, 추출부(430)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각각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할 수 있다.
만일 데이터베이스(140)에 날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각각 출원연도, 공개 연도, 등록 연도 등과 같은 연도에 대한 별도의 필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추출부(430)는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할 수도 있다.
검색식 생성부(450)는 추출부(440)에 의해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검색 항목을 당해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검색식을 생성한다.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는 검색 키워드를 검색 항목으로 한정하기 위해 설정된 연산자로써 각 검색 항목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검색 항목 모두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식 생성부(450)는 추출된 검색 항목이 복수인 경우, 동일한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검색 키워드를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고, 이를 설정된 검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검색 항목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추출된 검색 키워드가 A 키워드, B 키워드라고 가정하자. 검색식 생성부(450)는 (A 키워드 or B 키워드) 또는 [A 키워드 or B 키워드]와 같이 설정된 부호를 이용하여 그룹화한다. 그리고, 검색식 생성부(450)는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를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서브 검색식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검색식은 각 검색 항목을 이용하여 생성된 소단위 검색식으로써, 각 분류 항목에 따라 생성된 소단위 검색식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서브 검색식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검색 항목이 IPC 검색 항목과 출원인 국적 검색 항목이라고 가정하자.
IPC 검색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검색식은 선택된 A 및 B 분류 객체에 상응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A or B)와 같이 IPC 검색 항목에 상응하는 검색 키워드를 그룹화하고, 해당 IPC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연결하여 IPC 검색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원인 국적 검색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검색식은 선택된 US 및 EP 분류 객체에 상응하는 검색 키워드 US와 EP를 이용하여 (US or EP)와 같이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출원인 국적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연결함으로써 출원인 국적 검색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검색식 생성부(450)는 서브 검색식을 지정된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분류 항목에 따라 검색 항목이 설정되지 않은 분류 항목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록 해당 분류 항목에 상응하여 분류 객체가 선택되었을지라도 해당 분류 항목은 검색식을 생성하는데 이용되지 않는다. 다만,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은 검색을 위한 대상으로 이용된다.
검색식 생성부(450)는 특허 문서에 대해 기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는 경우, 기저장된 검색식과 선택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생성된 검색식을 지정된 검색 연 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식 생성부(45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와 생성된 검색식(또는 확장된 검색식)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뷰 생성부(460)는 입력(또는 선택)된 일괄 보기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미리 정해진 형식에 따라 출력 뷰를 생성한다. 여기서, 일괄 보기 요청은 출력 타입을 포함하며, 출력 타입은 요약 보기 및 전문 보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요약 일괄 보기는 대상 특허 문서의 서지 사항 정보를 출력 뷰로 생성한 것이며, 원문 일괄 보기는 대상 특허 문서의 원문에 상응하도록 출력 뷰를 생성한 것이다. 도 6에 요약 일괄 보기에 따른 출력 뷰에 상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상 특허 문서들이 출력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설정(또는 선택)된 출력 유형에 따라 검색식 생성부(450)를 통해 생성된 검색식을 시각화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출력 유형은 텍스트, 배열 및 트리를 포함한다.
즉,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사용자에 의해 출력 유형이 선택되면, 선택된 출력 유형에 상응하여 설정된 시각 정보로 생성된 검색식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출력 유형이 배열이라고 가정하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생성된 검색식에 포함된 키워드 및 검색 연산자를 연결 관계에 따라 2차원 배열 형태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R 연산자로 연결되는 키워드는 병렬적으로 연결하고, 인접 연산 자에 의해 연결되는 키워드는 미리 설정된 괄호를 이용하여 그룹화하여 인접 연산자에 의한 키워드 연결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ND 연산자로 연결되는 키워드는 AND 연산자를 기준으로 좌우에 직렬로 배치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력 유형이 트리인 경우,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검색 연산자를 기준으로 각 키워드를 그룹화한다. 이때,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검색 연산자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각 그룹의 순서를 결정한다. 각 순서가 결정되면, 검색식 시각화부(470)는 검색 연산자를 상위 노드로 하고, 각 키워드를 상위 노드의 하위 노드로 연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트리 보기"에 상응하여 검색식이 트리 구조로 출력된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단계는 분석 서버(120)의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수행되어지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석 서버(12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10에서 분석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선택받는다.
즉, 분석 서버(120)는 설정된 분류 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분류 항목들은 특허 문서의 분석을 위해 설정된 항목이며, 각 분류 항목들은 각 분류 항목에 따라 검색 항목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검색 항목이 설정된 분류 항목들에 포함된 분류 객체가 선택 되면, 선택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검색식이 확장하여 생성된다. 이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석 서버(120)가 사용자 단말기(110)로 분류 항목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분석 서버(120) 이외의 별도의 웹 서버(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715에서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각 분류 객체를 생성한다.
생성된 분류 객체가 지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분석 서버(120)는 각 분류 객체에 따라 분류된 특허 문서의 건수를 이용하여 정렬한 후 지정된 개수의 분류 객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분류 객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분석할 분류 객체를 선택받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분류 객체가 날짜인 경우, 분석 서버(120)는 분류 객체의 대상 범위를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대상 범위에 상응하여 분류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이미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분류 객체가 IPC와 같은 계층적 구조를 포함하는 분류 기준인 경우,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분석 객체에 상응하여 출력할 계층 깊이를 선택받고, 선택된 계층 깊이에 상응하여 각 분류 객체가 생성될 수도 있다.
단계 720에서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각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여 출력한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725에서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선택받는다.
단계 730에서 분석 서버(120)는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고,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한다.
단계 735에서 분석 서버(120)는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추출된 검색 항목을 정해진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한다.
단계 740에서 분석 서버(120)는 특허 문서들에 대해 이전 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이전 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745에서 분석 서버(120)는 이전 저장된 검색식와 선택된 분류 객체에 상응하여 생성된 검색식을 정해진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한다.
만일 이전 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750로 진행한다.
단계 750에서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을 요청받는다.
단계 755에서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및 생성된 검색식을 정해진 검색 연산자(예를 들어,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한다.
단계 760에서 분석 서버(120)는 생성된 검색식을 설정 또는 선택된 출력 유형에 상응하여 설정된 시각 정보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선택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가 선택된 후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선택된 분류 객체에 따라 분류된 특허 문서들을 선택된 분석 항목에 따라 재분류할 수 있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석 서버(120)가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를 분류한 것을 제1 분류라고 칭하기로 하자.
제1 분류에 따른 분류 객체들 중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원인 국적 분류 항목 중 EP 분류 객체가 선택되고, 출원연도 분류 항목의 분류 객체 중 2000년 분류 객체가 선택되었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별도로 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분석 서버(120)는 제1 분류 내에서 선택된 분류 객체에 따라 분류된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제1 분류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를 생성한 후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를 분류한다(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이를 2차 분류라 칭하기로 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석 서버(120)는 분류 객체가 선택된 후 키워드 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1차 분류에 따라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재분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과내에서 재검색하는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과내에서 재검색하는 분석 서버(120)는 송수신부(910), 분류부(920), 설정부(930), 검색부(940) 및 뷰 생성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송수신부(910), 분류부(920), 설정부(930) 및 뷰 생성부(9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송수신부(91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아 검색부(940)로 출력한다.
검색부(940)는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이용하여 설정부(930)를 통해 선택받는 분류 객체(즉,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한다.
검색부(940)를 통해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은 분류부(920)가 선택된 분류 항목별로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분류 객체를 각각 재생성하고, 선택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분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분류된 특허 문서에 대해 재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 의 단계는 분석 서버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분석 서버(90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1010 내지 단계 1025는 도 7에서 설명한 710 내지 725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1030에서 분석 서버(900)는 선택된 분류 객체에 따라 분류된 특허 문서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한다.
단계 1035에서 분석 서버(90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결과내 재검색 요청은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포함한다.
단계 1040에서 분석 서버(900)는 단계 1030에서 설정된 검색 대상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즉,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이용하여 특허 문서를 재검색한다.
단계 1045에서 분석 서버(900)는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단계 1010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분류 객체를 재생성한다. 즉, 분석 서버(900)는 단계 1010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선택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를 이용하여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분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 생성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항목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정해진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을 자동 생성하는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괄 보기 요청에 따른 출력 뷰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선택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과내에서 재검색하는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서버가 분류된 특허 문서에 대해 재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식을 시각화한 것을 예시한 도면.

Claims (26)

  1.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에 상응하여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a2)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동일한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추출된 검색 키워드를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서브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서브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날짜 항목이면,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생성하여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기간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특허 문서에 상응하여 기저장된 검색식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기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면, 상기 기저장된 검색식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f)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를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g) 정해진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연결하여 확장하는 단계; 및
    (h) 상기 확장된 검색식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로 일괄 보기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상기 일괄 보기 요청은 출력 타입을 포함함; 및
    상기 일괄 보기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에 대해 상기 출력 타입에 따른 출력 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타입은 요약 보기 및 전문 보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d)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설정된 출력 유형에 따라 시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형은 텍스트, 배열 및 트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식 생성 방법.
  12.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를 분류하여 재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b) 키워드 및 검색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c) 상기 키워드 및 상기 검색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설정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재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검색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는 단계;
    (a2)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단계; 및
    (a4)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검색 방법.
  14.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에 대한 검색식을 생성해주는 분석 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설정부;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고,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에 설정된 검색 항목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검색식 생성부를 포함하는 분석 서버.
  15. 제14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고, 상기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정부는 상기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16. 제15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워드를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지정된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검색식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재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부는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동일한 분류 항목에 상응하는 추출된 검색 키워드를 OR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서브 검색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브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분류 항목이 날짜 항목이면,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를 포함하는 검색 시작일 및 검색 종료일을 생성하여 검색 키워드로써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기간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에 설정된 검색조건 지정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그룹화된 검색 키워드에 상응하는 검색 항목을 연결하여 검색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식 생성부는,
    상기 특허 문서들에 상응하여 기저장된 검색식이 존재하면, 상기 기저장된 검색식 및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AND 연산자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검색식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검색식을 설정된 출력 유형에 따라 시각화하는 검색식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분석 서버.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형은 텍스트, 배열 및 트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24. 하나 이상의 특허 문서를 분류하여 재검색하는 분석 서버에 있어서,
    소정의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설정부;
    키워드 또는 검색식을 포함하는 결과내 재검색 요청을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선택된 분류 객체에 포함되는 특허 문서들을 대상으로 상기 키워드 또는 상기 검색식을 이용하여 재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이용하여 설정된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재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분류 항목별 재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재검색된 특허 문서를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분석 서버.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대해 특허 문서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분류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선택된 분 류 항목별 생성된 분류 객체에 따라 상기 특허 문서들을 분류하되,
    상기 설정부는 상기 분류부에 의해 생성된 분류 객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분류 항목은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서버.
KR1020090077836A 2009-08-21 2009-08-21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10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36A KR101103773B1 (ko) 2009-08-21 2009-08-21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836A KR101103773B1 (ko) 2009-08-21 2009-08-21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09A true KR20110020109A (ko) 2011-03-02
KR101103773B1 KR101103773B1 (ko) 2012-01-12

Family

ID=4392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836A KR101103773B1 (ko) 2009-08-21 2009-08-21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7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56B1 (ko) * 2020-08-06 2020-12-28 박관유 빅데이터 활용 검색 서버 및 빅데이터 활용 검색 장치
KR20210028595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워트인텔리전스 검색 키워드 추천 및 확장 방법
WO2022050687A1 (ko) * 2020-09-02 2022-03-10 최광석 특허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특허 검색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특허 검색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784B1 (ko) 2017-03-28 2019-06-07 주식회사 와이즈넛 특허 검색을 위한 최적 검색식 자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052A (ko) * 2004-02-24 2005-08-30 (주)윕스 인터넷을 이용한 특허검색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71907A (ko) * 2005-12-30 2007-07-04 (주)광개토연구소 트리 구조를 이용한 특허정보 검색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595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워트인텔리전스 검색 키워드 추천 및 확장 방법
KR102195556B1 (ko) * 2020-08-06 2020-12-28 박관유 빅데이터 활용 검색 서버 및 빅데이터 활용 검색 장치
WO2022050687A1 (ko) * 2020-09-02 2022-03-10 최광석 특허 검색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특허 검색을 제공하는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특허 검색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773B1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934B1 (ko) 문서검색 결과를 이용한 군집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6754B1 (ko) 모바일 시멘틱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CN101151607B (zh) 用于提供产品评论的方法和系统
US8135708B2 (en) Relevance ranked faceted metadata search engine
CN108647276B (zh) 一种搜索方法
US20030220916A1 (en) Document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document search method
US20070288442A1 (en) System and a program for searching documents
KR20070102033A (ko) 문서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544307B (zh) 一种不依赖文档库的多搜索引擎自动化对比评测方法
CN109582849A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网络资源智能检索方法
KR101103773B1 (ko) 검색식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2236696A (zh) 从非结构化文本提取可伸缩增量语义实体和相关性
CN106933883B (zh) 基于检索日志的兴趣点常用检索词分类方法、装置
CN105550169A (zh) 一种基于字符长度识别兴趣点名称的方法和装置
US20050060303A1 (en) Patent family analysis system and method
CN105488100A (zh) 一种非涉密环境下涉密地理数据的高效检测发现系统
US20120096003A1 (en) Information classification device, information class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lassification program
JP56394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188207B (zh) 知识图谱构建方法及装置、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CN111325562A (zh) 粮食安全追溯系统及方法
KR102298397B1 (ko) 인용 유형 기반의 인용 관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113761B1 (ko) 특허 문서 분류 방법 및 시스템
KR100919757B1 (ko) 문서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0809751B1 (ko) 문서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Yoon et al. A conference paper exploring system based on citing motivation and top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